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333B1 -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333B1
KR102054333B1 KR1020180057897A KR20180057897A KR102054333B1 KR 102054333 B1 KR102054333 B1 KR 102054333B1 KR 1020180057897 A KR1020180057897 A KR 1020180057897A KR 20180057897 A KR20180057897 A KR 20180057897A KR 102054333 B1 KR102054333 B1 KR 10205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air
transformer
hol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846A (ko
Inventor
임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3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 H01F27/125Cooling by synthetic insulating and incombustible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01F2027/404Protective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filled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공기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상변압기(Pole Transformer)에 적용되는 공기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는 변압기의 일부에 연결되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흡입부; 상기 습기 흡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의 내부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공기 유출입 조절부; 및 상기 습기 흡입부 또는 공기 유출입 조절부의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압기의 내부 압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동작하여 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Air Control Device fo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 공기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상변압기(Pole Transformer)에 적용되는 공기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에는 내부에 절연 및 냉각을 위하여 절연유가 충전된다. 이러한 절연유는 온도에 따라 밀도가 변화하는 특성이 있어서 내부 압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변압기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여름과 같이 주변 기온이 상승하는 때에는 절연유의 유면이 상승하여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키고, 변압기의 부하가 감소하거나 겨울철과 같이 주변 기온이 하강하는 때에는 절연유의 유면이 하강하여 변압기 내부의 압력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변압기 내부의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변압기에는 방압밸브나 압력 조절장치 또는 방압장치 등이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변압기 중에서 특히 주상 변압기는 고공에 설치되므로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도 1에 방압 밸브가 설치된 주상 변압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주상 변압기(2)는 전신주(Power Pole)(1)에 설치된다. 주상 변압기(2)의 일부에는 내부 압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방압 밸브(3)가 구비된다. 방압 밸브(3)는 주상 변압기(2)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개방되어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한편, 방압 밸브(3)가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방압 밸브(3)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고리(4)가 마련된다. 작업자는 고리(4)를 당겨서 방압 밸브(3)를 강제로 열어 주상 변압기(2)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고장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내부 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이러한 방압 밸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거나, 멀리서 잘 알아볼 수 있는 표시부가 없다. 따라서, 주상 변압기(2)와 같이 고공에 설치되는 방압 밸브(3)의 경우 변압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웠다.
한편,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는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 열화 현상이 증대된다. 따라서, 변압기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의 건조성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즉, 변압기에서는 내부 압력을 적정히 유지하고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공기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변압기 내부 공기의 압력 및 건조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는 변압기의 일부에 연결되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흡입부; 상기 습기 흡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의 내부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공기 유출입 조절부; 및 상기 습기 흡입부 또는 공기 유출입 조절부의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압기의 내부 압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동작하여 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습기 흡입부는, 원통 형태의 제1 몸체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통로관이 구비되는 상부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의 내부에 저장되는 흡습재; 상기 제1 몸체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습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기 흡입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하면부가 개방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부가 개방되는 절연유 저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재에는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절연유 저장부재가 결합되는 제2 장착부 사이에 제1 통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출입 조절부는, 일단부가 상기 습기 흡입부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재;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앙홀이 형성되는 격판; 상기 격판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앙홀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방출판; 상기 커버부재와 방출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방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일부에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일부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또한, 상기 제2 몸체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해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방출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출판에는 상기 중앙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홀 및 끼움부는 접촉면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재 또는 제2 몸체부재에는 표시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 홀에는 내부 압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하는 표시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부재 또는 제2 몸체부재에는 흡기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기부 홀에는 상기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 내부로 돌출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에 의하면 습기 흡입부가 마련되어 변압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건조하게 관리된다.
또한, 공기 유출입 조절부가 마련되어 변압기 내부 압력이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공기를 배출하여 내부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출입 조절부의 일측에는 흡기부가 마련되어 변압기 내부 압력이 낮아질 경우에는 외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출입 조절부 또는 습기 흡입부의 일부에는 표시부가 마련되어 내부 압력이 고압인 상태에서 고장이 나는 경우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방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상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주요 부분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공기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공기조절장치의 정상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변압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공기조절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변압기 내부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공기조절장치의 고장 상태를 나타낸다. 내부 압력 증가시 표시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공기조절장치의 흡기부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변압기 내부의 공기가 감소하는 경우 흡기부가 개방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상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서 공기 유출입 조절부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는 변압기(10)의 일부에 연결되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A)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흡입부(20); 상기 습기 흡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10)의 내부 압력(P)이 높은 경우 상기 공기(A)를 배출하도록 하는 공기 유출입 조절부(60); 및 상기 습기 흡입부(20) 또는 공기 유출입 조절부(60)의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압기(10)의 내부 압력(P)이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동작하여 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압기(10)는 통상의 변압기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변압기로는 전주(power pole)에 설치되는 주상 변압기일 수 있다.
