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579B1 - 휴대기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579B1
KR102053579B1 KR1020190056550A KR20190056550A KR102053579B1 KR 102053579 B1 KR102053579 B1 KR 102053579B1 KR 1020190056550 A KR1020190056550 A KR 1020190056550A KR 20190056550 A KR20190056550 A KR 20190056550A KR 102053579 B1 KR102053579 B1 KR 10205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magnet
mounting
seat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이민수
김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수, 김희진 filed Critical 이민수
Priority to KR102019005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 시트에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휴대기기 거치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는 좌석 시트에 결합되는 부착부,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부착부에 연결되며, 휴대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을 포함하는 거치부 및 부착부에 대한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 거치 장치{APPARATUS FOR MOUNTING PO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석 시트에 장착되어 휴대기기를 거치함으로써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출퇴근, 통학 등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운영 노선이 다양해지고 전용차선이 개설되어 대중교통을 이용해 비교적 장거리를 왕복하는 승객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현재 서울과 경기를 왕복하는 좌석제 광역버스의 경우 200 여개의 노선이 운영 중에 있으며, 이러한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수는 하루 평균 70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한편,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하루에 적게는 수십분에서 많게는 수시간을 대중교통 안에서 보낸다. 그러나 일반 대중교통에는 승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없거나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승객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간 동안 자신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승객들이 휴대기기를 사용할 때에는 휴대기기를 손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사용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 시 불편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버스가 급정거하거나 급선회할 때 휴대기기를 손에서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승객들은 대부분 자신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 휴대기기를 두고 화면을 보거나 조작하기 때문에 건강 상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리미엄 고속버스나 국제선 항공기와 같이 장거리 교통 수단의 좌석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를 대중교통에도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용요금을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는 일반 대중교통에 고가의 멀티미디어를 설치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2956호(2015.10.1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이 자신의 휴대기기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이 휴대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손쉽게 휴대기기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좌석 시트에 설치가 가능한 휴대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지를 배치할 수 있어 광고매체로 활용이 가능한 휴대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좌석 시트에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휴대기기 거치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는 좌석 시트에 결합되는 부착부,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부착부에 연결되며, 휴대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을 포함하는 거치부 및 부착부에 대한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조절부는 부착부에 설치되는 제1 자석부 및 거치부에 설치되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석부는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부착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거치부와 부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자석부는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며, 제1 자석부의 복수의 자석 중 제2 자석부와 결합하는 자석의 위치에 따라 부착부에 대한 거치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제2 자석부는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거치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거치부와 부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자석부는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며, 제2 자석부의 복수의 자석 중 제1 자석부와 결합하는 자석의 위치에 따라 부착부에 대한 거치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의 포켓 전면은 포켓에 수용되는 휴대기기의 화면 확인 및 조작이 가능한 폴리머 내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의 포켓 내부에는 광고지가 배치되어, 휴대기기가 수납되지 않은 경우 포켓 전면을 통해 광고지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 시트에 장착되어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이 자신의 휴대기기를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객이 휴대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각도조절부를 통해 손쉽게 휴대기기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갖고 손쉽게 좌석 시트에 설치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도 대중교통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객의 시선 상에 광고지를 배치할 수 있어 주목도를 높여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가 좌석 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에서 거치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가 버스에서 이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의 주변 및 포켓 내부에 광고지가 배치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된다는 것은 이들이 직접 맞닿아 이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서로 이어지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리고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하좌우의 방향은 휴대기기 거치 장치가 좌석 시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바라보는 사용자(승객)를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가 좌석 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는 뒤에 앉은 승객이 자신의 휴대기기(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를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좌석 시트 후방에 장착된다.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는 좌석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대중교통-예컨대, 버스, 택시, 기차, 항공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버스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는 부착부(100), 거치부(200) 및 각도조절부(300)를 포함한다.
휴대기기 거치 장치(10)의 부착부(100)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를 좌석 시트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착부(100)는 절곡부(110)를 사이에 두고 거치부(200)와 연결되며, 벨크로 테이프, 접착제 등의 공지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좌석 시트에 결합될 수 있다.
