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181B1 -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 Google Patents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181B1
KR102053181B1 KR1020170168735A KR20170168735A KR102053181B1 KR 102053181 B1 KR102053181 B1 KR 102053181B1 KR 1020170168735 A KR1020170168735 A KR 1020170168735A KR 20170168735 A KR20170168735 A KR 20170168735A KR 102053181 B1 KR102053181 B1 KR 10205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opening
housing
rice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959A (ko
Inventor
김윤미
하익진
Original Assignee
김윤미
하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미, 하익진 filed Critical 김윤미
Priority to KR102017016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181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미곡을 처리하는 미곡처리장 등에 설치되어 미곡을 이송하우징에 설치된 체인컨베이어를 통해 사일로 등에 일정량 투입 및 폐쇄 시 셔터하우징과 개폐문 사이에 단차로 인한 미곡 잔량이 남지 않도록 하여 종류가 다른 미곡이 상호 섞이지 않도록 한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미곡처리장에서 다량의 미곡을 이송하우징(3)을 통해 체인컨베이어(18)로 이송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사일로(2)로 미곡 낙하 개구(6)를 통해 낙하, 투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폐문(10)을 갖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셔터하우징(1) 하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공간(13)을 가진 하부브라켓(11)과; 상기 하부브라켓(11) 하부로 고정되는 지지패널(14,15)에 의해 형성되는 미곡 낙하 개구(16)와; 상기 하부브라켓(11) 일측으로 설치된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와 연결되어 슬라이드공간(13)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개폐문(10)과; 상기 개폐문(10)에 형성되는 미곡 낙하 개구(17)와; 상기 개폐문(10)의 상부면은 셔터하우징(1)의 바닥면(5)과 동일 높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11) 전후로 고정되어 개폐문(10)이 슬라이드 작동시 상부면을 잡아서 안내하는 전후의 상부브라켓(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Rice processing plant for non remaining quantity shutter}
본 발명은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종 미곡(쌀을 포함한 다양한 곡물을 통칭함)을 처리하는 미곡처리장 등에 설치되어 미곡을 이송하우징에 설치된 체인컨베이어를 통해 사일로 등에 일정량 투입 및 폐쇄 시 셔터하우징과 개폐문 사이에 단차로 인한 미곡 잔량이 남지 않도록 하여 종류가 다른 미곡이 상호 섞이지 않도록 한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곡처리장 등에서는 미곡을 벌크 백(bulk bag) 등에 담아서 사일로(silo) 등에 보관하기 위해 투입호퍼를 통해 투입한 후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송시킨 후 이송하우징에서 체인컨베이어로 해당 사일로에 미곡을 이송, 보관하게 된다.
이때 미곡을 수평이송하는 이송하우징 중간 중간에 셔터가 설치되어 각각의 사일로에 미곡을 투입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이송하우징 중간 중간에 설치되는 셔터는 체인컨베이어에 설치된 이송편이 이송하우징과 셔터하우징의 바닥면에 연접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미곡을 이송하는데, 이때 셔터는 셔터하우징 바닥면 두께 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셔터가 폐쇄되었을 시에 체인컨베이어의 이송편이 지나가면서 이송한 미곡의 일부가 셔터하우징의 미곡 낙하 개구와 셔터 상부에 잔량이 남게 되고, 이는 이송, 투입하는 미곡의 종류가 상이할 경우 셔터 상부에 남은 미곡이 다른 미곡과 섞이게 되므로 결국 선별 및 포장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할 방안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KR 등록실용신안 20-0468113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는 미곡을 이송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체인컨베이어의 이송편을 사용하여 사일로에 낙하, 투입할 시에 이송하우징의 미곡 낙하 개구와 셔터 상부에 미곡의 잔량이 남지 않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사일로에 투입되는 다른 종류의 미곡이 상호 섞이지 않도록 한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미곡처리장에서 다량의 미곡을 이송하우징을 통해 체인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사일로로 미곡 낙하 개구를 통해 낙하, 투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폐문을 갖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셔터하우징 하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공간을 가진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 하부로 고정되는 2개의 지지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미곡 낙하 개구와;
상기 하부브라켓 일측으로 설치된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연결되어 슬라이드공간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개폐문과;
상기 개폐문에 형성되는 미곡 낙하 개구와;
상기 개폐문의 상부면은 이송하우징 바닥면과 동일 높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 전후로 고정되어 개폐문이 슬라이드 작동시 상부면을 잡아서 안내하는 전후의 상부브라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는 다량의 미곡을 이송하우징(3)을 통해 하부에 설치된 사일로(2)로 낙하, 투입할 시에 미곡 잔량이 셔터하우징(1) 바닥면(5)과 개폐문(10) 사이에 남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미곡 이송 및 투입 등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미곡의 선별 불량 및 포장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주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를 보인 사용 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를 보인 작용상태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는 미곡을 수평 이송하는 이송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체인컨베이어의 이송편을 사용하여 사일로에 낙하, 투입할 시에 셔터하우징의 미곡 낙하 개구와 개폐문 상부에 미곡의 잔량이 남지 않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사일로에 투입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미곡이 섞이지 않도록 한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셔터를 셔터하우징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 사이에서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신축작동할 시에 개폐문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개폐문의 상부면이 셔터하우징의 체인컨베이어의 이송편이 연접하며 경유하는 내부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사용상태 평면도, 도 4는 셔터의 개폐 전후를 보인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는 체인컨베이어(18)가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하우징(3)의 중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게 된다.
