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948B1 - 가변형 입간판 - Google Patents

가변형 입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948B1
KR102053948B1 KR1020170168948A KR20170168948A KR102053948B1 KR 102053948 B1 KR102053948 B1 KR 102053948B1 KR 1020170168948 A KR1020170168948 A KR 1020170168948A KR 20170168948 A KR20170168948 A KR 20170168948A KR 102053948 B1 KR102053948 B1 KR 10205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board
shape
variable
light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792A (ko
Inventor
양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끌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끌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끌림
Priority to KR102017016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변형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 및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입간판 {VARIABLE SIGN}
본 발명은 가변형 입간판에 관한 것으로 형상이 변형되는 가변형 입간판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서비스업이나 상품 등을 광고하기 위하여 간판이 사용되었다. 간판은 크게 벽면 이용 간판, 돌출 간판, 공연 간판, 옥상 간판, 지주 이용 간판, 입간판, 현수막 및 애드벌룬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벽면 이용 간판은 문자도형 등을 이용하여 판이나 입체형으로 제작 설치하여 벽면, 유리 벽의 바깥쪽, 옥상 난간 등에 길게 붙이거나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돌출 간판은 문자도형 등을 표시한 목제, 아크릴, 금속 등의 판이나 이용업소, 미용업소의 표지 등을 건물의 건물의 벽면에 튀어나오게 붙이는 광고물을 말한다. 공연 간판은 공연영화를 알리기 위한 문자그림 등을 목재, 아크릴, 금속재, 디지털디스플레이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실물의 모형 등을 제작하여 해당 공연 건물의 벽면에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옥상 간판은 건물의 옥상에 따로 삼각형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게시시설을 설치하여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거나 승강기탑계단탑망루 등 건물의 옥상 구조물에 문자도형등을 직접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지주 이용 간판은 문자도형 등을 표시한 목재, 아크릴, 금속재, 디지털 디스플레이 등의 판을 지면에 따로 설치한 지주를 붙이는 광고물을 말한다. 입간판은 건물의 벽에 기대어 놓거나 지면에 세워두는 등 고정되지 아니한 목재, 아크릴 또는 조례로 정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게시시설에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현수막은 천 ·종이·비닐 등에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여 건물 등의 벽면, 지주, 게시시설 또는 그 밖의 시설물 등에 매들아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애드벌룬은 비닐 등을 사용한 기구에 문자·그림 등을 표시하여 건물의 옥상 또는 지면에 설치하거나 공중에 띄우는 광고물을 말한다.
여기에서, 최근에 카페나 휴대폰 가게의 급증으로 인해 입간판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입간판을 사용할 경우 입간판을 길거리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입간판을 보관할 경우 입간판을 가게 내부에 보관을 하고 있다. 다만, 사용자가 입간판을 보관할 경우, 가게 내부에 큰 부피를 차지하는 입간판을 보관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입간판을 사용할 때와 보관할 때의 상황마다 무거운 입간판을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입간판을 사용할 때와 입간판을 보관할 때의 입간판의 크기가 변화되는 가변형 입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변형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 및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에 따르면, 사용자는 편리하게 입간판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좁은 공간에도 입간판을 보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에서 보관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간판부 및 바닥부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복 수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변형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 및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간판부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접촉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상기 간판부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결합될 수 없을 수 있다.
또, 상기 바닥부는 자성 성질을 가지는 바닥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바닥결합부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 상기 간판부는, 자성 성질을 가지는 간판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간판결합부와 상기 바닥결합부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 상기 간판부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간판부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의해 보관될 수 있다.
또, 상기 간판부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으로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2 형상으로 상기 바닥부에 의해 보관될 수 있다.
또, 상기 간판부는 일체로서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 상기 간판부는 상기 간판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간판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의 가시성을 높이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가 배치되는 발광공간부 및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가 배치되며 상기 중량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발광공간부에 배치된 상기 발광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수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중량공간부를 인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가 보관되는 보관공간부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여 상기 발광체 및 상기 간판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공간부가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보관공간부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 상기 중량공간부 및 상기 보관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닥부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가 배치되며 상기 중량공간부 및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가 보관되는 보관공간부를 제공하며, 상기 바닥부는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량공간부를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의 가시성을 높이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가 배치되는 발광공간부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중량공간부에 배치되는 상기 중량체의 유출로 인한 상기 발광체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중량공간부 사이에 상기 보관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간판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변형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100) 및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하는 바닥부(200)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200)에 의해 보관될 수 있다.
