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396B1 - 리피터 및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피터 및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396B1
KR102054396B1 KR1020180129618A KR20180129618A KR102054396B1 KR 102054396 B1 KR102054396 B1 KR 102054396B1 KR 1020180129618 A KR1020180129618 A KR 1020180129618A KR 20180129618 A KR20180129618 A KR 20180129618A KR 102054396 B1 KR102054396 B1 KR 10205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mmunication data
iot device
repeat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진
임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르크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르크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르크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2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리피터가 제공된다. 상기 리피터는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파워와 통신 데이터에서,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통신 데이터를 처리 통신 데이터와, 전달 통신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를 제1 타입의 IoT(internet of thing)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 데이터칩,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파워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파워를 소비 파워와 잉여 파워로 분리하고, 상기 소비 파워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에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잉여 파워를 결합하는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 및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에서 결합된 전달 통신 데이터와 잉여 파워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피터 및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Repeater and Power/Communication Data Transferring System}
본 발명은 리피터 및 파워, 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IoT 장치 및 주변에 중계기로 제공하는 리피터 및 파워, 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IoT 장치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IoT 장치에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는 파워 및 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과거에는 전원선과 통신선을 별도로 연결하여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나, 2000년 초에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공급하는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PoE 기술에서는, 인젝터와 IoT 장치 연결에 있어서, 하나의 IoT 장치 당 하나의 통신 회선만이 적용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수의 IoT 장치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선 각각의 IoT 장치에 대응되는 다수의 통신 회선이 인젝터와 연결되어야 하였고, 이에 따라 설치 비용이 증가되고 설치 조건에 제한사항이 발생하였다.
한편, 소정 거리 이상의 전원 및 통신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출력의 감쇠를 방지할 수 있는 리피터(repeater)가 소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PoE 기술에서는 하나의 IoT 장치 당 하나의 통신 회선만이 적용되므로, 각각의 IoT 장치에 따라 별도의 리피터가 요구되었다. 이는 시스템 구축의 비용 증가 및 시스템 관리의 불편함을 유발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리피터에서 IoT 장치와 주변의 중계기로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리피터 및 파워, 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파워 및 통신 데이터에서 해당 IoT 장치를 위한 파워 및 통신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리피터 및 파워, 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아 특정 IoT 장치를 위한 파워 및 통신 데이터만을 추출하고, 남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인접하는 중계기로 전송하는 리피터 및 파워, 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피터 및 파워, 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피터는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파워와 통신 데이터에서,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통신 데이터를 처리 통신 데이터와, 전달 통신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를 제1 타입의 IoT(internet of thing)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 데이터칩,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파워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파워를 소비 파워와 잉여 파워로 분리하고, 상기 소비 파워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에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잉여 파워를 결합하는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 및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에서 결합된 전달 통신 데이터와 잉여 파워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피터의 전원부는, 상기 소비 파워를 제1 소비 파워와 제2 소비 파워로 분리하는 배전 모듈, 상기 제1 소비 파워를 제공받아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와 상기 통신 데이터칩으로 제공하는 제1 DC/DC 컨버터 및 상기 제2 소비 파워를 제공받아 상기 통신 데이터칩으로 제공하는 제2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피터는 상기 제1 DC/DC 컨버터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로의 제1 소비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피터의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는, 상기 통신 데이터칩으로부터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 중 제1 전달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배전 모듈로부터 상기 잉여 파워 중 제1 잉여 파워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전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제1 잉여 파워를 결합하여 제1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 상기 통신 데이터칩으로부터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 중 제2 전달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배전 모듈로부터 상기 잉여 파워 중 제2 잉여 파워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전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제2 잉여 파워를 결합하여 제2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리피터의 제1 IoT 장치가 직접 연결된 제1 리피터, 상기 제1 리피터와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되, 제2 IoT 장치가 직접 연결된 제2 리피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리피터는,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제1 IoT 장치를 위한 제1 처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제2 IoT 장치를 위한 제2 처리 통신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처리 