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696B1 -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696B1
KR102052696B1 KR1020170172782A KR20170172782A KR102052696B1 KR 102052696 B1 KR102052696 B1 KR 102052696B1 KR 1020170172782 A KR1020170172782 A KR 1020170172782A KR 20170172782 A KR20170172782 A KR 20170172782A KR 102052696 B1 KR102052696 B1 KR 102052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noise
signal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code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890A (ko
Inventor
유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펠
Priority to KR102017017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6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6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송신단말기(100)와 수신단말기(200)가 포함되는 음향기기; 수신단말기(200)에는 근본적으로 신호가 유입되질 않으면 "D"Class Amp를 강제로 Sleep 시킴으로써 화이트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white noise of a acoustic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133351호(2012. 03. 28)를 개량 발명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확성기(스피커/speaker)를 마이크 확성기(mike preamplifier) 또는 마이크 증폭기(mikeamplifier) 또는 오디오 주파수 증폭기라고도 불리 운다.
상기 확성기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로, 확성기 또는 라우드 스피커라고도 한다. 진동판이 공기 중에 직접 놓이는 종류를 복사형 스피커라 하고, 진동판이 혼(horn) 속에 놓이는 종류를 혼형 스피커라고 한다. 직접복사형은 보통 라디오스테레오 장치에 많이 쓰이는 콘(cone)스피커가 대부분이며, 금속 진동판을 사용한 것도 있다. 콘스피커는 진동판에 원뿔형(cone)판을 많이 사용하며 전자기형(電磁氣型)인 마그네틱스피커(자기확성기)보다 동전형(動電型)이 많이 쓰인다. 효율은 코일을 지나는 총 자속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큰 자석을 사용한 대구경(大口徑)의 것이 전기음향 변환효율이 좋다. 1VA의 전기입력에 대해 축상(軸上) 1 m에서 105 dB(효율 약 1.5 %)~90 dB(0.3 %)의 음압이 생긴다. 혼스피커의 효율 30~40 %에 비하면 효율은 뒤지지만, 값이 싸고 소형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혼형은 역이나 운동장 등 옥외에서 볼 수 있는 나팔형 스피커로, 전기적 음향적 특성이 양호하고 스피커를 수용하는 음향상자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중형 이하의 스피커에 많이 사용되지만, 나팔개구부의 지름에 따라 나올 수 있는 음의 최저주파수가 제한되는 것이 결점이다. 전기신호를 음파로 변환시키는 원리와 방법에 따라 동전형(動電型) 전자기형정전형(靜電型) 유전체형(誘電體型) 자기왜형(磁氣歪型) 등이 있다. 음악재생용이나 음성용으로서는 성능이 좋은 동전형(다이내믹형)이 널리 쓰인다. 동전형은 영구자석의 자기장 내에 있는 코일(보이스코일)에 음성신호 전류를 흘리면 그 전류의 세기에 따라 기계적인 힘이 코일에 작용하여 운동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전자기형은 영구자석 끝에 설치한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보내어 코일 사이에 있는 철편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을 레버에 의해 진동판에 전하여 소리를 방사한다. 취급이 간단하므로 가정용 라디오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고역특성(高域特性)이 나쁘고 일그러짐이 많아 점차 사용이 줄고 있다. 정전형은 고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유전체형자기왜형은 가청주파수가 아닌 20 kHz 이상의 초음파 영역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가청주파수용 스피커 중에서 특히 고역주파수대(10 kHz 이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트위터(tweeter)라고 하는데 혼형 원뿔형 종류가 있으며, 진동계의 무게가 작다.
