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545B1 - 디페닐리오도니움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페닐리오도니움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545B1
KR102053545B1 KR1020180103114A KR20180103114A KR102053545B1 KR 102053545 B1 KR102053545 B1 KR 102053545B1 KR 1020180103114 A KR1020180103114 A KR 1020180103114A KR 20180103114 A KR20180103114 A KR 20180103114A KR 102053545 B1 KR102053545 B1 KR 10205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usarium
diphenyliodonium
dpi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관
정복남
이태영
지성연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곰팡이 및 세균에 대해 항진균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페닐리오도니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은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 및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항미생물제제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페닐리오도니움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Antifungal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diphenyliodonium}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곰팡이 및 세균에 대해 항진균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페닐리오도니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NADPH 산화효소는 다양한 생물에서 발견되는 생체내 활성산소의 생산근원으로 원래 호중구, 마크로파지(macrophage)라는 탐식세포의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생산계로서 동정된 효소이다. 다량의 활성산소는 세포내에서 독성물질로 작용하지만, 외부 신호에 의하여 특정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생성되는 낮은 농도의 활성산소는 세포의 성장, 사멸과 더불어 면역 등의 세포기능을 조절하는 이차신호전달물질로서의 역할을 한다. 특히, 진균계에서 발견되는 NADPH 산화효소는 자실체 형성, 자낭포자 발아와 같은 세포 분화와 기주 식물체 침입/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NADPH 산화효소 계열의 전자 전달 막 단백질은 200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발견되었지만 진균류에서 동식물에 이르기까지 진핵생물에만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세균에서 ferric reductase가 진핵생물의 NADPH 산화효소와 높은 상동성을 가지며 유사한 기능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NADPH 산화효소와 마찬가지로 ferric reductase는 FAD (flavin adenine dinucleotide)를 표적으로 하는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 DPI)에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Hajjar et al., mBio 6:e01487(2017)]. 이에 따라 미생물의 생장과 진화에 있어 NADPH 산화효소의 다기능적 역할의 제어는 식물 병원균의 병 진전과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중요한 타겟이 될 수 있다.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 DPI)은 플라보엔자임(flavoenzymes)을 억제하는 NADPH 산화효소 저해제로 알려져 있다. 이 저해제는 FAD (flavin adenine dinucleotide)를 페닐 라디칼(phenyl radical) 형태로 환원시켜 아미노산, FAD (flavin adenine dinucleotide) 결합 부근, 보조인자를 직접적으로 공격하여 비가역적으로 효소를 저해한다[O'Donnell et al., Mol. Pharmacol. 46:778-785(1994)]. 식물 병원균과 관련하여 NADPH 산화효소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있으나, 현재까지 DPI와 같은 NADPH 산화효소 저해제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미생물의 방제 가능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식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알려지지 않은 DPI에 대해 연구한 끝에 DPI가 NADPH 산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식물병원성 세균 및 곰팡이에 대해 우수한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16844
본 발명의 목적은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사용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 DPI)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진균 활성"이란 진균(곰팡이)의 생장이나 생식 등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며, 진균 포자의 발아나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진균용 조성물은 푸자리움(Fusarium)속, 실린드로카폰(Cylindrocarpon)속, 보트라이티스(Botrytis)속, 마그나포르세(Magnaporthe)속,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속 등이 포함된 자낭균류에 속하는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불완전균류 등에 속하는 진균에 대해서도 항진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진균용 조성물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진균의 예로는,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Magnaporthe oryzae),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균 활성"이란 세균이 자라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며, 원칙적으로 "항진균 활성"과는 구분되나, 양자를 엄격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항균 활성"과 "항진균 활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세균의 예로는,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람 음성 세균 뿐만 아니라 그람 양성 세균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은 디페닐리오도니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Magnaporthe oryzae),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및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진균 및/또는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항진균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은 NADPH 산화효소 저해제인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NADPH 산화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을 통해 진균 및/또는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이란 항진균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 항진균제, 항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제균제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진균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은 진균 및/또는 세균 균주의 생장 억제용 배지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곰팡이의 포자 발아 또는 세균의 성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본배지"에 유효량의 DPI (diphenyliodonium)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본배지”는 곰팡이 또는 세균을 배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아무런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본배지는 곰팡이의 포자 발아 관찰이 용이한 액체배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본배지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MM (minimal medium), PDB (potato dextrose broth), CM (complete medium) 또는 LB (luria bertani) 배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량”이란 조성물 내에 포함된 DPI (diphenyliodonium)가 항균 및/또는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첨가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진균용 조성물, 항균용 조성물 및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에 첨가되는 DPI (diphenyliodonium)의 농도는 0.1 mM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진균 및 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Magnaporthe oryzae),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및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진균 또는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의 예로는 붉은곰팡이병, 잎집무늬마름병, 벼 키다리병, 인삼 뿌리썩음병, 사과 탄저병, 벼 도열병, 잿빛곰팡이병, 벼 알마름병, 풋마름병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식물병 방제제, 종자 코팅제, 토양 개량제 등의 농약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 외에 농약제제로 사용가능한 담체를 함께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예로는 동결보존제, 스킴밀크(skim milk),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농약 제형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담체 이외에도 부형제, 희석제, 코팅 응집물질 