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595B1 - Gs1 id를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 Google Patents

Gs1 id를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595B1
KR102054595B1 KR1020180119121A KR20180119121A KR102054595B1 KR 102054595 B1 KR102054595 B1 KR 102054595B1 KR 1020180119121 A KR1020180119121 A KR 1020180119121A KR 20180119121 A KR20180119121 A KR 20180119121A KR 102054595 B1 KR102054595 B1 KR 10205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sid
client
wireless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윤원득
이윤호
채향석
서상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1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04L61/3075
    • H04L61/6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75Access point names [A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9Types of network address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e.g. room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에 따라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ONS 서버와,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것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GS1 ID를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WIRELESS ACCESS POINT USING GS1 I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MARTCITY PLATFORM INCLUDING THE SAME AS SERVICE POINT}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AP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SSID에 GS1 ID를 포함시킨 무선 AP와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시 자원 공급의 효율화와 도시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기 위해 스마트시티가 제안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ICT 인프라를 도시 자원에 대해 적용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시 운영과 도시 구성원들(시민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민 참여형 스마트시티는 도시 운영자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도시 자원을 활용하여 필요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의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통해서는,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생성하여 등록하기가 어려우며, 글로벌한 서비스에 대한 검색 및 접근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도시 내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LBS)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포인트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비콘과 같은 별도의 디바이스가 마련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사용자는 이러한 비콘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자신의 단말에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및 서비스 포인트 구축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766998호(등록일 2017년 08월 03일)에는 유시티(U-CITY) 통합 관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유형의 이기종 디바이스 연계 및 그 수집 데이터의 통합에 기반하고, 메시지 이더엔진과 메시지 셔틀엔진을 이용하는 중앙집중 의사 결정 방식의 지능형 유시티 통합 관제 플랫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정보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종래 기술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에 따라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ONS 서버와,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것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AP의 식별 정보로서의 SSID를 GS1 ID로 설정하거나; GS1 ID가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하거나; 해당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가 부가된 코드로서 설정한 무선 AP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에 따라 상기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ONS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상기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이 제공된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이고, 상기 SSID는 상기 GS1 ID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GS1 ID가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지 않는 경우, 상기 SSID는 상기 GS1 ID가 그대로 설정되고,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는 경우, 상기 SSID는 상기 GS1 ID가 32바이트의 길이 제약 내에서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코드는 상기 GS1 ID를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진법의 수로 진법 변환하고, 상기 진법 변환된 GS1 ID의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로 표현함으로써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는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상기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로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 문자, 및 소정의 개수의 특수 문자들을 제외한 아스키 문자들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수는 85 또는 90이고,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 문자, 및 소정의 개수의 특수 문자들을 제외한 85개 또는 90개의 아스키 문자들일 수 있다.
상기 SSID는 상기 GS1 ID의 타입을 나타내는 AI(Application Identifier)에 대응하는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I에 대응하는 코드는 소정의 특수문자에 의해 상기 SSID 내에서 상기GS1 ID 또는 상기 GS1 ID가 변환된 코드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SSID이고, 상기 SSID는 상기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GS1 ID가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시티 플랫폼은 상기 무선 AP 및 상기 ONS 서버와 연관하는 상기 서비스를 관리하는 EPCIS(EPC Information Service)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PCIS 시스템에는, 상기 무선 AP의 사용을 개시하는 이벤트, 상기 식별 정보로서 상기 무선 AP의 SSID를 상기 GS1 ID로 설정하는 이벤트, 상기 무선 AP의 SSID에서 상기 GS1 ID를 삭제하는 이벤트, 상기 ONS 서버에 상기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이벤트, 상기 ONS 서버에서 상기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이벤트, 및 상기 ONS 서버에서 상기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로 기 등록된 서비스를 변경하는 이벤트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GS1 ID에 기반한 질의는, 상기 무선 AP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상기 GS1 ID가 상기 클라이언트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기반한 AUS(Application Unique String)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AUS가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되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ONS 서버는 상기 질의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반환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서비스의 종류 정보와 상기 서비스와 연관된 접속 포인트가 등록됨으로써 상기 ONS 서버에서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포인트는, 상기 서비스의 생성, 변경 또는 폐기에 따라, 생성, 변경 또는 폐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가 생성된 때, 상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무선 AP가 활성화되고, 상기 무선 AP의 SSID에 상기 GS1 ID가 설정되고, 상기 ONS 서버에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로 변경된 때, 상기 무선 AP의 SSID에 상기 다른 서비스와 연관된 다른 GS1 ID가 설정되고, 상기 ONS 서버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상기 다른 서비스에 관한 정보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가 폐기된 때, 상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무선 AP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무선 AP의 SSID에서 상기 GS1 ID가 제거되고, 상기 ONS 서버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ONS 서버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된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GS1 ID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GS1 ID가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가 부가된 코드로서 설정되는 상기 무선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식별 정보로서 저장하는 식별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의 SSID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GS1 ID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GS1 ID는 ONS 서버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됨 - 및 상기 GS1 ID를 상기 SSID로 설정하거나; 상기 GS1 ID를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코드를 상기 SSID로 설정하거나; 상기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를 부가한 코드를 상기 SSID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 받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부터, ONS 서버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되는 GS1 ID를 포함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GS1 ID가 상기 SSID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GS1 ID를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한 코드가 상기 SSID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를 부가한 코드가 상기 SSID로서 설정됨으로써 상기 SSID는 상기 GS1 ID를 포함함 -, 상기 수신된 GS1 ID에 기반하여, 상기 ONS에 대해 상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질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질의를 상기 O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O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질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SSID 에 포함된 상기 GS1 ID를 상기 클라이언트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AUS(Application Unique String)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AUS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들을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따라 필터링함으로써, 기 저장된 캐시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리스트는 상기 업데이트된 캐시 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
비콘과 같은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마련할 필요 없이, 장소 내에 존재하는 무선 AP를 활용하여 GS1 ID와 연관된 다수의 서비스(예컨대,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비콘과 같은 별도의 디바이스를 마련하고 관리하기 위한 비용을 소요하지 않을 수 있고, 서비스 사용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는 비콘과 같은 별도의 디바이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무선 AP로부터 수신함으로써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손쉽게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ONS 서버와, 무선 AP로 구성되는 서비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GS1 코드 정보를 식별 정보로서 통신하는 무선 AP와,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 받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AP의 SSID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무선 AP의 SSID를 설정함에 있어서, GS1 ID를 변환한 코드를 SSID로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무선 AP 간의 통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ONS 서버로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질의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12는 일 예에 따른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는 일 예에 따른 SSID가 GS1 ID나 GS1 ID에 기반한 코드로서 설정되는 무선 AP를 구현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31은 일 예에 따른 무선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 및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라이프 사이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 장치(또는, 사용자 단말, AP, 서버)나 거기에 포함된 구성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및/또는 동작은, 설명의 편의상, 해당 구성이 아닌 해당 구성을 포함하는 상위의 구성이나 해당 장치 자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ONS 서버와, 무선 AP로 구성되는 서비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나 이러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120)에 대해 제공하는 ONS 서버(100), 클라이언트(120)에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예컨대, 도시 내의 특정한 위치)에 마련되는 서비스 포인트(들)(110)을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이 도시되었다.
ONS 서버(100)는 클라이언트(120)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의에 따라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ONS 서버(100)는 검색된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해당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는 GS1 ID가 나타내는 위치나, 상품 또는 물품과 관련된 서비스로서, 예컨대, 위치 기반 서비스(LBS)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서비스는 크로스채널 서비스,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 무선 의료기기 작동/제어 서비스, 포터블 핫스팟 이용 관련 서비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서비스, 또는 모바일 결제 관련 서비스일 수 있다.
도시된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통해 클라이언트(120)에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클라이언트(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이거나,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는 서비스 포인트(110)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무선 AP(110-2)와 통신할 수 있고, 해당 무선 AP(110-2)로부터 그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클라이언트(120)에 대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GS1 ID를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도시된 서비스 포인트(110)는 클라이언트(120)와 통신하고, 클라이언트(120)에 대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해당 서비스와 연관된)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AP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는 수신한 식별 정보가 포함하는 GS1 ID에 기반하여 서비스 요청을 위한 질의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는 생성된 질의를 ONS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ONS 서버(100)는 클라이언트(120)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하여 질의가 나타내는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120)에게 검색된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해당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는 ONS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120)는 ONS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URL을 선택하거나, 제공된 서비스 리스트에서 소기의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가 서비스를 제공 받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2, 5 및 6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포인트(110)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고 서비스 포인트들(110) 각각은 무선 AP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 내의 무선 AP가 배치된 각각의 위치가 서비스 포인트(110)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AP들(110-1 내지 N)은 각각 상이한 식별 정보(즉, 상이한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클라이언트(120)에 대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20)는 수신하는 무선 AP의 식별 정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무선 AP의 식별 정보는 해당 무선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일 수 있다. GS1 ID를 포함하도록 AP의 SSID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스마트시티 플랫폼은 무선 AP들(110-1 내지 110-N) 및 ONS 서버(100)와 연관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EPCIS(EPC Information Service) 시스템(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EPCIS 시스템(130)에는, 무선 AP들(110-1 내지 110-N)의 사용을 개시하는 이벤트, 식별 정보로서 무선 AP들(110-1 내지 110-N)의 SSID를 GS1 ID로 설정하는 이벤트, 무선 AP들(110-1 내지 110-N)의 SSID에서 GS1 ID를 삭제하는 이벤트, ONS 서버(100)에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이벤트, ONS 서버(100)에서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이벤트, 및 ONS 서버(100)에서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로 기 등록된 서비스를 변경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드가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정의된 이벤트에 기반하여, EPCIS 시스템(130)은 무선 AP들(110-1 내지 110-N) 및 ONS 서버(100)와 연관하는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말하자면, EPCIS 시스템(130)은 각 컴포넌트 (ONS 서버(100), 무선 AP들(110-1 내지 110-N), 클라이언트(120) 등)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라이프 사이클로 저장함으로서 관리할 수 있고, 직접적으로 다른 컴포넌트를 수정하는 작업은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된 서비스 포인트는 서비스의 생성, 변경 또는 폐기에 따라, 생성, 변경 또는 폐기될 수 있다.
