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865B1 -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865B1
KR102052865B1 KR1020160135836A KR20160135836A KR102052865B1 KR 102052865 B1 KR102052865 B1 KR 102052865B1 KR 1020160135836 A KR1020160135836 A KR 1020160135836A KR 20160135836 A KR20160135836 A KR 20160135836A KR 102052865 B1 KR102052865 B1 KR 102052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sually impaired
input
touch pane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440A (ko
Inventor
이지수
권승준
길연희
김희권
신희숙
유초롱
유호영
지형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3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8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8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visual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for the partially sigh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외부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제공되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정보 입력부로 입력되는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성분에 매칭되는 객체 및 객체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객체를 상기 터치 패널로 제공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된 객체 중 터치되는 객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에게 수식, 표 등의 2차원적인 복잡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터치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대부분의 정보는 디스플레이, 인쇄물 등 시각매체를 통해서 습득 및 전달된다. 한편, 시각정보를 원활하게 인식 및 이해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은 대부분 청각정보 및 촉각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습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를 가진 학습자가 수학과목을 학습할 때 주로 점자책 또는 점자정보단말기로 구현되어 있는 점자(촉각매체)를 통해서 수식을 습득하고 이해한다.
하지만, 점자로 수식을 습득할 경우, 분수, 지수, 고차방정식 등과 같은 복잡한 수식의 전체적인 구조를 쉽게 파악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서울맹학교, 대전맹학교의 학생 및 교사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점자를 이용한 복잡한 수식의 이해 및 전재가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큰 걸림돌로 지적되었다.
또한, 후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갖게 된 학습자의 경우, 충분한 점자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아, 점자를 이용하여 복잡한 정보를 원활히 습득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제목과 내용의 위치관계가 중요한 표와 같은 경우에도, 시각장애인들이 전체적인 표의 구성을 쉽게 파악하지 못해 표 정보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수식 및 표와 같은 2차원적인 복잡한 구조의 정보를 점자보다 직관적인 방식의 촉각정보 및 청각정보를 이용해, 좀 더 쉽고 체계적으로 정보를 인식 및 이해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에게 수식, 표 등의 2차원적인 복잡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터치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외부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제공되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정보 입력부로 입력되는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성분에 매칭되는 객체 및 객체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객체를 상기 터치 패널로 제공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된 객체 중 터치되는 객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의해 입력되는 추가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객체가 터치된 후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추가 정보를 터치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대신하여 저장하거나, 상세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수식, 표 등의 2차원적인 복잡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혹은 촉각적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한 줄로 나열된 점자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식, 표 등과 같은 2차원적인 복잡한 정보들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를 학습에 이용하면, 시각장애인들의 학습 능력 증진 및 집중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하여 점자책을 특수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각장애 학습자용 교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잡한 2차원의 정보를 성분단위로 분류하여 객체로 표현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잡한 2차원의 상세 정보를 객체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에 앞서, 수식 및 표 등과 같은 2차원적인 복잡한 정보를 객체로 나타내고, 터치 혹은 클릭에 따라 객체별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잡한 2차원의 정보를 성분단위로 분류하여 객체로 표현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는 성분단위로 분류되어, 학습자가 이해하기 쉬운 촉각 및 청각정보와 매칭되는 버튼 모양의 영역을 가지는 객체로 나타내어 진다.
즉,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입력되는 수식 정보 혹은 표 정보를 인식하고, 수식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단위로 분류하고, 표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단위로 분류한 후, 각 성분단위를 객체로 나타낸다.
일례로, 도 1(a) 및 도 1(b)은 수식이 입력된 경우에 수식의 성분을 객체로 표현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c)은 표가 입력된 경우에 표의 성분을 객체로 표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수식이 입력된 경우,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수식을 개별 수식(1, 3)과 연산자(2, 4)로 분류하여, 개별 수식에 대한 객체(5, 7)와 연산자에 대한 객체(6, 8)를 서로 달리하여 나타낸다.
다른 예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표가 입력된 경우,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표를 구성요소(9)와 내용(10)으로 분류하여, 구성요소에 대한 객체(11)와 내용에 대한 객체(12)를 서로 달리하여 나타낸다.
