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56B1 - 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56B1
KR102052956B1 KR1020130057430A KR20130057430A KR102052956B1 KR 102052956 B1 KR102052956 B1 KR 102052956B1 KR 1020130057430 A KR1020130057430 A KR 1020130057430A KR 20130057430 A KR20130057430 A KR 20130057430A KR 102052956 B1 KR102052956 B1 KR 102052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lay
voltage
battery pack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6844A (en
Inventor
김종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56B1/en
Publication of KR2014013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는, 배터리 팩과 부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측정장치;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측정장치; 및 상기 제1 측정장치 및 제2 측정장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elay diagnostic apparatus for a battery pack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lays connecting a battery pack and a load; A first measuring device measuring a voltage of the battery pack; A second measuring device measuring a voltage applied to the load; And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first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Description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

실시 예는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relay diagnostic apparatus for a battery pack.

실시 예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battery control system.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에는 고전압 출력단을 연결하기 위해 릴레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battery packs for electric vehicles, relays are commonly used to connect high voltage output stages.

상기 고전압 릴레이가 웰딩(welding)되는 등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하여 오동작하면, 배터리 팩에 충격이 가해져 파괴되거나 차량 또는 탑승자에게 에 데미지(damage)를 가져올 수 있다.If a malfunction occurs due to a sudden failure such as welding of the high voltage relay, the battery pack may be shocked and destroyed, or damage may be caused to the vehicle or the occupant.

이에 따라 배터리 팩 안에 있는 고전압의 릴레이들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capable of detecting the state of the high voltage relays in the battery pack is required.

특히 배터리 팩의 정극성 전원라인과 부극성 전원라인에 연결되는 두 개의 릴레이들의 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detecting the states of two relays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line and the negative power line of the battery pack, respectively.

실시 예는 간단한 스위치를 통해 다수의 릴레이의 불량을 진단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relay diagnosis device for a battery pack capable of diagnosing a failure of a plurality of relays through a simple switch.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는, 배터리 팩과 부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측정장치;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측정장치; 및 상기 제1 측정장치 및 제2 측정장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elay diagnostic apparatus for a battery pack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lays connecting a battery pack and a load; A first measuring device measuring a voltage of the battery pack; A second measuring device measuring a voltage applied to the load; And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first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는 배터리 팩과 부하를 크로스로 연결하는 스위치의 제어를 통해 다수의 릴레이 불량을 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릴레이 불량에 의한 배터리 팩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lay diagnostic apparatus for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agnoses a plurality of relay failures by controlling a switch that crosses a battery pack and a loa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battery pack due to a relay failure. Can be.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불량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진리표이다.
도 3은 실시 예의 각 상태에 따른 배터리 팩 진단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tter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truth table for detecting a relay failur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battery pack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each state of the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는, 배터리 팩과 부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측정장치;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측정장치; 및 상기 제1 측정장치 및 제2 측정장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제1 측정장치 및 제2 측정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다수의 릴레이의 불량을 검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elay diagnostic apparatus for a battery pack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lays connecting between a battery pack and a load; A first measuring device measuring a voltage of the battery pack; A second measuring device measuring a voltage applied to the load; And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first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and detecting defects of the plurality of relays under control of the first switch, the first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정극성 단자와 상기 부하의 부극성 단자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may connect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load.

상기 제1 측정장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을 분압하는 제1 분압부; 및 상기 분압부와 상기 배터리 팩의 정극성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장치는,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압하는 제2 분압부; 및 상기 분압부와 상기 부하의 부극성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3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voltage divider configured to divide the voltage of the battery pack; And a second switch for connecting the voltage divider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second measurement device comprises: a second voltage divider configured to divide the voltage applied to the load; And a third switch for connecting the voltage divider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load.

상기 제1 측정장치는 상기 제1 분압부와 상기 배터리 팩의 부극성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4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장치는 상기 제2 분압부와 상기 부하의 정극성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5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ourth switch for connecting the first voltage dividing unit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second voltage dividing unit and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load. It may further include a fifth switch for connecting.

상기 제1 및 제2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통해 상기 다수의 릴레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plurality of relays are defective based on voltages measured by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device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tter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시스템은 릴레이 진단장치(2)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batter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relay diagnosis device 2 and a controller 40.

상기 릴레이 진단장치(2)는 배터리 팩(1) 및 부하(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lay diagnosis device 2 may be located between the battery pack 1 and the load 50.

상기 배터리 팩(1)은 직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리튬이온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The battery cell may be formed of a lithium ion battery.