예컨대, 1)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가 생성된 때(일례로, 스마트시티 플랫폼이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할 때), 해당 서비스에 대해 연관된 AP가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무선 AP의 SSID에 상기 GS1 ID가 설정될 수 있고, ONS 서버(100)에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일례로, 도메인 및/또는 URL과 같은 관련 레코드)가 등록될 수 있다. 2) 한편,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로 변경된 때에는, 무선 AP의 SSID에 다른 서비스와 연관된 다른 GS1 ID가 설정될 수 있고, ONS 서버(100)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상기 다른 서비스에 관한 정보(일례로, 도메인 및/또는 URL과 같은 관련 레코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3) 또한,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가 폐기된 때(일례로, 스마트시티 플랫폼이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을 중지할 때), 해당 서비스에 대해 연관된 무선 AP가 비활성화될 수 있고, 무선 AP의 SSID에서 GS1 ID가 제거될 수 있고, ONS 서버(100)에서 서비스에 관한 정보(일례로, 도메인 및/또는 URL과 같은 관련 레코드)가 삭제될 수 있다.
이처럼, 서비스 포인트의 라이프 사이클은 제공되는 서비스의 라이프 사이클에 종속될 수 있다.
전술된 클라이언트(120)에 대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서비스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의 종류 정보와 서비스와 연관된 접속 포인트(일례로, 서비스 포인트)가 등록됨으로써 ONS 서버(100)에서 등록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소정의 Access Control 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받을 수 있고, ServiceType Manager 를 이용하여 생성한 서비스의 종류 정보를 (ONS 서버(100)에 대해) 등록할 수 있다. 또한, ONS 서버(100)와 연관된 Record Manager를 통해 생성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의 접속 포인트를 등록할 수 있다.
말하자면, 실시예의 스마트시티 플랫폼은 시민 참여형 스마트시티 플랫폼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보다 구체적인 구현 예시와 그 구성들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7 내지 1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GS1 코드 정보를 식별 정보로서 통신하는 무선 AP와,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 받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무선 AP(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무선 AP들(110-1 내지 N)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AP(200)는 클라이언트(120)를 비롯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무선 AP(200)는 클라이언트(120)를 비롯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 와이파이(WIFI)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AP(200)는 클라이언트(120)(및 이를 비롯한 사용자 단말)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120)에 대해 무선 AP(200)의 이름(name)과 같은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AP(200)는 GS1 ID로서 설정되거나; GS1 ID가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되거나; 무선 AP(200)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가 부가된 코드로서 설정되는 무선 AP(200)의 SSID를 식별 정보로서 저장하는 식별 정보 관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관리부(220)는 설정된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여하한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AP(200)는 클라이언트(120)와 통신하고, 식별 정보 관리부(220)를 통해 관리 및 저장되고 있는 식별 정보를 클라이언트(120)에 송신하는 통신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120)로 송신되는 식별 정보는 ONS 서버(100)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되는 GS1 ID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클라이언트(120)로 신호 또는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AP(200)는 클라이언트(120)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시티 플랫폼의 서비스 포인트(서비스 포인트들(11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는 도 1에서 스마트폰 및 이와 유사한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무선 AP(200)와 통신하고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전자 장치로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기, 또는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는 통신부(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라이언트(120)는 제공 받는 서비스나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와, 제공 받는 서비스나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여하한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230)는 클라이언트(120)가 ONS 서버(100)나 무선 AP(200)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말하자면, 통신부(230)는 ONS 서버(100)나 무선 AP(200)에 대해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클라이언트(1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칩 및 네트워킹 인터페이스 포트 등과 같은 하드웨어 모듈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driver) 또는 네트워킹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클라이언트(120)의 구성 요소들을 관리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12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40)는 ONS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클라이언트(12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core)일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무선 AP(200)로부터 ONS 서버(100)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되는 GS1 ID를 포함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GS1 ID에 기반하여, 상기 ONS에 대해 상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질의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생성된 질의를 ONS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고, ONS 서버(100)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40)는 상기 질의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AUS(Application Unique String) 변환부(242) 및 도메인 이름 변환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AUS(Application Unique String) 변환부(242)는 무선 AP(200)로부터 수신된 SSID 에 포함된 GS1 ID를 클라이언트(120)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AUS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메인 이름 변환부(244)는 변환된 AUS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변환된 도메인 이름을 질의로서 ONS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의 구성들(242 및 244) 각각은 프로세서(240) 상에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고, 전술된 프로세서(240)의 기능 및 동작 또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AP의 SSID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는, 전술된 무선 AP(200)의 SSID를 GS1 ID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후술될 SSID를 설정하는 방법은 컴퓨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후술될 SSID의 설정은 무선 AP(200)를 관리하거나 무선 AP(200)의 SSID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또는 무선 AP(200)를 관리하거나 무선 AP(200)의 SSID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후술될 무선 AP(200)의 SSID를 설정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데이터/정보의 처리 및 연산은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컴퓨터는 GS1 ID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GS1 ID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된 GS1 ID는 ONS 서버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입력되는 GS1 ID는 알파뉴메릭(alphanumeric) 값일 수 있다.
단계(320)에서, 컴퓨터는 입력 받은 GS1 ID를 무선 AP(200)의 SSID로 설정할수 있다. 또는, 컴퓨터는 입력 받은 GS1 ID를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코드를 무선 AP(200)의 SSID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는 무선 AP(200)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를 부가한 코드를 무선 AP(200)의 SSID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AP(200)의 SSID는 최대 32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310)에서 입력된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지 않는 경우, 무선 AP(200)의 SSID는 GS1 ID가 그대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계(310)에서 입력된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는 경우, 무선 AP(200)의 SSID는 상기 GS1 ID가 32바이트의 길이 제약 내에서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될 수 있다.
컴퓨터는 단계(310)에서 입력된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상기 판정의 결과에 따라 GS1 ID를 그대로 SSID로서 설정하거나, GS1 ID를 32바이트의 길이 제약 내에서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하여 SSID로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AP(200)의 SSID를 설정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도 3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무선 AP의 SSID를 설정함에 있어서, GS1 ID를 변환한 코드를 SSID로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320)가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계(410)에서, 컴퓨터는 단계(310)에서 입력된 GS1 ID를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진법의 수로 진법 변환할 수 있다. 상기 GS1 ID는 길이가 32바이트를 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지 않는 경우에도, GS1 ID에 대해 후술될 단계들(410 및 420)에 의한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컴퓨터는 단계(410)에서 진법 변환된 GS1 ID의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로 변환함으로써 SSID에의 적용을 위한 변환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의 소정의 수는 GS1 ID가 변환될 수 있는 아스키 문자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GS1 ID가 변환될 수 있는 아스키 문자는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로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일 수 있다.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 문자, 및 소정의 개수의 특수 문자들을 제외한 아스키 문자들일 수 있다. 예컨대,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총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33개의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0~31, 127)을 제외한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자들일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여기에서 공백 문자(32)와 무선 장비에서 SQL 인젝션과 같은 보안 문제에 의해 인식되지 않는 소정의 특수 문자 6개(34, 38, 59, 92, 96, 124)를 제외하고, GS1 ID의 타입을 나타내는 AI(Application Identifier)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정의 특수문자 2개(123, 125)를 더 제외하고, 추후의 확장을 위해 사용되는 물결 문자(126)를 더 제외한 85개의 문자들일 수 있다. 또는,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총 90개의 문자들일 수도 있다.
소정의 수가 85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선택된 85개의 아스키 문자들 각각은 0 내지 84의 수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말하자면, 85진법의 계수들(0 내지 84) 각각에 대해 선택된 85개의 아스키 문자들의 각각이 매핑될 수 있다.
이 때, 단계(410)에 따라 GS1 코드는 85진수로 진법 변환될 수 있다. 85진수로 진법 변환된 GS1 코드의 각 자리수는 해당 각 자리수가 나타내는 계수에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로 변환될 수 있다. 일례로, 10진수의 GS1 ID "4012345123456"은 85진수인 10 54 23 78 80 50 81로 변환될 수 있고, 이는 7바이트의 아스키 문자 -Z:tvVw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스키 문자로 변환된 코드(즉, -Z:tvVw)가 무선 AP(200)의 SSID로서 설정되거나, 무선 AP(200)의 이름과 결합되어 SSID로서 설정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컴퓨터는 무선 AP(200)의 SSID에 GS1 ID의 타입을 나타내는 AI(Application Identifier)에 대응하는 코드를 더 설정할 수 있다. AI에 대응하는 코드는 소정의 특수문자(예컨대, "{" 및 "}" 또는 "(" 및 ")")에 의해 SSID 내에서 GS1 ID 또는 GS1 ID가 변환된 코드와 구분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정된 무선 AP(200)의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 도시한다.