통신 데이터를 제1 IoT(internet of thing) 장치에 제공하는 제1 통신 데이터칩,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파워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파워를 상기 제1 IoT 장치를 위한 제1 소비 파워와, 상기 제2 IoT 장치를 위한 제2 소비 파워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소비 파워를 제1 IoT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데이터와 상기 제2 소비 파워를 결합하는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 및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에서 결합된 제2 처리 통신 데이터와 제2 소비 파워를 상기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상기 제2 중계기로 제공하는 제1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피터 및 파워, 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하나의 인젝터(INJ)와 다수의 IoT 장치 간의 연결을 간소화 시킴으로 통신 시스템 구축에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통신 회선 간의 간섭으로 인한 통신 장애 및 화재 사고를 예방함으로써 통신 시스템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DC/DC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하나의 회선을 통하여 파워(power)와 통신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송하는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이 적용된 하나 이상의 리피터(repeater)를 제공하며, 인젝터(injector)에서 공급되는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IoT 장치 또는 주변에 중계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oE라 함은 인젝터를 통해 통신 데이터와 전기 에너지를 하나의 회선으로 공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하나의 회선으로 이더넷 통신 회선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local area network) 회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피터는 디지털 통신 시 소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피터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출력 감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리피터로 통신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의 신호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피터로 파워가 전달되는 경우, 전압을 증가시켜 파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리피터에 전달되는 전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IoT 장치는 상기 리피터에 연결되어, 상기 리피터를 통해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전달 받아 동작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CCTV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상기 리피터에 제공되는 파워 및 통신 데이터 중 일부를 상기 리피터와 대응되는 IoT 장치에 제공하고 남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다른 중계기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피터는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파워와 통신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상기 파워 및 상기 통신 데이터 중 일부를 IoT 장치에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리피터는 상기 IoT 장치에 제공된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제외한 남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다시 결합하여 다른 중계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해당 리피터에 대응되는 IoT 장치로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인접한 다른 중계기로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며,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가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은 하나의 통신 회선에 1개의 IoT 장치만 연계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IoT 장치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통신 회선이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IoT 장치가 설치된 거리에 따라 별도의 리피터들이 요구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통신 회선을 인젝터에 연결하여 다수의 IoT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개시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1000)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공급받으며, 상기 공급 받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 중 일부를 IoT 장치와 중계기로 각각 공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리피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피터(100)는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인젝터(INJ)에서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 중 일부를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제공하고, 남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2)를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제2 리피터(2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리피터(200)는 공급받은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2) 중 일부를 제2 타입의 IoT 장치(I2)에 제공하고, 남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3)를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제3 리피터(2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3 리피터(300)는 공급받은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3) 중 일부를 제3 타입의 IoT 장치(I3)에 제공하고, 남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4)를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제4 리피터(4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4 리피터(400)는 공급받은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4) 중 일부를 제4 타입의 IoT 장치(I4)에 제공하고, 남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5)를 제5 타입의 IoT 장치(I5)에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리피터(100)는 단일 통신 회선을 통해 수신된 상기 파워와 상기 통신 데이터 중 일부를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피터(100)는 남은 상기 파워와 상기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제2 리피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하여 리피터(100)가 제1 타입의 IoT 장치(I1) 및 제2 리피터(200)로 상기 파워 및 상기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100)는 수신부(110),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 통신 데이터칩(130), 전원부(140),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 및 출력부(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10)는 인젝터 또는 인접한 다른 수신부와 단일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 또는 상기 인접한 다른 수신부가 제공하는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젝터는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공급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상기 