한편, 과거 오래전부터 음향기기에서는 화이트 노이즈가 항상 존재해 왔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음 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완벽하게 제거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에는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하기 보다는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발명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서 설계상의 기술인 아날로그 그라운드와 디지털 그라운드 분리 혹은 DCDC 스텝 업 다운 회로와의 이격 유지 등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화이트 노이즈 제거는 불가능 하였다.(도1 불평형 회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33351호(2012. 03. 28)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57362호(2017. 07. 06)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83339호(2006. 05. 18)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21133호(1999. 03. 25)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17080호(2009. 02. 18)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향기기에 송신단말기와 수신단말기 그리고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근본적으로 신호가 유입되질 않으면 "D"Class Amp를 강제로 Sleep 시킴으로써 화이트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제거코자 한 것이고, 제3목적은 필요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D"Class AMP를 Sleep & Wake up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화이트 노이즈 제거를 위한 신호 흐름이 원래의 정상신호 라인과 합쳐지지 않음으로 원음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화이트 노이즈 뿐만 아니라 다른 노이즈(예를 들어 HUM NOISE 등등) 역시 같이 제거되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타사제품에는 여전히 존재하는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본 출원인만이 가지고 있는 기술력을 시장에 어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아날로그 앰프와 디지털 앰프가 숙명적으로 가지고 있는 화이트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이로 인해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송신단말기와 수신단말기가 포함되는 음향기기; 수신단말기에 신호가 유입되질 않으면 "D"Class Amp를 강제로 Sleep 시킴으로써 화이트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송신단말기와 수신단말기를 실시간 제어 및 실행시키는 단계; 수신단말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의 시그널(signal)을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와 코덱을 거쳐 정상패스(path)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수신단말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 라인으로 시그널(signal)이 들어가면 OP앰프를 거쳐서 로직(logic)을 판단하는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와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을 거쳐 "D" CLASS AMP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여 시그널을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송신단말기와 수신단말기 그리고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근본적으로 신호가 유입되질 않으면 "D"Class Amp를 강제로 Sleep 시킴으로써 화이트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제거코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D"Class AMP를 Sleep & Wake up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이트 노이즈 제거를 위한 신호 흐름이 원래의 정상신호 라인과 합쳐지지 않음으로 원음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이트 노이즈 뿐만 아니라 다른 노이즈(예를 들어 HUM NOISE 등등) 역시 같이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사제품에는 여전히 존재하는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본 출원인만이 가지고 있는 기술력을 시장에 어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아날로그 앰프와 디지털 앰프가 숙명적으로 가지고 있는 화이트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이로 인해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음향기기의 불평형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에 적용된 송신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에 적용된 수신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작동 흐름
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상세 회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상세 부가 회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향기기의 평형 회로도.
본 발명에 적용된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은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송신단말기(100)와 수신단말기(200)가 포함되는 음향기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수신단말기(200)에 신호가 유입되질 않으면 "D"Class Amp를 강제로 Sleep 시킴으로써 화이트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가 구비된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송신단말기(10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충전부(111)와 연결된 내장배터리(112)의 전압을 검출하고, 코텍(codec)(119)의 기능을 활용하는 중앙처리장치(cpu)(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장치(cpu)(110)와 연결되며, 마이크(118) 입력단의 마이크 바이어스(mic-bias)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입력된 신호를 ADC(analog digital converting)로 변환 및 DAC(digital analog converting)로 변환하거나 또는 샘플링(SAMPLEING)하는 코덱(codec)(119)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덱(119)과 연결되며, 음성신호 입력과 아울러 마이크로폰을 동작시키는 마이크(118)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0)와 연결되며, 마이크 입력단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코덱(119)으로 입력되어 ADC되고, ADC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입력하여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RF