아래 [표 1]은 SSID로서 GS1 ID가 사용된 예시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1
위의 표 1에서, "( )" 내의 숫자는 GS1 ID의 AI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에서는, SSID의 길이가 18바이트로 고정될 수 있다.
아래 [표 2]는 SSID로서 무선 AP(200)의 이름에 GS1 ID가 부가된 예시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2
위의 표 2에서, "( )" 내의 숫자는 GS1 ID의 AI를 나타낼 수 있다. 무선 AP(200)의 이름은 14바이트까지의 값들에 대응할 수 있다.
아래 [표 3]은 GS1 ID가 단계들(410 및 420)에 의해 변환된 코드로 변환된 예시를 나타낸다. 표 3의 예시에서는 90진법에 의한 진법 변환이 적용되었다.
[표 3]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3
위의 표 3에서, "{ }" 내의 숫자는 GS1 ID의 AI를 나타낼 수 있다. "example" 행에 해당하는 GS1 코드가 "90진수" 행과 같이 90진수로 진법 변환되고, 진법 변환된 GS1 코드는 "90진수(ASCII)" 행과 같이 아스키 코드로 표현(변환)되었다. 이러한 아스키 코드로 변환된 코드는 SSID로서 설정되거나 무선 AP(200)의 이름과 결합하여 SSID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도 4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무선 AP 간의 통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클라이언트(120)의 관점에서, ONS 서버(10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510)에서,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무선 AP(200)로부터 ONS 서버(100)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되는 GS1 ID를 포함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GS1 ID에 기반하여, 상기 ONS에 대해 상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질의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생성된 질의를 ONS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ONS 서버(100)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에 대한 URL이 ONS 서버(1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서비스 리스트가 이러한 URL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리스트는 각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레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 레코드는 Regexp(Regular Expression)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Regexp에 포함된 EPCIS 서버의 URL 혹은 SPS(Service Provider Server)의 URL을 획득하여 GS1 코드와 연관된 서비스를 웹 페이지 또는 EPCIS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캐시 리스트에 기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들을 클라이언트(120)의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따라 필터링함으로써 클라이언트(120)에 기 저장된 캐시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수신된 서비스 리스트는 이러한 업데이트된 캐시 리스트에 기반하여 클라이언트(120)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의 관심 정보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사용 내역/패턴, 인터넷 사용 내역/패턴 및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사용 내역/패턴과 같은 사용 정보에 따라 수집 및 가공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관심 정보에 기반하여 업데이트된 캐시 리스트를 사용하여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120)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서비스가 필터링될 수 있고, 반복적인 데이터 요청에 의한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20)의 에너지/메모리 사용 효율 역시 개선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도 5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ONS 서버로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질의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610)에서, AUS 변환부(242)는 무선 AP(200)로부터 수신된 SSID 에 포함된 GS1 ID를 클라이언트(120)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AUS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환경 정보는 클라이언트(120)의 사용자가 사용하거나 클라이언트(120)에 설정된 언어 정보일 수 있다.
단계(620)에서, 도메인 이름 변환부(244)는 변환된 AUS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변환된 도메인 이름을 질의로서 ONS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변환된 도메인 이름은 예컨대,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일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변환된 도메인 이름을 질의로서 ONS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ONS 서버(100)는 질의를 수신함에 따라, 질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120)로 반환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도 6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12는 일 예에 따른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12를 참조하여서는, 도시 운영자와 시민들이 생성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도시 자원에 쉽게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서비스를 글로벌하게 검색할 수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GS1 국제표준 기반 서비스 공유 플랫폼인 HERMES에 대해 설명된다.
HERMES는 HERMES ONS 시스템과 HERMES Client로 구성되어 있다. HERMES ONS는 사물에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는 국제 표준인 GS1 ONS(Object Name Service)를 기반으로 도시 운영자와 시민들이 생성한 서비스를 도시 자원에 등록하고, 글로벌하게 검색, 접근,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HERMES Client는 도시 자원 식별자를 인식하고 연관된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검색을 요청하며, 시민을 포함하는 도시의 구성원이 사용 언어와 활용 장소에 최적화된 스마트 시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공공시설, 공유 자전거 등의 물리적 도시 자원과 공공 복지, 교육 서비스 등의 가상 도시 자원에 국제 표준식별자인 GS1 ID를 부여하고, HERMES ONS가 도시 자원에 부여된 GS1 ID를 색인어로 스마트 시티 서비스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민과 서비스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이며, 도시 자원의 GS1 ID를 물리적으로 표현하는 서비스 포인트를 정의하고, 바코드, 데이터매트릭스, QR코드, 블루투스 비콘, 와이파이 AP 형태의 인코딩 방법을 설명한다. 시민은 HERMES Client를 이용하여 서비스 포인트에 등록된 도시 자원 GS1 ID를 인지하고, HERMES ONS에 서비스 검색을 요청함으로써, 필요한 서비스를 검색하고, 거기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HERMES에서는 스마트시티 서비스와 서비스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GS1 CBV(Core Business Vocabulary)와 EPCIS(EPC Information System) 표준을 이용하여 생성, 운영, 폐기 과정을 포함하는 일생 이벤트를 모델링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전 시티에 HERMES ONS와 client를 구현하고, 교통, 행정, 상업 등 6가지 유즈케이스 시나리오를 검증함으로써 HERMES의 글로벌 스마트시티 적용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아래 표 4에서는, 예시적인 GS1 ID들이 설명되었다.
[표 4]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4
도 7에서는, 예시적인 GS1 ID의 키 포맷(Key Format)이 설명된다.
아래에서 관련된 용어들에 관해 설명한다.
1) Global Standard 1 Identification keys (GS1 ID Keys)
GS1은 글로벌 생산, 물류, 유통, 소비망의 효율성과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제 식별자 표준인 GS1 ID를 제공하는 비영리 국제 표준기구이다. GS1 ID 표준의 대표적인 예시로서 상점에서 사용하는 GTIN 바코드, 병원에서 자산 및 인원의 관리에 사용되는 GDTI 등이 있으며, GS1 표준문서에서 상품정보부터 서비스 관계까지 위의 표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국제 표준 코드 체계를 정의하고 있다.
GS1 ID는 도 7과 같이 기본적으로 Company prefix, Reference number, Serial/extension number로 구성되어 있다. Company prefix는 GS1 글로벌 오피스에 통해 할당 받을 수 있으며, 이는 할당받은 기업, 조직 등 해당 단체와 그 단체가 소속된 국가를 구분할 수 있는 코드이다. Reference number는 각 사물의 종류를 구분하는 코드이며, 개개의 사물의 구분을 위해서 Serial/extension number를 사용할 수 있다. 각 기업은 유무형 사물과 서비스에 자신의 Company Prefix를 포함하는 GS1 ID를 할당함으로써, 글로벌하게 상품 및 서비스를 식별하고 운영할 수 있다.
2) GS1 Object Name Service (ONS)
GS1 ONS는 사물에 배정된 GS1 식별자를 기준으로 그 사물과 연계된 서비스를 글로벌하게 register, discover, 및 access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네임 서비스 기술이다. 이는 DNS의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ONS 클라이언트가 GS1 ID를 URL 형태로 변환하고 여기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아 기존의 DNS 네트워크에 쿼리함으로써 전세계에 계층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Root ONS 및 Local ONS 서버에 저장된 NAPTR 형식의 서비스 엔드포인트와, XML 타입의 서비스 타입 정보를 받아올 수 있도록 한다. ONS 클라이언트에서는 GS1 ID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접근 국가, ONS 클라이언트의 언어 정보가 포함되어 해당 유저에게 맞는 형식의 서비스 정보와 엔드포인트를 요청하고 제공 받을 수 있다.
3) EPC Information Service (EPCIS) 및 Core Business Vocabulary (CBV)
EPCIS는 사물과 서비스에서 생산되고 GS1 표준 스키마에 맞게 기술된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공유하기 위한 이벤트 저장소 기술로, 주어진 사물에 대하여 What, When, Where, 및 Why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축적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응용하면 다양한 stakeholder들이 각자 자신의 EPCIS를 가지면서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분산해서 축적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시 그 데이터를 상호간에 공유하여 사물 이력 추적, 빅데이터 분석 등에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EPCIS에 저장되는 각 사물의 이벤트는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술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해진 표준이 CBV이다. CBV 표준을 이용하면 대상 사물의 변화하는 상태를 미리 약속된 표준 어휘 또는 확장 어휘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이를 자동화된 루틴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실시예의 HERMES: SMART CITY SERVICE INTERCOMMUNITY PLATFORM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HERMES의 아키텍처를 나타내며 Smart City Re-sources, Service Points, HERMES ONS, HERMES Client를 포함한다. HERMES에서 도시 자원은 에너지, 물, 교통, 복지, 교육, 환경 등의 인프라와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지칭하며, GS1 ID 체계를 도시 자원에 적용하여, 각 국가, 도시별 스마트시티에서 상호 호환되는 식별을 가능하도록 한다. GS1 ID가 적용된 도시 자원은 1, 2차원 바코드, QR 코드, 데이터매트릭스, RFID, BLE 비콘, WiFi AP의 형태의 서비스 포인트로 스마트시티 곳곳에 설치되어 시민과 서비스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된다.