변압기(10)의 내부에는 절연 및 냉각을 위하여 절연유(11)가 충전된다. 절연유(11)는 변압기(10)의 내부에 일부분 채워지고, 절연유(11)의 상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때, 변압기(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압력을 변압기 내부의 압력, 약칭하여 내부 압력(P)이라고 하기로 한다.
습기 흡입부(20)는 변압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A)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습기 흡입부(20)와 변압기(10) 사이에 공기(A)의 통로가 되는 연결관(15)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관(15)은 적절하게 벤딩 형성된다.
습기 흡입부(20)는 제1 몸체부재(21), 상부부재(30), 지지부재(40), 하부부재(45), 절연유 저장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몸체부재(21)는 관재(pipe member)로 구성된다. 제1 몸체부재(21)는 실린더와 같은 원통형 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21)의 상부는 개방된다.
제1 몸체부재(21)의 일부, 예를 들어 중간부 또는 하부에는 흡입부(22)가 마련된다. 흡입부(22)는 일례로 돌출하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부(22)를 관통하는 제1 통기홀(23)이 형성된다. 공기는 제1 통기홀(23)을 통해 외부로부터 습기 흡입부(20)를 거쳐 변압기(10)로 유입된다.
제1 몸체부재(21)에는 장착부(24,25)가 마련된다. 장착부(24,25)는 단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24,25)는 제1 몸체부재(2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단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착부(24)는 흡입부(22)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2 장착부(25)은 흡입부(2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부재(30)가 제1 몸체부재(21)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부부재(30)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부재(30)는 제1 몸체부재(21)의 커버 역할을 한다. 상부부재(30)의 상부에는 연결관(15)이 결합된다.
상부부재(30)의 중앙부에는 공기통로관(31)이 구비된다. 공기통로관(31)은 연결관(15)에 연통되어 공기(A)의 이동통로가 된다. 공기통로관(31)에는 다수개의 제2 통기홀(32)이 형성된다. 제2 통기홀(32)을 통해 공기는 공기통로관(31)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한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21)의 내부에는 흡습재(35)가 채원진다. 흡습재(35)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여 건조한 공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흡습재(35)로는 실리카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40)가 마련된다. 지지부재(40)는 흡습재(35)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습재(35)를 지지한다. 지지부재(40)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40)는 하부부재(45)에 얹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40)에는 복수 개의 제3 통기홀(41)이 형성된다.
하부부재(45)가 지지부재(4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부재(45)는 상단부 플랜지가 형성된 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부재(45)의 하면은 개방된다. 공기는 하부부재(45)의 하면 개방부(미부호)를 통해 흐를 수 있다.
하부부재(45)는 제1 몸체부재(21)의 제1 장착부(24)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부재(45)는 제1 몸체부재(21)의 제1 장착부(24)에 얹힌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방법으로는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한 나사 결합이나 용접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하부부재(45)의 하단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통기홈(46)이 형성된다. 제1 통기홈(46)은 하부부재(45) 하단부의 원주면을 따라 요철 형태 또는 물결 무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유 저장부재(50)가 하부부재(45)의 아래에 배치된다. 절연유 저장부재(50)는 상단 플랜지가 형성된 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유 저장부재(50)는 제1 몸체부재(21)의 제2 장착부(25)에 결합될 수 있다. 절연유 저장부재(50)는 제1 몸체부재(21)의 제2 장착부(25)에 얹힌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방법으로는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한 나사 결합이나 용접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절연유 저장부재(50)의 일부는 하부부재(45)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유 저장부재(50)의 직경은 하부부재(4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절연유 저장부재(50)가 하부부재(45)를 소정 거리 이격한채 감싸듯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통기홀(23)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하부부재(45)와 절연유 저장부재(50)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강한 후 하부부재(45)의 하면 개방부를 통해 하부부재(45)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된다.
절연유 저장부재(50)에는 절연유가 일부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절연유는 하부부재(45)의 하단부에 이르거나 근접하는 높이로 채워질 수 있다. 공기는 절연유와 제1 통기홈(46) 사이로 흐를 수 있다.
