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894B1 -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 Google Patents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894B1
KR102052894B1 KR1020190024223A KR20190024223A KR102052894B1 KR 102052894 B1 KR102052894 B1 KR 102052894B1 KR 1020190024223 A KR1020190024223 A KR 1020190024223A KR 20190024223 A KR20190024223 A KR 20190024223A KR 102052894 B1 KR102052894 B1 KR 10205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oupling groove
leg
coupl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Priority to KR102019002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94B1/ko
Priority to PCT/KR2020/000442 priority patent/WO20201757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형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상기 상판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레그부를 포함하는 합성 목재 재질의 데크; 및 상기 데크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상기 레그부의 저면과 측면에 밀착되 골게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복수개의 레그부 저면에 밀착되면서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레그부 사이와 상기 상판부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그부의 측면 및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아치판과, 상기 아치판의 일측 및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아치판에 밀착되는 상기 레그부의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지지판의 폭방향 일측에서 상기 레그부의 측면으로 연장되며, 해당 레그부의 제2결합홈 및 인접한 빔 데크에 포함되는 레그부의 제2결합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A BEAM DECK WITH REINFORCING MEMBER FOR SOLID CONNECTING DECKS}
본 발명은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재가 목재 데크 내에 장착되어 목재 데크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재에 마련된 연결장치에 의해 목재 데크 간에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는 목재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을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에 관한 것이다.
여가생활과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등산이나 산책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로 등산로나 산책로가 여러 곳에 조성되어 있으며, 자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면의 침식으로 이용자가 다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목재 데크를 이용한 등산로 및 산책로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목재 재질의 데크만을 사용함에 따라 수분에 취약한 목재가 수분에 의해 썩어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1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90645호 "복합 빔 데크"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습도 및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지 않도록 소재를 목재가 아닌 합성 목재를 사용하였으며, 합성 목재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으로 금속 재질의 보강재가 장착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장기간 동안 습도 또는 열에 의한 변형이 없는 데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 1은 목재 데크의 일측과 타측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나 어떠한 장치로 목재 데크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지않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목재 데크를 연결하는 데 있어서, 복수개의 클립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나사를 이용하여 목재 데크 간에 연결을 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나사가 반복적인 반복하중에 의해 풀리게 되면 클립이 자리에서 이탈될 수 있고, 클립이 이탈된 부위는 아래로 가하는 외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할 경우 휘어버리는 변형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목재 데크 간의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2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861호 "목재패널 연결기구"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 2는 고정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목재패널 사이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저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이웃하는 목재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종래기술 2는 목재패널을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 2는 목재패널 위로 연결장치가 돌출되어 있어,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보행에 의한 반주기적인 외력으로 파손이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파손된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목재패널은 고정되지 못하고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90645 B1 KR 20-0468861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 데크의 내부에 장착되는 보강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폭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장치를 마련하여 목재 데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빔 데크를 고정하는 데 필요한 고정수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빔 데크 간에 마련된 공간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빔 데크를 고정할 수 있는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상형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상기 상판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레그부를 포함하는 합성 목재 재질의 데크; 및 상기 데크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상기 레그부의 저면과 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복수개의 레그부 저면에 밀착되면서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레그부 사이와 상기 상판부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그부의 측면 및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아치판과, 상기 아치판의 일측 및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아치판에 밀착되는 상기 레그부의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지지판의 폭방향 일측에서 상기 레그부의 측면으로 연장되며, 해당 레그부의 제2결합홈 및 인접한 빔 데크에 포함되는 레그부의 제2결합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에는, 고정수단의 통과를 위한 제1통과공이 구비되되, 상기 제1통과공은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인접한 빔 데크의 제2결합홈에 