한편, 수식 혹은 표의 성분별 객체는 촉각 정보 혹은 청각정보와 매칭되어 있어, 해당 객체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정보가 촉각적으로 혹은 청각적으로 발생되어, 사용자는 전체적인 객체의 위치 및 개수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및 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객체로 표현하면, 시각장애 학습자는 객체의 구성에 대한 인지를 통해 2차원적 복잡한 정보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를 촉각 정보로 표현할 경우, 객체별로 서로 진동 패턴을 매칭하여 객체가 다름을 표현할 수 있고, 객체를 청각 정보로 표현할 경우, 객체별로 서로 다른 음색을 매칭하여 객체가 다름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입력되는 수식 혹은 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인지한 시각장애 학습자는 상세 정보를 얻기 원하는 객체를 클릭(ex, 연속 터치 혹은 길게 터치 등)하여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클릭된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객체 터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의 전체적인 구조를 인식하고, 터치를 통해 객체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객체가 터치되는 경우에, 객체와 관련된 상세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잡한 2차원의 상세 정보를 객체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로 입력되는 수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수식에 대한 성분을 객체로 나타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c)는 도 2(b)의 객체가 터치 혹은 클릭된 경우에 제공되는 객체별 상세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서와 같은 수식이 입력된 경우,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도 2(b)와 같이 수식을 성분별로 분류하여, 수식을 각 성분에 대응되는 객체로 표현하고, 각 객체에 대한 터치 혹은 클릭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객체별 상세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의 객체 ①이 터치 혹은 클릭된 경우,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는 객체 ①에 대한 상세 정보로서 ‘이 곱하기 엑스’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혹은 방법을 이용하면, 시각장애 학습자는 복잡한 구조의 수식 및 표에 대한 정보를 쉽고 체계적으로 인식 및 이해할 수 있으며, 학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수식 및 표 등과 같은 2차원적인 복잡한 정보를 객체로 나타내고, 터치 혹은 클릭에 따라 객체별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300, 이하 ‘정보 제공 장치’)는 기능 수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정보 혹은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제공 장치(300)는 정보 입력부(310), 터치 패널(320), 출력부(330), 사용자 입력부(340) 및 제어부(3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부(310)는 외부로부터의 정보(외부 정보, ex) 수식, 표 등)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입력받은 외부 정보를 제어부(350)로 제공한다.
상기 터치 패널(320)은 제어부(35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어부(350)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터치 패널(320)은 제어부(350)로부터 제공되는 객체별 위치 정보 및 종류 정보를 제공받으면,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종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의 객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320)은 터치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350)로 제공한다.
상기 출력부(330)는 제어부(35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피커, 진동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40)는 사용자가 정보 제공 장치(300)를 사용하면서 추가적으로 정보(‘사용자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340)는 입력되는 사용자 추가 정보를 제어부(350)로 제공하며, 예를 들어 키보드, 점자 단말기, 마이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른 다른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정보 입력부(310)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성분에 매칭되는 객체 및 객체별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50)에 의해 생성되는 객체별 정보는 위치 정보,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외부 정보 내에서의 객체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류 정보는 객체가 어떠한 종류(ex, 수식의 연산자, 표의 내용 등)의 정보와 관련된지를 나타내고, 상세 정보는, 객체에 상응하는 성분의 실제 내용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생성된 위치 정보 및 종류 정보를 터치 패널(320)로 제공하여, 터치 패널(320)이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종류 정보에 상응하는 객체를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와 같은 수식이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패널(320)에는 도 2(b)와 같이 객체들(① ~ ⑦)이 나열된 상태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패널(32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혹은 상세 정보를 출력부(330)로 제공하여, 출력부(330)가 사용자의 터치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혹은 상세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320)에 표시된 객체가 짧게 터치된 경우에 종류 정보가 출력되고, 객체가 길게 터치된 경우에 상세 정보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때, 사용자가 터치 패널(320)에 표시된 객체를 짧게 터치하는 경우, 출력부(330)는 터치된 객체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터치 패널(320)에 표시된 객체를 길게 터치하는 경우, 출력부(330)는 터치된 객체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다른 예로, 터치 패널(320)에 표시된 객체를 터치하는 경우에 종류 정보와 상세 정보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터치 패널(320)에 표시된 객체를 터치하면, 출력부(330)는 터치된 객체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터치 패널(320)의 객체가 터치된 후에,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사용자 추가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사용자 추가 정보를 터치된 객체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50)는 입력되는 사용자 추가 정보를 기 저장된 상세 정보를 대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세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350)는 정보 분석부(351), 객체 생성부(352), 저장부(353) 및 처리부(3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 분석부(351)는 정보 입력부(310)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 단위로 분류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분석부(351)는 분류한 성분 단위를 객체 생성부(352)로 제공한다.