상기 부하(50)는 배터리 팩(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생산하는 모터, 상기 배터리 팩(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다른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는 부하(50)의 종류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부하(50)는 상기 배터리 팩(1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어떠한 장치나 시스템도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50 may be a moto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pack 10 to generate power, and a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a voltage applied from the battery pack 10 to another voltage level.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load 50, and the load 50 may include any device or system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pack 10.

상기 배터리 팩(1)은 상기 부하(50)와 정극성 전원라인(PL1) 및 부극성 전원라인(PL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50 by the positive power line PL1 and the negative power line PL2.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PL1)은 상기 배터리 팩(1)의 정극성 단자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PL2)은 상기 배터리 팩(1)의 부극성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The positive power line PL1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 and the negative power line PL2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PL1)에는 제1 릴레이(31)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PL2)에는 제2 릴레이(33)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elay 31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line PL1, and the second relay 33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power line PL2.

상기 제1 릴레이(31)는 상기 배터리 팩(1)의 정극성 단자와 상기 부하(50)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릴레이(33)는 상기 배터리팩(1)의 부극성 단자와 상기 부하(50)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relay 31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 and the load 50, and the second relay 33 controls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 and the The connection of the load 50 can be controlled.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는 상기 제어부(4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각각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may be controlled on and off by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 respectively.

상기 릴레이 진단장치(2)는 제1 측정장치(10) 및 제2 측정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 diagnosis device 2 may include a first measurement device 10 and a second measurement device 20.

상기 제1 측정장치(10)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31, 33)의 일단과 상기 배터리 팩(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may be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31 and 33 and the battery pack 1.

상기 제1 측정장치(10)는 상기 배터리 팩(1)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장치(10)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 팩(1)의 정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측정장치(10)의 타단은 상기 배터리 팩(1)의 부극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장치(10)는 정극성 전원라인(PL1)과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PL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pack 1. One end of 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power line PL1 and the negative power line PL2.

상기 제2 측정장치(20)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31, 33)의 타단과 상기 부하(5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31 and 33 and the load 50.

상기 제2 측정장치(20)는 상기 부하(5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장치(20)의 일단은 상기 부하(5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정장치(20)의 타단은 상기 부하(50)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장치(20)는 정극성 전원라인(PL1)과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PL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load 50. One end of 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ad 5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ad 50. 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power line PL1 and the negative power line PL2.

상기 제1 측정장치(10) 및 제2 측정장치(20) 사이에는 제1 스위치(SW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SW1)는 상기 제1 측정장치(10) 및 제2 측정장치(20)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의 도통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SW1)는 상기 제어부(4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SW1)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A first switch SW1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The first switch SW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to control conduction of current. The first switch SW1 may be controlled on and off by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 The first switch SW1 may be formed of a transistor.

상기 제1 측정장치(10)는 제1 측정부(11), 제1 분압부(13) 및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may include a first measuring unit 11, a first voltage dividing unit 13, and a second switch SW2.

상기 제1 분압부(13)는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PL1) 및 부극성 전원라인(PL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압부(13)는 상기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PL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압부(13)는 직렬연결된 다수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압부(13)는 직렬연결된 다수의 제1 내지 제3 저항(R1 내지 R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voltage divider 13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power line PL1 and the negative power line PL2. The first voltage dividing unit 13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line PL1 through the second switch SW2. The first voltage divider 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in series. The first voltage divider 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o third resistors R1 to R3 connected in series.

상기 제1 분압부(13)는 상기 배터리 팩(1) 양단의 전압을 분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항(R2)은 상기 배터리 팩(1) 양단의 전압을 일정비율로 분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저항(R1 내지 R3)은 상기 배터리 팩(1) 양단의 전압을 1/100으로 분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항(R2)에는 상기 배터리 팩(1) 양단 전압의 1/100에 해당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을 A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The first voltage dividing unit 13 may serve to divide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pack 1. The second resistor R2 may serve to divide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pack 1 at a predetermined ratio. The first to third resistors R1 to R3 may divide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pack 1 to 1/100. A voltage corresponding to 1/100 of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pack 1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resistor R2. Both ends of the second resistor R2 may be defined as A terminals.

상기 제1 측정부(11)는 제2 저항(R2) 양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11)는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11)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11)는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11)는 상기 제어부(4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first measuring unit 11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second resistor R2. The first measuring unit 11 may measure the voltage across the second resistor R2. The first measuring unit 11 may include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The first measuring unit 11 may measure the voltage across the second resistor R2, convert it to a digital value, and transfer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controller 40. The first measuring unit 11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40.

상기 배터리 팩(1)의 전압은 상기 제1 분압부(13)에 의해 분압되어 제1 측정부(11)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1 측정부(11)는 상대적으로 저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측정부(11)가 저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어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Since the voltage of the battery pack 1 is divided by the first voltage dividing unit 13 and supplied to the first measuring unit 11, the first measuring unit 11 may measure a relatively low voltage. Therefore, the first measuring unit 11 can be set to a low capacity,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lay diagnostic apparatus of the battery pack.