대한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1통과공이 형성된 부위는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수단의 진입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을 전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통과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통과공이 형성되는 제2연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에 따르면, 보강재에 구성인 아치판이 데크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판부와 레그부의 연결부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기 보강재를 데크 내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데크의 강도를 증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에 데크 간 연결을 할 수 있는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데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으로 수용되어 상기 데크 간에 가조립이 가능하며, 상기 연장부를 통과하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베이스에 클립과 같은 기타 부품이 없이도 상기 데크를 완전히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있어, 상기 데크 간에 조립할 때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이 통과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공의 형상은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강재의 열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여 뒤틀림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이 있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수단의 압력에 대응하는 반력이 탄성력의 형태로 발생하여 상기 고정수단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장부가 위치되고,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통과공으로 상기 고정수단이 통과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빔 데크가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빔 데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C를 확대하여 데크 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B를 확대하여 결합부의 변형예 1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B를 확대하여 결합부의 변형예 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빔 데크가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빔 데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C를 확대하여 데크 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B를 확대하여 결합부의 변형예 1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B를 확대하여 결합부의 변형예 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데크(10)와 보강재(2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데크(10)는 판상형의 상판부(11)와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레그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10)의 재질은 목재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합성 목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그부(12)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레그부(12)는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레그부(12)가 배치되면서 상기 상판부(11)와 이루는 접합부위는 상기 데크(10)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깎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그부(12)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후술할 상기 보강재(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홈(1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 아치판(22), 가새판(22a), 삽입부(23) 및 결합부(24)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판(21)이 복수개로 구성된 상기 레그부(12)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아치판(22)은 상기 지지판(21)에 연결되고, 상기 아치판(22)의 형상은 상기 레그부(12)와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이 이루는 공간의 단면의 형상과 같고, 상기 데크(10)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보강재(20)를 상기 데크(10)에 장착시 상기 아치판(22)은 상기 레그부(12)의 측면과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에 밀착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11)와 레그부(12) 간의 연결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아치판(22)의 모서리와 상기 지지판(21)의 경사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새판(22a)이 형성된다.
상기 가새판(22a)의 구성으로 상기 아치판(22)이 열이나 외력에 의해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아치판(22)은 상기 상판부(11)와 레그부(12) 간의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보강재(20)의 강도를 증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데크(10)의 강도도 증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10) 및 보강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의 강도가 요구강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아치판(22)의 구성만으로도 외력을 견디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상기 가새판(22a)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치판(22)의 일측과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레그부(12)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결합홈(12a)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3)의 구성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23)가 상기 제1결합홈(12a)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데크(10)에 상기 보강재(20)를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재(20)가 장착된 상기 데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상호 연결되어 산책로 또는 등산로로 이용되고, 상기 데크(10)를 상호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보강재(20)에는 추가적인 구성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1)의 일측에서 상기 레그부(12) 측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5)와 상기 레그부(12)에 형성된 제2결합홈(12b)의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25)의 상단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26)로 구성되어 마치 'T'형상의 결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4)는 해당 상기 레그부(12)의 제2결합홈(12b) 및 인접한 상기 데크(10)(이하 '제2데크(10a)'라 칭함)에 포함되는 상기 레그부(12)의 제2결합홈(12b)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데크(10) 간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데크(10a)의 레그부(12)에 형성된 제2결합홈(12b)에 상기 결합부(24)가 매끄럽게 삽입되기 위해서, 상기 결합부(24) 중 상기 