파워(P)를 전송하는 전송 신호의 진폭 또는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파워(P)와 상기 통신 데이터(C)를 결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회선은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일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는 상기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파워 및 통신 에너지(PC1)를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는 결합된 상태의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를 상기 파워(P)와 상기 통신 데이터(C)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는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의 파형을 정류하여 상기 파워(P)에 결합된 상기 통신 데이터(C)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로부터 분리된 통신 데이터(C)를 제공받고, 상기 통신 데이터(C) 중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통신 데이터(C) 중 제1 타입의 IoT 장치(I1)와 대응하는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타입의 IoT 장치(I1)는 상기 리피터(100)와 직접 연결되는 장치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리피터(100)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상기 IoT 장치는, 제2 타입의 IoT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인젝터(INJ)와 연결된 상기 제1 리피터(1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1 리피터(100)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1 IoT 장치(I1)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IoT 장치(I2), 제3 IoT 장치(I3),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는 상기 제2 타입의 IoT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피터(2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2 리피터(200)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2 IoT 장치(I2)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IoT 장치(I3),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는 상기 제2 타입의 IoT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제3 리피터(3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3 리피터(300)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3 IoT 장치(I3)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는 상기 제2 타입의 IoT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피터(4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4 리피터(400)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4 IoT 장치(I4)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IoT 장치(I5)는 상기 제2 타입의 IoT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와 대응하는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로 제공되는 신호를 처리 통신 데이터(C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데이터(C) 중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C1)에 해당하지 않는 데이터를 전달 통신 데이터(C2)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는 상기 통신 데이터(C) 중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C1)를 제외한 나머지 통신 데이터들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인젝터(INJ)와 연결된 상기 제1 리피터(1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1 IoT 장치(I1)에 제공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C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IoT 장치(I2), 제3 IoT 장치(I3),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에 제공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피터(2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2 IoT 장치(I2)에 제공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C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IoT 장치(I3),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에 제공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3 리피터(3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3 IoT 장치(I3)에 제공되는 총신 데이터를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C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에 제공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피터(4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4 IoT 장치(I4)에 제공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C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IoT 장치(I5)에 제공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로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로부터 분리된 파워(P)를 제공받고, 상기 파워(P)를 분전(分電)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부(140)은 상기 파워(P)를 분전하여 소정의 파워를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공급하는 파워를 소비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로부터 공급받은 파워(P) 중 상기 소비 파워(P1)를 제외한 파워를 잉여 파워(P2)로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원부(140)은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로부터 제공받은 파워(P)를 상기 소비 파워(P1)과 상기 잉여 파워(P2)로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소비 파워(P1)를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인젝터(INJ)와 연결된 상기 제1 리피터(1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1 IoT 장치(I1)에 제공되는 파워를 상기 소비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IoT 장치(I2), 제3 IoT 장치(I3),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에 제공되는 파워를 상기 잉여 파워(P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피터(2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2 IoT 장치(I2)에 제공되는 파워를 상기 소비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IoT 장치(I3),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에 제공되는 파워를 상기 잉여 파워(P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3 리피터(3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3 IoT 장치(I3)에 제공되는 파워를 상기 소비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IoT 장치(I4) 및 제5 IoT 장치(I5)에 제공되는 파워를 상기 잉여 파워(P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피터(400)를 기준으로 정의할 경우, 상기 제4 IoT 장치(I4)에 제공되는 파워를 상기 소비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IoT 장치(I5)에 제공되는 파워를 상기 잉여파워(P2)로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잉여 