상기 객체 생성부(352)는 분류된 성분에 매칭되는 객체 및 객체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353)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객체 생성부(352)는 객체별 정보로서, 각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생성하고, 종류 정보별로 객체의 모양은 달리 표현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외부 정보 내에서의 객체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류 정보는 객체가 어떠한 종류(ex, 수식의 연산자, 표의 내용 등)의 정보와 관련된지를 나타내고, 상세 정보는 객체에 상응하는 성분의 실제 내용을 나타낸다.
상기 처리부(354)는 저장부(353)에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종류 정보를 터치 패널(320)로 제공하여, 터치 패널(320)이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종류 정보에 상응하는 객체를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354)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패널(32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혹은 상세 정보를 출력부(330)로 제공하여, 출력부(330)가 사용자의 터치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혹은 상세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354)는 터치 패널(32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혹은 상세 정보를 저장부(353)로부터 추출하여 출력부(3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부(354)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출력부(330)로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 중 하나를 제공하거나, 출력부(330)로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부(345)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출력부(330) 중 정보를 음성적으로 출력하는 장치(ex, 스피커)로 종류 정보 혹은 상세 정보를 제공하거나, 출력부(330) 중 정보를 촉각적으로 출력하는 장치(ex, 진동 모터)로 종류 정보 혹은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345)는 터치 패널(320)의 객체가 터치된 후에,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사용자 추가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사용자 추가 정보를 터치된 객체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처리부(345)는 입력되는 사용자 추가 정보를 기 저장된 상세 정보를 대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세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 및 구성별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에 도시된 순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살펴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서, 외부 정보(수식, 표 등)가 입력되면(S400), 정보 제공 장치(300)는 입력되는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 단위로 분류한다(S410).
이때, 상기 단계 S410에서,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제공 장치(300)는 외부 정보로서 수식이 입력되면, 수식을 개별 수식과 연산자로 분류하고, 외부 정보로서 표가 입력되면, 구성요소와 내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10에 따라 외부 정보가 성분 단위로 분류되면, 정보 제공 장치(300)는 분류된 성분에 매칭되는 객체 및 객체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353)에 저장한다(S420).
이때, 상기 단계 S410에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300)는 객체별 정보로서, 각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생성하고, 종류 정보별로 객체의 모양 및 외부로 표시되는 패턴은 달리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외부 정보 내에서의 객체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류 정보는 객체가 어떠한 종류(ex, 수식의 연산자, 표의 내용 등)의 정보와 관련된지를 나타내고, 상세 정보는 객체에 상응하는 성분의 실제 내용을 나타낸다.
상기 단계 S420에 따라 객체 및 객체별 정보가 생성되면, 정보 제공 장치(300)는 위치 정보 및 종류 정보에 따라 객체를 터치 패널(320)에 표시한다(S430).
상기 단계 S430에 따라 객체를 표시한 후, 정보 제공 장치(300)는 터치 패널(320)이 터치되는지를 판단하여(S440), 객체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S440-예),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한다(S450).
이때, 상기 단계 S450에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30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세 정보를 출력하거나,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450에 있어서, 정보 제공 장치(30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 정보, 상세 정보, 혹은 종류 및 상세 정보를 시음성적으로 혹은 촉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300)는 단계 S440에서와 같이 터치가 이루어진 후, 사용자 추가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460), 사용자 추가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S460-아니오), 정보 제공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단계 S460에서, 사용자 추가 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460-예), 정보 제공 장치(300)는 입력되는 사용자 추가 정보를 터치된 객체와 연관하여 저장한다(S470).
