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004B1 - 고 효율 축류 터빈 - Google Patents

고 효율 축류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004B1
KR102054004B1 KR1020190058396A KR20190058396A KR102054004B1 KR 102054004 B1 KR102054004 B1 KR 102054004B1 KR 1020190058396 A KR1020190058396 A KR 1020190058396A KR 20190058396 A KR20190058396 A KR 20190058396A KR 102054004 B1 KR102054004 B1 KR 10205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uid
impeller
side plate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빈
박유현
박방림
Original Assignee
백종빈
박유현
박방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빈, 박유현, 박방림 filed Critical 백종빈
Priority to KR102019005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00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02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with stationary working-fluid guiding means and bladed or like rotor, e.g. multi-bladed impulse steam turbines
    • F01D1/04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with stationary working-fluid guiding means and bladed or like rotor, e.g. multi-bladed impulse steam turbines traversed by the working-fluid substantial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00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02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with stationary working-fluid guiding means and bladed or like rotor, e.g. multi-bladed impulse steam turbines
    • F01D1/026Impact turbines with buckets, i.e. impulse turbines, e.g. Pelton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00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02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with stationary working-fluid guiding means and bladed or like rotor, e.g. multi-bladed impulse steam turbines
    • F01D1/16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with stationary working-fluid guiding means and bladed or like rotor, e.g. multi-bladed impulse steam turbines characterised by having both reaction stages and impulse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 효율 축류 터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111)를 통해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유체를 분출시킬 때 단면적을 작게 하여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바뀌 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분사노즐구(130); 분사노즐구(130)의 내부에서 회전축(140)에 의해 조립 설치되며, 분사노즐구에서 분출된 유체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 임펠러(120)의 중앙 회전축지지구(121)에 축설되며, 임펠러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140); 하우징(110)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회전축(140)이 끼워지게 구멍(151)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일측판(150); 및 하우징(110)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며, 회전축(140)이 끼워지게 구멍(161)이 형성됨과 아울러 유체가 배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퇴출구(165)가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타측판(160);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유체가 여러개의 분사노즐구를 통해서 원하는 여러구역에서 임펠러 날개와 부딪치도록 각도를 개선하여 축류 터빈의 속도와 토크를 크게 높이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선박, 항공 이동속도를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하고, 친환경적인 전기생산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축류 터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 효율 축류 터빈{axial flow turb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의 직진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고 효율 축류 터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분사노즐구를 통해서 임펠러 날개와 부딪히는 각도를 개선하여 축류 터빈의 속도와 토크를 크게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축류 터빈의 품질을 높이고, 사용처를 넓히고,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주고, 나아가 경제성을 극대화하여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축류 터빈(axial flow turbine)은 물, 증기, 가스, 공기 따위의 유체가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있는 터빈을 말한다.
특히 상기 축류 터빈은 고정 날개판에 회전 날개가 같이 설치되어 동일 단면의 고정 날개판에 회전 날개가 사용되는 반동(反動) 터빈으로, 고정 날개 출구의 증기 속도와 임펠러의 원주 속도가 거의 같을 때 효율이 최대가 된다. 이 때문에 각 단(段)의 증기 팽창은 줄게 되고, 많은 단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용한 종래 축류 터빈은 다음과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 터빈은 열효율이 낮고 연료 소비가 크며, 회전체의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화되어 축방향으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터빈은 다수의 원형판체가 요구되어 많은 제조비용 및 제조인력이 필요하고, 또한 유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각각의 원형판체를 맞춰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통공의 각도와 내경 변화에 따른 불일치에 의해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동력 생산효율을 감소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3324호(2011. 04. 