휴대기기 거치 장치(10)의 거치부(200)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10)의 전면에 위치하며, 휴대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210)을 포함한다. 포켓(210)의 일측에는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휴대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11)가 포켓(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포켓(2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용부(213)는 개구부(2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모두 막힌 구조로 형성된다. 수용부(213)는 내부에 수용되는 휴대기기의 출입이 용이하게 하되 내부의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휴대기기의 부피보다는 약간 큰 부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켓(210)의 전면(215)은 투명한 폴리머 내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215)의 재질로는 PET, PC, PVC, TPU, 강화 유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포켓(210) 내부에 거치되는 휴대기기의 화면을 볼 수 있고 포켓 전면을 통해 휴대기기를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켓(210)의 일측에 연결구멍(21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멍(217)을 통해 포켓(210)의 수용부(213)에 수용된 휴대기기는 외부의 유선 이어폰이나 충전잭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11)가 포켓(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개구부(211)가 포켓(21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구멍 없이 측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이어폰 등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포켓(210)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기기를 거치부(200)에 장착된 포켓(210)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투명 재질의 포켓(210)의 전면(215)을 통해 휴대기기의 화면을 볼 수 있고 휴대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구멍(217)을 통해 포켓(210) 내부에 수용된 휴대기기에 이어폰 내지 충전잭을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켓(210)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포켓의 형상은 내부에 수용되는 휴대기기의 크기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포켓은 내부에 수용된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보유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켓은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넣거나 빼내기 더욱 편리하도록, 개구부에 인접한 위치에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여, 개구부와 수용부의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부착부(100)와 거치부(200)는 거치 장치를 좌석 시트에 고정하고 거치되는 휴대기기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으면서도 경량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200)와 부착부(1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거치부(200)와 부착부(1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별도의 힌지 구조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는 휴대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적합한 화면 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기기의 자세, 즉 휴대기기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휴대기기 거치 장치(10)가 좌석 시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부착부(100)에 대한 거치부(20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휴대기기 거치 장치(10)의 각도조절부(300)는 부착부(100)에 대한 거치부(200)의 자세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조절부(300)가 부착부(100)에 설치되는 제1 자석부(310) 및 거치부(200)에 설치되는 제2 자석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자석부(310)는 부착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 자석부는 거치부(200)의 타측[거치부(200)에서 부착부(100)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휴대기기 거치 장치(10)가 좌석 시트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자석부(310)는 부착부(10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제2 자석부(320)는 거치부(200)의 타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거치부(200)와 부착부(1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자석부(32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자석부(32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하부 자석(321) 및 상부 자석(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00)에 대한 거치부(200)의 각도는 제2 자석부(320)의 복수의 자석[하부 자석(321) 및 상부 자석(323)] 중 어느 쪽이 제1 자석부(310)와 결합하는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2 자석부(320)의 하부 자석(321)이 제1 자석부(3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거치부(200)는 부착부(100)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자석부(320)의 상부 자석(323)이 제1 자석부(3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거치부(200)는 하측이 수평방향으로 하부 자석(321)의 폭만큼 부착부(100)로부터 이격되어 부착부(1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자석부(320)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각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제2 자석부(320)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3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자석부(320) 대신에 제1 자석부(310)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여, 제1 자석부(310)의 복수의 자석 중 하나를 제2 자석부(320)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에서 거치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휴대기기 거치 장치(10)가 좌석 시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거치부(200)는 부착부(100)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휴대기기 거치 장치(10)의 자세를 '제1 모드'라고 한다. 제1 모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자석부(320)의 하부 자석(321)이 제1 자석부(31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거치부(200)의 하부를 전면 방향[부착부(100)로부터 거치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2 자석부(320)의 하부 자석(321)과 제1 자석부(3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부 자석(323)이 아래로 이동하여 제1 자석부(31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하부 자석(321)은 상부 자석(323)의 무게, 거치된 휴대기기의 무게 및 상부 자석(323)과 제1 자석부 사이의 자력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는 부착부(100)에 대해 각도 α만큼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휴대기기 거치 장치(10)의 자세를 '제2 모드'라고 한다.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를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다시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하부 자석(321)을 아래에서 위로 누르면 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부 자석(321)에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부 자석(323)과 제1 자석부(3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하부 자석(321)이 부착부(100)를 향해 이동하여 제1 자석부(310)에 다시 결합하게 된다. 이때, 하부 자석(321)과 제1 자석부(310) 사이의 자력으로 인하여 상부 자석(323)은 자연스럽게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기기 거치 장치는 거치부(200)가 부착부(100)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모드로 다시 전환된다(도 4의 (c) 참조).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는 휴대기기 및 자석의 무게와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거치 장치의 자세를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편리한 각도에서 휴대기기의 화면을 바라보도록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가 버스에서 이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10)가 버스의 좌석 시트에 설치되어 있고 승객들은 휴대기기 거치 장치(10)에 자신의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화면을 바라보고 있다. 여기서, 가운데 앉아있는 승객(P1)의 경우, 승객(P1)은 자신이 휴대기기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거치부(200)에 수용되어 있는 휴대기기의 화면 방향이 서로 평행하여 휴대기기를 편안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조작할 수 있다. 