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689B1 -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689B1
KR102052689B1 KR1020170102220A KR20170102220A KR102052689B1 KR 102052689 B1 KR102052689 B1 KR 102052689B1 KR 1020170102220 A KR1020170102220 A KR 1020170102220A KR 20170102220 A KR20170102220 A KR 20170102220A KR 102052689 B1 KR102052689 B1 KR 10205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pacer
substrate
outer edge
ear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404A (ko
Inventor
김창규
은기찬
신인섭
정성균
Original Assignee
김창규
은기찬
신인섭
정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규, 은기찬, 신인섭, 정성균 filed Critical 김창규
Priority to KR102017010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6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수용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의 일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이격구를 구비하도록 사출 성형되는 몸체부와, 상기 이격구에 결합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을 구비하도록 이중 사출 성형되는 기판부와, 상기 몸체부, 고정부 및 기판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보호하도록 압축 성형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삽입홈에 가축의 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귀표의 몸체를 사출 성형한 후, 그 외부에 케이스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귀표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귀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분해를 통한 위조 또는 변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귀표에 내장된 센서가 가축의 귀에서 이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센서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가축의 이력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Ear tag and method making thereof}
본 발명은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귀표의 몸체를 사출 성형한 후, 그 외부에 케이스를 압축 성형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육류 소비량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 사육되는 가축 사육두수도 크게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육류 소비량의 주된 대상은 닭, 오리와 같은 가금류와 소, 돼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가축의 사육환경은 과거에는 영세농에 의한 농ㅇ수산업과 축산업의 겸업이 주된 구조로 가구당 사육두수가 적은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축산 전업농 또는 기업형 축산단체에 의해 가구당 사육두수가 몇 배로 증가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는 축산 농가수가 64% 감소한 반면, 사육두수는 20%가량 증가하였다. 이는 곧 축산 종사자 1인당 사육두수의 증가를 의미한다.
그래서, 안전한 육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축들 각각에 대한 이력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가축에 귀표를 부착하여 그 가축을 식별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귀표는 쉽게 파손되고, 귀표의 교체를 통한 위조 또는 변조가 가능하며, 귀표에 내장된 센서가 가축의 귀에 밀착되어 센싱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만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41798호 (2001. 07. 27. 등록)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16112호 (2008. 03. 17. 등록)
본 발명은 귀표의 몸체를 사출 성형한 후, 그 외부에 케이스를 압축 성형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귀표에 내장된 센서가 가축의 귀에서 이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수용공간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수용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의 일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이격구를 구비하도록 사출 성형되는 몸체부와, 상기 이격구에 결합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을 구비하도록 이중 사출 성형되는 기판부와, 상기 몸체부, 고정부 및 기판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보호하도록 압축 성형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삽입홈에 가축의 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1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결합홀과 상기 케이스부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2 결합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격구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결합홀과 상기 고정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홀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외면에 숫자,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수용공간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수용몸체와 삽입홈이 형성된 이격구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몸체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이격구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고정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후에, 상기 고정부를 상기 이격구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을 구비하는 기판부를 기판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와 이중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 고정부 및 기판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보호하는 케이스부를 케이스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 고정부 및 기판부와 압축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홈에 가축의 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삽입부를 삽입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1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결합홀과 상기 케이스부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2 결합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격구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결합홀과 상기 고정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홀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외면에 숫자,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귀표의 몸체를 사출 성형한 후, 그 외부에 케이스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귀표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귀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분해를 통한 위조 또는 변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귀표에 내장된 센서가 가축의 귀에서 이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센서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가축의 이력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귀표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귀표를 밑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귀표의 분해된 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귀표의 분해된 상태를 밑에서 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귀표의 삽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귀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귀표(100)는 몸체부(110), 고정부(120), 기판부(130), 