상기 제2 스위치(SW2)는 상기 제어부(40)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단락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2 스위치(SW2)를 릴레이 진단과정이 있을 때만, 단락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팩(1)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second switch SW2 may be shorted or opened according to an on / off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ler 40 may control the second switch SW2 to be shorted only when there is a relay diagnosis process, there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pack 1.

상기 제2 측정장치(20)는 제2 측정부(21), 제2 분압부(23) 및 제3 스위치(SW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may include a second measuring unit 21, a second voltage dividing unit 23, and a third switch SW3.

상기 제2 분압부(23)는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PL1) 및 부극성 전원라인(PL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압부(23)는 상기 제3 스위치(SW3)를 통해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PL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압부(23)는 직렬연결된 다수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압부(23)는 직렬연결된 다수의 제4 내지 제6 저항(R4 내지 R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power line PL1 and the negative power line PL2.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power line PL2 through the third switch SW3.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in series.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ourth to sixth resistors R4 to R6 connected in series.

상기 제2 분압부(23)는 상기 부하(50) 양단의 전압을 분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압부(23)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31 및 33)를 통해 흐른 상기 배터리 팩(1) 양단의 전압을 분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5 저항(R5)은 상기 부하(50) 양단의 전압을 일정비율로 분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4 내지 제6 저항(R4 내지 R6)은 상기 부하(50) 양단의 전압을 1/100으로 분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5 저항(R5)에는 상기 부하(50) 양단 전압의 1/100에 해당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5 저항(R5) 양단을 B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The second voltage dividing unit 23 may serve to divide the voltage across the load 50.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may serve to divide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pack 1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lays 31 and 33. The fifth resistor R5 may serve to divide the voltage across the load 50 at a predetermined ratio. The fourth to sixth resistors R4 to R6 may serve to divide the voltage across the load 50 to 1/100. A voltage corresponding to 1/100 of the voltage across the load 50 may be applied to the fifth resistor R5. Both ends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defined as B stages.

상기 제2 측정부(21)는 제5 저항(R5) 양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21)는 상기 제5 저항(R5) 양단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21)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21)는 상기 제5 저항(R5)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21)는 상기 제어부(4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second measuring unit 21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fifth resistor R5. The second measuring unit 21 may measure the voltage across the fifth resistor R5. The second measuring unit 21 may include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The second measurement unit 21 may measure the voltage across the fifth resistor R5, convert the voltage to a digital value, and transmit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controller 40. The second measuring unit 21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40.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31, 33)를 통해 흐른 상기 배터리 팩(1)의 전압은 상기 제2 분압부(23)에 의해 분압되어 제2 측정부(21)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2 측정부(21)는 상대적으로 저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측정부(21)가 저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어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The voltage of the battery pack 1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lays 31 and 33 is divided by the second voltage dividing unit 23 and supplied to the second measuring unit 21. The measuring unit 21 may measure a relatively low voltage. Therefore, the second measuring unit 21 can be set to a low capacity,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lay diagnostic apparatus of the battery pack.

상기 제3 스위치(SW3)는 상기 제어부(40)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단락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3 스위치(SW3)를 릴레이 진단과정이 있을 때만, 단락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팩(1)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third switch SW3 may be shorted or opened according to the on / off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ler 40 may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pack 1 by controlling the third switch SW3 to be shorted only when there is a relay diagnosis process.

상기 제1 스위치(SW1)의 일단은 상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 사이 노드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스위치(SW1)의 타단은 상기 제4 저항(R4) 및 제5 저항(R5)의 사이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SW1)에 의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에 대한 크로스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비교적 간단한 상기 제1 스위치(SW1)에 의해 상기 릴레이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e end of the first switch SW1 may be connected to a node between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SW1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resistor R4 and the first resistor SW. 5 may be connected to a node of the resistor R5. The cross voltages of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may be measured by the first switch SW1. Since the failure of the relay can be detected by the relatively simple first switch SW1,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 불량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진리표이고, 도 3은 실시 예의 각 상태에 따른 배터리 팩 진단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truth table for detecting a relay failur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battery pack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each state of the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는 배터리 팩(1) 양단에서 500V의 전압이 측정된다. 상기 제1 측정부(11) 및 제2 측정부(21)는 1/100로 분압된 배터리 팩(1) 전압을 측정하므로, 0V 내지 5V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2 and 3, the relay diagnostic apparatus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easures a voltage of 500 V across the battery pack 1. Since the first measuring unit 11 and the second measuring unit 21 meas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pack 1 divided by 1/100, a voltage of 0V to 5V may be measured.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40)를 통해, 제2 스위치(SW2)를 단락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31, 33)를 온오프 제어한 상태에 따라 각각 제1 및 제3 스위치(SW1, SW3)를 순차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31, 33)의 불량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depending on the on-off control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31 and 33 in the state of shorting the second switch SW2 through the controller 40). SW1 and SW3 may b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and defectiv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31 and 33 may be detected.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state in which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operate normally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개방되는 경우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연결관계로 도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opened,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may be shown in a connection relationship as shown in FIGS. 3A and 3B.