파워(P2) 중 소정의 파워를 분전하고, 상기 분전된 파워를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에 공급되는 소정의 파워를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는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와 상기 잉여 파워(P2)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는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으로부터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상기 잉여 파워(P2)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는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와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잉여 파워(P2)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는 상기 잉여 파워(P2)의 진폭 혹은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부(160)는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에서 결합한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PC2)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부(160)는 상기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PC2)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중계기, 예를 들어 제2 리피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리피터(100)는 단일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제공받은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를 분류하여 상기 파워(P) 및 상기 통신 데이터(C)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파워(P)는 소비 파워(P1) 및 잉여 파워(P2)로, 상기 통신 데이터(C)는 처리 통신 데이터(C1) 및 전달 통신 데이터(C2)로 분리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C1)과 상기 소비 파워(P1)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피터(100)는 상기 잉여 파워(P2)와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를 결합하여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를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DC/DC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140)는 배전 모듈(141), 제1 DC/DC 컨버터(143) 및 제2 DC/DC 컨버터(145)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전 모듈(141)은 상기 파워(C)에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2개의 파워를 분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전 모듈(141)은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파워(C)에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1 파워 및 제2 파워를 분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파워를 제1 컨버터 공급 파워(Pa)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 파워를 제2 컨버터 공급 파워(Pb)로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워(C) 중 상기 제1 컨버터 공급 파워(Pa) 및 상기 제2 컨버터 공급 파워(Pb)를 제외한 파워를 잉여 파워(P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는 상기 배전 모듈(141)로부터 제1 컨버터 공급 파워(Pa)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1 컨버터 공급 파워(Pa) 중 일부의 파워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 및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제공되는 소정의 파워를 소비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에 제공되는 소정의 파워를 제1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는 분전 모듈(143a), 차단 모듈(143b) 및 출력 단자 (143c)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분전 모듈(143a)은 상기 제1 컨버터 공급 파워(Pa)를 분전하여 상기 소비 파워(P1)와 상기 제1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모듈(143b)은 상기 소비 파워(P1)에 허용 전력 이상의 과전력이 유입되면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와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허용 전력은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가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공급될 수 있는 파워의 한계치로,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가 정상적으로 작동 될 때,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제공하는 파워를 기준으로 선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허용 전력은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에 제공하는 파워의 110%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 모듈(143b)은 퓨즈, 과전류 보호(Overcurrent Protection) 회로, 단락 보호(short circuit protection)회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자(143c)는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I1)를 향해 상기 소비 파워(P1)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는 상기 배전 모듈(141)로부터 제2 컨버터 공급 파워(Pb)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2 컨버터 공급 파워(Pb)를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에 제공되는 파워를 제2 데이터칩 공급 파워(Pb')로 정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 및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파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데이터칩 공급 파워(P1')와 상기 제2 데이터칩 공급 파워(Pb')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와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를 통해 양 방향으로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와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 중 어느 하나의 컨버터가 작동하지 않아도 다른 컨버터를 통해 안정적으로 파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칩 공급 파워(Pb')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와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 중 어느 하나의 컨버터에서만 파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를 제공받는 제1 공급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칩 공급 파워(Pb’)를 제공받는 제2 공급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이 상기 제1 공급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는 전기적으로 비 연결되며,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이 상기 제2 공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가 전기적으로 비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이 제1 공급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제1 DC/DC 컨버터(143)가 손상되어 제1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제2 공급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전원부(14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배전 모듈(141)이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로 제2 컨버터 공급 파워(Pb)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칩 