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513B1 -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513B1
KR102052513B1 KR1020190032754A KR20190032754A KR102052513B1 KR 102052513 B1 KR102052513 B1 KR 102052513B1 KR 1020190032754 A KR1020190032754 A KR 1020190032754A KR 20190032754 A KR20190032754 A KR 20190032754A KR 102052513 B1 KR102052513 B1 KR 102052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financial
future
evaluation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명
이성주
황인덕
황경룡
오영권
최원철
양동식
장영민
김태희
김민지
전우찬
Original Assignee
신용보증기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보증기금 filed Critical 신용보증기금
Priority to KR102019003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프로그램 및 일정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및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 등을 구비하는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 매출액 예측부, 재무제표 추정부, 재무 이상치 점검부, 및 성장역량 평가부를 구성하는 미래 성장성 평가 시스템에서 수행하며,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 및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를 수행하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An evaluation method for future growth of the company}
본 발명은 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업의 재무상태를 추정하여 기업의 양적 성장 가능성과 기업의 질적 성장 가능성 평가를 이용하여 기업의 미래 성장성 및 미래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창업 기업의 미래 성장성 및 미래가치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의 미래 성장성이란, '기업이 양적인 확장과 질적인 성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 성장을 분석하여야 대상 기업의 정확한 미래 성장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임의의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체계는 재무제표(재무추정, 기업가치평가 등) 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평가체계가 기업가치평가등급, 지식자산평가등급, 기술자산평가등급 등으로 다원화되어 기업의 보증심사가 복잡하게 되며, 대부분의 평가가 기업의 신용도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미래의 가치에 대해서는 평가가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6696호(2012년 04월 0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평가 대상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예측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기업이 보유한 재무 요소와 비-재무 요소로부터 재무제표를 추정하여 미래의 재무적 성과에 대한 평가(양적 성장성 평가)와 기업에 내재된 성장잠재력에 대한 평가(질적 성장성 평가)를 모두 수행하여 대상 기업의 미래 성장성 등급을 결정하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은, 각각 프로그램 및 일정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및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 구비하는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 매출액 예측부, 재무제표 추정부, 재무 이상치 점검부 및 성장역량 평가부를 구성하는 미래 성장성 평가 시스템에서 수행하며,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 및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양적 평가단계에서는 상기 매출액 예측부, 상기 재무제표 추정부, 상기 재무 이상치 점검부 및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대상 기업이 보유한 재무와 비재무 요소로부터 재무제표를 추정하여 대상 기업의 미래 재무적 성과를 양적으로 평가하여 양적 성장성 평점(미래경영평점)을 부여한다. 상기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에서는 상기 성장역량 평가부 및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공통혁신성장성 지표, 특화혁신성장성 지표, 사업성장성 지표, 비기술혁신 지표, 기술혁신지표 및 사회적가치를 이용하여 대상 기업을 질적으로 평가하여 질적 성장성 평점(성장역량평점)을 부여한다. 상기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에서는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상기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 및 상기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에서 평가한 미래경영평점 및 성장역량평점을 이용하여 대상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이용하여 미래성장성등급을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은, 기업의 재무 요소와 비-재무 요소를 이용하여 재무상태를 추정, 기업의 양적 성장 가능성 평가와 기업의 성장잠재력을 측정, 질적 성장 가능성 평가를 사용하여 기업의 미래 성장성 및 미래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창업 기업의 미래 성장성 및 미래가치도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래 성장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미래 성장성 평가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매출액 추정단계에서 설정한 매출액 예측 모형의 세그먼트(Segment)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무제표 추정단계에서 추정하는 추정 재무제표의 계정항목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재무제표를 1개 이상 보유한 기업의 재무제표 추정과정의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의 재무제표 추정과정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재무 이상치 점검지표 및 재무 이상치 체크리스트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미래경영 평가지표 및 미래경영 평가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는 공통혁신성장성 지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특화혁신성장성 지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공통혁신성장성 지표, 특화혁신성장성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와 업종, 산업 분류 문항 대응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사업성장성 지표, 비기술혁신 지표, 기술혁신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를 설명한다.