간판부(100)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간판부(100)는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200)와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간판부(100)는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과 접촉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과 접촉 결합되어, 상기 간판부(100)에 의해 커버되는 공간에 존재하는 상기 바닥부의 구성요소(일례로, 후술하는 발광체 등)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 형상은 상기 간판부(100)가 간판의 기능을 구현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형상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에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형상은 상기 간판부(100)에 작용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의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
제2 형상은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보관될 때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형상은 도 4(d)에 도시된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형상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 상태일 경우에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형상은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에 외력이 작용되어 크기가 축소된 형상일 수 있다.
상측방향(w1)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일 수 있다.
하측방향(w2)은 상기 가변형 입간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일 수 있다.
간판부(100)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며 상기 간판부(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형부(121,122,123,1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간판부(100)는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며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간판결합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신장수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간판부(100)의 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간판부(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간판결합부(130)에 의해 상기 바닥부(200)와 탈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간판결합부(130)를 구비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닥결합부(280a)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외형부(121,122,123,124)는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전달될 수 있는 정보전달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는 정보전달영역(R1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전달부는 사용자에 혹은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일례로, 정보전달부는 광고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간판부 자체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정보전달부는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전달영역(R10)은 복수의 상기 외형부(121,122,123,124)의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전달부는 상기 정보전달영역(R1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외형부(121,122,123,124)와 연결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전달부는 상기 정보전달영역(R1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보전달부와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를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정보전달영역(R1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외형부(121,122,123,124)의 모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외형부(121,122,123,124)는 상기 프레임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형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외형부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는 신장 수축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는 직물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형부(121,122,123,124)의 소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간판부(100)는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1 간판부(100a)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1 간판부(100a) 및 상기 제2 간판부(100b)와 연결되는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3 간판부(100c)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간판부(100a) 및 상기 제2 간판부(100b)와 연결되는 제4 간판부(100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4 간판부(100d)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4 간판부(100d)는 탄성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판부(100a)는 제1 프레임부 및 제1 외형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측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1 프레임부(111a), 하측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2 프레임부(111b),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3 프레임부(111c) 및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4 프레임부(111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간판부(100b)는 제2 프레임부 및 제2 외형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측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1 프레임부(112a), 하측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2 프레임부(112b),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3 프레임부(112c) 및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4 프레임부(112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간판부(100c)는 제3 프레임부 및 제3 외형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부는 상측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1 프레임부(113a), 하측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2 프레임부(113b),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3 프레임부(113c) 및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4 프레임부(113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간판부(100d)는 제4 프레임부 및 제4 외형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프레임부는 상측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1 프레임부(114a), 하측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2 프레임부(114b),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3 프레임부(114c) 및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4 프레임부(114d)를 구비할 수 있다.
간판결합부(130)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간판결합부(13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간판결합부(130)는 후술하는 상기 바닥부(200)의 결합홈(28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280)에 인접하는 상기 바닥결합부(280a)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판결합부(130)는 자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하부에서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를 보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보관되는 보관공간부(S210) 및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가 배치되며 상기 보관공간부(S210)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중량공간부(S22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100)의 가시성을 높이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231)가 배치되는 발광공간부(S23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형성하는 보관부(210), 상기 중량공간부(S220)를 형성하는 중량부(220) 및 상기 발광공간부(S230)를 제공하는 발광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보관부(210)에 연결되는 보관덮개부(260) 및 상기 발광부(230)에 연결되는 발광덮개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와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부(240) 및 배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바닥부(200)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결합홈(280) 및 상기 결합홈(280)에 인접하게 연결되며 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바닥결합부(280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상기 간판부(10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R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R10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R100)에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모든 상기 연결영역(R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모든 상기 연결영역(R100)에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영역(R100)은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100)와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100)에 접촉되는 상기 바닥부(100)의 영역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영역(R100)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100)에 접촉되는 상기 바닥부(100)의 영역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제1 형상으로 결합되었는지는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80)은 상측방향(w1)으로의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280)은 상기 바닥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80)에는 상기 바닥결합부(280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80)에는 상기 간판결합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바닥결합부(28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가변형 입간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사용사의 외력을 수용하는 손잡이부(290)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 및 상기 발광공간부(S230)와 서로 격리될 수 있다.