공급 파워(Pb’)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를 공급받으며, 상기 제1 DC/DC 컨버터(143)가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DC/DC 컨버터(145)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칩 공급 파워(Pb')를 공급받는게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100)는 IoT 제품에 파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제1 DC/DC 컨버터(143)에 과전류가 유도되어 전달 통신 데이터(C2)의 전송이 중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리피터(100)들이 연결되었을 때, 하나의 리피터가 고장이 발생하여도 뒤에 연결된 다른 리피터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의 실시 예와는 다르게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C2)를 제1 전달 통신 데이터(C2-1), 제2 전달 통신 데이터(C2-2) 및 제3 전달 통신 데이터(C2-3)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배전 모듈(141)은 상기 잉여 파워(P2)를 제1 잉여 파워(P2-1), 제2 잉여 파워(P2-2) 및 제3 잉여 파워(P2-3)로 분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잉여 파워(P2-1), 제2 잉여 파워(P2-2) 및 제3 잉여 파워(P2-3)의 전력은 같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는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1),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2) 및 제3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60)는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출력부(160-1), 상기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출력부(160-2) 및 상기 제3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출력부(16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1)는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으로부터 상기 제1 전달 통신 데이터(C2-1)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배전 모듈(141)로부터 상기 제1 잉여 파워(P2-1)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1)는 상기 제1 전달 통신 데이터(C2-1)와 상기 제1 잉여 파워(P2-1)를 결합하여 상기 제1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PC2-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2)는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으로부터 상기 제2 전달 통신 데이터(C2-2)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배전 모듈(141)로부터 상기 제2 잉여 파워(P2-2)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2)는 상기 제2 전달 통신 데이터(C2-2)와 상기 제2 잉여 파워(P2-2)를 결합하여 상기 제2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PC2-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3)는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으로부터 상기 제3 전달 통신 데이터(C2-3)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배전 모듈(141)로부터 제3 잉여 파워(P2-3)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3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3)는 상기 제3 전달 통신 데이터(C2-2)와 상기 제3 잉여 파워(P2-3)를 결합하여 상기 제3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PC2-3)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부(160-1)은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1)에서 결합한 상기 제1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PC2-1)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부(160-2)은 상기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2)에서 결합한 상기 제2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PC2-2)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출력부(160-3)은 상기 제3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3)에서 결합한 상기 제3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PC2-3)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100)는 복수의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1, 150-2, 150-3) 및 복수의 출력부(160-1, 160-2, 160-3)를 제공하여, 하나의 리피터(100)에서 다수의 IoT 장치들을 대상으로 잉여 파워 및 전달 통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실시 예에 따른 리피터(100)는 하나의 리피터(100)에서 복수의 중계기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의 IoT 장치들이 설치되는데 필요한 리피터의 숫자를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1000)은 제1 IoT 장치(I1)가 직접 연결된 제1 리피터(100) 및 제2 IoT 장치(I2)가 직접 연결된 제2 리피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피터(100)는 제1 수신부(110),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 제1 통신 데이터칩(130), 제1 전원부(140),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 및 제1 출력부(160)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부(110)는 단일 통신 회선을 통하여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부(110)는 인젝터 또는 인접한 다른 수신부와 단일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 또는 상기 인접한 다른 수신부가 제공하는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는 상기 제1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파워 및 통신 에너지(PC1)를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는 결합된 상태의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를 파워(P) 및 통신 데이터(C)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로부터 분리된 상기 통신 데이터(C)를 제공받고, 상기 통신 데이터(C) 중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처리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통신 데이터(C)에서 상기 제1 IoT 장치(I1)를 위한 제1 처리 통신 데이터(C1)와 상기 제2 IoT 장치(I2)를 위한 제2 처리 통신 데이터(C2)로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통신 데이터칩(130)은 상기 제1 처리 통신 데이터(C1)를 상기 제1 IoT 장치(I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부(140)는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120)로부터 분리된 상기 파워(P)를 제공받고, 상기 파워(P)를 분전(分電)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원부(140)은 상기 제1 IoT 장치(I1)를 위한 제1 소비 파워(P1)와 상기 제2 IoT 장치(I2)를 위한 제2 소비 파워(P2)로 분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전원부(140)는 상기 제1 소비 파워(P1)을 상기 제1 IoT 장치(I1)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원부(140)는 상기 제2 소비 파워(P2) 중 소정의 파워를 분전하고, 상기 소정의 파워를 상기 제1 통신 데이터칩(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 데이터칩(130)에 공급되는 소정의 파워를 데이터칩 공급 파워(P1')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는 상기 제2 처리 통신 데이터(C2)와 상기 제2 소비 파워(P2)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는 상기 제1 통신 