실시예의 시민참여형 스마트시티에서는 도시 운영자와 시민들은 도시 자원을 토대로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생성한다. HERMES ONS는 접근 제어와 스마트시티 서비스 등록 매니저를 통해 승인된 도시 운영자와 시민들의 서비스 등록을 지원하며, ONS 쿼리가 요청되면 해당 도시 자원에 연결된 서비스들을 검색하여 반환한다. HERMES Client는 서비스 포인트에 인코딩된 도시 자원의 GS1 ID를 스캔하고, ONS 쿼리를 생성하며, 결과로 반환된 스마트시티 서비스들을 서비스 접근 국가와 언어 정보에 최적화하여 시민들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민은 도시 자원인 정류장, 버스를 활용하여 실시간 최적 환승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들은 승인된 도시 구성원들에 의해 HERMES ONS에 등록될 수 있다. 시민들은 HERMES Client를 사용하여 정류장에 설치된 WiFi AP 서비스 포인트에서 정류장 식별자인 GLN을 스캔하고, 정류장에 연결된 서비스들을 HERMES ONS에 질의할 수 있다. 결과로 반환된 서비스들은 시민의 접근 국가, 사용 언어를 인지하여 최적화된 형식으로 표시되고, 시민들은 새롭게 등록된 실시간 최적 환승 서비스를 포함한 정류장 서비스들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다.
[GS1 ID based Smart City Resource Identifier]
ISO의 스마트시티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 자원은 에너지, 교통, 물, 치안, 헬스케어, 복지, 공공기반시설, 그리고 커넥티비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자원과 서비스의 식별을 위한 국제 표준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GS1은 유통 물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국제 사물 식별 표준인 GS1 ID Keys를 ISO와 함께 공동 채택하고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GS1 ID Keys를 토대로 스마트시티의 자원 및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기법을 설계하여, 각 국가, 도시별 스마트시티 플랫폼에서 상호 호환되는 식별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시 자원 및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GS1 ID를 적용하기 위해, 현재 운용되고 있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인 SmartSan-tander(2014), CiDAP(2015), Fiware, oneM2M, ISO-Standardized Smart City Platform(2017), PortoLivingLab(2018), GAMBAS(2014)의 도시 자원 및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조사하였다. 도시 자원 및 스마트시티 서비스 특성을 분류하고, 적합한 GS1 ID를 아래 표 5와 같이 제안하였다. GTIN은 상품, 서비스와 같은 유통의 특성을 가지는 도시 자원에 할당하였고, GLN은 버스 정류장, 공원 등과 같이 물리적장소의 특성을 가지는 도시 자원에 할당하였다. GRAI와 GIAI는 각각 공유와 독점의 특성을 가지는 도시 자원에 할당되었으며, GSRN은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수혜자인 사람에 할당하였다. GDTI는 공문서, 영수증, 우편, 면허증 등 문서의 특정을 가지는 도시 자원에 할당되었으며, SSCC는 택배 상자, 커피 캐리어 등 운송 패키지 특성을 가지는 도시 자원에 할당하였다. 추가적으로 도시 자원은 보는 관점에 따라 1개 이상의 GS1 ID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자의 관점에서 CCTV 에 GTIN을 부여할 수 있고, 도시의 자산 관리자 입장에서 GIAI를 부여할 수도 있다. 도시의 허가 받은 경찰은 HERMES를 이용해 GTIN과 GIAI를 스캔함으로서 CCTV 에 기록된 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접근하거나, CCTV 제조사에 연락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표 5]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5
도 9는 기존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식별자에 GS1 ID를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다. GS1 ID 체계는 class level 을 식별하는 company prefix+reference number와 instance level을 식별하는 serial/extension number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기존 도시 자원의 식별자를 class-level과 instance-level로 구분하고 각 부분을 GS1 ID에 적용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a는 대전 유성구 KAIST 정류장의 식별자(2504042850)이다. 이를 물리적 장소를 식별하는 GS1 ID인 GLN로 적용하기 위해서, 대전 유성구를 나타내는 25040 부분과 KAIST 정류장을 의미하는 42850으로 구분하고 도 9의 b와 같이 GLN으로 표현 ((414)8800026925040(254)42850)한다.
[HERMES ONS & HERMES Client]
여기에서는 HERMES ONS와 Client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시민들이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등록하고, 검색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HERMES ONS는 ONS cloud와 Local ONS로 구성된다. ONS cloud는 전세계에 존재하는 Peer Root ONS와 Local ONS를 지칭하며, DNS 기술을 통해 질의된 GS1 ID에 연관된 서비스들을 찾아준다. Local ONS는 서비스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서 Service Manager와 접근 제어를 제공한다. HERMES Client 는 ONS application과 ONS client로 이루어져 있다. ONS application은 서비스 포인트에서 GS1 ID를 스캔하고 접근 국가와 언어를 고려한 AUS(Application Unique String)로 변환한다. ONS client는 AUS를 사용하여 ONS에 질의 가능한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으로 변환하여 HERMES ONS에 질의한다.
시민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통해 생성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1) HERMES Access Control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받는다. (2) ServiceType Manager를 이용하여 생성한 서비스의 종류 정보를 등록한다. (3) HERMES ONS의 Record Manager를 통해 생성한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접속 포인트를 등록한다. (4) 등록된 서비스는 HERMES client를 통해 검색, 접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민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통해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검색하고 거기에 접근한다. (1) 서비스 포인트에 할당된 도시 자원의 GS1 ID는 HERMES Client에서 카메라, Bluetooth, wifi 모듈을 통해 스캔되어 수집된다. (2) 수집한 GS1 ID 는 AUS Converter를 통해 국가별, 언어별 환경을 고려한 AUS으로 변환된다. (3) FQDN Converter는 AUS를 입력 받아 FQDN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4) ONS Query는 FQDN을 입력받아 HERMES ONS에 질의하는 역할을 한다. (5) HERMES ONS는 클라이언트로부터 ONS 질의를 받아 NAPTR(Name Authority Pointer) 레코드 형식의 서비스 리스트를 반환한다. (6) HERMES Client는 서비스 리스트를 국가별, 언어별 반영하여 표시하며, 시민은 필요한 서비스에 접근한다.
스마트시티의 시민들과 서비스가 연결되는 지점을 서비스 포인트라고 정의하였다. GS1은 표준화된 자원 식별 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서비스 포인트와 연결시키기 위해 GS1 ID를 서비스 포인트로 표현할 수 있는 인코딩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는 1차원 바코드, RFID, QR Code, Data Matrix가 있다. GS1에서 정의한 방법 외에도, GS1beacon: GS1 Standard Based Integrated Beacon Service Platform에서 서비스 이용 자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통해 GS1 서비스 포인트로 Bluetooth Beacon을 스캔하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에서는, WiFi AP를 통해 기존의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GS1 서비스 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서비스 포인트는 시민이 간단하게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이하 AP 또는 WiFi AP)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과 인터넷 연결을 지향하는 장비들이 증가 함에 따라 이제는 일상 생활속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시민들은 길거리, 상점, 교통수단, 강의실 등의 도시 곳곳에서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는 WiFi AP를 발견할 수 있다. AP에는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식별 가능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있으며, 이 규격은 IEEE802.11에서 정의하고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GS1 ID를 AP의 SSID에 표현함으로서 AP를 GS1 서비스 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AP를 GS1 서비스 포인트로 사용하면, 시민들은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곳 어디서든 스마트시티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포인트에 더욱 가까워진다. 또한 스마트시티에서 서비스 포인트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AP 장치가 없는 시민도 스마트폰만 있다면 WiFi 핫스팟 기능을 이용하여 얼마든지 GS1 서비스 포인트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역시 서비스 포인트를 구성하는 무선 AP로서 동작할 수 있다. 주변의 커피숍을 예로 들어본다. 커피숍의 AP는 손님들에게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만약 이 AP의 SSID를 GS1의 위치 식별자인 GLN으로 바꾸거나, SSID에 GLN을 추가한다면 쉽게 GS1 서비스 포인트가 확보된다. 커피숍의 손님들은 HERMES 클라이언트를 통해 이러한 AP를 스캔하여 커피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서비스, 커피숍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받을 수 있는 커피숍 내부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열리는 행사 등에 접근할 수 있다. 이는 곧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IEEE802.11에 의하면 AP의 SSID는 최대 32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설정할 수 있는 문자는 UTF-8 인코딩을 따른다. 아래 표 6에서는 GS1 ID의 코드 데이터 부분이 가질 수 있는 최대 길이가 나와있다. 30바이트가 넘는 GS1 ID 종류가 5개 존재하며(GRAI, GIAI, GDTI, GINC, CPID), 이는 GS1 ID의 타입을 표시하는 AI(Application Identifier)가 길이에 포함될 경우 더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IAI의 경우, AI 길이 6바이트가 전체 길이에 포함되면 36바이트가 된다. 비록 AP의 SSID로 설정할 수 있는 문자가 UTF-8 인코딩을 따르더라도, SSID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입력장치(키보드, 키패드 등)에 의해 입력가능한 문자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SSID로 설정할 수 있는 문자의 범위는 아스키 인코딩 영역으로 좁혀진다. 따라서 32바이트의 길 이 제약내에서 아스키 인코딩을 따르면서 GS1 ID의 최대 38자리 숫자를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의 설계가 필요하다.