등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물과 희석하여 분제로 산포되거나 수용성 수화제, 과립, 오일 현탁액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방제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식물에는 독성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적정량의 디페닐리오도니움을 식물 또는 재배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종자에 직접 처리하거나, 잎 또는 줄기에 적용하거나, 또는 식물이 생장하는 토양에 관주 또는 점적 적용을 통해 적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Magnaporthe oryzae),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및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진균 또는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병의 예로는 붉은곰팡이병, 잎집무늬마름병, 벼 키다리병, 인삼 뿌리썩음병, 사과 탄저병, 벼 도열병, 잿빛곰팡이병, 벼 알마름병, 풋마름병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은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 푸자리움 푸지쿠로이, 푸자리움 옥시스포룸, 푸자리움 솔라니,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벌크홀데리아 글루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슈도모나스 푸티다 및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 및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항미생물제제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DPI (diphenyliodonium)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 곰팡이 균주들의 포자 발아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접종 후 4, 8 및 12시간째 관찰). Con: DPI를 함유하지 않은 액체배지, DPI: 0.1 mM의 DPI를 함유한 액체배지, Fg: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Ff: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Fo: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Fs: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Cd: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Bc: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Mo: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Magnaporthe oryzae), Cg: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도 2는 DPI (diphenyliodonium)가 포함된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포자를 멸균수에 2번 씻어낸 뒤 DPI가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액체배지에 포자를 재현탁 후 12시간 동안 배양했을 때 곰팡이 포자 발아가 회복되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Con: DPI에 그대로 노출된 채 배양한 포자, DPI washing: 멸균수에 씻어 낸 뒤 DPI가 포함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포자, Fg: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Ff: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Fo: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Fs: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Cd: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Bc: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Mo: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Magnaporthe oryzae), Cg: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도 3은 DPI (diphenyliodonium)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 세균의 생장을 OD (Optical density)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Bg: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Bm: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Pp: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Rs: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NADPH 산화효소 저해제인 DPI가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적으로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에 대해 1 mM 농도의 DPI를 처리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DPI에 의해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의 포자발아가 억제되고 포자에서 포자를 생성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발명자들은 DPI가 다양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와 세균 종에 대해 적은 농도로도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DPI가 곰팡이 포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DPI의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에 심각한 병해를 일으키고, 실제 포장 과정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하기 8종의 식물병원성 곰팡이들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모두 분생포자가 전염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DPI가 곰팡이 분생포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DPI의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DPI가 곰팡이 분생포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는 CMC (carboxylmethyl cellulose) 배지에서,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는 PDB (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Magnaporthe oryzae)는 CA (carrot agar) 배지에서 포자를 유도하였다. 곰팡이 균주의 생성된 분생포자(105 분생포자/ml)를 0.1 mM의 DPI (Sigma-Aldrich, CAS number: 4673-26-1)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20 ml 최소배지(MM)에 접종하였다. 25℃ 온도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접종 후 매 4시간마다 분생포자의 발아를 관찰하였다. 분생포자 발아를 관찰하기 위해서 배양액 20 ul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떨어뜨리고 커버슬립으로 덮은 뒤 광학현미경의 재물대에 올리고 400배 대물렌즈를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DPI의 첨가는 푸자리움 속의 균주들과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의 분생포자 발아를 완전히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와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의 경우에는 발아된 포자가 관찰되기는 하였으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아된 균사의 길이가 짧은 상태로 유지되었다(도 1).
이러한 결과는 DPI가 식물 병원성 곰팡이 균주의 포자 발아를 억제시킴으로써 위 균주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물질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DPI의 제거가 곰팡이 포자 발아 회복에 미치는 영향
위 실시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DPI의 항진균 활성이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키는 효과인지 아니면 생장을 중단시키는 효과인지를 더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DPI의 제거가 곰팡이의 분생포자 발아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0.1 mM의 DPI가 포함된 액체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마그나포르세 오라이재(Magnaporthe oryzae)의 분생포자를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멸균수에 재현탁하는 과정을 2번 이상 반복하였다. DPI를 씻어낸 분생포자를 수거한 뒤 멸균수에 2번 재현탁한 후 0.1 mM의 DPI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20 ml 최소배지(MM)에 재접종하였다. 25℃ 온도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접종 12시간 후에 분생포자의 발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DPI의 제거는 상기 실험 균주들의 분생포자 발아를 완전히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이러한 결과는 DPI가 식물 병원성 곰팡이 균주를 완전히 사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생장을 중단시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DPI는 다른 미생물 농약제제에 비해 환경오염과 저항성 미생물의 출현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물질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DPI가 세균 생장에 미치는 영향
DPI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식물 병원성 세균인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을 실험 균주들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 균주들은 모두 식물에서 분리된 것으로 강력한 식물병원성 세균 내지 기회성 식물병원성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식물의 뿌리, 식물의 잔재, 종자, 토양에서 상기 실험 곰팡이 균주들과 공존하고 있으며 식물의 병 진전을 돕는 특징을 가진다.