28)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축류 터빈에 하우징과 임펠러, 분사노즐구와 회전축 그리고 일측판과 타측판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분사노즐구의 노즐각도와 임펠러의 날개각도에 유체가 부딪히는 각도를 90도로 유지토록 하여 다방향 다분사방법을 택하여 임폘러가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분사노즐구의 노즐각도 초입 입구를 저항이 없도록 하기 위해 "Y"자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며, 제4목적은 임펠러의 날개는 유체의 저항을 줄일기 위해 초입을 새의 부리 모양으로 가늘게 제작하고, 고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날개 밑단은 두껍게 제작한 "갈고리"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며, 따라서 제5목적은 축류 터빈의 토크(힘의 세기)를 회기적으로 향상시킨 것이고, 제6목적은 축류 터빈의 회전속도가 빨라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축류 터빈에 연료가 적게 들어가 연료절감 효과가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축류 터빈의 부피가 작아 설치공간이 적게 들고, 제9목적은 축류 터빈의 전기 생산량이 많이 증가되도록 한 것이며, 제10목적은 축류 터빈의 제작 및 설비비용이 적게 들도록 한 것이고, 제11목적은 축류 터빈의 수리와 교체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며, 제12목적은 이로 인해 축류 터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고 효율 축류 터빈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 효율 축류 터빈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를 통해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유체를 분출시킬 때 단면적을 작게 하여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바뀌 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분사노즐구; 분사노즐구의 내부에서 회전축에 의해 조립 설치되며, 분사노즐구에서 분출된 유체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임펠러의 중앙 회전축지지구에 축설되며, 임펠러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 하우징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회전축이 끼워지게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일측판; 및 하우징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며, 회전축이 끼워지게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유체가 배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퇴출구가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타측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 효율 축류 터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축류 터빈에 하우징과 임펠러, 분사노즐구와 회전축 그리고 일측판과 타측판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분사노즐구의 노즐각도와 임펠러의 날개각도에 유체가 부딪히는 각도를 90도로 유지토록 하고, 타방향에서 다분사케 하여 임폘러가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노즐구의 노즐각도 초입 입구를 저항이 없도록 하기 위해 "Y"자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임펠러의 날개는 유체의 저항을 줄일기 위해 초입을 가늘게 제작하고, 고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날개 밑단은 두껍게 제작한 "갈고리"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축류 터빈의 토크(힘의 세기)를 회기적으로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축류 터빈의 노즐갯수와 노즐방향을 선택하고 조정하여 다방향에서 다 분사방법으로 회전속도가 빨라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축류 터빈에 연료가 적게 들어가 연료절감 효과가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축류 터빈의 부피가 작아 설치공간이 적게 들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축류 터빈의 전기 생산량이 많이 증가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축류 터빈의 제작 기간이 짧게 소요되고, 제작비용과 설비비용이 적게 들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축류 터빈의 수리와 교체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축류 터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고 효율 축류 터빈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 효율 축류 터빈의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고 효율 축류 터빈의 결합상태 정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 효율 축류 터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분사노즐구와 임펠러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단면
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임펠러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분사노즐구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수개의 축류 터빈을 발전기에 연결하여 사용하
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된 유체의 직진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고 효율 축류 터빈은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고 효율 축류 터빈(10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111)를 통해 유체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하우징(110)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유체를 분출시킬 때 단면적을 작게 하여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바뀌 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분사노즐구(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분사노즐구(130)의 내부에서 회전축(140)에 의해 조립 설치되며, 분사노즐구에서 분출된 유체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분사노즐구의 날개는 16개, 임펠러의 날개는 32개가 바람직하고, 크기 등에 따라서 갯수는 가감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중앙 회전축지지구(121)에 축설되며, 임펠러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140)이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회전축(140)이 끼워지게 구멍(151)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일측판(150)이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며, 회전축(140)이 끼워지게 구멍(161)이 형성됨과 아울러 유체가 배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퇴출구(165)가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타측판(160)이 포함된 고 효율 축류 터빈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일측판(150)과 타측판(160)에는 하우징(110)의 양 끝단이 각각 끼워져 밀폐력을 유지시키도록 한 하우징체결홈(152)(16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판(150)에는 분사노즐구(130)의 선단이 끼워져 분사노즐구(130)를 긴밀히 고정시키는 분사노즐구체결홈(15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일측판(150)의 