[표 6]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6
WiFi AP를 GS1 서비스 포인트로 사용하기 위해, GS1 ID를 인코딩하는 방법으로 85진수 인코딩을 제안한다. 85 진수 인코딩은 GS1 ID를 아스키 문자 85개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진법변환을 통해 얻은 계수 하나씩을 1바이트의 아스키 문자로 표현하여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스키 문자는 총 128개이며, 33개의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 (0∼31, 127)과 공백(32)을 포함한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 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은 SSID 로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제외된다.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자들 중 공백문자(32)는 표현 문자로 적합하지 않고, 특수문자 6개(34, 38, 59, 92, 96, 124)는 일부 무선 장비에서 SQL 인젝션과 같은 보안 문제로 인해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제외된다. 특수문자 2개(123, 125)는 AI를 구분 하는데 사용되고, 물결문자(126)는 추후 확장을 고려하여 인코딩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AI에 관한 설명은 아래 인코딩 과정에서 다룬다. 따라서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자들 중 인코딩에 사용하기 적합한 문자들은 85개이다.
85진수 인코딩 과정의 시작은 GS1 ID(B 0 B 1.,, B n (10))를 85진수(A 0 A 1... A i (85))로 변환하는 것이다. (아래 수학식 참조)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7
변환에서 얻은 85진수의 계수(0∼84)는 아스키 문자로 매핑된다. 아래 표 7 은 85진수의 계수가 표현되는 아스키 문자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3바이트의 GS1 ID 4012345123456(10)는 10 54 23 78 80 50 81(85)로 변환되고 이는 7바이트의 아스키 문자 -Z:tvVw으로 표현된다. 85진수 인코딩은 진법변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Numeric 으로 구성된 GS1 ID에만 사용할 수 있다.
[표 7]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8
표 6에서와 같이, GS1 ID는 AI(Application Identifier)와 코드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GS1 ID에서 AI 필드는 괄호(Parenthesis)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으나 괄호는 85진수 인코딩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따라서 85진수 인코딩을 사용할 경우, AI는 Left Brace "{"로 시작하여 Right Brace "}"로 종료하고 Brace "{}" 이후에 코드 데이터가 이어지도록 한다.
만약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지 않는다면, 85진수 인코딩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Alphanumeric으로 구성된 GS1 ID를 SSID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 표 8과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무선 AP의 이름과 GS1 ID를 SSID 에 동시에 표현하려고 할 때 그 길이가 32바이트를 넘는다면, GS1 ID에 85진수 인코딩을 적용해야 한다. (a)에서는 GIAI를 평문으로 썼을 때 32바이트의 길이를 차지하는 것 과, 이것에 85진수 인코딩을 적용했을 때 19바이트의 길이를 차지하는 것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b)와 같이 무선 AP의 이름과 GS1 ID를 병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표 8]
Figure 112018098522762-pat00009
표 5에서 GS1 ID로 사용되는 GIAI는 32바이트의 길이를 갖고 있으나, 85진수 인코딩을 적용하여 무선 AP의 이름과 병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무선 AP의 이름은 GS1 ID의 길이를 제외한 길이(32 - length(GS1 ID))로만 설정할 수 있다.
[Smart City Service & Service Point Life Cycle]
시민참여형 스마트시티에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서비스가 생성되고 이는 다양한 도시 자원들에 연결되며 운영되고 폐기된다. 시민들과 서비스를 연결하는 서비스 포인트 역시 새롭게 설치되고 연결하는 도시자원의 GS1 ID들을 갱신하면서 운영되며 폐기된다. 끊임없이 생성, 운영, 폐기되는 스마트시티 서비스와 서비스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서비스와 서비스 포인트의 이벤트를 CBV와 EPCIS를 사용하여 표준화하고, 이벤트간 연관 관계를 정리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및 서비스 포인트 라이프 사이클 모델을 제안한다.
도 10은 스마트시티 서비스와 서비스 포인트의 라이프 사이클을 GS1 CBV를 사용하여 도식화한 것이다. GS1 CBV가 제공하는 표준 어휘를 최대한 사용하였고, GS1 CBV에 없는 어휘는 확장 어휘를 사용하여 스마트시티 표준 어휘로 제안하였다. 스마트 서비스의 생성 은 Creating, Commissioning로 표현되고, 서비스 운영은 Listing, Accessing, Updating, Delisting로 표현된다. 서비스의 파기는 Decommissioning, Destroying로 표현된다. 서비스 포인트는 설치는 Commissioning, Installing로 표현되고, 도시 자원의 할당은 Encoding, Replacing로 표현된다. 서비스 포인트의 제거는 Removing Decommissioning로 표현한다.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상세한 이벤트는 아래 표 9에서 설명되어 있다.
[표 9]
Figure 112018098522762-pat00010
[Smart City Service Scanner 및 Application]
제안한 HERMES의 KAIST HERMES ONS를 구축하고, HERMES Client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인 GS1 Hermes를 구현하였다. 도 11은 구현된 HERMES가 기존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등록하고 검색 접근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제안한 HERMES를 실증하기 위해서 6가지의 유즈케이스 시나리오를 설계 하고 이를 한국의 대전시에 대해 적용하였다. 유즈케이스에 사용한 스마트시티 플랫폼은 GS1 Korea의 상품 검색 플랫폼, 대전시의 공공 서비스 플랫폼, 카이스트의 스마트 캠퍼스 플랫폼이다. 유즈케이스 시나리오의 실험 과정에서, 스마트시티 플랫폼들에서 제공하는 기존의 서비스들을 개발한 HERMES에 연결하였다. 유즈케이스에서는 개별 스마트시티 플랫폼에 대한 별도의 접근없이, HERMES를 통해 기존의 서비스들에 접근할 수 있음이 나아났다. 스마트시티 플랫 폼들에서 웹기반의 다양한 서비스가 만들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서비스들은 제안하는 플랫폼과는 독립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HERMES는 이들을 지원한다.
[Smart City Service Scanner Use Case]
표 10은 유즈케이스에서 사용한 스마트시티 자원과, 이 자원을 GS1 서비스 포인트로 활용하였을 때 제공하는 서비스 리스트, 그리고 서비스 포인트에 사용된 GS1 ID를 모두 나타낸다. 도 12의 1~6은 각 유즈케이스의 스마트시티 자원과 GS1 서비스 포인트를 보여준다. a, b는 스마트시티 자원과 서비스를 등록 할 수 있는 HERMES의 서비스 매니저를 보여주며, c~g는 GS1 서비스 포인트 별 HERMES 클라이언트의 동작화면이다.
[표 10]
Figure 112018098522762-pat00011
[Smart City Location Service (GS1 AP)]
본 유즈케이스에서는 스마트시티에 공공 인프라로 설치된 WiFi AP를 서비스 포인트로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소개한다. 도 12의 1은 대전시의 둔산 대공원에 설치된 WiFi AP를 보여준다. GS1 AP는 둔산 대공원을 지 칭하는 GLN이 인코딩된 서비스 포인트이며, GS1 Hermes 를 통해 GS1 AP 서비스 포인트를 매개체로 하여 도 12의 e와 같이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DunsanGrandPark Public AP를 통해서 도 12의 g처럼 공원의 위치 정보 서비스, 공원내 시설 정보 서비스에 접근 할 수 있다.