즉, 이송하우징(3)을 통해 체인컨베이어(18)가 미곡을 이송하면서 이송하우징(3)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사일로(2) 등으로 미곡을 낙하, 투입하는 위치에 무잔량 셔터가 설치되는 것인데,
상기 셔터는 이송하우징(3)에 일정 간격을 두고 셔터하우징(1)이 연속하여 설치되므로 그 양측면부가 이송하우징(3)의 양측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개략 상부가 개방형이고 하부 양측으로는 경사면(4)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경사면(4)을 이어주는 수평의 바닥면(5)을 갖는다.
상기 셔터하우징(1)의 바닥면(5)에는 미곡이 이송과정에서 낙하, 사일로(2)에 투입할 수 있는 미곡 낙하 개구(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하우징(1)의 전후방향(X 방향, 미곡 이송방향)으로는 이송하우징(3)과 연결하기 위한 볼트공(7)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셔터하우징(1)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는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와 연결되어 슬라이드 운동을 하며 미곡 낙하 개구(6)를 개폐하는 개폐문(10)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문(10)은 셔터하우징(1)에 용접고정되는 하부브라켓(11)과, 상기 하부브라켓(11) 상부 양측으로 상부브라켓(12)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브라켓(11)이 형성하는 슬라이드공간(13)상에서 개폐문(10)이 Y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미곡 낙하 개구(6)를 개폐토록 한다.
상기 하부브라켓(11)은 슬라이드공간(13)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에 지지패널(14,15)이 전후로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패널(14,15)의 전후로 미곡 낙하 개구(6)와 연통되는 미곡 낙하 개구(16)가 상하로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브라켓(11)의 전측에 실린더(8)가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는 개폐문(10)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문(10)은 하부브라켓(11)의 슬라이드공간(13) 내부에 안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내입되는데, 피스톤로드(9)가 수축 시 개폐문(10)에 형성된 미곡 낙하 개구(17)가 전기한 이송하우징(3)에 형성된 미곡 낙하 개구(6) 및 하부브라켓(11)에 형성된 미곡 낙하 개구(16)와 연통되며 미곡이 낙하, 사일로(2) 등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는 미곡 등을 이송하우징(3)을 통해 체인컨베이어(18)로 이송 중 셔터하우징(1) 하부에 설치된 특정 사일로(2)에 미곡을 투입코자 할 시 개폐문(10)을 개방하여 이송되는 미곡이 미곡 낙하 개구(6,16,17)를 통해 사일로(2)에 낙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미곡 등의 잔량이 셔터하우징(1)의 바닥면(5) 및 개폐문(10) 사이에 남지 않는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셔터는 미곡이 체인컨베이어(18)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하우징(3) 및 셔터하우징(1)의 바닥면(5)과 동일한 높이에 상면부를 가진 개폐문(10)을 상부브라켓(12) 및 하부브라켓(11) 사이에서 형성된 슬라이드공간(13)을 통해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신축하는 피스톤로드(9)와 연결하여 미곡 낙하 개구(6,16,17)를 개폐토록 하여 미곡이 사일로(2)로 투입시에는 상기 미곡 낙하 개구(6,16,17)가 개방되고, 미곡을 투입 차단코자 할 시에는 미곡 낙하 개구(6,16,17)가 폐쇄되어 투입을 중지할 수 있는데, 이때 이송하우징(3)과 셔터하우징(1)을 통해 체인컨베이어(18)에 의해 이송되는 미곡은 바닥면(5)을 지나가는 체인컨베이어(18)에 의해 이송이 되고, 셔터하우징(1) 바닥면(5)과 개폐문(10)의 상면부가 동일 수평면에서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미곡은 개폐문(10) 개방 시에는 사일로(2)로 낙하, 투입되며, 개폐문(10)이 폐쇄 시에는 셔터하우징(1) 바닥면(5)에는 미곡 잔량이 남지 않아 차기 다른 종류의 미곡을 이송할 시에 앞전 이송하는 미곡 잔량이 셔터하우징(1) 바닥면에 남아 차기 미곡과 섞여 사일로(2)로 투입되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는 다량의 미곡을 셔터하우징(1)을 통해 하부에 설치된 사일로(2)로 낙하, 투입할 시에 잔량이 셔터하우징(1) 바닥면(5)과 개폐문(10) 사이에 남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미곡 이송 및 투입 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셔터하우징 2: 사일로 3: 이송하우징 4: 경사면 5: 바닥면 6: 미곡 낙하 개구 7: 볼트공 8: 실린더 9: 피스톤로드 10: 개폐문 11: 하부브라켓 12: 상부브라켓 13: 슬라이드공간 14,15: 지지패널 16: 미곡 낙하 개구 17: 미곡 낙하 개구 18: 체인컨베이어

Claims (1)