제2데크(10a)의 제2결합홈(12b)에 삽입되는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재(20)에 의해 상호간 연결된 상기 데크(10)는 산책로나 등산로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된 베이스(1)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1)에 상기 데크(10)를 설치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장부(26)에는 고정수단(2)이 통과할 수 있는 제1통과공(26a)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공(26a)으로 볼트와 같은 상기 고정수단(2)이 통과되어 상기 베이스(1)와 상기 데크(1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통과공(26a)의 형태는 상기 지지판(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도 5-a)의 형태 또는 상기 고정수단(2)보다 지름이 큰 원의 형상(도 5-b)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20)의 상기 제1통과공(26a)의 형태를 상기 고정수단(2)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시키게 되면, 상기 보강재(20)가 계절에 따른 열기 또는 냉기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변형에 따라 상기 제1통과공(26a)의 위치 역시 변화되면서 상기 고정수단(2)에 미는 외력을 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통과공(26a)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면 길이방향으로의 거리가 확보되고, 상기 보강재(2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1통과공(26a)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기 고정수단(2)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2)보다 큰 지름으로 상기 제1통과공(26a)을 형성하는 것 역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과공(26a)마다 상기 고정수단(2)을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1)에 보강재(20)를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제1연장부(26)에 마디마디 상기 고정수단(2)에 의해 고정점이 형성되어 열기 또는 냉기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여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통과공(26a)을 상기 고정수단(2)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제1통과공(26a)보다 지름이 작은 것을 고려하여 와셔(3)와 함께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셔(3)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제1통과공(26a)을 그대로 통과하여 상기 보강재(20)를 고정시키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베이스(1)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6)의 형태는 아래 기술한 변형예 1 및 변형예 2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1연장부 변형예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형상을 유지한 체 상기 제1통과공(26a)이 형성된 부위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단면이 마치 물결무늬와 유사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베이스(1)에 점차 고정되면서 상기 제1연장부(26)가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은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제2결합홈(12b) 내로 전진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이 상기 제2결합홈(12b)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데크(10) 간에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베이스(1)에 결합 되면서 상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연장부(26)의 부위를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으로 탄성에 의한 반력이 상기 제1연장부(26)에 발생하게 되어, 상기 고정수단(2)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연장부 변형예 2]
변형예 2의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언급할 상기 제1연장부(26)는 변형예 1의 제1연장부(26)를 지시하는 것이 아니며, 기본형태인 일측이 라운드져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연장부(26)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 2에서는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7)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27)는 탄성이 존재하고, 상기 제2연장부(27)에는 상기 제1연장부(26)에 형성된 상기 제1통과공(26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통과공(27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2)은 상기 제2통과공(27a)을 지나 제1통과공(26a)으로 수용되어 상기 베이스(1)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2)이 베이스(1)에 점차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1연장부(26)와 제2연장부(27)의 간격이 좁아짐과 동시에 상기 제1연장부(26)와 상기 제2연장부(27)가 연결되는 부위가 탄성에 의해 상기 제2결합홈(12b) 내로 점차 진입하게 된다.
이로써, 변형예 1과 유사하게 상기 제2결합홈(12b)의 깊숙이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홈(12b)과 상기 제1연장부(26)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데크(10) 간에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27)에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베이스(1)에 장착되면서 압력을 가하게 되고, 탄성이 존재하는 상기 제2연장부(27)는 탄성의 형태의 반력으로 상기 고정수단(2)을 위로 미는 작용을 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수단(2)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상기 데크(10)의 재질을 합성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수분에 의해 목재가 썩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데크(10)에 상기 보강재(2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데크(10)의 강도를 더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20)에 상기 제1연장부(26)의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데크(10)의 상호간의 연결을 한번에 진행할 수 있어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 필요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이 라운드져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데크(10)의 제2결합홈(12b)으로 상기 연장부가 매끄럽게 수용될 수 있어 상기 데크(10) 간 결합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연장부(26)의 형상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공(26a)이 형성된 제1연장부(26)의 부위가 상향으로 돌출되는 형상(변형예 1)과, 상기 제1연장부(26)에 연결되고 타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연장부(27)(변형예 2)가 마련된 형상을 통해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2결합홈(12b)으로 연장부가 깊숙이 전진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홈(12b)에 연장부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데크(1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6)와 제2연장부(27)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베이스(1)에 장착될 경우, 상기 고정수단(2)은 상기 제1연장부(26) 또는 제2연장부(27)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제1연장부(26) 또는 제2연장부(27)는 탄성 형태의 반력으로 상기 고정수단(2)에 미는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고정수단(2)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 베이스 2 : 고정수단 3 : 와셔