[Smart City Product Search Service (GS1 Barcode)]
본 유즈케이스에서는 상품의 바코드를 서비스 포인트로 사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도 12의 2는 GS1의 GTIN(Global Trade Item Number) 기반으로 생성된 생수의 바코드를 보여준다. ONS 상에서 이 바코드의 GTIN을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상품과 연관된 서비스와 연결시켰다.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의 소비자가 HERMES Client에서 생수에 붙어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면 상품판매정보, 상품정보, 상 품이력정보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Smart City Public Document Service (GS1 Data Matrix)]
본 유즈케이스에서는 스마트 시티의 자원인 문서에 GS1 ID를 부여하여 서비스 포인트로 사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대전시에서 사용하는 문서서식을 식별하기 위해 GS1 기반의 GDTI(Global Document Type Identifier) 코드를 생성하였다. 도 12의 3과 같이, 생성된 GDTI 코드를 GS1 Data Matrix로 표현하였고, 이를 해당 문서서식의 오른쪽 위에 넣었다. 이를 통해 시민이 HERMES Client 에서 문서서식에 있는 GS1 Data Matrix를 스캔하면 해당 문서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 문서서식 리스트를 볼 수 있는 서비스, 문서서식 공개에 대한 안내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Smart City Bus Information Service (GS1 QR code)]
본 유즈케이스에서는 버스정류장을 서비스 포인트로 사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대전시는 버스정류장마다 고유의 정류장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대전시의 버스정류장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GLN코드를 생성하였고, 이를 ONS 질의문인 URL 포맷으로 변환하여 GS1 QR code에 표현 하였다. 도 12의 5는 대전시의 한국과학기술원 정류장에 설치한 GS1 QR code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버스정류장의 시민이 HERMES Client에서 정류장에 표시된 GS1 QR code를 스캔하면 정류장에 도착예정인 버스정보, 정류장을 경유하는 버스의 노선정보, 정류장의 지도상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Smart Campus Library Service (GS1 Data Ma- trix)]
본 유즈케이스에서는 스마트 캠퍼스 구성원의 식별번 호를 서비스 포인트로 사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카이스트 의 스마트 캠퍼스 플랫폼은 교직원, 학생, 교수와 같은 캠퍼스 구성원들에 대해 고유한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도서관 사서의 식별번호, 책을 빌리려는 학생의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GSRN(Global Service Relation Number)코드 를 생성하였고, 이를 GS1 Data Matrix로 표현하였다. GS1 의 GSRN은 개별 서비스 공급자와 서비스 수요자간의 서비스 관계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코드이다. GSRN에서는 서비스 공급자(Provider)와 서비스 수요자(Recipient)의 코드를 AI로 구분짓고 있다(각각 8018, 8017). 도 12 의 4처럼 스마트 캠퍼스 구성원 카드에 GS1 Data Matrix를 넣었다. 이를 통해 도서관 사서가 HERMES Client에서 자신의 GS1 Data Matrix를 스캔하면 도서 대출 관리 서비스, 도서관 직원 연락망 확인 서비스, 도서관의 지도상 위치 확인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학생이 자신의 GS1 Data Matrix를 스캔하면 캠퍼스의 포털 서비스와 자신의 도서관 대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Smart Campus Shuttle Service (GS1 Beacon)]
본 유 즈케이스에서는 스마트 캠퍼스의 자산인 셔틀버스를 서비스 포인트로 사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셔틀버스를 식별할 수 있는 GS1 기반의 GIAI(Global Individual Asset Identifier)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GS1 Beacon에 할당하여 셔틀버스에 설치하였다. 도 12 의 6은 카이스트 셔틀버스에 설치한 GS1 Beacon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셔틀버스 이용자들이 HERMES Client에서 셔틀버스에 설치된 GS1 Beacon을 스캔하면 셔틀버스 운행정보확인 서비스와 캠퍼스 뉴스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스마트시티가 스마트시티 플랫폼들이 가진 일방적인 서비스 방식에서 벗어나, 진정한 시민참여형 스마트 시티로 나아가도록 하기위해 GS1 국제표준 기반 서비스 공유플랫폼인 HERMES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HERMES를 통해 도시와 시민이 표준화된 식별체계 안에서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만들고 이를 도시 자원에 연결할 수 있으며 스스로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시민이 일 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매개체(서비스 포인트)를 통해 언어와 장소에 최적화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글로벌하게 찾고 접근할 수 있도록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5는 일 예에 따른 SSID가 GS1 ID나 GS1 ID에 기반한 코드로서 설정되는 무선 AP를 구현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는, 비콘과 같은 추가 디바이스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에 존재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AP)를 활용하여 다수의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GS1 AP 서비스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무선) AP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인터넷 연결이 필요한 장비들의 증가에 따라 실내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Wireless Broadband Alliance 의 "Number of private hotspots worldwide, 2009-2015"에 따르면 전세계의 공개 AP 갯수는 2012년 대비 2014년은 114% 증가한 5백만개, 비공개 AP는 2015년 기준 6억개가 넘을 정도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현재 상태에서도 널리 퍼져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서 제안하는 GS1 AP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AP에 유통 물류 표준인 GS1 ID Key 및 기술을 접목하여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쉽고 경제적으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AP의 SSID로 GS1 ID Key를 설정할 수 있는 기술 사양을 제안하고, GS1 ID Key를 통해 서비스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시스템과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아래에서 관련된 용어에 관해 설명한다.
[EPCglobal]
EPCglobal은 국제 표준화 기구 GS1이 관리하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 관리 표준이다. 그리고 이 표준의 핵심은 각 제품에 할당된 고유한 GS1 ID KEY를 포함한다.
1) GS1 ID KEY
다양한 서비스에서 필요한 상품, 사물, 서비스관계, 물리적 장소, 사람까지 아우르는 강력한 식별 체계를 정의하고 있는 GS1 국제표준이다. 예를 들어 GLN은 물리적 공간 혹은 특정 장소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기본적으로 Company prefix, Reference number, Serial/extension number로 구성되어있다. Company prefix는 국가 및 기업을 구분하는 코드이며, Reference number는 각 사물의 종류를 구분하는 코드이고, 개개 사물의 구분을 위해서 Serial/extension number를 사용할 수 있다.
2) EPCIS (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
각 기업이나 응용에서 운영하게 되는 글로벌 분산 데이터 저장소로서, 다양한 사물들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으로 발생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다큐먼트 형식으로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게끔 한다. 데이터 저장과 쿼리를 위한 API를 제공한다. 전세계의 분산 EPCIS 데이터 저장소는 표준 GS1 ID Key를 통해 하나의 글로벌 데이터 베이스처럼 작동한다.
3) ONS (Object Name Service)
해당 사물에 연계된 서비스를 글로벌 하게 등록하고, 찾아주며,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는 Naming 서비스이다. 인터넷의 DNS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ONS 클라이언트가 GS1 ID Key를 ONS 쿼리로 변화해 Root ONS에 요청하면 전세계에 계층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ONS 서버들 중에서 해당 사물의 서비스 레코드 리스트를 가진 Local ONS서버로 쿼리가 전달되고 결과가 반환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AP)]
AP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한 관련 표준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가리킨다. AP는 일반적으로 유선망을 거치는 라우터에 연결되어 무선장치와 유선 장치간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1) SSID (Service Set Identifier)
IEEE802.11 은 AP를 동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규격을 정의하고 있으며 무선 장치가 AP에 Probe Request Frame을 보내면 AP는 Probe Response Frame에 SSID를 포함한 정보를 응답하게 된다. IEEE802.11 규격에 의해 SSID는 Element ID 0이고 Element의 길이로 최대 32 Octets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012년 이후의 802.11 규격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UTF-8 인코딩을 사용한다. 무선 장치는 SSID를 통해 AP를 식별하고 접속이 필요하면 인증 절차를 걸쳐 연결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의 GS1 AP 시스템의 software block diagram이다. GS1 AP 시스템은 크게 Service Discovery System(ONS Server), GS1ap application, GS1AP, AP Manager, ONS Manager의 5가지 component로 구성된다. 중간에 있는 GS1 AP는 특정 디바이스를 지칭하고 있는 것이 아닌, 임의의 AP 기기에 SSID를 GS1 ID Key로 설정하면 GS1 AP 가 되며 GS1 ID Key를 broadcast한다.
AP Manager는 SSID Changer, SSID Converter 로 구성된다. AP Manager는 관리자로부터 원격으로 AP에 접근할 수 있는 계정 정보와 GS1 ID Key를 입력 받는다. SSID Converter에서는 입력된 GS1 ID Key를 A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SSID로 변환하고 SSID Changer를 이용해서 AP의 SSID를 변경한다.
GS1 AP Application은 GS1AP Scanner, Service activity, ONS Client로 구성된다. GS1 AP Scanner는 GS1 AP가 broadcast하는 GS1 ID Key를 스캔하고 추출한다. Service activity는 스캔된 GS1 AP 목록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특정 GS1 AP를 선택하면 GS1 ID Key는 ONS Client로 전송된다. ONS Client는 GS1 ID Key를 Application Unique String(AUD) 과 fully qualified domain name(FQDN)으로 변환하고 ONS Server로 query를 한다. FQDN에 대한 응답으로 Naming Authority Pointer(NAPTR) record를 가져오고 service type 및 data를 추출한다. 추출된 service type은 ServiceType Service Server로부터 serviceType.xml을 다운로드 하는데 사용된다. ServiceType.xml은 서비스의 정보(service icon, service description) 를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사용자는 service data에 있는 URL 을 이용하여 service를 제공하는 web page에 접속한다.
Service Discovery System은 ONS Server, Service Provider server, serviceType service server로 구성된다. ONS Server는 Domain Name에 대한 Query Request가 오면 DDDS 알고리즘에 의해 NAPTR Record를 ONS Client에 반환한다. Service Provider server는 NAPTR Record 및 service web page를 관리한다. NAPTR Record는 GS1 ID Key와 관련된 여러 서비스가 포함되고, service web page에는 사용자에게 service contents를 제공한다. ServiceType service server는 serviceType.xml을 관리한다. ServiceType.xml은 사용자에게 보여줄 service icon과 service description을 포함하고 있다.
ONS Manager는 FQDN Converter, Domain register, Record adder로 구성된다. FQDN Converter는 GS1AP에 사용한 GS1 ID Key를 Application Unique String(AUD) 과 fully qualified domain name(FQDN)으로 변환하고 Domain register를 이용해서 Service Provider Server에서 사용하는 service web page를 등록한다. Record adder를 사용해서 Service Provider Server가 관리하는 NAPTR record를 추가한다.