외측에는 베어링(171)과 일측마개(170)가 조립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판(160)의 외측에도 베어링(181)과 타측마개(180)가 조립 설치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투입구(111)의 위치는 유체 투입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투입공간부(190)쪽으로 왼쪽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분사노즐구(130)의 노즐각도와 임펠러(120)의 날개각도에 유체가 부딪히는 각도를 90도로 유지토록 하여 임폘러가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분사노즐구(130)의 노즐구멍 초입 입구를 저항이 없도록 하기 위해 "Y"자 모양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은 임펠러(120)의 날개를 "갈고리"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유체의 저항을 줄일기 위해 초입을 가늘게 제작하고, 고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날개 밑단은 두껍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 분사노즐구(130)와 일측판(150)이 조립되면 밀폐된 투입공간부(19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분사노즐구(130)와 타측판(160)이 조립되면 밀폐된 퇴출공간부(19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투입구(111)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멀리 퍼지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113)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내부에는 슬라이드 단턱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단턱홈(112)에는 분사노즐구(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131)가 조립 설치되어 분사노즐구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상기 일측판(150)과 타측판(160)에는 축류 터빈(100)을 지지대(200)에 고정시킬 때 축류 터빈의 수평유지, 수직유지, 진동방지 등을 위해 고정볼트를 체결하는 체결공(156)(16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156)(166)은 일측판(150)과 타측판(160)에서 연장된 수평 받침대(157)(167)에 형성되고, 축류 터빈(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고 효율 축류 터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회전속도가 빨라 효율이 높고, 연료절감 효과가 우수하고, 부피가 작아 설치공간이 적게 들고, 수리와 교체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고 효율 축류 터빈(100)의 하우징과 임펠러, 분사노즐구와 회전축 그리고 일측판과 타측판 등이 분해된 사시도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해된 부품을 조립하면 아래 도 2 내지 4 와 같이 조립되는 것이다.
즉, 임펠러(120)의 회전축지지구(121)에 회전축(140)을 조립한다.
이후 하우징(110)의 슬라이드단턱홈(112)에 분사노즐구(130)의 연장부(131)를 끼워 조립하는 것으로, 이때 임펠러(120)가 분사노즐구(1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하우징(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일측판(150)과 타측판(160)이 조립되는 것으로, 이때 하우징체결홈(152)(162)이 하우징(110)의 끝단이 끼워지게 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판(150)의 구멍(151)과 타측판(160)의 구멍(161)을 통해서는 상기 회저축(140)이 조립 설치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 효율 축류 터빈(100)의 하우징과 임펠러, 분사노즐구와 회전축 그리고 일측판과 타측판 등이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것이으로, 특히 본 발명 축류 터빈(100)을 지지대(200)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일측판(150)과 타측판(160)에는 축류 터빈(100)을 지지대(200)에 고정시킬 때 축류 터빈의 수평유지, 수직유지, 진동방지 등을 위해 고정볼트를 체결하는 체결공(156)(166)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체결공(156)(166)은 일측판(150)과 타측판(160)에서 연장된 수평 받침대(157)(167)에 형성되고, 축류 터빈(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되게 하여 별도의 지지대 제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고 효율 축류 터빈(100)의 하우징과 분사노즐구 그리고 임펠러의 결합상태 정단면도를 표현한 것이다.
즉, 다수의 투입구(111)를 통해 유체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면 유체는 각각의 격벽(113)으로 인해 옆으로 분산되지 않고 바로 여러개의 분사노즐구(130)의 노즐 입구를 통해 유입된다. 그러면 임펠러(120)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 효율 축류 터빈(100)의 하우징과 임펠러, 분사노즐구와 회전축 그리고 일측판과 타측판 등의 결합상태 측단면도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유체가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 나가는 것으로, 유체가 투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 즉, 분사노즐구(130)와 일측판(150)의 사이에 형성된 투입공간부(190)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유체는 분사노즐구(130)의 입구를 통해 투입되어 임펠러(1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임폐러(120)에서 빠져나온 유체는 분사노즐구(130)와 타측판(160)의 사이에 형성된 퇴출공간부(191)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퇴출공간부(191)의 유체는 타측판(160)에 형성된 다수의 퇴출구(16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분사노즐구(130)와 임펠러(120)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 도 5 는 유체가 분사노즐구(130)의 날개입구(132)와 임펠러(120)의 날개입구(122)를 통해 빠져나가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저항이 없도록 설계되어 임펠러(120)의 회전속도를 높이고, 토크(힘의 세기)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은 분사노즐구(130)의 노즐각도와 임펠러(120)의 날개각도에 유체가 부딪히는 각도를 90도로 유지토록 하여 임폘러가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분사노즐공(130)의 각도는 수평선상에서 21도를 유지하고, 유체에 부딪히는 임펠러(120)의 날개 각도는 수직선상에서 21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분사노즐구(130)의 노즐공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와, 상기 유체가 임펠러(120)의 날개에 부딪혀 꺽기는 부분이 90도를 유지되도록 함으로 축류 터빈(100)의 회전속도 뿐만 아니라 토크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임펠러(120)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임펠러(120)의 날개를 "갈고리"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유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초입을 가늘게 제작하고, 고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날개 밑단은 두껍게 제작한 것이다.