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는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보관되고 있는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발광공간부(S230)의 하부 전체를 하측 방향으로 포위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상기 바닥부(2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덮개부(26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덮개부(26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와 연결(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중량체가 배치 및/또는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중량체는 고체일 수도 있고 유체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중량체는 모래 또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유입부(240)를 통해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에서부터 상기 중량공간부(S22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는 상기 배출부(250)를 통해 상기 중량공간부(S220)로부터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유입덮개(241) 및/또는 상기 배출덮개(251)의 위치 이동에 의해 밀폐될 수도 있고,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와 연결(연통)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공간부(S230)에는 상기 발광체(231)가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체(231)는 발광하는 구성요소(일례로, 백열전등, 엘이디) 및 발광하는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모든 구성(PCB회로, 전원부 등)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발광덮개부(27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발광공간부(S23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덮개부(27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발광공간부(S230)를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와 연결(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공간부(S23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발광체(231)에서 발산되는 빛이 효과적으로 상기 제1 형상인 간판부(100)에 전달되도록 상기 바닥부(200)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발광공간부(S230)에 배치된 상기 발광체(231)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S230)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공간부(S23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발광체(231)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상기 발광체(231)의 과열에 의한 발광체(231) 또는 바닥부(2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200)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발광체(231) 및 상기 간판부(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공간부(S220)가 상기 발광공간부(S230)와 상기 보관공간부(S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는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보관상태인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지면과의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될 경우, 상기 발광체(231)와 상기 간판부(100)의 무게가 서로 평형을 이루어 상기 보관상태인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기울지 않고 지면으로 낙하될 수 있다. 낙하에 따른 충격은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의해 완화되는 동시에 작용되는 충격은 상기 발광체(231) 및 상기 간판부(100)로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 상기 중량공간부(S220) 및 상기 발광공간부(S230)를 형성하도록 사출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200)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유입부(240)는 상기 발광부(230)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240)가 제공하는 공간과 상기 발광공간부(S230)는 공간적으로 서로 격리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4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240)는 상측방향(w1)의 상기 바닥부(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250)는 상기 보관부(210)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부(250)가 제공하는 공간과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공간적으로 서로 격리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5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250)는 하측방향(w2)의 상기 바닥부(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중량공간부(S220)에 중량체를 채우거나 비우는 과정에서 중량체가 상기 보관부(210) 및 상기 발광부(2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변형 입간판의 사용상태는 상기 바닥부(200) 상측에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가변형 입간판의 보관상태는 상기 제2 형상인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의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보관된 상태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에서 보관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에서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바닥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분리된 상기 간판부(100)는 제1 간판부(100a)와 상기 제4 간판부(100d)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2 간판부(100b)와 상기 제3 간판부(100c)가 서로 접촉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외형부(121)와 상기 제4 외형부(124)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2 외형부(122)와 상기 제3 외형부(123)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4 프레임부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와 상기 제3 프레임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3 프레임부(111c) 및/또는 상기 제3-4 프레임부(113d)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간판부(100a) 및 상기 제3 간판부(100c)가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도 3(c)에 도시된 상기 간판부(100)의 상태에서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 간판부(100a)와 상기 제3 간판부(100c)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외형부(121)와 상기 제3 외형부(123)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1 프레임부(111a)와 상기 제3-1 프레임부(113a)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와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3프레임부와 상기 제3-4 프레임부(113d)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4 프레임부(111d)와 상기 제3-3 프레임부(113c)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4 프레임부(111d) 및/또는 상기 제3-3 프레임부(113c)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4 간판부(100d)가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3(d)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프레임부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제1-4 프레임부(111d), 상기 제4-3 프레임부(114c), 상기 제3-3프레임부 및 상기 제2-4 프레임부(112d)와 상기 제1-3 프레임부(111c), 상기 제4-4 프레임부(114d), 상기 제3-4 프레임부(113d) 및 상기 제2-3 프레임부(112c)가 교차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도 상기 프레임부와 일체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의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1 프레임부(111a), 상기 제2-1 프레임부(112a), 상기 제3-1 프레임부(113a) 및 상기 제4-1 프레임부(114a)와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가 서로 접촉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도 상기 프레임부와 일체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도 4(b)의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관덮개부(260)의 위치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와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가 서로 연결(연통)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도 4(b)의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배치된 후, 상기 보관덮개부(260)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에서 사용상태로 변화되기 위해서,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서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를 이탈시키면, 상기 간판부(100)는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를 상기 바닥부(200)에 결합시키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사용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간판부 및 바닥부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복 수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간판부(100)와 바닥부(200)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착탈될 수 있다.