도 3a와 같이 상기 제2 스위치(SW2)가 단락되는 경우 제2 저항(R2) 양단의 A단에서 5V의 전압이 측정되고, 제3 스위치(SW3)의 단락 또는 개방과 관계없이 상기 제5 저항(R5) 양단의 B단에서는 0V의 전압이 측정된다.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shorted as shown in FIG. 3A,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terminal across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fifth resistor is independent of the short or open of the third switch SW3. (R5) A voltage of 0 V is measured at the B terminal at both ends.

도 3b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더라도, 상기 배터리 팩(1)과 상기 제2 분압부(23)는 폐회로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의 A단에서는 0V가 측정된다.Even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ed as shown in FIG. 3B, since the battery pack 1 and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do not form a closed circuit, the battery pack 1 and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do not form a closed circuit. 0V is measured.

상기 제1 릴레이(31)가 개방되고, 상기 제2 릴레이(33)가 단락되는 경우 도 3c 및 도 3d와 같은 연결관계로 도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is opened and the second relay 33 is shorted, the first relay 31 may be shown in a connection relationship as shown in FIGS. 3C and 3D.

도 3c와 같이 상기 제2 스위치(SW2)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의 A단에서 5V의 전압이 측정되고, 상기 제3 스위치(SW3)의 단락 또는 개방과 관계없이 상기 제5 저항(R5) 양단의 B단에서는 0V의 전압이 측정된다.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shorted as shown in FIG. 3C,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terminal across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second switch SW2 is measured, regardless of the shorting or opening of the third switch SW3. 5 A voltage of 0 V is measured at the B terminal across the resistor R5.

도 3d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더라도, 상기 배터리 팩(1)과 상기 제2 분압부(23)는 폐회로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의 A단에서는 0V가 측정된다.Even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ed as shown in FIG. 3D, since the battery pack 1 and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do not form a closed circuit, the battery pack 1 and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do not form a closed circuit. 0V is measured.

상기 제1 릴레이(31)가 단락되고, 상기 제2 릴레이(33)가 개방되는 경우 도 3e 및 도 3f와 같은 연결관계로 도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is short-circuited and the second relay 33 is opened, the first relay 31 may be shown in a connection relationship as shown in FIGS. 3E and 3F.

도 3e와 같이 상기 제2 스위치(SW2)가 단락되는 경우 제2 저항(R2) 양단의 A단에서 5V의 전압이 측정되고, 상기 제3 스위치(SW3)의 단락되더라도 상기 배터리 팩(1)과 제2 분압부(23)는 폐회로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상기 제5 저항(R5) 양단의 B단에서는 0V의 전압이 측정된다.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shorted as shown in FIG. 3E,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terminal across the second resistor R2, and even if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ed, Since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does not form a closed circuit, a voltage of 0 V is measured at the B terminal across the fifth resistor R5.

도 3f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팩(1)은 상기 제4 저항(R4),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과 폐회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제2 저항(R2)의 양단인 A단에는 5V의 전압이 측정된다.When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ed as illustrated in FIG. 3F, the battery pack 1 forms a closed circuit with the fourth resistor R4,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terminal, which is both ends of the second resistor R2.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개방되는 경우 도 3g 및 도 3h와 같은 연결관계로 도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opened,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may be shown in a connection relationship as shown in FIGS. 3G and 3H.

도 3g와 같이 상기 제2 스위치(SW2)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인 A단에서 5V의 전압이 측정되고,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제5 저항(R5)의 양단인 B단에서는 5V의 전압이 측정된다.As shown in FIG. 3G, 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shorted,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terminal across the second resistor R2, and when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ed, the fifth resistor (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B stage both ends of R5).