도 13은 기업의 사회적가치를 평가하는 항목 및 지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기업가치를 산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개별가치를 산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래 성장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미래 성장성 평가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래 성장성 평가 시스템(100)은,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110), 매출액 예측부(120), 재무제표 추정부(130), 재무 이상치 점검부(140) 및 성장역량 평가부(15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을 설명할 때 같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각 기능블록(110~150)은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나 과정을 정의한 프로그램, 기능블록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하거나 기능블록의 수행의 결과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및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 등을 구비하는데, 각 기능블록의 구성은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200)은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210),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230),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250) 및 가치 평가단계(270)를 수행한다.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210)는 매출액 예측부(120)에서 수행하는 매출액 추정단계(211), 재무제표 추정부(130)에서 수행하는 재무제표 추정단계(213), 재무 이상치 점검부(140)에서 수행하는 재무 이상치 점검단계(215),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는 미래경영 평가단계(217) 및 양적 성장성 평점(미래경영평점) 부여단계(219)를 포함하며, 기업이 보유한 재무요소와 비재무요소로부터 재무제표를 추정하여 미래의 재무적 성과를 이용하여 기업의 양적 성장성을 평가한다.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230)는 성장역량 평가부(150)에서 수행하는 성장역량 평가단계(231) 및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는 질적 성장성 평점(성장역량평점) 부여단계(233)를 수행함으로써, 기업의 질적 성장성을 평가한다.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250)는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며,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210) 및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230)에서 평가한 평점(양적 성장성 평점 및 질적 성장성 평점)을 이용하여 대상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점수로 환산한 미래 성장성 평점을 부여하는 미래 성장성 평점 부여단계(251) 및 미래 성장성 평점과 대상 기업의 신용평가점수를 분석하여 미래 성장성 등급을 설정하는 미래 성장성 등급 설정단계(253)를 수행한다.
가치 평가단계(270)는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며,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250)에서의 평가를 근거로 대상 기업의 일반적인 전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단계(271) 및 대상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가치 및 IP 가치와 같은 개별가치를 평가하는 단계(273)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210),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230), 미래성장성 평가단계(250) 및 가치 평가단계(270)의 순서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2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매출액 추정단계(211)에서는 한편으로는 대상 기업을 업종에 따라 지속성장단계(업력이 7년 이상), 창업성장단계(업력이 5년~7년), 및 창업초기단계(업력이 3년~5년)로 구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업종에 관계없이 재무제표를 2개 보유한 신생기업단계(업력이 3년 미만)의 기업과 전체 기업 중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거나 재무제표를 1개만 보유한 기업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업종은, 예를 들면, 제조업 및 도소매 기타 서비스업을 제1그룹으로 하고, 건설업을 제2그룹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은 규모에 따라, 외감기업, 중규모기업, 소규모기업 및 영세기업 중 하나로 구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분에 따라, 다중회귀모형 및 의사결정나무모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차기, 차차기, 차차차기의 예상 매출액을 산출한다. 상술한 다중회귀모형 및 의사결정나무모형은 이미 공개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다중회귀모형(Multiple Regression)은 개별기업의 속성을 반영하는 모형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인과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선형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029577419-pat00001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는 집단적 속성을 반영하는 모형으로, 의사결정규칙(Decision Rule)을 도표화 하여 분석 대상을 몇 개의 소집단으로 분류하거나 예측을 수행하는 분석방법이다.