케이스부(140), 삽입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으로, 배터리수용몸체(111), 이격구(112) 등을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예를 들어, 사각판 형태로 상단은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복원력을 높여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수용몸체(111)는 중앙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공간(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 수용공간(111a)은 그 단면이 배터리의 형태에 따라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수용몸체(111)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1 결합돌기(111b)가 형성되며, 기판부(130)에 형성된 제 2 결합홀(131)과 케이스부(140)에 형성된 결합홈(141)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몸체부(110), 기판부(130) 및 케이스부(14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격구(112)는 단면이 원형으로 배터리수용몸체(111)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중앙에 일정 깊이의 삽입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홈(112a)은 2-4 mm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배터리수용몸체(111) 및 기판부(130)가 가축의 몸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센서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격구(112)에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1 결합홀(112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케이스부(140)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돌기(142)가 삽입결합됨으로써, 몸체부(110)와 케이스부(14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이격구(112)에 대응되도록 원형 형태로 구비되며, 중앙에 삽입홀(121)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이격구(112)의 바닥방향으로 기울어진 고정구(122)가 형성됨으로써, 이격구(112)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홀(121)에 삽입된 삽입부(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120)는 고정구(122)가 이격구(112)의 바닥방향으로 13-15 도 기울어진 굴곡(경사)을 갖도록 형성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삽입부(150) 삽입 시 고정구(122)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고, 삽입 후에는 고정구(122)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삽입부(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0)에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고정홀(1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케이스부(140)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돌기(142)가 삽입결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120)는 삽입홀(121), 고정구(122), 복수의 고정홀(123)을 구비하는 형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기판부(130)는 몸체부(110)에 구비된 배터리수용몸체(111)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에 기판이 구비된 상태로 몸체부(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중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판부(130)에는 배터리수용몸체(111)에 대응되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2 결합홀(1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배터리수용몸체(111)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돌기(111b)가 삽입결합됨으로써, 기판부(130)와 몸체부(11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기판은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일면에 가축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에서 나온 온도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무선통신용 칩과, 무선 데이터를 별도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140)는 몸체부(110), 고정부(120) 및 기판부(1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압축 성형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케이스부(140)는 폴리우레탄 등의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가축용 귀표(100)가 가축에게 장착될 경우, 가축의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40)는 가축을 식별할 수 있도록 외면에 숫자,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40)에는 배터리수용판(112) 및 기판부(130)가 결합되는 부분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14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배터리수용몸체(111)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돌기(111b)가 삽입됨으로써, 케이스부(140)와 몸체부(11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40)에는 이격구(111) 및 고정부(120)가 결합되는 부분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2 결합돌기(14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이격구(112)에 구비되는 제 1 결합홀(111b)과 고정부(120)에 구비되는 고정홀(123)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케이스부(140)와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50)는 가축의 귀를 관통하여 삽입홈(112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부(150)는 케이스부(14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판(151)과, 삽입판(151)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로드(152)와, 삽입로드(152)의 끝단에 원뿔 형태로 가축의 귀를 관통시키는 삽입헤드(153)를 포함하는 형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헤드(153)의 하부직경은 삽입로드(15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삽입헤드(153)가 삽입홀(121)을 관통하면 고정구(122)가 복원되어 삽입로드(152)를 고정시키고 삽입헤드(153)는 결합된 상태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축용 귀표(100)는 제품번호를 인쇄할 경우, 가축용 귀표(100)를 포장 틀 속에 삽입 후 제품번호를 인쇄하여 교차포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가축용 귀표를 몸체부 금형을 이용하여 몸체부를 사출 성형하고, 고정부 금형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사출 성형한 후 몸체부에 결합시키며, 기판부 금형을 이용하여 기판부를 몸체부와 이중 사출 성형하고, 케이스부 금형을 이용하여 케이스부를 압축 성형하며, 삽입부 금형을 이용하여 삽입부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고 압축 성형하는 가축용 귀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수용공간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수용몸체(111)와 삽입홈(112a)이 형성된 이격구(112)를 포함하는 몸체부(110)를 몸체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다.(단계 S102)
여기에서, 몸체부(110)는 예를 들어, 사각판 형태로 상단은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복원력을 높여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수용몸체(111)는 중앙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공간(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 수용공간(111a)은 그 단면이 배터리의 형태에 따라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수용몸체(111)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1 결합돌기(111b)가 형성되며, 기판부(130)에 형성된 제 2 결합홀(131)과 케이스부(140)에 형성된 결합홈(141)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몸체부(110), 기판부(130) 및 케이스부(14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격구(112)는 단면이 원형으로 배터리수용몸체(111)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중앙에 일정 깊이의 삽입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홈(112a)은 2-4 mm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배터리수용몸체(111) 및 기판부(130)가 가축의 몸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센서의 작동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격구(112)에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1 결합홀(112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케이스부(140)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돌기(142)가 삽입결합됨으로써, 몸체부(110)와 케이스부(14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격구(112)에 결합되는 고정부(120)를 고정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후에, 고정부(120)를 이격구(112)에 결합시킬 수 있다.(단계 S104)