도 3h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팩(1)은 상기 제4 저항(R4),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과 폐회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제2 저항(R2)의 양단인 A단에는 5V의 전압이 측정된다.When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ed as illustrated in FIG. 3H, the battery pack 1 forms a closed circuit with the fourth resistor R4,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terminal, which is both ends of the second resistor R2.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기준으로 정상적 상태에서의 전압 이외의 전압이 측정되는 경우를 분석하여 제1 및 제2 릴레이(31, 33)의 불량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On the basis of the voltage measur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operate normally, a case in which a voltage other than a voltage in a normal state is measured is analyzed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31, A defective state of 33 can be detected.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개방되도록 제어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된 상태에서 제2 저항(R2) 양단인 A단에 5V의 전압이 측정된다면, 상기 제1 릴레이(31)에 단락불량이 발생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릴레이(31)가 단락되고, 제2 릴레이(32)가 개방된 상태인 도 3f와 같은 회로의 연결관계에 의해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인 A단에 5V의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controlled to be opened by the control unit 40, the A stage which is opposite the second resistor R2 in the shorted state of the first switch SW1. If a voltage of 5V is measured, it can be recognized that a short circuit failure occurs in the first relay 31. In other words, a voltage of 5V is applied to the A terminal across the second resistor R2 due to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ircuit as shown in FIG. 3F in which the first relay 31 is shorted and the second relay 32 is open. This can be measured.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제1 릴레이(31)가 개방되고, 상기 제2 릴레이(33)가 단락되도록 제어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된 상태에서 제2 저항(R2) 양단인 A단에 5V의 전압이 측정된다면, 상기 제1 릴레이(31)에 단락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된 상태에서 제5 저항(R5) 양단인 B단에 5V의 전압이 측정된다면, 상기 제1 릴레이(31)에 단락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단락된 상태인 도 3g 및 도 3h와 같은 회로의 연결관계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는 경우 제2 저항(R2) 양단인 A단에 5V의 전압이 측정되고, 상기 제2 스위치(SW2)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제2 저항(R2) 양단인 A단에서 5V의 전압이 측정되며,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제5 저항(R5) 양단인 B단에서 5V의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is opened by the control unit 40 and the second relay 33 is controlled to be shorted, the second resistor R2 is in the shorted state of the first switch SW1. If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both ends of A, it may be recognized that a short circuit failure occurs in the first relay 31. In addition, when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B terminal across the fifth resistor R5 while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ed, it may be recognized that a short circuit failure occurs in the first relay 31.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circuited due to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ircuit as shown in FIGS. 3G and 3H in which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short-circuited, a second resistor ( R2)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terminal at both ends, and 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shorted,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terminal at both ends of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switch SW3 is measured. ) Is shorted, a voltage of 5V may be measured at the B terminal across the fifth resistor R5.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제1 릴레이(31)가 단락되고, 상기 제2 릴레이(33)가 개방되도록 제어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저항(R2)의 양단인 A단에 0V가 측정된다면, 상기 제1 릴레이(31)에 개방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개방된 상태인 도 3b와 같은 회로의 연결관계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더라도, 제2 저항(R2)의 양단인 A단에는 0V가 측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is short-circuited by the control unit 40 and the second relay 33 is controlled to be open, the second resistor R2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circuited. If 0V is measured at the A end of both ends, it may be recognized that an open defect has occurred in the first relay 31. In other words, even if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circuited by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ircuit as shown in FIG. 3B in which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in an open state, 0V can be measured at both ends of A.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제1 릴레이(31)가 단락되고, 상기 제2 릴레이(33)가 개방되도록 제어된 경우, 상기 제3 스위치(SW1)가 단락된 상태에서 상기 제5 저항(R5)의 양단인 B단에 5V가 측정된다면, 상기 제2 릴레이(33)에 단락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개방된 상태인 도 3g와 같은 회로의 연결관계에 의해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되는 경우 상기 제5 저항 양단인 B단에서 5V의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is short-circuited by the controller 40 and the second relay 33 is controlled to open, the fifth resistor R5 in the state where the third switch SW1 is short-circuited. If 5V is measured at the both ends of B), it may be recognized that a short circuit failure has occurred in the second relay 33. In other words, when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circuited by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ircuit as shown in FIG. 3G in which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in an open state, B which is both ends of the fifth resistor. At this stage a voltage of 5V can be measured.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단락되도록 제어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된 상태에서 A단에 0V의 전압이 측정되고,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된 상태에서 B단에 0V의 전압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릴레이(31)에 개방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릴레이(31)가 개방되고, 상기 제2 릴레이(33)가 단락된 상태인 도 3c 및 도 3d와 같은 회로의 연결관계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더라도 A단에는 0V가 측정되고,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되더라도 B단에는 0V가 측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controlled to be short-circuited by the control unit 40, a voltage of 0 V is measured at A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circuited. When a voltage of 0 V is measured at the B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ed, it may be recognized that an opening failure occurs in the first relay 31. In other words, even if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circuited by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ircuit as shown in FIGS. 3C and 3D in which the first relay 31 is opened and the second relay 33 is shorted. 0V is measured at the stage, and 0V may be measured at the stage B even if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ed.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가 단락되도록 제어된 경우,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된 상태에서 B단에 0V의 전압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제2 릴레이(33)에 개방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릴레이(31)가 단락되고, 상기 제2 릴레이(33)가 개방된 상태인 도 3e 및 도 3f와 같은 회로의 연결관계에 의해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되더라도 B단에는 0V가 측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controlled to be short-circuited by the controller 40, when a voltage of 0 V is measured at the B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circuited. It may be recognized that an open defect has occurred in the second relay 33. In other words, even if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circuited by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ircuit as shown in FIGS. 3E and 3F in which the first relay 31 is short-circuited and the second relay 33 is open. Stage 0V can be measured.