도 3은 매출액 추정단계에서 설정한 매출액 예측 모형의 세그먼트(Segment) 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매출액 예측 모형은 기업의 성장단계, 규모 및 업종으로 구분하며, 세그먼트(Segment) 1~20은 제조업과 도소매 기타 서비스업에 할당하였고, 세그먼트 21 및 22는 건설업으로 할당하였으며, 세그먼트 23은 업종에 관계없이 재무제표를 2개 보유한 업력이 3년 미만의 신생기업단계에 할당하였으며, 세그먼트 24, 25는 기업의 성장단계에 상관없이 재무제표가 없거나 1개 보유한 기업에 할당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무제표 추정단계(213)에서는, 재무제표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재무제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으로 구분하여 가상으로 재무제표를 추정하며, 재무제표를 1개 이상 구비하고 있는 기업은 최근 3기의 재무제표, 예측 매출액, 본건 차입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기, 차차기, 차차차기 재무제표를 추정하고, 재무제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은 예측 매출액, 자본금 데이터, 본건 차입금 데이터 및 차입금 규모를 이용하여 기업의 특성(신용보증기금 보증기업)을 반영한 표준재무제표와 매핑(mapping)하여 차기, 차차기, 차차차기 재무제표를 추정할 것을 제안한다.
재무제표는 재무회계의 과정을 통해 수집, 처리된 정보를 정기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상법에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를 재무제표로 하고 있으며,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주기 및 주석을 재무제표로 정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무제표 추정단계에서 추정하는 추정 재무제표의 계정항목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추정하는 재무제표는, 85개의 손익계산서 항목 중 일부와 재무상태표 항목 중 일부를 선별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재무제표를 1개 이상 보유한 기업의 재무제표 추정과정의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는 기업의 재무제표 추정과정의 예를 설명한다.
재무제표를 1개 이상 보유한 기업의 재무제표 추정과정에서는 최근 3기의 재무제표, 예측 매출액 및 본건 차입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기, 차차기, 차차차기 재무제표를 추정하고(도 5 참조),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의 재무제표 추정과정에서는 예측 매출액, 자본금 데이터, 본건 차입금 데이터 및 차입금 규모를 이용하여 기업의 특성(신용보증기금 보증기업)을 반영한 표준재무제표와 매핑하여 차기, 차차기, 차차차기 재무제표를 추정(도 6 참조)한다.
재무 이상치는 기업의 부실 규모를 숨기거나 실적을 부풀리기 위해 회계 장부상의 정보를 고의로 조작하는 행위인 분식의 결과로 재무제표상 나타나는 재무비율 간의 상호설명력이 낮은 이상 징후로 정의된다. 재무 이상치를 적발하는 방법으로는 외감과 비외감 방법이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분식유형 및 기업의 특성(신용보증기금 보증기업)에 따른 지표를 설정하여 재무 이상치를 적발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분식유형은 자산 과대, 부채 과소, 수익 과대 및 비용 과소로 크게 4개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7은 재무 이상치 점검지표 및 재무 이상치 체크리스트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재무 이상치 시나리오 및 점검사항의 일 실시 예이고, 도 7c는 재무 이상치 체크리스트의 일 예이다.
재무 이상치 점검단계(215)에서는 재무 이상치 점검지표를 설정한 후, 대상 기업의 재무제표 정보를 재무 이상치 점검지표와 비교·점검하여, 대상 기업의 재무제표에 재무이상이 있는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재무 이상치 점검지표(체크리스트)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금감원으로부터 수집한 분식회계 사례를 분식 유형별로 정리하고, 분식회계 사례에서 정리된 분식관련 계정과 연관 재무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미래경영 평가단계(217)에서는 매출액 추정단계(211), 재무제표 추정단계(213) 및 재무 이상치 점검단계(215)에서 수행한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 3개년 재무비율을 평가한다. 이때, 성장성비율, 안정성비율, 수익성비율 및 활동성비율을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다.
도 8은 미래경영 평가지표 및 미래경영 평가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a는 미래경영 평가지표로 성장성, 안정성, 수익성 및 활동성의 4가지 항목에 대해 설명하고, 도 8b는 미래경영 평가의 진행과정을 설명하는 미래경영 평가 흐름도이다.
여기서 성장성비율에는 총자산증가율, 매출액증가율, 순이익증가율 및 매출액증가금액을 반영하고, 안정성비율에는 유동비율 및 부채비율을 포함하며, 수익성비율에는 총자본세전계속사업이익률, 매출액세전계속사업이익률, 금융비용부담율 및 영업이익을 포함하고, 활동성비율에는 총자산회전율, 운전자금회전기간 및 재고자산회전기간을 포함한다.