여기에서,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이격구(112)에 대응되도록 원형 형태로 구비되며, 중앙에 삽입홀(121)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이격구(112)의 바닥방향으로 기울어진 고정구(122)가 형성됨으로써, 이격구(112)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홀(121)에 삽입된 삽입부(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120)는 고정구(122)가 이격구(112)의 바닥방향으로 13-15 도 기울어진 굴곡(경사)을 갖도록 형성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삽입부(150) 삽입 시 고정구(122)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고, 삽입 후에는 고정구(122)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삽입부(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0)에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고정홀(1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케이스부(140)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돌기(142)가 삽입결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120)는 삽입홀(121), 고정구(122), 복수의 고정홀(123)을 구비하는 형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배터리수용몸체(111)에 결합되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을 구비하는 기판부(130)를 기판부 금형을 이용하여 몸체부(110)와 이중 사출 성형할 수 있다.(단계 S106)
여기에서, 기판은 기판부(130) 상면에 안착되고 이중 사출 성형을 통해 몸체부(110)와 기판부(130)를 실질적으로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몸체부(110)와 기판부(130)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부(130)에는 배터리수용몸체(111)에 대응되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2 결합홀(1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배터리수용몸체(111)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돌기(111b)가 삽입결합됨으로써, 기판부(130)와 몸체부(11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10), 고정부(120) 및 기판부(130)의 외부에 결합되어 보호하는 케이스부(140)를 케이스부 금형을 이용하여 몸체부(110), 고정부(120) 및 기판부(130)와 압축 성형할 수 있다.(단계 S108)
여기에서, 케이스부(140)는 폴리우레탄 등의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가축용 귀표(100)가 가축에게 장착될 경우, 가축의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경우 180-200 ℃에서 재료를 녹인 후 금형으로 주입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40)는 가축을 식별할 수 있도록 외면에 숫자,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40)에는 배터리수용판(112) 및 기판부(130)가 결합되는 부분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14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배터리수용몸체(111)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돌기(111b)가 삽입됨으로써, 케이스부(140)와 몸체부(11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40)에는 이격구(111) 및 고정부(120)가 결합되는 부분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2 결합돌기(14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이격구(112)에 구비되는 제 1 결합홀(111b)과 고정부(120)에 구비되는 고정홀(123)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케이스부(140)와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삽입홈(112a)에 가축의 귀와 고정부(120)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고정부(120)를 통해 고정되는 삽입부(150)를 삽입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다.(단계 S110)
여기에서, 삽입부(150)는 케이스부(14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판(151)과, 삽입판(151)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로드(152)와, 삽입로드(152)의 끝단에 원뿔 형태로 가축의 귀를 관통시키는 삽입헤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헤드(153)의 하부직경은 삽입로드(15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삽입헤드(153)가 삽입홀(121)을 관통하면 고정구(122)가 복원되어 삽입로드(152)를 고정시키고 삽입헤드(153)는 결합된 상태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귀표의 몸체를 사출 성형한 후, 그 외부에 케이스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귀표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귀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분해를 통한 위조 또는 변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귀표에 내장된 센서가 가축의 귀에서 이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센서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가축의 이력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축용 귀표 110: 몸체부
120: 고정부 130: 기판부
140: 케이스부 150: 삽입부

Claims (8)

  1. 배터리 수용공간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수용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이격구를 구비하도록 사출 성형되는 몸체부와,
    상기 이격구에 결합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고정부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을 구비하도록 이중 사출 성형되는 기판부와,
    상기 몸체부, 고정부 및 기판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보호하도록 압축 성형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이격구에 가축의 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구는, 상기 배터리수용몸체 및 기판부가 상기 가축의 몸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센서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부 삽입 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삽입 후에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삽입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 주위에 상기 이격구의 바닥방향으로 기울어지며,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가축용 귀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1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결합홀과 상기 케이스부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에 상호 결합되는 가축용 귀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2 결합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격구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결합홀과 상기 고정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홀에 상호 결합되는 가축용 귀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외면에 숫자,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식별코드가 인쇄되는 가축용 귀표.