데이터칩(130)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2 처리 통신 데이터(C2)와 상기 제1 전원부(14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2 소비 파워(P2)를 결합하여 제2 소비 파워 및 제2 처리 통신 데이터(PC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부(160)는 상기 제2 소비 파워 및 제2 처리 통신 데이터(PC2)를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상기 제2 리피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피터(200)는 제2 IoT 장치(I2)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1 리피터(100)와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신부(210), 제2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220), 제2 통신 데이터칩(230), 제2 전원부(240),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250) 및 제2 출력부(260)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신부(210)는 상기 제1 리피터(100)로부터 상기 제2 소비 파워 및 제2 처리 통신 데이터(PC2)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220)는 상기 제2 소비 파워 및 제2 처리 통신 데이터(PC2)에서 상기 제2 소비 파워(P)와 상기 제2 처리 통신 데이터(C2)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데이터칩(230)은 상기 제2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22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2 처리 통신 데이터(C2)를 제공받고, 상기 제2 처리 통신 데이터(C2)에서 상기 제2 IoT 장치(I2)를 위한 통신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제2 IoT 장치(I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부(240)는 상기 제2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220)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2 소비 파워(P2)를 제공받고, 상기 제2 소비 파워(P2)에서 상기 제2 IoT 장치(I2)를 파워를 분류하여, 상기 제2 IoT 장치(I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250) 및 제2 출력부(260)는 상술한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150) 및 제1 출력부(160)와 대응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에 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통신 데이터칩(230)은 제3 IoT 장치를 위한 제3 통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원부(240)는 상기 제3 IoT 장치를 위한 제3 소비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1000)은 상기 제1 리피터(100)를 통해 전송된 파워 및 통신 데이터(PC1) 중 상기 제1 IoT 장치(I1)를 위한 상기 제1 처리 통신 데이터(C1) 및 상기 제1 소비 파워(P1)을 분리하여 상기 제1 IoT 장치(I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처리 통신 데이터(C2) 및 상기 제2 소비 파워(P2)를 결합하여 제2 리피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피터(200)는 상기 제2 소비 파워 및 상기 제2 처리 통신 데이터(PC2)를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제2 IoT 장치(I2)에 상기 제2 소비 파워(P2) 및 상기 제2 처리 통신 데이터(C2)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1000)은 하나의 리피터에서 공급받은 파워 및 통신 데이터를 다수의 리피터에 전달할 수 있으며, 각각의 리피터는 상기 파워 및 통신 데이터에서 상기 리피터에 연결된 IoT 장치에 해당되는 소비 파워 및 처리 통신 데이터를 분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1000)은 하나의 인젝터(INJ)와 다수의 IoT 장치 간의 연결을 간소화 시킴으로 통신 시스템 구축에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통신 회선 간의 간섭으로 인한 통신 장애 및 화재 사고를 예방함으로써 통신 시스템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원부(140, 240)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리피터와 IoT 장치가 별개인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IoT 장치는 리피터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리피터는, IoT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리피터
110: 수신부
120: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
130: 통신 데이터칩
140: 전원부
141: 배전 모듈
143: 제1 DC/DC 컨버터
145: 제2 DC/DC 컨버터
150: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
160: 출력부
200: 제2 리피터
1000: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Claims (5)

  1.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파워와 통신 데이터에서,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통신 데이터를, 제1 타입의 IoT(internet of thing)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 테이터인 처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를 제외한 전달 통신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처리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 데이터칩;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파워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파워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에 공급하는 소비 파워와, 상기 소비 파워를 제외한 잉여 파워로 분리하고, 상기 소비 파워를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에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잉여 파워를 결합하는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 및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에서 결합된 전달 통신 데이터와 잉여 파워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중계기로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리피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소비 파워를 제1 소비 파워와 제2 소비 파워로 분리하는 배전 모듈;
    상기 제1 소비 파워를 제공받아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와 상기 통신 데이터칩으로 제공하는 제1 DC/DC 컨버터; 및
    상기 제2 소비 파워를 제공받아 상기 통신 데이터칩으로 제공하는 제2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리피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DC 컨버터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타입의 IoT 장치로의 제1 소비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 모듈을 포함하는, 리피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는,
    상기 통신 데이터칩으로부터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 중 제1 전달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배전 모듈로부터 상기 잉여 파워 중 제1 잉여 파워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전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제1 잉여 파워를 결합하여 제1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
    상기 통신 데이터칩으로부터 상기 전달 통신 데이터 중 제2 전달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배전 모듈로부터 상기 잉여 파워 중 제2 잉여 파워를 제공받아, 상기 제2 전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제2 잉여 파워를 결합하여 제2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2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를 포함하는, 리피터.