상기 제어부(40)에 의한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의 단락 또는 개방에 관계없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 모두 개방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연결관계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더라도 A단에는 0V가 측정되고,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되더라도 B단에는 0V가 측정될 수 있다.Regardless of short-circuit or opening of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by the control unit 40, if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are both defective in opening,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shown in FIGS. 3A and 3B, even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ed, 0 V may be measured at A stage, and 0 V may be measured at B stage even when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ed.

상기 제어부(40)에 의한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의 단락 또는 개방에 관계없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 모두 단락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3g 및 도 3h와 같은 연결관계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SW1)가 단락되는 경우 A단에 5V의 전압이 측정되고, 상기 제2 스위치(SW2)가 단락되는 경우 A단에 5V의 전압이 측정되며, 상기 제3 스위치(SW3)가 단락되는 경우 B단에 5V의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Regardless of short-circuit or opening of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by the controller 40, when the short-circuit defect occurs in both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shorted by a connection relationship as shown in FIGS. 3G and 3H, a voltage of 5 V is measured at the A stage, and a voltage of 5 V is applied at the A stage 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shorted. When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circuited, a voltage of 5 V may be measured at the B stage.

상기와 같은 간단한 스위치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릴레이(31) 및 제2 릴레이(33)의 불량 상태를 검출할 수 있어, 릴레이 불량에 의한 상기 배터리 팩(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간단한 회로를 이용하여 릴레이 불량을 검출할 수 있어 제조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By the simple switch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fective states of the first relay 31 and the second relay 33 can be detected, and damage to the battery pack 1 due to the defective relay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relay failure can be detected by using the simple circui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iagnosing relay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는 도 1과 비교하여, 스위치가 추가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도 1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relay diagnostic apparatus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the same as in FIG. 1 except that a switch is added. Therefore, in describing FIG.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components common to those in FIG. 1,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시스템은 릴레이 진단장치(2)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batter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relay diagnosis device 2 and a controller 40.

상기 릴레이 진단장치(2)는 배터리 팩(1) 및 부하(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lay diagnosis device 2 may be located between the battery pack 1 and the load 50.

상기 배터리 팩(1)은 상기 부하(50)와 정극성 전원라인(PL1) 및 부극성 전원라인(PL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50 by the positive power line PL1 and the negative power line PL2.

상기 릴레이 진단장치(2)는 제1 측정장치(10) 및 제2 측정장치(20) 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 diagnosis device 2 may include a first measuring device 10 and a second measuring device 20.

상기 제1 측정장치(10)는 제1 측정부(11), 제1 분압부(13), 제2 스위치(SW2) 및 제4 스위치(SW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may include a first measuring unit 11, a first voltage divider 13, a second switch SW2, and a fourth switch SW4.

상기 제1 분압부(13)는 상기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PL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압부(13)는 상기 제4 스위치(SW4)를 통해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PL2)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voltage dividing unit 13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line PL1 through the second switch SW2. The first voltage divider 13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power line PL2 through the fourth switch SW4.

상기 제4 스위치(SW4)는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4 스위치(SW4)는 상기 제2 스위치(SW2)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The fourth switch SW4 may be controlled on and off by the controller 40. The fourth switch SW4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witch SW2.

상기 제4 스위치(SW4)를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PL2)과 제1 분압부(13) 사이에 형성하여, 측정과정이 진행되지 않을 때, 상기 배터리 팩(1)의 부극성 단자와 상기 제1 분압부(13)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배터리 팩(1)의 전력소비를 줄이고, 상기 배터리 팩(1)으로부터의 고전압에 의해 상기 제1 측정장치(10)의 구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ourth switch SW4 is formed between the negative power supply line PL2 and the first voltage divider 13 so that when the measurement process is not in progress,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 and the first switch SW4 are disposed. The voltage dividing unit 13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pack 1 and to prev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from being damaged by the high voltage from the battery pack 1. do.