IC를 통해서 RF앰프(116)와 내부안테나(internal chip antena)(117)를 통하여 정해진 주파수로 송신하는 모뎀(MODEM)(115)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0)와 연결되며, 전압검출회로(voltage detect section)에서 전압데이터(voltagedata)를 중앙처리장치에서 받아서 엘이디 디스플레이 회로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제어하는 LED표시부(120)가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내장배터리(112)에 연결되는 전원부(113) 그리고 전원부에 연결되는 파워키(114)가 구비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21은 각종 키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수신단말기(20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모뎀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덱으로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주변의 각종회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2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장치(CPU)(210)와 연결되며, 중앙처리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DAC(digital analog converting)로 변환하며 또한 유선마이크(221)와 오디오외부입력단(Audio External Input)(222)으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 또는 앰프(AMP)(223)로 전송하는 코덱(codec)(22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코덱(codec)(220)에 연결되며, 코덱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amplification)하여 스피커(224)를 구동하는 앰프(AMP)(22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장치(CPU)(210)와 연결되며, 송신된 주파수를 수신하여 RF앰프(217)를 통해 모뎀으로 전송하는 내부안테나(internal chip antena)(218)와 이 내부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모뎀(MODEM)(216)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장치(CPU)(210)와 연결되며, 키를 제어함으로써 발생한 데이터가 중앙처리장치로 전송되고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LCD 표시부(225) 회로를 제어하며 또한 코덱의 신호이득(signal gain)을 제어하는 각종기능키(226)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전원부(214)와 전원부에 연결되는 파워키(213) 그리고 전원부에 연결되는 내장배터리(212) 및 충전부(211)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MP3/BT모듈(215)이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코덱(220)에는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하는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시그널(signal)을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310)와 코덱(220)을 거쳐 정상패스(path)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 라인으로 시그널(signal)이 들어가면 OP앰프(315)를 거쳐서 로직(logic)을 판단하는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316)와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317)을 거쳐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여 시그널을 스피커(224)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본 발명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에 적용된 송신단말기(100)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300)에 적용된 수신단말기(200)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300)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정상신호 경로와 화이트 노이즈 제거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상세 회로도로, 정상신호 경로와 화이트 노이즈 제거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의 상세 부가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향기기의 평형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본원발명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방법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송신단말기(100)와 수신단말기(200)를 실시간 제어 및 실행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수신단말기(200)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의 시그널(signal)을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310)와 코덱(220)을 거쳐 정상패스(path)로 전송하는 단계; 및
수신단말기(200)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 라인으로 시그널(signal)이 들어가면 OP앰프(315)를 거쳐서 로직(logic)을 판단하는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316)와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317)을 거쳐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여 시그널을 스피커(224)로 전송하는 단계를 거쳐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 상기 정상패스(path)로 전송하는 단계는 시그널(signal)이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310)와 코덱(220)을 거친 후 정상 정상패스(path) 라인으로 흘러들어가되, 이때 정상패스(path)라인은 각종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동입력 및 로우 임피던스(low impedance)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여 시그널을 스피커(224)로 전송하는 단계는 별도로 만들어진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 라인으로 시그널(signal)이 들어오면 이 시그널은 OP앰프(315)를 거쳐서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되, 상기 스레솔드(threshold)의 값에 의하여 얼마만큼의 작은 소리에 민감하게 "D" CLASS AMP(312)를 동작시킬지를 결정하고, 이렇게 스레솔드(threshold)점이 결정되면 시그널을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316)를 이용하여 로직(logic)을 판단한 후 판단결과를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317) 회로를 거쳐서 정보가 실시간으로 "D" CLASS AMP(312)를 제어하여 일시적으로 sleep & wake up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은 화이트 노이즈 제거 시그널로 신호가 유입되면 아래와 같이 동작을 진행한다.
첫째, 화이트 노이즈 제거 시그널로 신호가 입력된다.
둘째, 회로도에 표기된 U6A의 OP AMP(315) IC를 통하여 입력된 시그널을 원하는 만큼 증폭시켜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한다.