0.1 mM의 DPI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최소 배지(MM)에 OD (optical density)값을 0.5로 맞춘 세균 현탁액을 5 ul 접종한 후, 30℃, 200 rpm 조건의 진탕배양기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하고, 접종 후 매 4시간마다 OD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균주들의 OD값을 측정한 결과, 세균은 모두 DPI의 첨가에 의해 생장이 완전히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위 결과는 DPI가 식물병원성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PI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토양, 종자 및 식물체에서 월동하고 전염하는 세균의 밀도 증가를 제어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및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생장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3. 삭제
  4.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및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세균에 대하여 생장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제2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및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진균의 생장 억제용 배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의 생장 억제용 배지 조성물은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0.1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4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및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세균의 생장 억제용 배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원성 세균의 생장 억제용 배지 조성물은 디페닐리오도니움(diphenyliodonium)을 0.1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2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및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의 방제용 조성물.
  10. 제4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및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의 방제용 조성물.
  11. 제2항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자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자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실린드로카폰 데스트럭탄스(Cylindrocarpon destructans),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및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의 방제 방법.
  12. 제4항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홀데리아 글루메(Burkholderia glumae),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및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의 방제 방법.
KR1020180103114A 2018-08-30 2018-08-30 디페닐리오도니움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053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14A KR102053545B1 (ko) 2018-08-30 2018-08-30 디페닐리오도니움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14A KR102053545B1 (ko) 2018-08-30 2018-08-30 디페닐리오도니움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545B1 true KR102053545B1 (ko) 2019-12-06

Family

ID=6883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114A KR102053545B1 (ko) 2018-08-30 2018-08-30 디페닐리오도니움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5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844A (ko) 1999-07-16 2002-03-06 추후보정 반응성 산소 대사산물 저해제를 이용한 세포독성 림프구의활성화 및 보호
KR20160081605A (ko) * 2014-12-31 2016-07-08 (의료)길의료재단 헬리코박터 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844A (ko) 1999-07-16 2002-03-06 추후보정 반응성 산소 대사산물 저해제를 이용한 세포독성 림프구의활성화 및 보호
KR20160081605A (ko) * 2014-12-31 2016-07-08 (의료)길의료재단 헬리코박터 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133(2), 175-179*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4(28), 11772-11777* *
Scientific Reports, 7 (www.nature.com/scientificrepor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53220B2 (en) Trichoderma atroviride SC1 for biocontrol of fungal diseases in plants
Solanki et al. Characterization of antagonistic‐potential of two Bacillus strains and their biocontrol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solani in tomato
Sreedevi et al. Isolation and screening of effective Trichoderma spp. against the root rot pathogen Macrophomina phaseolina
Jalili et al. Identification and salt tolerance evaluation of endophyte fungi isolates from halophyte plants
KR20150057083A (ko) 솜털곰팡이병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hc57 및 이의 배양방법
US10327448B2 (en) Bacterium of Bacillus genus and uses thereof
McAllister et al. Interaction between Aspergillus niger van Tiegh. and Glomus mosseae.(Nicol. & Gerd.) Gerd. & Trappe
Yasser et al. Molecular identification, extracellular enzyme produc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Solanum tuberosum L
Elshahawy et al. Field application of sclerotial mycoparasites as biocontrol agents to Stromatinia cepivora, the cause of onion white rot
KR101801754B1 (ko)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Sallam et al. Phys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assessments of the susceptibility of different tomato (Solanum lycopersicum) cultivars to early blight disease
KR100411185B1 (ko)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ag-p(kctc8965p)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Fiss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piphytic fungi from the phyllosphere of apple as potential biocontrol agents against apple scab (Venturis inaequalis)/Isolierung und Charakterisierung von epiphytischen Pilzen aus der Phyllosphäre von Äpfeln zur biologischen Bekämpfung des Apfelschorferregers Venturia inaequalis
KR102053545B1 (ko) 디페닐리오도니움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용 조성물
Leung et al. Brown Root Rot Disease of Phyllanthus myrtifolius: The causal agent and two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Mejdoub-Trabelsi et al. Antagonizing impact of endophytic fungal isolates against potato black scurf (Rhizoctonia solani)
Pin Viso et al. In vitro antagonistic activity of native bacteria isolated from soils of the argentine Pampas against Fusarium tucumaniae and Fusarium virguliforme
Lee et al. Large scale cultivation of Bacillus velezensis CE 100 and effect of its culture on control of citrus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Antić et al.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ucculent plant Tacitus bellus response to Fusarium verticillioides infection in vitro
KR100663955B1 (ko) 평지과 식물 병해의 방제제 및 방제방법
EP3075249B1 (en) Product for controlling phytopathogenic fungi that cause grapevine wood diseases and method for the application thereof in grapevine grafts
CA2325215A1 (en) Biocontrol of weeds
Majumdar et al. Effect of pH on Mycelial Growth and Sporulation of Postharvest Pathogen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 Penz & Sacc. and Pestalotiopsis mangiferae (Henn.) Steyaert
KR101481897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에스피 bs063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Islas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an emerging disease of strawberry in Califor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