상기 제2 측정장치(20)는 제2 측정부(21), 제2 분압부(23), 제3 스위치(SW3) 및 제5 스위치(SW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easuring device 20 may include a second measuring unit 21, a second voltage dividing unit 23, a third switch SW3, and a fifth switch SW5.

상기 제2 분압부(23)는 상기 제3 스위치(SW3)를 통해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PL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압부(23)는 상기 제5 스위치(SW5)를 통해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PL1)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power line PL2 through the third switch SW3. The second voltage dividing part 23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line PL1 through the fifth switch SW5.

상기 제5 스위치(SW5)는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5 스위치(SW5)는 상기 제3 스위치(SW3)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The fifth switch SW5 may be controlled on and off by the controller 40. The fifth switch SW5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third switch SW3.

상기 제5 스위치(SW5)를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PL1)과 제2 분압부(23) 사이에 형성하여, 측정과정이 진행되지 않을 때, 상기 배터리 팩(1)의 정극성 단자와 상기 제2 분압부(23)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배터리 팩(1)의 전력소비를 줄이고, 상기 배터리 팩(1)으로부터의 고전압에 의해 상기 제1 측정장치(10)의 구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fth switch SW5 is formed between the positive power supply line PL1 and the second voltage divider 23, and when the measurement process is not performed,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1 are not included. The two voltage dividers 23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pack 1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first measuring device 10 due to the high voltage from the battery pack 1. do.

1: 배터리 팩 10: 제1 측정장치
11: 제1 측정부 13: 제1 분압부
20: 제2 측정장치 21: 제2 측정부
23: 제2 분압부 31: 제1 릴레이
33: 제2 릴레이 40: 제어부
1: battery pack 10: first measuring device
11: first measuring part 13: first partial pressure part
20: second measuring unit 21: second measuring unit
23: second voltage divider 31: first relay
33: second relay 40: control unit

Claims (10)

제어부;
배터리 팩과 부하 사이의 정극성 전원라인과 부극성 전원라인에 각각 배치된 제1릴레이 및 제2릴레이;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부하 사이에 위치하며 제1측정부, 제1분압부, 제2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 및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측정장치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부하 사이에 위치하며 제2측정부, 제2분압부, 제3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 및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측정장치를 포함하는 릴레이 진단장치; 및
상기 제1측정장치와 상기 제2측정장치 사이에 배치된 제1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정장치는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의 일단과 상기 배터리 팩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분압부는 상기 제2스위치를 통해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과 연결되고 제1저항 내지 제3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을 분압하고,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2저항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며,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단락 또는 개방되며,
상기 제2측정장치는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의 타단과 상기 부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분압부는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과 연결되고 제4저항 내지 제6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를 통해 흐른 상기 배터리 팩 양단의 전압을 분압하며,
상기 제2측정부는 상기 제5저항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며,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단락 또는 개방되며,
상기 제1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1저항 및 상기 제2저항 사이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제4저항 및 상기 제5저항 사이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Control unit;
First and second relays disposed on the positive power line and the negative power line between the battery pack and the load, respectively;
A first measuring device and the battery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pack and the load and including a first measuring unit, a first voltage divider, and a second switch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power line and the negative power line A relay diagnosis positioned between the pack and the load and including a second measuring device, a second voltage divider, a third switch, and a second measur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power supply line and the negative power supply line. Device; And
A first switch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The first measuring device is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and the battery pack,
The first voltage divider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line through the second switch, and first to third res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to divide the voltage of the battery pack.
The first measuring unit measures the voltage across the second resistor and transfers it to the control unit,
The second switch is short-circuited or opened according to the on-off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e second measuring device is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and the load,
The second voltage divider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power line through the third switch, and fourth to sixth res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to divide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pack flowing through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
The second measuring unit measures the voltage across the fifth resistor and transfers it to the controller.
The second switch is short-circuited or opened according to the on-off signal from the controller,
One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o a node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o a node between the fourth resistor and the fifth resistor,
The first switch is a battery control system that is controlled on and off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스위치를 단락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한 상태에 따라 각각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의 온오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attery to sequentially control the on and off of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in the state of shorting the second switch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는 배터리 팩 전압의 1/100의 전압을 인가받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measurement unit receives a voltage equal to 1/100 of a battery pack voltag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장치는 제4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압부는 상기 제4스위치를 통해 상기 부극성 전원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rst measuring device includes a fourth switch,
The first voltage divider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power line through the fourth switch.
The control unit is a batter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fourth switc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장치는 제5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압부는 상기 제5스위치를 통해 상기 정극성 전원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measuring device includes a fifth switch,
The second voltage divider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line through the fifth switch.
The control unit is a batter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fifth switc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정극성 단자와 상기 부하의 부극성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first switch connects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loa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측정장치 및 상기 제2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통해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relay is defective based on the voltage measured by the first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measur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57430A 2013-05-21 2013-05-21 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 KR102052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430A KR102052956B1 (en) 2013-05-21 2013-05-21 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430A KR102052956B1 (en) 2013-05-21 2013-05-21 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844A KR20140136844A (en) 2014-12-01
KR102052956B1 true KR102052956B1 (en) 2019-12-09