셋째, 증폭된 신호를 회로도상의 U3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316)를 통하여 내부에 장착된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317) 회로를 이용하여 반전 비반전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반전 비반전 신호를 "D" Class AMP(312) IC의 12번핀인 Mute 단자를 컨트롤하여 Sleep 및 Wake up를 실시간으로 실행하여 화이트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송신단말기
200: 수신단말기
300: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

Claims (8)

  1. 송신단말기(100)와 수신단말기(200)가 포함되는 음향기기;
    수신단말기(200)에 신호가 유입되질 않으면 "D"Class Amp를 강제로 Sleep 시킴으로써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D"Class AMP를 Sleep & Wake up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도록 하고, 화이트 노이즈 제거를 위한 신호 흐름이 원래의 정상신호 라인과 합쳐지지 않음으로 원음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가 포함되고,
    상기 송신단말기(100)에는, 충전부(111)와 연결된 내장배터리(112)의 전압을 검출하고, 코텍(codec)(119)의 기능을 활용하는 중앙처리장치(cpu)(110); 중앙처리장치(cpu)(110)와 연결되며, 마이크(118) 입력단의 마이크 바이어스(mic-bias)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입력된 신호를 ADC(analog digital converting)로 변환 및 DAC(digital analog converting)로 변환하거나 또는 샘플링(SAMPLEING)하는 코덱(codec)(119); 코덱(119)과 연결되며, 음성신호 입력과 아울러 마이크로폰을 동작시키는 마이크(118); 중앙처리장치(110)와 연결되며, 마이크 입력단에서 입력된 데이터 코덱(119)으로 입력되어 ADC되고, ADC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입력하여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RF IC를 통해서 RF앰프(116)와 내부안테나(internal chip antena)(117)를 통하여 정해진 주파수로 송신하는 모뎀(MODEM)(115); 중앙처리장치(110)와 연결되며, 전압검출회로(voltage detect section)에서 전압데이터(voltagedata)를 중앙처리장치에서 받아서 엘이디 디스플레이 회로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제어하는 LED표시부(120); 및 내장배터리(112)에 연결되는 전원부(113) 그리고 전원부에 연결되는 파워키(114);가 포함되고,
    상기 수신단말기(200)에는, 모뎀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덱으로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주변의 회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210); 중앙처리장치(CPU)(210)와 연결되며, 중앙처리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DAC(digital analog converting)로 변환하며 또한 유선마이크(221)와 오디오외부입력단(Audio External Input)(222)으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 또는 앰프(AMP)(223)로 전송하는 코덱(codec)(220); 코덱(codec)(220)에 연결되며, 코덱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amplification)하여 스피커(224)를 구동하는 앰프(AMP)(223); 중앙처리장치(CPU)(210)와 연결되며, 송신된 주파수를 수신하여 RF앰프(217)를 통해 모뎀으로 전송하는 내부안테나(internal chip antena)(218)와 이 내부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모뎀(MODEM)(216); 중앙처리장치(CPU)(210)와 연결되며, 키를 제어함으로써 발생한 데이터가 중앙처리장치로 전송되고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LCD 표시부(225) 회로를 제어하며 또한 코덱의 신호이득(signal gain)을 제어하는 기능키(226);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전원부(214)와 전원부에 연결되는 파워키(213) 그리고 전원부에 연결되는 내장배터리(212) 및 충전부(211);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MP3/BT모듈(215); 및 코덱(220)에는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고품질의 소리를 제공하는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는,
    시그널(signal)을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310)와 코덱(220)을 거쳐 정상패스(path)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 라인으로 시그널(signal)이 들어가면 OP앰프(315)를 거쳐서 로직(logic)을 판단하는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316)와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317)을 거쳐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여 시그널을 스피커(224)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5. 사용자에게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없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향기기의 송신단말기(100)와 수신단말기(200)를 실시간 제어 및 실행시키는 단계;
    수신단말기(200)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300)의 시그널(signal)을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310)와 코덱(220)을 거쳐 정상패스(path)로 전송하는 단계;
    수신단말기(200)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 라인으로 시그널(signal)이 들어가면 OP앰프(315)를 거쳐서 로직(logic)을 판단하는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316)와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317)을 거쳐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여 시그널을 스피커(224)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여 시그널을 스피커(224)로 전송하는 단계는, 별도로 만들어진 화이트 노이즈 제거회로 라인으로 시그널(signal)이 들어오면 이 시그널은 OP앰프(315)를 거쳐서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되, 상기 스레솔드(threshold)의 값에 의하여 얼마만큼의 작은 소리에 민감하게 "D" CLASS AMP(312)를 동작시킬지를 결정하고, 이렇게 스레솔드(threshold)점이 결정되면 시그널을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316)를 이용하여 로직(logic)을 판단한 후 판단결과를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317) 회로를 거쳐서 정보가 실시간으로 "D" CLASS AMP(312)를 제어하여 일시적으로 sleep & wake up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방법.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정상패스(path)로 전송하는 단계는,
    시그널(signal) 차동회로(differential circuit)(310)와 코덱(220)을 거친 후 정상 정상패스(path) 라인으로 흘러들어가되, 이때 정상패스(path)라인은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동입력 및 로우 임피던스(low impedance)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방법.