10 : 데크 10a : 제2데크 11 : 상판부
12 : 레그부 12a : 제1결합홈
12b : 제2결합홈
20 : 보강재 21 : 지지판 22 : 아치판
22a : 가새판 23 : 삽입부
24 : 결합부 25 : 연결부
26 : 제1연장부 26a : 제1통과공
27 : 제2연장부 27a : 제2통과공

Claims (5)

  1. 판상형의 상판부(11)와, 상기 상판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상기 상판부(11)에 일체로 형성되는 레그부(12)를 포함하는 합성 목재 재질의 데크(10); 및
    상기 데크(1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기 상판부(11)의 저면과 상기 레그부(12)의 저면과 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보강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12)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결합홈(12a)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결합홈(12b)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20)는,
    상기 복수개의 레그부(12) 저면에 밀착되면서 지지하는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21)에 연결되고 상기 레그부(12) 사이와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그부(12)의 측면 및 상기 상판부(11)의 저면에 밀착되는 아치판(22)과,
    상기 아치판(22)의 일측 및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아치판(22)에 밀착되는 상기 레그부(12)의 제1결합홈(12a)에 삽입되는 삽입부(23)와,
    상기 지지판(21)의 폭방향 일측에서 상기 레그부(12)의 측면으로 연장되며, 해당 레그부(12)의 제2결합홈(12b) 및 인접한 빔 데크(10)에 포함되는 레그부(12)의 제2결합홈(12b)에 동시에 삽입되는 결합부(24)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지지판(21)에 연결되는 연결부(25)와, 상기 연결부(25)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결합홈(12b)에 삽입되는 제1연장부(26)로 구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26)에는, 고정수단(2)의 통과를 위한 제1통과공(26a)이 구비되되,
    상기 제1통과공(26a)은 상기 지지판(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에는, 상기 인접한 데크(10)의 제2결합홈(12b)에 대한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에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인접한 데크(10)의 진입 깊이가 일정하도록 타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제1연장부(26)로부터 이격되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27)가 구비되고,
    상기 제2연장부(27)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26)의 일측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통과공(26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통과공(27a)이 형성되는 제2연장부(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4223A 2019-02-28 2019-02-28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KR10205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223A KR102052894B1 (ko) 2019-02-28 2019-02-28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PCT/KR2020/000442 WO2020175791A1 (ko) 2019-02-28 2020-01-10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223A KR102052894B1 (ko) 2019-02-28 2019-02-28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894B1 true KR102052894B1 (ko) 2019-12-11

Family

ID=6900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223A KR102052894B1 (ko) 2019-02-28 2019-02-28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2894B1 (ko)
WO (1) WO202017579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005A (ko) * 2012-01-06 2013-07-16 주식회사 위퍼스 데크결합구조
KR200468861Y1 (ko) 2013-03-05 2013-09-05 (주)동방에이젯 목재패널 연결기구
KR101390645B1 (ko) 2013-11-04 2014-04-30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396179B1 (ko) * 2014-02-10 2014-05-27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511290B1 (ko) * 2014-05-12 2015-04-13 주식회사 이진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20150102246A (ko) * 2014-02-28 2015-09-07 서림이앤씨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결합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3487B2 (en) * 2014-09-05 2017-03-14 James F. Harvey Modular build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005A (ko) * 2012-01-06 2013-07-16 주식회사 위퍼스 데크결합구조
KR200468861Y1 (ko) 2013-03-05 2013-09-05 (주)동방에이젯 목재패널 연결기구
KR101390645B1 (ko) 2013-11-04 2014-04-30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396179B1 (ko) * 2014-02-10 2014-05-27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20150102246A (ko) * 2014-02-28 2015-09-07 서림이앤씨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결합부재
KR101511290B1 (ko) * 2014-05-12 2015-04-13 주식회사 이진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5791A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295B1 (en)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JP2007518901A (ja)
KR20180013628A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US20030119590A1 (en) Amusement ramp system
US20070245638A1 (en) On a sauna structure
KR102052894B1 (ko)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BR9808098A (pt) Estrado pré-fabricado
KR1013385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20150134852A (ko) 목재 데크 구조물
KR102465315B1 (ko)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39717Y1 (ko) 공연 무대의 덧마루
KR100623960B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KR100905697B1 (ko) 조립형 데크 연결구조
KR100477516B1 (ko) 마루조립체
CN208396365U (zh) 一种全景拼装式壁球馆
KR101038704B1 (ko) 목재 데크 구조
KR102556996B1 (ko) 데크 고정용 탄성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의 시공방법
KR102094919B1 (ko) 데크용 지주
KR102630113B1 (ko)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CN215629106U (zh) 一种榫卯结构的滨水栈道拼接模块
KR101898941B1 (ko)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KR102570828B1 (ko) 탄성지지력이 우수한 데크클립
KR200204241Y1 (ko) 온수보일러용 온돌시공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