즉, 날개입구(122)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임펠러의 고속 회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분사노즐구(130)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를 표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분사노즐구(130)의 노즐구멍 초입 입구를 저항이 없도록 하기 위해 "Y"자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날개입구(132)의 초입 입구는 넓게하고, 출구는 좁게 형성하여 유체의 빠져나는 속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임폘러의 회전속도를 초고속으로 높이고, 마찰각도를 90도로 맞추어 토크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수개의 축류 터빈(100)을 발전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로, 유체공급관을 통해 유체가 다수개의 축류 터빈 내부로 유입되면 축류 터빈이 다수개의 발전기를 회전시키고, 축류 터빈을 빠져나온 유체는 유체퇴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축류 터빈과 발전기를 이용하여 축을 같은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고 효율 축류 터빈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축류 터빈
110: 하우징
120: 임펠러
130: 분사노즐구
140: 회전축
150: 일측판
160: 타측판

Claims (5)

  1. 유체가 분사노즐구를 통해서 임펠러 날개와 부딪히는 각도를 개선하여 축류 터빈의 속도와 토크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분사노즐구의 노즐각도와 임펠러의 날개각도에 유체가 부딪히는 각도를 90도로 유지토록 하여 임폘러가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고 효율 축류 터빈(100)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111)를 통해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유체를 분출시킬 때 단면적을 작게 하여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바뀌 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분사노즐구(130); 분사노즐구(130)의 내부에서 회전축(140)에 의해 조립 설치되며, 분사노즐구에서 분출된 유체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 임펠러(120)의 중앙 회전축지지구(121)에 축설되며, 임펠러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140); 하우징(110)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회전축(140)이 끼워지게 구멍(151)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일측판(150); 및 하우징(110)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며, 회전축(140)이 끼워지게 구멍(161)이 형성됨과 아울러 유체가 배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퇴출구(165)가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타측판(160);이 포함되되,
    상기 일측판(150)과 타측판(160)에는 하우징(110)의 양 끝단이 각각 끼워져 밀폐력을 유지시키도록 한 하우징체결홈(152)(16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일측판(150)에는 분사노즐구(130)의 선단이 끼워져 분사노즐구(130)를 긴밀히 고정시키는 분사노즐구체결홈(153)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0)에 분사노즐구(130)와 일측판(150)이 조립되면 밀폐된 투입공간부(19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분사노즐구(130)와 타측판(160)이 조립되면 밀폐된 퇴출공간부(191);가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투입구(111)의 위치는 유체 투입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투입공간부(190)쪽으로 왼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투입구(111)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멀리 퍼지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113);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내부에는 슬라이드 단턱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단턱홈(112)에는 분사노즐구(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131)가 조립 설치되어 분사노즐구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분사노즐구(130)의 노즐구멍 초입 입구를 저항이 없도록 "Y"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분사노즐구(130)의 각도는 수평선상에서 21도를 유지하고, 유체에 부딪히는 상기 임펠러(120)의 날개 각도는 수직선상에서 21도를 유지하여 상기 분사노즐구(130)의 노즐공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와 상기 유체가 상기 임펠러(120)의 날개에 부딪혀 꺽이는 부분이 90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임펠러의 날개는 갈고리 모양으로 유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초입을 가늘게 형성하고 고압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날개 밑단은 두껍게 형성하여, 날개 입구(132)의 초입은 넓고 출구는 좁게 형성하여 유체의 빠져 나가는 속도를 높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초고속으로 높이고,