  7.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D" CLASS AMP(312)의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여 시그널을 스피커(224)로 전송하는 단계는,
    화이트 노이즈 제거 시그널이 입력되는 단계; OP AMP(315) IC를 통하여 입력된 시그널을 원하는 만큼 증폭시켜 스레솔드(threshold)를 결정하는 단계; 증폭된 신호를 레벨디텍터(LEVEL DETECTOR)(316)를 통하여 내부에 장착된 슈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317) 회로를 이용하여 반전 비반전 출력하는 단계; 및 이렇게 출력된 반전 비반전 시그널을 "D" Class AMP(312) IC의 12번핀인 Mute 단자를 컨트롤하여 Sleep 및 Wake up를 실시간으로 실행하여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방법.
  8. 삭제
KR1020170172782A 2017-12-15 2017-12-15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05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782A KR102052696B1 (ko) 2017-12-15 2017-12-15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782A KR102052696B1 (ko) 2017-12-15 2017-12-15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890A KR20190071890A (ko) 2019-06-25
KR102052696B1 true KR102052696B1 (ko) 2019-12-09

Family

ID=6706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782A Active KR102052696B1 (ko) 2017-12-15 2017-12-15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6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2297A (ja) * 2012-02-21 2013-09-02 Kyocera Corp 電子機器、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654B1 (ko) 1997-08-30 2000-03-15 전주범 화이트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이트 노이즈 제거 회로
JP3831127B2 (ja) 1998-09-29 2006-10-11 一夫 大坪 交流電力波形中のノイズを除去する装置
KR20090017080A (ko) 2007-08-14 2009-02-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핸즈프리 시스템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 장치 및방법
KR101133351B1 (ko) * 2010-08-24 2012-04-06 유성호 휴대용 유무선 마이크 확성기
KR101757362B1 (ko) 2016-02-12 2017-07-12 시그마엘텍(주) 음향기기 검사용 핑크노이즈 출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2297A (ja) * 2012-02-21 2013-09-02 Kyocera Corp 電子機器、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890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045B1 (en) Voice control system with a microphone array
US9516406B2 (en) Portable device with enhanced bass response
US20150208165A1 (en)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Extremely High Acoustic Overload Points
CN102104815A (zh) 自动调音耳机及耳机调音方法
US8284975B2 (en)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KR100633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계 발생 장치
CN104581526A (zh) 传感器
US20140294193A1 (en) Transducer apparatus with in-ear microphone
CN102595280A (zh) 一种带传感器反馈及驱动电路的扬声器集成系统
CN103327436A (zh) 扬声器的音源信号测量方法及具有扬声器的电子装置
CN203840514U (zh) 一种用于耳机的主动噪音消除电路
CN103428593B (zh) 基于扬声器来采集音频信号的装置
CN104185125A (zh) 扬声器系统及其驱动方法
CN204578757U (zh) 扬声器补偿系统及便携式移动终端
US9524712B2 (en) Adaptive filtering for wired speaker amplifiers
CN204669605U (zh) 声学设备
KR102052696B1 (ko) 음향기기의 화이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US20040156520A1 (en) Miniature digital transducer with reduced number of external terminals
CN103237279A (zh) 指向性扬声器装置及其使用方法
CN201805492U (zh) 一种电视机装置
CN101360155A (zh) 有源消噪控制系统
KR20120066634A (ko) 전자 오디오 디바이스
CN104581492B (zh) 可产生超声波的听筒及其构成的多媒体设备
CN101959099A (zh) 指向性麦克风装置
JP2021010155A (ja) 超音波によるスピーカーの歪低減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