이때,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는 제1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뒤에 앉아있는 승객(P2)의 경우, 앞 좌석이 젖혀져 있어 휴대기기 거치 장치(1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휴대기기 화면을 비스듬히 바라볼 수밖에 없어 불편함을 겪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는 각도조절부(300)에 의해 거치부(2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뒤에 앉아있는 승객(P2)이 간단한 조작으로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를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적합한 방향에서 휴대기기 화면을 바라보고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 좌석이 젖혀져 있는지 여부와 그 정도, 자신의 앉은 키 등에 따라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를 자신에게 적합한 자세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종래 대중교통 좌석 시트의 후면에는 일반적으로 인쇄된 광고물이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물은 승객의 주목을 끌거나 흥미를 유발할 수 없어 실질적인 광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기기 거치 장치의 주변 및 포켓 내부에 광고지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승객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광고지를 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높은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 장치의 주변 및 포켓 내부에 광고지가 배치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좌석 시트의 후면에서 휴대기기 거치 장치(10)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광고지가 배치될 수 있다(도 6의 (a) 참조). 이러한 배치 구조를 통해, 승객이 자신의 휴대기기의 화면을 바라보는 시선 상에 광고지가 배치되기 때문에 승객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광고지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거치부(200)의 포켓(210) 내부에도 광고지가 배치될 수 있어, 휴대기기를 거치하는 과정에서 승객의 시선은 광고지를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기기 거치 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켓(210) 내부에 배치된 광고지가 노출되어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휴대기기가 포켓(2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휴대기기에 의하여 광고지가 가려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끼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기기 거치 장치는 차량의 좌석 시트에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모차 내지 휠체어의 후방, 실내외 벽 등 휴대기기의 안정적인 거치가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구애받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휴대기기 거치 장치
100: 부착부
110: 절곡부
200: 거치부
210: 포켓
211: 개구부
213: 수용부
215: 전면
217: 연결구멍
300: 각조조절부
310: 제1 자석부
320: 제2 자석부
321: 하부 자석
323: 상부 자석

Claims (6)

  1. 좌석 시트에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휴대기기 거치 장치로서,
    좌석 시트에 결합되는 부착부,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착부에 연결되며, 휴대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을 포함하는 거치부 및
    상기 부착부에 대한 상기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는 제1 자석부 및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부 및 상기 제2 자석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자석 중 결합하는 자석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착부에 대한 상기 거치부의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거치부의 포켓의 일측에는 휴대기기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포켓 내부에는 휴대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의 포켓 전면은, 상기 포켓 전면을 통하여 상기 포켓에 수용되는 휴대기기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포켓에 수용되는 휴대기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투명한 폴리머 또는 강화 유리로 이루어지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부는 상기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부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는 상기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부의 복수의 자석 중 상기 제2 자석부와 결합하는 자석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착부에 대한 상기 거치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부는 상기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부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석부는 상기 부착부가 좌석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석부의 복수의 자석 중 상기 제1 자석부와 결합하는 자석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착부에 대한 상기 거치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포켓 내부에는 광고지가 배치되어 휴대기기가 수납되지 않은 경우 상기 포켓 전면을 통해 상기 광고지가 노출되는, 휴대기기 거치 장치.
KR1020190056550A 2019-05-14 2019-05-14 휴대기기 거치 장치 KR10205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550A KR102053579B1 (ko) 2019-05-14 2019-05-14 휴대기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550A KR102053579B1 (ko) 2019-05-14 2019-05-14 휴대기기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579B1 true KR102053579B1 (ko) 2019-12-06

Family

ID=6883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550A KR102053579B1 (ko) 2019-05-14 2019-05-14 휴대기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5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213U (ko) * 2011-04-11 2012-10-19 신인철 태블릿 피시 케이스 겸용 차량용 거치대
KR20120135978A (ko) * 2011-06-08 2012-12-18 박문성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US20140346167A1 (en) * 2013-05-22 2014-11-27 Ferrari S.P.A.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upling system to be coupled to a seat
KR101562956B1 (ko) 2014-04-11 2015-10-23 (주)대인테크 다기능 차량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213U (ko) * 2011-04-11 2012-10-19 신인철 태블릿 피시 케이스 겸용 차량용 거치대
KR20120135978A (ko) * 2011-06-08 2012-12-18 박문성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US20140346167A1 (en) * 2013-05-22 2014-11-27 Ferrari S.P.A.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upling system to be coupled to a seat
KR101562956B1 (ko) 2014-04-11 2015-10-23 (주)대인테크 다기능 차량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302B2 (en) Armrest expansion device
US9376047B2 (en) Tray arrangement for a vehicle, passenger seat and aircraft
US8934063B2 (en)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US10569878B2 (en) Mounting arm assembly
US10272847B1 (en) Foldable clamping device
US20080041282A1 (en) Modular multi-wall tray retrofitable to a wheelchair
JP2014511794A (ja)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用シートバックホルダ
US20140117061A1 (en) Electronic tablet holder
US20050156952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s
CN111806699A (zh) 乘客娱乐装置、乘客座椅设备和交通工具
US20200336581A1 (en) Personal mobile electronic device support apparatus
US10124814B2 (en) Passenger cabin of a vehic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ssenger cabin
KR102053579B1 (ko) 휴대기기 거치 장치
US20170096224A1 (en) Vehicle seat sleeping device
CN103192771A (zh) 自动固定式车用数码设备支架
TW201330755A (zh) 顯示設備與安裝裝置
WO2011070515A1 (en) A seat
JP3139533U (ja) 画像表示装置付のタクシー運転席防犯用パネル
CN102473366B (zh) 图像显示装置
CN204527049U (zh) 交通工具用的手机固定器
KR101402727B1 (ko) 접이식 영상 확대경용 마운트
KR20130103222A (ko) 연설 또는 강의용 디지털 테이블
US103617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s
CN117719430A (zh) 一种汽车及其磁吸充电固定设备
KR20160057887A (ko) 휴대용 통신기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