이때, 재무 이상치 점검단계(215)를 수행한 결과, 대상 기업의 재무제표에 재무 이상치가 발견되었을 때에는 양적 성장성 평점을 차감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대상 기업의 재무제표 정보가 전혀 없는 경우에는 재무 이상치 점검단계가 필요없다.
양적 성장성 평점(미래경영평점) 부여단계(219) 다른 말로 표시하면 미래경영 평점부여단계(219)에서는, 미래경영 평가단계(217)에서 평가한 기업의 양적인 확장에 대응하는 양적 성장성 평점 즉 미래경영평점을 대상 기업에 부여한다.
이어서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230)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230)는 성장역량 평가부(150)에서 수행하는 성장역량 평가단계(231) 및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는 질적 성장성 평점(성장역량평점) 부여 단계(233)를 포함한다.
성장역량 평가단계(231)에서는, 재무제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 평가 시, 공통혁신성장성 지표, 특화혁신성장성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종 지표를 대상 기업과 비교하여 대상 기업의 성장역량을 평가한다.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 평가 시 사업성장성 지표, 비기술혁신 지표, 기술혁신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종 지표를 대상 기업과 비교하여 대상 기업의 성장역량을 평가한다. 즉, 재무제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의 성장역량 지표는 구성 및 내용이 상이하나, 사회적가치 지표는 동일하다.
여기서 공통혁신성장성 지표는 대표자의 경험수준(1) 및 전문성(2), 기업가 정신(3), 인적 자원 관리(4), 인정과 보상(5), 마케팅 전략수립 및 이행(6), 경쟁분석(7) 및 고객관계관리(8)를 포함한다.
도 9는 공통혁신성장성 지표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대표자의 경험수준은 대표자의 동업계 근무경력을 의미하며, 총 근무기간에 따라 1~5점의 점수가 주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9에는 8가지 분류의 기준과 지표의 판단 기준이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특화혁신성장성 지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특화혁신성장성 지표는 총 21가지인데, 기업의 종류(예를 들면, 제조, 건설, 바이오, 도소매, 문화콘텐츠, 4.0, 서비스)에 따라 이들을 선별하여 지표로 설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10은 그 중 제조에 대한 것으로, 총 21가지의 지표 즉 평가항목 중 19개의 평가항목의 기준 및 평가 등급의 선정 방식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21개의 평가항목은, 신제품 기획 및 개발(1), 사업화 추진전략 수립(2), 신제품 매출 비율(3), 기술 및 시장 경쟁력 향상도(4), 기술 표준화 노력(5), 주문관리(6), 조달관리(7), 품질문제 해결능력(8), 검사·품질보증활동(9), 생산기술확보 및 운영체계(10), 생산계획 및 실적관리(11), 공정관리 운영의 적절성(12), R&D 투자비율(13), R&D 전담조직(14), R&D 인력수준(15), 창조적 조직구조(16), 실패결과 공유문화(17), 기술개발 및 사업화실적(18), 기술축적 및 활용시스템(19), 보유기술 및 인력 등에 대한 내부자원 분석(20) 및 제품 포트폴리오 전략의 체계성(21)을 포함한다.
도 11은 공통혁신성장성 지표, 특화혁신성장성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와 업종, 산업 분류 문항 대응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조, 건설, 바이오, 문화콘텐츠, 4.0은 특화혁신성장성 지표 중 신제품기획 및 개발 지표를 포함하고 있지만, 도소매 및 서비스 분야에서는 이 지표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의 사업성장성 지표, 비기술혁신 지표, 기술혁신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업성장성은 시장매력도(1), 경쟁의 형태(2), 규제 및 지원(3), 향후 성장성 및 안정성(4) 및 자본조달 능력(5)을 평가 지표로 설정한다.
비기술혁신 지표는 대표자의 경험수준(1) 및 전문성(2), 기업가 정신(3), 인적 자원 관리(4), 인정과 보상(5), 마케팅 전략수립 및 이행(6), 경쟁분석(7) 및 고객관계관리(8)를 포함한다.