[AP SSID Naming Rules]
AP의 SSID는 0~32 octets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SSID에 설정된 문자는 UTF-8로 인코딩 된다 AP의 SSID에 GS1 ID key를 넣기 위해서는 802.11 표준을 따라서 32 bytes 의 길이 제약이 생기게 된다. 32 bytes의 길이로는 모든 GS1 ID Key를 표현하지 못한다. 그래서 UTF-8 인코딩 형식을 따라 32 bytes의 길이 제약을 가지면서 GS1 ID Key의 최대 38자리의 숫자를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을 설계하였다.
GS1 ID Key (B 0 B 1 ...B N (10)) 를 아래의 수식과 같이 90진수(Code set 90), (A 0 A 1 ...A n (90))로 변경하였다. (아래 수학식 참조)
Figure 112018098522762-pat00012
변경된 90진수(0~89)는 UTF8 인코딩을 위해서 아래의 표 11을 통해서 ASCII Code로 변환해서 표현을 한다. ASCII Code 와 90진수(Code set 90), (A (90))는 아래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ASCII Code = AA(90) + 33
예를 들어, 4012345123456(10)의 GS1 ID Key값은 07 49 44 42 69 72 76(90) 로 변환되고 ASCII Code로 표현하면 (RMKfim 으로 표현할 수 있다. 90진수로 표현할 경우, 숫자만 변환이 가능하므로 GS1 ID Key가 숫자로만 이뤄져야 한다는 제약을 가지게 된다
[표 11]
Figure 112018098522762-pat00013
표 12에서 보듯이 GS1 ID Key는 Application Identifier(AI)와 Code Data값으로 이루어져 있다. GS1-128은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표기할 수 있고, 여러 종류의 GS1 ID Key가 접합(concatenation)되어 표기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안한 AP SSID Naming Rules는 Application Identifier를 포함하여 32자리를 넘지 않는다면 10진수를 사용하여 GS1 ID Key값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도록 허용한다.
32byte 이하의 10진수를 사용할 경우, AI는 Left Parenthesis "("로 시작하여 Right Parenthesis ")"로 종료하게 된다 Rarenthesis "()"이후에 Code Data가 이어진다.
32byte 초과된 데이터를 표현할 경우는 90진수를 사용하고 AI는 Left Brace "{"로 시작하여 Right Brace "}"로 종료를 하게 되고 Brace "{}"이후에 Code Data가 이어진다.
[표 12]
Figure 112018098522762-pat00014
표 13에서 보듯이 SSID에 GS1 ID Key와 사용자가 설정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동시에 사용하고 싶다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먼저 나오고 그 다음 GS1 ID Key값이 따라오게 된다.
이 경우, AP의 이름의 길이는 GS1 ID Key 값에서 사용하는 Data 길이를 제외한 길이(32-(Code+AI Length))로만 설정할 수 있다.
[표 13]
Figure 112018098522762-pat00015
[Data Definition using EPCIS]
GS1 AP의 관리와 GS1 AP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EPCIS system을 사용하고 Event Model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GS1 AP Event Model
GS1 AP는 일반적으로 널리 퍼져있는 AP의 SSID에 GLN, GTIN과 같은 GS1 ID Key를 포함하여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AP의 상태와 GS1 AP의 Lifecycle과 관련된 정보를 EPCIS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표준화된 방법으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각각의 Event는 표 14과 같이 정의되며 bizStep으로 구분된다.
[표 14]
Figure 112018098522762-pat00016
2) GS1 AP Service Event Model
GS1 AP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그 자체로 Lifecycle을 지닌다. GTIN으로 관리되는 상품을 GS1 AP 서비스에 연결하여 홍보하고 판매하는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GTIN으로 관리되는 제품은 그 자체의 Lifecycle을 지닐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 상품이 GS1 AP 서비스로 제공되는 경우로 제한하면 표 15와 같이 Event를 정의할 수 있다.
[표 15]
Figure 112018098522762-pat00017
아래에서는 GS1 AP 시스템을 사용하는 Practical Use Scenario를 통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를 보이고자 한다. Scenario의 이해관계자로는 공연을 홍보하려는 엔터테인먼트 회사(이하 "Advertiser"라 한다), GS1 AP를 이용하여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이하 "GS1 AP Promoter" 라 한다), AP가 설치된 카페 점주, (이하 "Cafe Owner" 라 한다), GS1 AP Application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이하 "User"라 한다) 가 있다. Advertiser는 공연을 홍보하기 위해 GS1 AP Promoter에게 홍보에 필요한 공연을 위해 GS1 ID Key 를 만들고 GS1 AP Promoter에게 광고를 의뢰한다. GS1 AP Promoter는 공연을 위한 Service URL을 제작하고, Cafe Owner들에게 일정 비용을 지불하여 광고를 위한 AP 사용을 요청한다. 광고에 사용할 AP가 확보되면, GS1 AP Promoter는 AP들의 SSID를 각각의 유일한 GLN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ONS에 해당 공연정보를 등록한다. 카페에 있는 User는 GS1 AP Application을 설치하고 GS1 AP 스캔을 GS1 ID Key과 연결된 공연정보를 Service URL를 통해 공연자를 확인하거나 공연예약안내 서비스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는 GS1 AP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의 Practical Use Scenario를 구현한 것이다. 카페에 있는 일반 User가 GS1 AP Application에서 GS1 AP를 선택하고, 공연자를 안내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근한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GS1 AP Application은 Nexus 5X에서 구동하였으며, GS1 AP는 ASUS AC68P 모델의 AP를 사용하였다.
도 14의 (a)에서 GS1 AP Application은 GS1 AP의 SSID를 GS1 ID Key로 변환하여 관리한다. 이를 위해 선택된 GS1 AP의 GS1 ID Key를 FQDN으로 변환하여 ONS에 Query한다. 도 14의 (b)에서는 ONS로부터 NAPTR Record를 수신하여 Service 리스트를 보이고 있다. 도 14의 (c)는 각 Service를 선택하였을 때 연결된 Service 페이지 화면이다.
안정적으로 본 플랫폼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측정하였다. 사용자가 실제로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부분으로 GS1 AP의 SSID 변경이 적용되는 시간과 GS1AP Application에서 GS1 AP를 스캔하는 시간을 고려하였다. GS1 AP Promoter 입장에서는 많은 수의 GS1 AP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홍보를 준비하는 초기단계에서 광고에 사용할 GS1 AP의 SSID를 변경하는 시간이 사용성에 영향을 줄 것이며, GS1 AP Application을 사용하는 일반 User 입장에서는 GS1 AP가 스캔되는 시간이 사용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러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과 측정 결과를 설명한다.
GS1 AP에 SSID 변경이 적용되는 시간은 AP에 SSID 변경명령이 실행된 후부터 SSID를 스캔하였을 때 변경을 감지한 시점까지를 의미한다. 측정에는 ASUS AC68P 모델의 AP를 사용하였으며, Ubuntu 16.04 환경에서 bash shell의 명령을 이용하여 20번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도 15의 (a)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SSID 변경이 적용되는 시간은 일정하게 10~13초 범위내에서 평균 11.5초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GS1 AP Application에서 GS1 AP가 스캔되는 시간은 앱에서 AP 스캔을 시작한 후부터 스캔된 AP 중에 GS1 AP를 식별하여 스캔이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측정에는 Nexus 5X에 GS1 AP Application을 설치하여, 앱에서 기록하는 로그를 이용하여 20번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도 15의 (b)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앱에서 GS1 AP가 스캔되는 시간은 일정하게 3.5~3.7초 범위내에서 평균 3.6초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에서는 GS1 국제표준기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서비스 방법인 GS1 AP를 제안하였다. GS1 AP는 전세계적으로 많이 보급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을 위해 BLE 비콘과 같은 장치를 설치해서 관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GS1 ID Key를 통한 ONS는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GS1 ID Key를 부여하고 GS1 AP로 동작할 때 발생하는 Event를 정의하여 EPCIS에 Capture할 수 있게 함으로써 GS1 AP를 통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GS1 AP서비스에 관련해 필요한 정보를 Query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Event를 정의하였다. 이로 인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 추적할 수 있으며 다른 이해관계자와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최종적으로는 GS1 ID Key를 AP SSID에 삽입하는 GS1 AP 기술 사양과 GS1 AP의 SSID에서 GS1 ID Key를 이용하여 ONS로부터 원하는 서비스를 찾아 이용할 수 있는 GS1 AP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구현하고 SSID를 통한 서비스 이용을 검증해봄으로써 실제 사용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도 16 내지 31은 일 예에 따른 무선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 및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라이프 사이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전술된 무선 AP의 라이프 사이클을 그 상태(State)와 상태별 천이 이벤트(Transition Event)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도 16의 천이 이벤트에 대응 가능한 GS1 AP Vocabulary를 예시한다. 도 18 내지 24는 도 17의 GS1 AP Vocabulary에 대응하는 GS1 AP EPCIS Event를 나타낸다.
도 25은 전술된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의 라이프 사이클을 그 상태와 상태별 천이 이벤트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도 25의 천이 이벤트에 대응 가능한 GS1 AP Service Vocabulary를 예시한다. 도 27 내지 31은 도 26의 GS1 AP Service Vocabulary에 대응하는 GS1 AP EPCIS Event를 나타낸다.