  5. 배터리 수용공간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수용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이격구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몸체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이격구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고정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후에, 상기 고정부를 상기 이격구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을 구비하는 기판부를 기판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와 이중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 고정부 및 기판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보호하는 케이스부를 케이스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 고정부 및 기판부와 압축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이격구에 가축의 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는 삽입부를 삽입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구는, 상기 배터리수용몸체 및 기판부가 상기 가축의 몸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센서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부 삽입 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삽입 후에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삽입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 주위에 상기 이격구의 바닥방향으로 기울어지며,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가축용 귀표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배터리수용몸체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1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결합홀과 상기 케이스부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에 상호 결합되는 가축용 귀표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 2 결합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격구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결합홀과 상기 고정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홀에 상호 결합되는 가축용 귀표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외면에 숫자, 바코드, QR코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식별코드가 인쇄되는 가축용 귀표 제조방법.
KR1020170102220A 2017-08-11 2017-08-11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20A KR102052689B1 (ko) 2017-08-11 2017-08-11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20A KR102052689B1 (ko) 2017-08-11 2017-08-11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404A KR20190017404A (ko) 2019-02-20
KR102052689B1 true KR102052689B1 (ko) 2019-12-09

Family

ID=6556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20A KR102052689B1 (ko) 2017-08-11 2017-08-11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7219B (zh) * 2021-05-26 2022-05-03 上海其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家畜养殖用监测生理体征电子耳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520A (ja) * 2004-03-31 2005-10-20 Sato Gooc:Kk 情報記録体樹脂封入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798Y1 (ko) 2001-05-03 2001-10-12 백민호 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가축용 이표
KR100816112B1 (ko) 2006-10-20 2008-03-21 이대자 가축용 밴드태그
KR20060000192U (ko) * 2006-11-10 2006-12-29 정우영 무선장비를 장착한 가축의 이어 태그(귀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520A (ja) * 2004-03-31 2005-10-20 Sato Gooc:Kk 情報記録体樹脂封入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404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4945B1 (en) Flexible electronic ear tag
CA2587385C (en) Radio frequency animal tracking system
CN101316506B (zh) 用于辨认动物的耳标,包括一个可容纳销的可变形的元件
CA2942739C (en) Metal ear tag with overmoulded cover for transponder housing,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U2016253983B2 (en) Animal ear tag
KR101275894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US20130175347A1 (en) Device for identifying an animal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device
US20110169610A1 (en) Radio frequency animal tracking system
US20070103314A1 (en) Radio frequency animal tracking system
KR102052689B1 (ko)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US9038293B2 (en) Resinated device for identifying an animal,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CN104272325A (zh) 具有用于嵌体间距的结构的射频id标签
US20150308159A1 (en) Thermoplastic Security Seal with Covered Locking Recess
US9675046B2 (en) Animal tag
CN210746653U (zh) 一种微型可重复使用动物电子耳标
CN214853568U (zh) 一种新型uhf标签结构及动物耳标
GB2496904A (en) Animal identification device
KR100687082B1 (ko) 알에프아이디 칩을 내장한 돼지용 이력태그
CN219555950U (zh) 一种无源rfid和有源rfid结合的动物耳标
CN218736600U (zh) 一种电子翅标标签
CN210610689U (zh) 一种家禽养殖用可快速识别的鸡脚环
KR101000282B1 (ko) 어류용 개체 식별표
JP2017091253A (ja) 非接触icタグおよびその運用方法
EP4358703A1 (en) Animal ear tag
US20180366039A1 (en) Wirelessly readable bolt se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