기술혁신 지표는 제품 포트폴리오 전략의 체계성(1), 사업화 추진전략 수립(2), 기술 및 시장 경쟁력 향상도(3), 기술 표준화 노력(4), 주문관리(5), 품질문제 해결능력(6), 검사·품질보증활동(7), 생산기술확보 및 운영체계(8), 생산계획 및 실적관리(9), R&D 투자비율(10), R&D 전담조직(11), R&D 인력수준(12), 창조적 조직구조(13), 실패결과 공유문화(14), 기술개발 및 사업화실적(15) 및 기술축적 및 활용시스템(16)을 포함한다.
사회적가치 지표는 기업의 경제적 책임 및 사회적책임에 대하여 평가하며, 예를 들면, 고용 증가율(1), 예상 고용 증가율(2), 영업 성과(3), 매출 성과(4), 근로자 임금수준(5), 정규직 비율(6), 사회 취약계층 채용(7), 대표자 도덕성 및 기업윤리(8), 지역사회 봉사 및 기부활동(9)을 포함한다.
도 13은 기업의 사회적가치를 평가하는 항목 및 지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업의 사회적가치 중 고용증가율(1)은 산업 평균 대표 지난해 고용증가율은 어느 정도 되는가에 대한 것으로 고용증가율에 따라 평가 지수가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머지 평가항목에 대한 것은 고용증가율(1)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질적 성장성 평점(성장역량평점) 부여단계(233)에서는 성장역량 평가 단계(231)에서의 평가를 근거로 대상 기업의 성장역량평점을 부여한다.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250)는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며,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210) 및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230)에서 평가한 미래경영평점 및 성장역량평점 등을 반영하여 대상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점수로 환산하여 미래 성장성 평점을 부여하는 미래 성장성 평점 부여단계(251) 및 대상 기업의 신용평가 점수와 미래 성장성 평점 부여단계(251)에서 환산한 미래 성장성 평점을 이용하여 대상 기업의 미래 성장성 등급을 설정하는 미래 성장성 등급 설정단계(253)를 수행한다.
미래 성장성 평점 부여단계(251)에서는 대상 기업의 양적 성장성 평점과 질적 성장성 평점에 일정한 가중치를 두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양적 성장성 평점은 가중치를 2로 하고 질적 성장성 평점에는 가중치를 1로 설정하는 것이다. 가중치는 임의의 값으로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수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래 성장성 등급 설정단계(253)에서는 신용평가 점수와 미래 성장성 평점을 일정한 비율로 반영하여 설정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결합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미래 성장성이란, 기업이 양적인 확장과 질적인 성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데, 미래 성장성 평점이란 기업이 보유한 재무 및 비재무요소로부터 재무제표를 추정하여 미래의 재무성과에 대한 양적 성장성 평가와 기업에 내재된 성장잠재력에 대한 질적 성장성 평가를 통하여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예측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에 따른 점수라고 할 수 있다.
가치 평가단계(270)는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며,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250)에서의 평가를 근거로 대상 기업의 일반적인 전체 기업가치를 평가(271)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술가치 및 IP 가치와 같은 개별가치를 평가(273)한다.