전술된 GS1 AP Vocabulary 및 GS1 AP Service Vocabulary는 GS1 CBV에서 제공하는 표준 어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5)

  1.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에 따라 상기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ONS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상기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이고,
    상기 SSID는 상기 GS1 ID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GS1 ID가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지 않는 경우, 상기 SSID는 상기 GS1 ID가 그대로 설정되고,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는 경우, 상기 SSID는 상기 GS1 ID가 32바이트의 길이 제약 내에서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코드는 상기 GS1 ID를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진법의 수로 진법 변환하고, 상기 진법 변환된 GS1 ID의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로 표현함으로써 생성된 것인, 스마트시티 플랫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는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상기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로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 중 하나인, 스마트시티 플랫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 문자, 및 소정의 개수의 특수 문자들을 제외한 아스키 문자들인, 스마트시티 플랫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수는 85 또는 90이고,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 문자, 및 소정의 개수의 특수 문자들을 제외한 85개 또는 90개의 아스키 문자들인, 스마트시티 플랫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SID는 상기 GS1 ID의 타입을 나타내는 AI(Application Identifier)에 대응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AI에 대응하는 코드는 소정의 특수문자에 의해 상기 SSID 내에서 상기GS1 ID 또는 상기 GS1 ID가 변환된 코드와 구분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9.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에 따라 상기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ONS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상기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SSID이고,
    상기 SSID는 상기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GS1 ID가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가 부가된 것인, 스마트시티 플랫폼.
  10.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에 따라 상기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ONS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상기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AP 및 상기 ONS 서버와 연관하는 상기 서비스를 관리하는 EPCIS(EPC Information Service)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EPCIS 시스템에는, 상기 무선 AP의 사용을 개시하는 이벤트, 상기 식별 정보로서 상기 무선 AP의 SSID를 상기 GS1 ID로 설정하는 이벤트, 상기 무선 AP의 SSID에서 상기 GS1 ID를 삭제하는 이벤트, 상기 ONS 서버에 상기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는 이벤트, 상기 ONS 서버에서 상기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이벤트, 및 상기 ONS 서버에서 상기 GS1 ID에 대응하는 서비스로 기 등록된 서비스를 변경하는 이벤트가 정의되어 있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11.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에 따라 상기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ONS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상기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
    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GS1 ID에 기반한 질의는, 상기 무선 AP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상기 GS1 ID가 상기 클라이언트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기반한 AUS(Application Unique String)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AUS가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되어 생성된 것이고,
    상기 ONS 서버는 상기 질의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반환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서비스의 종류 정보와 상기 서비스와 연관된 접속 포인트가 등록됨으로써 상기 ONS 서버에서 등록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13.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S1 ID에 기반한 질의에 따라 상기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검색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ONS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상기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서비스 포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포인트는, 상기 서비스의 생성, 변경 또는 폐기에 따라, 생성, 변경 또는 폐기되는 것이고,
    상기 서비스가 생성된 때, 상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무선 AP가 활성화되고, 상기 무선 AP의 SSID에 상기 GS1 ID가 설정되고, 상기 ONS 서버에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고,
    상기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로 변경된 때, 상기 무선 AP의 SSID에 상기 다른 서비스와 연관된 다른 GS1 ID가 설정되고, 상기 ONS 서버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상기 다른 서비스에 관한 정보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서비스가 폐기된 때, 상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무선 AP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무선 AP의 SSID에서 상기 GS1 ID가 제거되고, 상기 ONS 서버에서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삭제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14.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ONS 서버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된 GS1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GS1 ID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GS1 ID가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가 부가된 코드로서 설정되는 상기 무선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식별 정보로서 저장하는 식별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시티 플랫폼의 서비스 포인트에 포함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지 않는 경우, 상기 SSID는 상기 GS1 ID가 그대로 설정되고,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는 경우, 상기 SSID는 상기 GS1 ID가 32바이트의 길이 제약 내에서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코드는 상기 GS1 ID를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진법의 수로 진법 변환하고, 상기 진법 변환된 GS1 ID의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로 표현함으로써 생성된 것이고,
    상기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는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상기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로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 중 하나이고,
    상기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 문자, 및 소정의 개수의 특수 문자들을 제외한 아스키 문자들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SID는 상기 GS1 ID의 타입을 나타내는 AI(Application Identifier)에 대응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AI에 대응하는 코드는 소정의 특수문자에 의해 상기 SSID 내에서 상기GS1 ID 또는 상기 GS1 ID가 변환된 코드와 구분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9. 컴퓨터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의 SSID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GS1 ID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GS1 ID는 ONS 서버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됨 -; 및
    상기 GS1 ID를 상기 SSID로 설정하거나; 상기 GS1 ID를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코드를 상기 SSID로 설정하거나; 상기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를 부가한 코드를 상기 SSID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설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지 않는 경우, 상기 SSID는 상기 GS1 ID가 그대로 설정되고,
    상기 GS1 ID의 길이가 32바이트를 넘는 경우, 상기 SSID는 상기 GS1 ID가 32바이트의 길이 제약 내에서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된 코드로서 설정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설정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GS1 ID를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진법의 수로 진법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진법 변환된 GS1 ID의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변환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각 자리수를 대응하는 아스키 문자는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상기 소정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로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 중 하나이고,
    상기 선택된 아스키 문자들은 128개의 아스키 문자들 중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 문자, 및 소정의 개수의 특수 문자들을 제외한 아스키 문자들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설정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SSID에 상기 GS1 ID의 타입을 나타내는 AI(Application Identifier)에 대응하는 코드를 더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I에 대응하는 코드는 소정의 특수문자에 의해 상기 SSID 내에서 상기GS1 ID 또는 상기 GS1 ID가 변환된 코드와 구분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설정 방법.
  23. GS1 ID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 받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부터, ONS 서버를 통해 검색되고 접근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되는 GS1 ID를 포함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GS1 ID가 상기 SSID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GS1 ID를 아스키 코드 인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변환한 코드가 상기 SSID로서 설정되거나, 상기 무선 AP의 이름(name)에 상기 GS1 ID 또는 상기 변환된 코드를 부가한 코드가 상기 SSID로서 설정됨으로써 상기 SSID는 상기 GS1 ID를 포함함 -;
    상기 수신된 GS1 ID에 기반하여, 상기 ONS에 대해 상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질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질의를 상기 O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위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상기 O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SSID 에 포함된 상기 GS1 ID를 상기 클라이언트가 위치하는 국가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AUS(Application Unique String)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AUS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들을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따라 필터링함으로써, 기 저장된 캐시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리스트는 상기 업데이트된 캐시 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상에서 출력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119121A 2018-10-05 2018-10-05 Gs1 id를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KR10205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21A KR102054595B1 (ko) 2018-10-05 2018-10-05 Gs1 id를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21A KR102054595B1 (ko) 2018-10-05 2018-10-05 Gs1 id를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595B1 true KR102054595B1 (ko) 2019-12-12

Family

ID=6900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121A KR102054595B1 (ko) 2018-10-05 2018-10-05 Gs1 id를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271B1 (ko) 2020-07-06 2022-01-07 한국과학기술원 Gs1 디지털 링크 및 객체명 서비스를 사용한 웹 기반 서비스 검색 및 표현 방법과 웹 플랫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635A (ko) * 2014-03-20 2015-10-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결제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635A (ko) * 2014-03-20 2015-10-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결제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S1에서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현황, https://www.tta.or.kr/data/reportDown.jsp?news_num=3978, 2014.09.10.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271B1 (ko) 2020-07-06 2022-01-07 한국과학기술원 Gs1 디지털 링크 및 객체명 서비스를 사용한 웹 기반 서비스 검색 및 표현 방법과 웹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 et al. A survey: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Bayani et al. IoT-based library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developing an implementation framework of implementation
US20100013603A1 (en) Wireless ID Managing Apparatus, Wireless ID Managing Method And Wireless ID Recorder
US20150356537A1 (en)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ystem
US20140015646A1 (en) User Grouping Apparatus And User Grouping Method
CN103699999A (zh) 基于wifi智能路由设备的电子商务信息系统及方法
Leong et al. EPC network architecture
US20120246581A1 (en) Mechanisms to share opinions about products
US10187787B2 (en) Beacon device using GS1 cod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3391278A (zh) 终端连接服务器的方法和系统
KR102054595B1 (ko) Gs1 id를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이를 서비스 포인트로서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JP458250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01261631A (zh) 一种用电子标签来访问网站并及时反馈相应信息的技术
Takalo-Mattila et al. Advertising semantically described physical items with Bluetooth Low Energy beacons
JP20142410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70155701A1 (en) Url electronic data output device supporting ptp interaction association system
CN109902523A (zh) 基于二维码的定位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12055080B (zh) 区域数字经济的物联网服务方法、装置和终端
KR100959590B1 (ko) Epc 글로벌 네트워크 상에서 객체의 물류 이력정보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321076A (zh) 无线盘点系统与方法
CN103903036A (zh) 一种大容量、易更新的二维码系统
KR101807399B1 (ko) Gs1 코드를 사용하는 비콘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비콘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JP6331411B2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04280350A (ja) 地域に限定されたサービスを検索して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787522B (zh) 基于Web地图服务的Web要素服务坐标配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