  5. 제1 IoT 장치가 직접 연결된 제1 리피터;
    상기 제1 리피터와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되, 제2 IoT 장치가 직접 연결된 제2 리피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리피터는,
    파워와 통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통신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통신 데이터를 상기 제1 IoT 장치를 위한 제1 처리 통신 데이터와, 상기 제2 IoT 장치를 위한 제2 처리 통신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처리 통신 데이터를 제1 IoT(internet of thing) 장치에 제공하는 제1 통신 데이터칩;
    상기 제1 파워/통신 데이터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파워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파워를 상기 제1 IoT 장치를 위한 제1 소비 파워와, 상기 제2 IoT 장치를 위한 제2 소비 파워로 분류하고, 상기 제1 소비 파워를 제1 IoT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전원부;
    상기 제2 IoT 장치를 위한 제2 통신 데이터와 상기 제2 소비 파워를 결합하는 제1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 및
    상기 파워/통신 데이터 결합부에서 결합된 제2 처리 통신 데이터와 제2 소비 파워를 상기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상기 단일 이더넷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된 제2 중계기로 제공하는 제1 출력부를 포함하는,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180129618A 2018-10-29 2018-10-29 리피터 및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5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18A KR102054396B1 (ko) 2018-10-29 2018-10-29 리피터 및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18A KR102054396B1 (ko) 2018-10-29 2018-10-29 리피터 및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396B1 true KR102054396B1 (ko) 2019-12-10

Family

ID=6900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618A KR102054396B1 (ko) 2018-10-29 2018-10-29 리피터 및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803B1 (ko) * 2022-08-26 2023-07-20 심규열 PoE 양방향 인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양방향 전원/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378A (ko) * 2011-05-02 2013-10-02 주식회사 나르크테크놀로지 홈 네트워크에서의 전원 송수신 회로장치
KR20150051955A (ko) * 2015-04-16 2015-05-13 (주)네트 통합모듈 배선함, 멀티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용 cctv 시스템
KR20150076481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이투엠테크놀로지 PoE 기반의 LED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80107409A (ko) * 2017-03-20 2018-10-02 성창 주식회사 원격 모니터링 및 이더넷 제어 기능을 갖는 직류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378A (ko) * 2011-05-02 2013-10-02 주식회사 나르크테크놀로지 홈 네트워크에서의 전원 송수신 회로장치
KR20150076481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이투엠테크놀로지 PoE 기반의 LED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50051955A (ko) * 2015-04-16 2015-05-13 (주)네트 통합모듈 배선함, 멀티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용 cctv 시스템
KR20180107409A (ko) * 2017-03-20 2018-10-02 성창 주식회사 원격 모니터링 및 이더넷 제어 기능을 갖는 직류전원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803B1 (ko) * 2022-08-26 2023-07-20 심규열 PoE 양방향 인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양방향 전원/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8874B1 (en) Power distribution to nodes in a distributed system
US6909943B2 (en) System for power delivery over data communication cabling infrastructure
EP1578056A1 (en) Supplying power remotely to multiple devices
EP2066046B1 (en) Failsafe optical splitter and method to isolate faults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US20090031152A1 (en) Method for starting up at least one field device
US7898108B2 (en) Smart power switch for broadband communications network
US7305187B2 (e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US9306755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KR102054396B1 (ko) 리피터 및 파워/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US7592717B2 (en) Power mains data transfer system
JP5441300B2 (ja) 終端装置
KR102557803B1 (ko) PoE 양방향 인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양방향 전원/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WO2018225414A1 (ja) Pon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20230038830A (ko) 중계기 및 그를 이용한 전원/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JP6101623B2 (ja) 光伝送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ー装置
KR20240015298A (ko) 전원/통신 데이터 머징 인터페이스, 중계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전원/통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1229679B1 (ko) 복합 신호 중계 장치
KR200475262Y1 (ko) 광 네트워크 기반 광 우회 시스템
CN102377624A (zh) 用于将电子装置连接在以太网通讯网络上的插接连接模块
US11994728B2 (en) Junction device, and undersea cable system
JP2013074319A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中継装置
CN108429622B (zh) 一种反向供电方法和装置
KR200326673Y1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KR101254414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전원 전달 장치
JPH01208921A (ja) 光ファイバ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