도 14는 기업가치를 산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업의 가치를 산출할 때, 재무제표 추정결과, 신용등급(KRS), 등급별 자기자본 비용(개인), 등급/규모별 자기자본비용(법인), 등급별 타인자본비용 및 신용등급별 할인율(재무제표 미보유기업)을 이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5는 개별가치를 산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개별가치를 산출할 때, 기업가치, 산업기술요소 및 개별기술강도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생성하고, 기술가치, 이용률, 조정계수(증감률), SMART3등급 및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이용하여 IP 가치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미래 성장성 평가 시스템
110 :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 120 : 매출액 예측부
130 : 재무제표 추정부 140 : 재무 이상치 점검부
150 : 성장역량 평가부
200 :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210 :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 211 : 매출액 추정
213 : 재무제표 추정 215 : 재무 이상치 점검
217 : 미래 경영 평가 219 : 양적 성장성 평점 부여
230 :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
231 : 성장 역량 평가 233 : 질적 성장성 평점 부여
250 :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
251 : 미래 성장성 평점 부여 253 : 미래 성장성 등급 설정
270 : 가치 평가단계
271 : 기업 가치 평가 273 : 개별 가치 평가

Claims (4)

  1. 각각 프로그램 및 일정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및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 매출액 예측부, 재무제표 추정부, 재무 이상치 점검부 및 성장역량 평가부를 구성하는 미래 성장성 평가 시스템에서 수행하며,
    상기 매출액 예측부, 상기 재무제표 추정부, 상기 재무 이상치 점검부 및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대상 기업이 보유한 재무와 비재무요소로부터 재무제표를 추정하여 상기 대상 기업의 미래 재무적 성과를 양적으로 평가하여 양적 성장성 평점(미래경영평점)을 부여하는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
    상기 성장역량 평가부 및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공통혁신성장성 지표, 특화혁신성장성 지표, 사업성장성 지표, 비기술혁신 지표, 기술혁신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업을 질적으로 평가하여 질적 성장성 평점(성장역량평점)을 부여하는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 및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상기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 및 상기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에서 평가한 양적 성장성 평점(미래경영평점) 및 질적 성장성 평점(성장역량평점)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업의 미래 성장성 등급을 설정하는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양적 성장성 평가단계에서는,
    상기 매출액 예측부에서 수행하며 한편으로는 상기 대상 기업을 업종에 따라 지속성장단계(업력이 7년 이상), 창업성장단계(업력이 5년~7년), 및 창업초기단계(업력이 3년~5년)로 구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업종에 관계없이 재무제표를 2개 보유한 신생기업단계(업력이 3년 미만)와 전체 기업 중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거나 재무제표를 1개만 보유한 기업으로 구분하며, 상기의 구분에 따라, 다중회귀모형 및 의사결정나무모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차기, 차차기, 차차차기의 예상 매출액을 산출하는 매출액 추정단계;
    상기 재무제표 추정부에서 수행하며 재무제표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재무제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으로 구분하여 가상으로 재무제표를 추정하며, 상기 재무제표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최근 3기의 재무제표, 예측 매출액, 본건 차입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기, 차차기, 차차차기 재무제표를 추정하고, 상기 재무제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은 예측 매출액, 자본금 데이터, 본건 차입금 데이터 및 차입금 규모를 이용하여 기업의 특성(신용보증기금 보증기업)을 반영한 표준재무제표와 매핑하여 차기, 차차기, 차차차기 재무제표를 추정하는 재무제표 추정단계;
    상기 재무 이상치 점검부에서 수행하며 분식유형 및 기업의 특성(신용보증기금 보증기업)에 따른 재무 이상치 점검지표를 설정하고, 상기 대상 기업의 재무제표 정보를 상기 재무 이상치 점검지표와 비교·점검하여, 상기 대상 기업의 재무제표에 재무이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재무 이상치 점검단계;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상기 매출액 추정단계, 상기 재무제표 추정단계 및 상기 재무 이상치 점검단계에서 수행한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 3개년 재무비율을 평가하는 미래 경영 평가단계; 및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상기 미래 경영 평가단계에서의 평가를 근거로 상기 대상 기업의 양적 성장성 평점(미래경영평점)을 부여하는 양적 성장성 평점 부여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3개년 재무비율은, 성장성비율, 안정성비율, 수익성비율 및 활동성비율을 평가의 기준으로 삼으며,
    상기 성장성비율에는 총자산증가율, 매출액증가율, 순이익증가율 및 매출액증가금액을 반영하고,
    상기 안정성비율에는 유동비율 및 부채비율을 포함하며,
    상기 수익성비율에는 총자본세전계속사업이익률, 매출액세전계속사업이익률, 금융비용부담율 및 영업이익을 포함하고,
    상기 활동성비율에는 총자산회전율, 운전자금회전기간 및 재고자산회전기간을 포함하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상기 미래 성장성 평가단계에서의 평가를 근거로 대상 기업의 일반적인 전체 기업가치와 대상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가치 및 IP 가치를 포함하는 개별가치를 평가하는 가치 평가단계; 를