공기는 제1 통기홀(23), 절연유 저장부재(50)의 내부, 제1 통기홈(46), 하부부재(45)의 내부, 제3 통기홀(41), 흡습재(35), 제2 통기홀(32), 공기통로관(31), 연결관(15)을 거쳐 변압기(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변압기(10) 내부의 공기가 습기 흡입부(20)의 외부로 빠져나갈 때는 이와 반대 경로를 거치게 된다.
공기 유출입 조절부(60)는 제2 몸체부재(61), 커버부재(70), 방출판(75), 표시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몸체부재(61)는 습기 흡입부(20)의 일부에 결합된다. 제2 몸체부재(61)는 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61)는 원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61)의 일단부(62)는 상기 습기 흡입부(20)에 결합된다. 제2 몸체부재(61)의 일단부(62)에는 결합부(63)가 마련된다. 제2 몸체부재(61)의 결합부(63)는 제1 몸체부재(21)의 흡입부(22)에 결합된다. 일례로, 제2 몸체부재(61)의 결합부(63)는 제1 몸체부재(21)의 흡입부(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몸체부재(61)의 결합부(63)의 외주면과 제1 몸체부재(21)의 흡입부(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몸체부재(61)의 타단부(64)는 개방된다. 제2 몸체부재(61)의 타단부(64)에는 커버부재(70)가 결합된다.
제2 몸체부재(61)의 중간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격판(66)이 형성된다. 격판(66)에는 중앙홀(67)이 형성된다. 공기는 중앙홀(67)을 통과하여 이동한다. 격판(66)에서 중앙홀(67)이 형성되는 부분의 벽면은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홀(67) 벽면의 쐐기 형태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61)의 내부는 격판(66)을 기준으로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격판(66)과 일단부(62) 사이의 공간을 제1 공간(S1)이라고 하고, 격판(66)과 타단부(64) 사이의 공간을 제2 공간(S2)이라고 하기로 한다.
제2 몸체부재(61)에는 격판(66)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스토퍼(68)가 마련된다. 스토퍼(68)는 제2 몸체부재(61)의 내주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68)는 방출판(75)의 이동 한계를 정하고, 방출판(75)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커버부재(70)가 제2 몸체부재(61)의 타단부(64)에 구비된다. 커버부재(70)는 제2 몸체부재(61)의 타단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부재(70)는 캡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70)의 일부에는 걸림부(71)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71)는 제2 몸체부재(61)의 일부에 형성되는 걸림홀(65)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커버부재(70)는 제2 몸체부재(61)의 외측(도면상 좌측)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여기서, 걸림부(71) 주변 부분은 탄성력이 있는 소재나 재질로 마련된다.
커버부재(70)의 직경은 제2 몸체부재(61)의 타단부(6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70)와 제2 몸체부재(61)의 타단부 사이에는 통기부(69)가 형성된다. 공기는 통기부(69)를 통해 제2 몸체부재(61)의 내부로 유출입된다.
방출판(75)이 격판(66)의 일측에 마련된다. 방출판(75)은 제2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방출판(75)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출판(75)의 일측면에는 상기 중앙홀(67)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76)가 돌출 형성된다. 끼움부(76)는 중앙홀(67)에 대향하는 형태의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및 이탈이 매끄럽게 일어난다.
방출판(75)의 외주면을 따라 제2 통기홈(77)이 복수 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방출판(75)은 기어(ge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61) 내에서 공기는 제2 통기홈(77)을 통해 흐른다. 즉, 공기는 제1 공간(S1)에서 제2 통기홈(77)을 통해 제2 공간(S2)으로 흐를 수 있고, 제2 공간(S2)에서 제2 통기홈(77)을 통해 제1 공간(S1)으로 흐를 수 있다. 제2 통기홈(77)의 길이(깊이)는 상기 격판(66)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방출판(75)이 격판(66)에 밀착하는 경우에는 제2 통기홈(77)이 격판(66)에 의해 닫히므로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 사이에 공기가 흐르지 않는다.
방출판(75)이 격판(66) 방향으로 이동하여 (예를 들면, 내부 압력(P)이 대기압보다 떨어지는 경우) 끼움부(76)가 중앙홀(67)에 밀착되는 경우,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 사이로 공기가 이동하지 못한다.
