KR102055509B1 -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5509B1 KR102055509B1 KR1020180128120A KR20180128120A KR102055509B1 KR 102055509 B1 KR102055509 B1 KR 102055509B1 KR 1020180128120 A KR1020180128120 A KR 1020180128120A KR 20180128120 A KR20180128120 A KR 20180128120A KR 102055509 B1 KR102055509 B1 KR 1020555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member
- rotation shaft
- wind
- suppor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ZUFCTLCJUWOSV-UHFFFAOYSA-N furosemide Chemical compound C1=C(Cl)C(S(=O)(=O)N)=CC(C(O)=O)=C1NCC1=CC=CO1 ZZUFCTLCJUWO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이러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바람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높여 풍력발전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지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보강부재(60)는 제1보강부재(61)와 제2보강부재(62)로 구성되고, 제1보강부재(61)는 일단이 지지부재(32)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평회전축(30)의 상측에서 수직회전축(20)에 고정되어 지지부재(32)와 수직회전축(20)을 상향 경사지게 연결하고, 제2보강부재(62)는 일단이 지지부재(32)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평회전축(30)의 하측에서 수직회전축(20)에 고정되어 지지부재(32)와 수직회전축(20)을 하향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20 : 수직회전축
30 : 수평회전축
31 : 바
32 : 지지부재
40 : 가이드부재
50 : 블레이드
51 : 고정부재
52 : 지지살
53 : 원형프레임
54 : 회전날개
60 : 보강부재
Claims (4)
-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회전축;
일측이 상기 수직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내부에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바의 타측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회전축;
상기 수직회전축에 결합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게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람이 외주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속도가 빨라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수평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방 외주면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하는 블레이드; 및
일단은 상기 수직회전축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수평회전축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 상기 지지살의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원형프레임, 상기 원형프레임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방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회전축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베어링이 장착 되며 상기 베어링에 상기 수평회전축의 일측 단부가 관통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회전축의 상측에서 상기 수직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직회전축을 상향 경사지게 연결하고, 상기 제2보강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회전축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직회전축을 하향 경사지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8120A KR102055509B1 (ko) | 2018-10-25 | 2018-10-25 |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8120A KR102055509B1 (ko) | 2018-10-25 | 2018-10-25 |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5509B1 true KR102055509B1 (ko) | 2019-12-13 |
Family
ID=6884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8120A KR102055509B1 (ko) | 2018-10-25 | 2018-10-25 |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550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56905A (zh) * | 2020-05-29 | 2020-07-28 | 叶炳极 | 一种密闭塔式抽吸风力发电机组 |
CN111456906A (zh) * | 2020-05-29 | 2020-07-28 | 叶炳极 | 一种内管式风力发电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43Y1 (ko) * | 1991-10-11 | 1995-08-14 | 김대규 | 풍력발전용 풍차 |
KR200309871Y1 (ko) * | 2003-01-20 | 2003-04-08 | 김강정 | 바람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 |
KR20030092767A (ko) * | 2002-05-31 | 2003-12-06 | 주장식 | 다중 회전날개가 구비된 풍력발전기 |
KR101106205B1 (ko) | 2011-08-01 | 2012-01-20 | 주식회사 키미 | 풍력 발전기 |
KR101463015B1 (ko) | 2013-08-30 | 2014-11-18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바람의 효율성을 높인 소형 풍력발전기 |
-
2018
- 2018-10-25 KR KR1020180128120A patent/KR1020555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43Y1 (ko) * | 1991-10-11 | 1995-08-14 | 김대규 | 풍력발전용 풍차 |
KR20030092767A (ko) * | 2002-05-31 | 2003-12-06 | 주장식 | 다중 회전날개가 구비된 풍력발전기 |
KR200309871Y1 (ko) * | 2003-01-20 | 2003-04-08 | 김강정 | 바람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 |
KR101106205B1 (ko) | 2011-08-01 | 2012-01-20 | 주식회사 키미 | 풍력 발전기 |
KR101463015B1 (ko) | 2013-08-30 | 2014-11-18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바람의 효율성을 높인 소형 풍력발전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56905A (zh) * | 2020-05-29 | 2020-07-28 | 叶炳极 | 一种密闭塔式抽吸风力发电机组 |
CN111456906A (zh) * | 2020-05-29 | 2020-07-28 | 叶炳极 | 一种内管式风力发电装置 |
CN111456906B (zh) * | 2020-05-29 | 2021-12-10 | 叶炳极 | 一种内管式风力发电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9277B1 (ko) | 나셀 펜스를 갖는 풍력발전기 | |
KR102448925B1 (ko) | 수직축 풍력발전기 | |
KR102055509B1 (ko) |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 |
WO2015190916A1 (en) | Device for converting kinetic energy of a flowing medium to electrical energy | |
KR200379582Y1 (ko) | 동축반전 풍력발전기 | |
KR101360277B1 (ko) | 수직형 풍력발전기 | |
KR101503358B1 (ko) | 수평형 풍력발전기 | |
KR102026980B1 (ko) | 풍력터빈발전기 바람 모음 장치 | |
KR101369942B1 (ko) | 가변날개가 구비된 풍차 | |
KR101169212B1 (ko) |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 |
KR101298910B1 (ko) | 굴뚝형 풍력발전기 | |
KR102016471B1 (ko) | 풍력발전기 | |
JP4892716B1 (ja) | 風力発電装置 | |
KR102098961B1 (ko) | 블레이드 가변형 풍력발전장치 | |
KR101943845B1 (ko) | 수평형 풍력발전기 | |
KR200473807Y1 (ko) | 발전용 날개 | |
JP6469303B1 (ja) | 風力発電システム | |
KR20020071290A (ko) | 해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 |
KR20130133713A (ko) | 수력과 풍력발전기의 날개 | |
KR20090036789A (ko) |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각도조절장치 | |
KR101439222B1 (ko) | 풍력발전기용 수평회전 날개 | |
KR101697228B1 (ko) | 블레이드 가변형 터빈 | |
JP6638952B2 (ja) | 風洞付きwタービン発電機 | |
KR102437234B1 (ko) | 고효율 수직형 풍력발전장치 | |
KR101382206B1 (ko) | 무공해 발전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