    더 수행하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질적 성장성 평가단계에서는,
    상기 성장역량 평가부에서 수행하며, 재무제표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으로 구분하여, 상기 재무제표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공통혁신성장성 지표, 특화혁신성장성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종 지표를 대상 기업과 비교하여 상기 대상 기업의 내재된 성장잠재력을 평가하고, 상기 재무제표를 보유하지 않은 기업은 사업성장성 지표, 비기술혁신 지표, 기술혁신 지표 및 사회적가치 지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종 지표를 대상 기업과 비교하여 상기 대상 기업의 내재된 성장잠재력을 평가하는 성장역량 평가단계; 및
    상기 미래 성장평가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상기 성장역량 평가단계에서의 평가를 근거로 상기 대상 기업의 질적 성장성 평점(성장역량평점)을 부여하는 질적 성장성 평점부여 단계; 를
    수행하는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KR1020190032754A 2019-03-22 2019-03-22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KR10205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54A KR102052513B1 (ko) 2019-03-22 2019-03-22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54A KR102052513B1 (ko) 2019-03-22 2019-03-22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513B1 true KR102052513B1 (ko) 2019-12-05

Family

ID=6900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54A KR102052513B1 (ko) 2019-03-22 2019-03-22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51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006B1 (ko) * 2020-10-14 2021-08-25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인공지능 기반 특허 관련 매출 추정 시스템
CN113516411A (zh) * 2021-08-02 2021-10-19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创新要素增量的技术创新能力评测方法及系统
KR20210135812A (ko) * 2020-05-06 2021-11-16 김해동 Bj 역량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출 방법과 그 장치
KR20220076103A (ko) * 2020-11-30 2022-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연계를 기반으로 기업성장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97822A (ko) 2020-12-31 2022-07-08 사단법인 디엠씨코넷 비정형 기업 데이터를 이용한 기업성장 예측 시스템
KR20220130908A (ko)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진학사 기업의 규모형태, 안정성, 성장성 및 수익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기업 재무평가 방법
KR20220130910A (ko)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진학사 기업의 규모형태, 안정성, 성장성 및 수익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기업 재무평가 시스템
KR102460859B1 (ko) * 2022-04-01 2022-11-01 신용보증기금 자동화 기반의 지식재산가치 평가시스템
CN115828735A (zh) * 2022-11-07 2023-03-21 江苏风云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高成长型企业评价方法和系统
KR20230062257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기업 정보를 이용한 기업 미래 성장지수 분석 시스템
KR20230063948A (ko) 2021-10-29 2023-05-10 사단법인 디엠씨코넷 비정형 기업 데이터 기반 성장요소 분석 시스템
CN113516411B (zh) * 2021-08-02 2024-06-04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创新要素增量的技术创新能力评测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96B1 (ko) 2011-12-02 2012-04-20 김상정 기업성장단계를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식의 저평가/고평가를 산출하는 주식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79781B1 (ko) * 2013-02-28 2013-06-28 신용보증기금 기업가치의 평가 및 인증시스템
KR20160038147A (ko) * 2014-09-29 2016-04-07 (주)한국투자교육연구소 기업 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9133B1 (ko) * 2018-04-13 2018-10-17 (주)에스씨플랫폼 기업성장진단에 따른 기관의 지원 프로그램 매칭 시스템 및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96B1 (ko) 2011-12-02 2012-04-20 김상정 기업성장단계를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식의 저평가/고평가를 산출하는 주식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79781B1 (ko) * 2013-02-28 2013-06-28 신용보증기금 기업가치의 평가 및 인증시스템
KR20160038147A (ko) * 2014-09-29 2016-04-07 (주)한국투자교육연구소 기업 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9133B1 (ko) * 2018-04-13 2018-10-17 (주)에스씨플랫폼 기업성장진단에 따른 기관의 지원 프로그램 매칭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311B1 (ko) * 2020-05-06 2022-12-02 김계옥 Bj 역량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출 방법과 그 장치
KR20210135812A (ko) * 2020-05-06 2021-11-16 김해동 Bj 역량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출 방법과 그 장치
KR102294006B1 (ko) * 2020-10-14 2021-08-25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인공지능 기반 특허 관련 매출 추정 시스템