방출판(75)이 격판(66)으로부터 분리되어 외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예를 들면, 내부 압력(P)이 대기압보다 증가하는 경우) 끼움부(76)가 중앙홀(67)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 사이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79)가 커버부재(70)와 방출판(75) 사이에 마련된다. 탄성부재(79)는 방출판(75)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정상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격판(66)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2 몸체부재(61)의 일부, 예를 들어 걸림홀(65)의 일부에는 해제 부재(72)가 마련된다. 해제 부재(72)는 걸림홀(65)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해제 부재(72)는 걸림부(71)에 접촉한다. 해제 부재(72)를 누르는 경우 걸림부(71)는 걸림홀(65)로부터 이탈하여 구속이 해제되므로, 커버부재(70)는 탄성부재(79)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고 방출판(75)은 격판(66)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4 참조)
표시부(80)는 공기 조절 장치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표시부(80)는 제1 몸체부재(21) 또는 제2 몸체부재(61)의 일부에 마련된다. 도면에는 제2 몸체부재(61)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2 몸체부재(61)의 일단부(62)와 격판(66) 사이에 표시부 홀(85)이 형성된다.
표시부 홀(85)에는 표시 버튼(81)이 마련된다. 내부 압력(P)이 증대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방출판(75)이 격판(66)에 밀착한 채로 방출판(75)이나 탄성부재(80)의 작동이 고장나는 경우, 제2 몸체부재(61) 내부의 제1 공간(S1)의 압력이 고압으로 형성되므로 표시 버튼(81)은 상방으로 돌출하여 고압 상태 및 고장 상태를 외부에 알리게 된다. 표시 버튼(81)에는 제1 스프링(8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 참조)
표시 버튼(81)은 육안으로 인식되기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버튼(81)은 밝은 색 또는 형광색으로 칠해질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버튼(81)은 돌출되었을 때 빛을 내거나 깜박일 수 있도록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 또는 제2 몸체부재에는 상기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 외부 공기(외기)가 몸체부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흡기부(90)가 마련된다.
일례로, 제2 몸체부재(61)의 일단부(62)와 격판(66) 사이에 흡기부 홀(95)이 형성된다.
흡기부(90)에는 흡기 밸브(91)가 구비된다. 내부 압력(P)이 감소하는 경우, 제2 몸체부재(61) 내부의 제1 공간(S1)의 압력이 저압으로 형성되므로 흡기 밸브(91)는 내부로 돌출하여 외기가 제1 공간(S1)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흡기 밸브(91)에는 제2 스프링(9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절장치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작용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와 같은 방출판(75)이 격판(66)에 밀착하여 닫힌 상태에서 변압기(10)의 내부 압력(P)이 증대하면 제1 공간(S1)의 압력도 마찬가지로 증가하게 된다. 이때, 제1 공간(S1)의 압력(내부 압력(P)과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이 탄성부재(79)에 의해 설정된 압력(설정값)보다 증가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설정 압력은 대기압보다 고압으로 정해질 것이다), 탄성부재(79)의 힘을 이기고 방출판(75)을 밀어내게 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제1 공간(S1)의 공기가 제2 공간(S2)을 거쳐 외부로 빠져나가고, 변압기(10)의 내부 압력(P)은 감소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해제 부재(72)의 작동에 의해 수동으로 (강제로) 방출판(75)이 분리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작업자가 해제 부재(72)를 눌러 걸림부(71)의 구속을 해제하면 커버부재(70)는 제2 몸체부재(61)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방출판(75)은 격판(66)으로부터 분리된다. 공기는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1) 사이로 흐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5는 공기조절장치의 고장 상태를 나타낸다. 내부 압력 증가시 표시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방출판(75)이 격판(66)에 밀착한 채로 방출판(75)이나 탄성부재(80)의 작동이 고장나는 경우, 내부 압력(P)이 증대하면 제1 공간(S1)의 압력도 고압으로 형성되므로 표시 버튼(81)은 밀려나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고압 상태 및 고장 상태를 외부에 알리게 된다. 작업자는 육안으로 용이하게 공기조절장치의 고장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공기조절장치의 흡기부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변압기의 내부 압력(P)이 대기압보다 감소하는 경우 제1 공간(S1)의 압력도 감소하므로 흡기 밸브(91)는 내부로 당겨져 올라가고 흡기부 홀(95)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외기가 제1 공간(S1)으로 유입되어 변압기(10)의 내부로 흘러들어간다.