Family

ID=5245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430A KR102052956B1 (en) 2013-05-21 2013-05-21 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024A (en)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relays
WO2023158106A1 (en)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3046A (en) * 2015-04-24 2015-07-22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high voltages
KR102059076B1 (en) * 2016-02-19 2020-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of Analyzing Malfunction of Switch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CN106338688B (en) * 2016-08-24 2019-11-26 深圳市科列技术股份有限公司 Vehicle mounted battery management system main relay adhesion detection circuit and its detection method
KR102044598B1 (en) 2016-09-09 2019-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 malfunction of battery pack
KR102058198B1 (en) 2016-12-12 2019-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detecting relay fault of battery using parallel circuit for constant power suppy and method thereof
KR102090482B1 (en) * 2017-01-11 2020-03-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welding monitoring
CN108627765A (en) * 2017-03-20 2018-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detection circuit, method and apparatus
KR102204983B1 (en) * 2017-09-25 2021-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291762B1 (en) * 2017-11-07 2021-09-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ircuit for diagnosing a relay
KR102256094B1 (en) 2017-11-28 2021-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back
DE102017223229A1 (en) * 2017-12-19 2019-06-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ctrical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the functionality of power relays in an electrical system
JP6963358B2 (en) * 2018-03-26 2021-11-10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Power supply
CN109188266A (en) * 2018-10-11 2019-01-11 东莞塔菲尔新能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etection circuit and its detection method that high voltage negative relay is adhered
CN112098820B (en) * 2020-07-31 2022-11-18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Switch state detection circuit, method and device
KR20220074582A (en)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pparatus for managing status of rela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N113640661A (en) * 2021-08-25 2021-11-12 南京优倍电气技术有限公司 Line fault monitoring system based on safety relay
KR102585723B1 (en) * 2022-03-21 2023-10-10 (주)케이엔씨 Charging device
CN115091957A (en) * 2022-05-31 2022-09-2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contact state of high-voltage upper and lower electric contactors and vehicle
CN116400214B (en) * 2023-06-07 2023-09-15 杭州华塑科技股份有限公司 Switch fault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401A (en) * 2001-11-30 2003-06-13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leakage detection circuit
JP2004312893A (en) * 2003-04-08 2004-11-04 Nissan Motor Co Ltd Diagnostic device for power supply circuit
JP2007165253A (en) * 2005-12-16 2007-06-28 Panasonic Ev Energy Co Ltd Power sourc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401A (en) * 2001-11-30 2003-06-13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leakage detection circuit
JP2004312893A (en) * 2003-04-08 2004-11-04 Nissan Motor Co Ltd Diagnostic device for power supply circuit
JP2007165253A (en) * 2005-12-16 2007-06-28 Panasonic Ev Energy Co Ltd Power sourc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024A (en)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relays
WO2023113159A1 (en)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Relay diagnosis device and relay diagnosis method
WO2023158106A1 (en)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844A (en)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956B1 (en) Relay checking device of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system
US113852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positive electrode contactor of battery pack
US111692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negative electrode contactor of battery pack
KR101637768B1 (en) Method for Diagnosing Leakage of Electric Parts and Servicing Guide of Driving State for Vehicle in Battery Management System
US9128161B2 (en) Voltage monitoring device
KR101716886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Electrical Contacto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Diagnosing Voltage
EP289157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leakage current between power sources
US9146281B2 (en) Electric vehicle battery contactor switch monitoring
US11340297B2 (en) Relay examination device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JP2015008600A (en) Switch failure diagnostic system and switch failure diagnostic method
KR1015620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cell balancing switch
US20150357838A1 (en) Battery system
CN102445613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diagnosing abnormality of boosting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JP2013242324A (en) Battery monitoring device
KR20200050899A (en) Apparatus for diagnosing battery
JP2020521423A (en) Relay diagnostic circuit
KR20180042755A (en) Device for fault detection of pra
KR102437323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battery pack
KR101893246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state of control line
KR101486626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insulation resestance and diagnostic apparatus thereof
US2013027090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iagnosing Drivers of Contactors, Battery,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Battery
KR20220049950A (en) Relay diagnosis apparatus, relay diagnosis method, and electric vehicle
KR102050529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state of control line
JP2010220377A (en) Electric storage device
CN111954824A (en) Diagnostic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