KR20220076103A (ko) * 2020-11-30 2022-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연계를 기반으로 기업성장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13757B1 (ko) * 2020-11-30 2023-03-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연계를 기반으로 기업성장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43211B1 (ko) * 2020-12-31 2023-06-13 사단법인 디엠씨코넷 비정형 기업 데이터를 이용한 기업성장 예측 시스템
KR20220097822A (ko) 2020-12-31 2022-07-08 사단법인 디엠씨코넷 비정형 기업 데이터를 이용한 기업성장 예측 시스템
KR20220130910A (ko)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진학사 기업의 규모형태, 안정성, 성장성 및 수익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기업 재무평가 시스템
KR20220130908A (ko)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진학사 기업의 규모형태, 안정성, 성장성 및 수익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기업 재무평가 방법
CN113516411A (zh) * 2021-08-02 2021-10-19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创新要素增量的技术创新能力评测方法及系统
CN113516411B (zh) * 2021-08-02 2024-06-04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创新要素增量的技术创新能力评测方法及系统
KR20230062257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기업 정보를 이용한 기업 미래 성장지수 분석 시스템
KR20230063948A (ko) 2021-10-29 2023-05-10 사단법인 디엠씨코넷 비정형 기업 데이터 기반 성장요소 분석 시스템
KR102460859B1 (ko) * 2022-04-01 2022-11-01 신용보증기금 자동화 기반의 지식재산가치 평가시스템
CN115828735A (zh) * 2022-11-07 2023-03-21 江苏风云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高成长型企业评价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513B1 (ko) 기업의 미래 성장성 평가방법
Chuang et al. Examining the link between retailer inventory leanness and operational efficiency: Moderating roles of firm size and demand uncertainty
Subramaniam et al. Additional evidence on the sticky behavior of costs
Schestag et al. Measuring liquidity in bond markets
Gaur et al. The effects of firm size and sales growth rate on inventory turnover performance in the US retail sector
Amihud et al. Mutual fund's R 2 as predictor of performance
Kitsios et al. Evaluating service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ourism: 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approach
Rouyendegh et al. Evaluation of retail ındustry performance ability through ıntegrated ıntuitionistic fuzzy TOPSI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approach
Hahn et al. Valuing supply chain performance within and across manufacturing industries: A DEA-based approach
Brandenburg et al. Impacts of supply chain management on company value: benchmarking companies from the fast moving consumer goods industry
Kasim et al. An assessment of the inventory management practi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in the Northern Region of Ghana
Arnold The impact of privatization of state-owned enterprises on workers
Chen et al. Distribution channel strategy and efficiency performance of the life insurance industry in Taiwan
Aithal Impact of Domestic, Foreign, and Global Environments on International Business Decisions of Multinational Firms: A Systematic Study
KR101230008B1 (ko) 경영의사 결정 지원시스템
Gupta et al. Efficiency assessment of Indian electronics retail stores using DEA
KR101063980B1 (ko) 전략의사결정지원 시스템
Cieśla Outsourcing strategy selection for transportation services based on the make-or-buy decision
Korauš et al. Acqusition activity in financial sector
Pournader et al. Investigating the impact of behavioral factors on supply network efficiency: insights from banking’s corporate bond networks
Malhotra et al. Benchmarking large US retailers using 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Ruhrmann et al.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evaluate supplier development based on real options
Manggabarani et al. Analysis of Business Processes and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MSMES in Village Cileles Lebak Banten
Гнилицька et al. Security priorities i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domestic enterprises
Hsu et al. Customer-supplier Relationship and Cos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