이러한 모든 작용에 있어서 제1 공간(S1)과 변압기(10) 사이에 흐르는 공기는 습기 흡입부(20)에 의해 건조한 공기로 전환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와 같은 공기 유출입 조절부(60)가 습기 흡입부(20)와 연결관(15)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변압기 11 절연유
15 연결관 20 습기 흡입부
21 제1 몸체부재 22 흡입부
23 제1 통기홀 24,25 제1,제2 장착부
30 상부부재 31 공기통로관
32 제2 통기홀 35 흡습재
40 지지부재 41 제3 통기홀
45 하부부재 46 제1 통기홈
50 절연유 저장부재 60 공기 유출입 조절부
61 제2 몸체부재 62 일단부
63 결합부 64 타단부
65 걸림홀 66 격판
67 중앙홀 68 스토퍼
69 통기부 70 커버부재
71 걸림부 72 해제 부재
75 방출판 76 끼움부
77 제2 통기홈 79 탄성부재
80 탄성부재 80 표시부
81 표시 버튼 82 제1 스프링
85 표시부 홀 90 흡기부
91 흡기 밸브 92 제2 스프링
95 흡기부 홀

Claims (13)

  1. 변압기의 일부에 연결되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흡입부;
    상기 습기 흡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의 내부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공기 유출입 조절부; 및
    상기 습기 흡입부 또는 공기 유출입 조절부의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압기의 내부 압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동작하여 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 흡입부는,
    원통 형태의 제1 몸체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통로관이 구비되는 상부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의 내부에 저장되는 흡습재;
    상기 제1 몸체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습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출입 조절부는,
    일단부가 상기 습기 흡입부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재;
    상기 제2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중앙홀이 형성되는 격판;
    상기 격판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앙홀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방출판;
    상기 커버부재와 방출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방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흡입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하면부가 개방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부가 개방되는 절연유 저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재에는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절연유 저장부재가 결합되는 제2 장착부 사이에 제1 통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일부에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일부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해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방출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판에는 상기 중앙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 및 끼움부는 접촉면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재 또는 제2 몸체부재에는 표시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 홀에는 내부 압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하는 표시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재 또는 제2 몸체부재에는 흡기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기부 홀에는 상기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 내부로 돌출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KR1020180057897A 2018-05-21 2018-05-21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KR10205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97A KR102054333B1 (ko) 2018-05-21 2018-05-21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97A KR102054333B1 (ko) 2018-05-21 2018-05-21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46A KR20190132846A (ko) 2019-11-29
KR102054333B1 true KR102054333B1 (ko) 2019-12-11

Family

ID=6872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897A KR102054333B1 (ko) 2018-05-21 2018-05-21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3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9142A (ja) 2005-07-06 2007-01-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吸湿呼吸器および吸湿呼吸器用排出調整部材
JP2008118039A (ja) 2006-11-07 2008-05-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吸湿呼吸器
KR101018814B1 (ko) * 2011-01-11 2011-03-04 주식회사 시프트 활선 상태에서 전력용 변압기의 절연물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2151144A (ja) * 2011-01-14 2012-08-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吸湿呼吸器及び吸湿呼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9142A (ja) 2005-07-06 2007-01-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吸湿呼吸器および吸湿呼吸器用排出調整部材
JP2008118039A (ja) 2006-11-07 2008-05-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吸湿呼吸器
KR101018814B1 (ko) * 2011-01-11 2011-03-04 주식회사 시프트 활선 상태에서 전력용 변압기의 절연물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2151144A (ja) * 2011-01-14 2012-08-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吸湿呼吸器及び吸湿呼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46A (ko)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9969B2 (en) Pressure relief mechanism, case, and pressure relief valve
CA2874308C (en) Fluid control valve assembly
DK2889483T3 (en) AIR COMPRESSOR WITH AUDIO ALARM DEVICE
US3100502A (en) Pressure relief valve
KR102054333B1 (ko) 변압기의 공기조절장치
US6949310B2 (en) Leak proof pressure relief valve for secondary batteries
US2405736A (en) Nonspill vent plug
KR101561638B1 (ko) 변압기 폭발 및 파손예방 감지장치
CN117398901A (zh) 高低温湿热试验箱增湿用调控保护单元
CN108930824A (zh) 排放阀、外部飞行器灯单元和电源箱
US20120012192A1 (en) Vent Line Protection Device for Gas Regulator
TW202012898A (zh) 溫度感測器及指示器
JP6916967B2 (ja) 排出弁ユニットおよび流体機器
KR20230148219A (ko) 내부 고장 감지기 및 사용 방법
KR101963193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휴대용 가스용기의 유로차단식 안전장치
JP5164075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1185782B1 (ko) 관로용 자동 에어벤트장치
JPH0418015Y2 (ko)
CN118049605B (zh) 一种过流阻断的安全燃气调压设备
US11932101B2 (en) Valve device
CA1075765A (en) Leak-proof structure for venting gas from a battery
JP7140586B2 (ja) ドレントラップ
CA1322144C (en) Ventshield for outdoor gas regulator
US7246633B2 (en) Shock absorber
KR102137836B1 (ko) 퓨얼필러캡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