상기 단계 S47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는 입력되는 사용자 추가 정보를 기 저장된 상세 정보를 대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세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 3의 블록들은 발명의 원리를 기능적 관점에서 구체화한 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4에 도시된 동작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도 3의 블록들과 도 4의 단계들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론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310 :정보 입력부
320 : 터치 패널 330 : 출력부
340 : 사용자 입력부 350 : 제어부
351 : 정보 분석부 352 : 객체 생성부
353 : 저장부 354 : 처리부

Claims (8)

  1. 외부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영역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제공되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추가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정보 입력부로 입력되는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성분에 매칭되는 객체, 및 객체별 위치 정보,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종류 정보에 따라 상기 객체를 터치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된 객체 중 터치되는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력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의 객체가 터치된 후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추가 정보를 터치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대신하여 저장하거나, 상세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가 수식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식을 개별 수식과 연산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개별 수식과 연산자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객체를 매칭하고, 객체별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가 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를 구성 요소와 내용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구성 요소와 내용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객체를 매칭하고, 객체별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5. 입력되는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성분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성분에 매칭되는 객체, 및 객체별 위치 정보,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종류 정보에 따라 상기 객체를 터치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객체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종류 정보 및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추가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사용자 추가 정보를 터치된 객체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정보가 수식인 경우, 상기 수식을 개별 수식과 연산자로 분류하는 단계이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수식과 상기 연산자를 서로 다른 객체로 매칭하는 단계
    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정보가 표인 경우, 상기 표를 구성 요소와 내용으로 분류하는 단계이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요소와 상기 내용을 서로 다른 객체로 매칭하는 단계
    인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방법.
KR1020160135836A 2016-10-19 2016-10-19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52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36A KR102052865B1 (ko) 2016-10-19 2016-10-19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36A KR102052865B1 (ko) 2016-10-19 2016-10-19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40A KR20180043440A (ko) 2018-04-30
KR102052865B1 true KR102052865B1 (ko) 2019-12-11

Family

ID=6208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36A KR102052865B1 (ko) 2016-10-19 2016-10-19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8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15B1 (ko) * 2013-05-07 2014-12-0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수식 콘텐츠의 한글 독음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1645A (ko) * 2014-05-15 2015-1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용 북리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북리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40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dner Design for user empowerment
Ferrara et al. Describing spatial layouts as an L2M2 signed language learner
Koulouri et al. Do (and say) as I say: Linguistic adaptation in human–computer dialogs
Adesina et al. Touch Arithmetic: A process-based Computer-Aided Assessment approach for capture of problem solving step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mathematics
Hamidi et al. Do-It-Yourself (DIY) assistive technology: A communication board case study
Murphy et al. Designing auditory cues to enhance spoken mathematic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KR101102520B1 (ko)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assidy et al. A haptic ATM interface to assist visually impaired users
TW201512968A (zh) 以語音辨識來發生事件裝置及方法
Köhlmann et al. Alternative concepts for accessible virtual classrooms for blind users
Al-Qudah et al. Utilizing mobile devices' tactile feedback for presenting braille characters: an optimized approach for fast reading and long battery life
Hamidi et al. TalkBox: a DIY communication board case study
KR102052865B1 (ko) 시각장애인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u et al. A haptic keypad design with a novel interactive haptic feedback method
Edge et al. The physical world as an abstract interface
KR101376442B1 (ko) 사칙 연산을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aaresoja Latency guidelines for touchscreen virtual button feedback
Lee et al. EZ ballot with multimodal inputs and outputs
Rudinger Non-visual access to print and its barriers
Nikitenko et al. Touching the data: Exploring data sonification on mobile touchscreen devices
Kurniawan et al. Mental models of blind users in the windows environment
Roy et al. Interactive web-based image and graph analysis using Sonification for the Blind
CN111580684A (zh) 基于Web技术实现多学科智能键盘的方法、存储介质
Hossain et al. SIGN LANGUAGE TO SPEECH CONVERSION USING ARDUINO
Quek et al. Assistive Technology in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