    상기 일측판(150)의 외측에는 베어링(17)과 일측마개(170)가 조립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타측판(160)의 외측에도 베어링(181)과 타측마개(180)가 조립설치되고, 상기 일측판(150)과 타측판(160)에는 축류 터빈(100)을 지지대(200)에 고정시킬 때 축류 터빈의 수평유지, 수직유지, 진동방지를 위해 고정볼트를 체결하는 체결공(156)(16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 효율 축류 터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8396A 2019-05-17 2019-05-17 고 효율 축류 터빈 KR10205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96A KR102054004B1 (ko) 2019-05-17 2019-05-17 고 효율 축류 터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96A KR102054004B1 (ko) 2019-05-17 2019-05-17 고 효율 축류 터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004B1 true KR102054004B1 (ko) 2019-12-09

Family

ID=6883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396A KR102054004B1 (ko) 2019-05-17 2019-05-17 고 효율 축류 터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168A (ko) 2020-11-11 2022-05-18 박방림 고 효율 축류 터빈의 개량구조
WO2024048830A1 (ko) * 2022-09-01 2024-03-07 박영석 기능이 개선된 고 효율 축류 터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3063A (ja) * 1989-03-31 1990-10-25 Aisin Seiki Co Ltd 極低温冷凍装置
JP2001074517A (ja) * 1999-08-24 2001-03-23 G Intek Co Ltd 流量測定装置
KR101033324B1 (ko) 2009-03-20 2011-05-09 최혁선 축류형 다단터빈
KR20130138704A (ko) * 2013-09-09 2013-12-19 정기영 관로의 유속 증폭을 이용한 고속회전체 장치
WO2016103410A1 (ja) * 2014-12-25 2016-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固定ベー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3063A (ja) * 1989-03-31 1990-10-25 Aisin Seiki Co Ltd 極低温冷凍装置
JP2001074517A (ja) * 1999-08-24 2001-03-23 G Intek Co Ltd 流量測定装置
KR101033324B1 (ko) 2009-03-20 2011-05-09 최혁선 축류형 다단터빈
KR20130138704A (ko) * 2013-09-09 2013-12-19 정기영 관로의 유속 증폭을 이용한 고속회전체 장치
WO2016103410A1 (ja) * 2014-12-25 2016-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固定ベー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168A (ko) 2020-11-11 2022-05-18 박방림 고 효율 축류 터빈의 개량구조
KR102486265B1 (ko) * 2020-11-11 2023-01-10 박방림 고 효율 축류 터빈의 개량구조
WO2024048830A1 (ko) * 2022-09-01 2024-03-07 박영석 기능이 개선된 고 효율 축류 터빈
KR20240031744A (ko) 2022-09-01 2024-03-08 박영석 기능이 개선된 고 효율 축류 터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1824B2 (ja) タービン
KR102054004B1 (ko) 고 효율 축류 터빈
KR101033324B1 (ko) 축류형 다단터빈
JP2016535205A (ja) 軸流型多段タービンの構造
US10006288B2 (en) Axial turbine
KR100905963B1 (ko) 반작용식 스팀 터빈
JP6002227B2 (ja) 軸流型タービン
US20150037134A1 (en) Method for Producing Mechanical Energy, Single-Flow Turbine and Double-Flow Turbine, and Turbo-Jet Apparatus Therefor
KR101052253B1 (ko) 반작용식 터빈
WO2007148826A1 (en) Wind power generator
WO2012052740A1 (en) Sealing device for reducing fluid leakage in turbine apparatus
KR100847204B1 (ko) 하이브리드 시너지 제트터빈 발전 시스템
CN114174635A (zh) 脉冲涡轮机及涡轮机装置
KR102486265B1 (ko) 고 효율 축류 터빈의 개량구조
KR101876180B1 (ko) 사각보드 인덱스 홀 휠 터빈장치
CN109989867A (zh) 一种多级封压双轴逆旋复能水轮机
KR20050093002A (ko) 축류형 다단터빈
CN209163876U (zh) 反动喷嘴式叶轮、转子、汽轮机、汽轮设备及原动机
KR20140056486A (ko) 반작용식 터빈 시스템
CN109339867A (zh) 反动喷嘴式叶轮、转子、汽轮机、汽轮设备及原动机
KR20240031744A (ko) 기능이 개선된 고 효율 축류 터빈
CN112879197B (zh) 一种水轮机以及水力发电机
KR20110099359A (ko) 발전기 터빈
KR200354857Y1 (ko) 축류형 다단터빈
CN115854325A (zh) 一种高温蒸汽发生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