  1. 미곡처리장에서 다량의 미곡을 이송하우징(3)을 통해 체인컨베이어(18)로 이송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사일로(2)로 미곡 낙하 개구(6)를 통해 낙하, 투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폐문(10)을 갖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셔터하우징(1) 하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공간(13)을 가진 하부브라켓(11)과;
    상기 하부브라켓(11) 하부로 고정되는 지지패널(14,15)에 의해 형성되는 미곡 낙하 개구(16)와;
    상기 하부브라켓(11) 일측으로 설치된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와 연결되어 슬라이드공간(13)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개폐문(10)과;
    상기 개폐문(10)에 형성되는 미곡 낙하 개구(17)와;
    상기 개폐문(10)의 상부면은 셔터하우징(1)의 바닥면(5)과 동일 높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11) 전후로 고정되어 개폐문(10)이 슬라이드 작동시 상부면을 잡아서 안내하는 전후의 상부브라켓(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KR1020170168735A 2017-12-08 2017-12-08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KR10205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735A KR102053181B1 (ko) 2017-12-08 2017-12-08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735A KR102053181B1 (ko) 2017-12-08 2017-12-08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959A KR20170142959A (ko) 2017-12-28
KR102053181B1 true KR102053181B1 (ko) 2019-12-06

Family

ID=6093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735A KR102053181B1 (ko) 2017-12-08 2017-12-08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1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44B1 (ko) 2007-05-16 2008-02-01 주식회사 디아이피 음식물 쓰레기 공기 흡입 이송에서의 각종 협잡물과 고압공기간 분리 장치
WO2013027402A1 (ja) 2011-08-22 2013-02-28 共立工業株式会社 分別ユニットを有する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13Y1 (ko) 2009-12-11 2013-07-23 김창곤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KR20120053271A (ko) * 2010-11-17 2012-05-25 제이씨엔지니어링(주) 곡물 적재 장치
KR101298242B1 (ko) * 2011-09-05 2013-08-22 일도바이오테크주식회사 우드칩의 배출이 용이한 우드칩 저장용 사일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44B1 (ko) 2007-05-16 2008-02-01 주식회사 디아이피 음식물 쓰레기 공기 흡입 이송에서의 각종 협잡물과 고압공기간 분리 장치
WO2013027402A1 (ja) 2011-08-22 2013-02-28 共立工業株式会社 分別ユニットを有する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959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2217A1 (en) Box packing device
JP2007535456A5 (ko)
NO20070676L (no) Matetrakt, fremgangsmate for lasing av veggene i en matetrakt og laseinnretning.
KR102053181B1 (ko)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WO2007125411A3 (en) Filling unit
KR101253040B1 (ko)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송 시스템
CN202498022U (zh) 高炉返矿筛分回收系统
KR102412008B1 (ko) 물품분류기용 슈트
CN203186955U (zh) 一种用于智能货柜自动出货的出货装置
US20170014654A1 (en)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for a container treatment installation
JP2016172638A (ja) 仕分け箱詰め装置
CN205634060U (zh) 一种自动称重称量送料机
JP6993680B2 (ja) ホッパ及びそ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
KR20190129045A (ko) 컨베이어 및 반송방법
KR102213967B1 (ko) 원료 이송 장치
CN204587752U (zh) 多通道料斗
EP2912943B1 (en) Egg sorter
KR101211248B1 (ko) 일회용기 제조장치
JP2006016199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の投入制御装置
KR20150083349A (ko) 석탄 운반용 선박의 석탄 이송장치
CN102424139B (zh) 一种自动包装机
CN107738901B (zh) 一种新型给品机
DE20208685U1 (de) Einrichtung zum lagegenauen Ausrichten und Bereitstellen von schüttgutartigen Kleinteilen
CN205167234U (zh) 一种混凝土配料机
CN210312581U (zh) 塑胶粒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