이하, 착탈 방법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제1 결합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00)의 측면에는 결합홈(2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결합부재(300)에 의해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는 착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합부재(300)는 양 방향의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결합부재(300)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300)는 상기 프레임부에 외삽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결합홈(280)에 삽입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300)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결합홈(280)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를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제2 결합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재(40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결합부재(400)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재(400)는 상기 바닥부(200)의 결합홈(280)에 삽입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재(400)는 상기 바닥부(200)의 결합홈(280)에 이탈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를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제3-1 결합부재(510) 및 제3-2 결합부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1 결합부재(51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제3-2 결합부재(520)는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2 결합부재(5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200)의 연결영역(R10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1 결합부재(510)와 상기 제3-2 결합부재(520)는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제3-1 결합부재(510)와 상기 제3-2 결합부재(520)의 결합 및/또는 분리 과정을 통해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바닥부(200)에 착탈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를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제4 결합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바닥부(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바닥부(200)의 상기 결합홈(280)의 일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과 일치되거나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1200)는 보관공간부(S210), 중량공간부(S220) 및 발광공간부(S23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광공간부(S230)는 상기 바닥부(1200)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가변형 입간판에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닥부(12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중량공간부(S220)에 상기 중량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가변형 입간판의 무게 중심이 지면과 가까워져,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외력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에 배치되는 상기 중량체의 유출로 인한 상기 발광체(231)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S230)와 상기 중량공간부(S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공간부(S230) 하측에 상기 보관공간부(S2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관공간부(S210) 하측에 상기 중량공간부(S22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240)는 발광부(230) 및 보관부(210)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1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240)가 제공하는 공간과 상기 발광공간부(S230) 및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공간적으로 서로 격리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간판부 200 : 바닥부
210 : 보관부 220: 중량부

Claims (15)

  1.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변형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 및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판부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하며,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제1 형상으로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제2 형상으로 상기 바닥부에 의해 보관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의 가시성을 높이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가 배치되는 발광공간부 및 상기 제2 형상인 간판부가 보관되는 보관공간부를 내부에 제공하며,
    상기 보관공간부는,
    상기 보관공간부에 보관되고 있는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발광공간부의 하부 전체를 하측 방향으로 포위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변형 입간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접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상기 간판부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결합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자성 성질을 가지는 바닥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바닥결합부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자성 성질을 가지는 간판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간판결합부와 상기 바닥결합부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일체로서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상기 간판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고,
    상기 간판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가 배치될 수 있는 중량공간부를 더 제공하며,
    상기 발광공간부에 배치된 상기 발광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수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중량공간부를 인접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여 상기 발광체 및 상기 간판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공간부가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보관공간부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 상기 중량공간부 및 상기 보관공간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가 배치될 수 있는 중량공간부를 더 제공하며,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량공간부를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중량공간부에 배치되는 상기 중량체의 유출로 인한 상기 발광체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중량공간부 사이에 상기 보관공간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입간판.
KR1020170168948A 2017-12-11 2017-12-11 가변형 입간판 KR10205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948A KR102053948B1 (ko) 2017-12-11 2017-12-11 가변형 입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948A KR102053948B1 (ko) 2017-12-11 2017-12-11 가변형 입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792A KR20190068792A (ko) 2019-06-19
KR102053948B1 true KR102053948B1 (ko) 2020-01-22

Family

ID=6710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948A KR102053948B1 (ko) 2017-12-11 2017-12-11 가변형 입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9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8930A (ja) * 2006-07-31 2008-03-13 Yoshiki Morita 表示装置、表示体用カバー及び表示体
JP2015212805A (ja) * 2014-04-16 2015-11-26 多摩川クラフト有限会社 看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382A (ko) * 2007-10-09 2009-04-14 주식회사티케이디스플레이 휴대용 배너 스탠드
KR20110008506U (ko) * 2010-02-26 2011-09-01 윤양준 착탈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8930A (ja) * 2006-07-31 2008-03-13 Yoshiki Morita 表示装置、表示体用カバー及び表示体
JP2015212805A (ja) * 2014-04-16 2015-11-26 多摩川クラフト有限会社 看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792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043A (ko) 가변형 입간판
US7009523B2 (en) Modular protective structure for floor display
US70008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rchandising a product
CN205722636U (zh) 移动显示屏
CN111240413B (zh) 电子设备
CN207068435U (zh) 一种桌上型互动显示屏装置
KR101970991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액자형 광고 장치
KR102053948B1 (ko) 가변형 입간판
KR20190001208U (ko)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CN206864151U (zh) 投影广告机
US10096272B2 (en) Cart, kiosk, booth, equipment or machine integrated with an inflatable and deflatable advertising, identifying display
CN214955496U (zh) 一种新型培训教学用展示平台
JP2012517713A (ja) 視認性と形態性が向上したledアセンブリ、これの取り付け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バナー
KR20110010754U (ko) 배낭형 이동식 간판
KR101704958B1 (ko)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포터블 광고장치
CN101930703B (zh) 折叠便携式传媒立体广告展示牌
CN206991667U (zh) 浸液式led立体显示器
CN211699601U (zh) 防倒广告展架
CN207341527U (zh) 一种工业设计用展示台
CN207202343U (zh) 一种适用于广告业务推广的广告袋
CN206197592U (zh) 一种粉饼展示架
CN219321030U (zh) 一种广告展览台
WO2018142010A1 (es) Expositor modular
EP2348475A2 (en) Advertisement management and display system
KR200374989Y1 (ko) 입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