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704B1 -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704B1
KR102051704B1 KR1020170118924A KR20170118924A KR102051704B1 KR 102051704 B1 KR102051704 B1 KR 102051704B1 KR 1020170118924 A KR1020170118924 A KR 1020170118924A KR 20170118924 A KR20170118924 A KR 20170118924A KR 102051704 B1 KR102051704 B1 KR 10205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yte
bytes
value
bit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328A (ko
Inventor
이성종
박세영
Original Assignee
수상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상에스티(주) filed Critical 수상에스티(주)
Priority to PCT/KR2018/0007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54583A1/ko
Publication of KR2018012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데이터 암호화 방법은, 년도, 월, 일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날짜데이터와, 시, 분, 초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시간데이터와,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를 기설정된 비트열에 표시하는 1바이트의 유효성 방향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위도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경도데이터와, 제로 패드 1바이트를 포함하는 16바이트의 비트열을 상기 위치데이터로서 전송하며, 상기 위치데이터의 분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되, 상기 분 데이터 값이 0 내지 2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우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30 내지 5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에서 30을 뺀 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좌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한 후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METHOD FOR DATA ENCRYPTION IN A LONG RANGE, LOWER RATE DATA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속통신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저속통신에서는 GPS의 위치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는 송신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암호화 방법이 다수 공개되었으며, 종래에도, 이동 네트워크에서 GP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한국공개특허 10- 2003-0075154)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기술은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저속 통신 등에 있어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GPS 위치데이터의 주요데이터 정보만을 헥사코드로 변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저속통신에서 불필요한 정보는 배제하고 필요한 정보만을 작은 크기의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의 유효성, 위도 방향, 경도 방향 정보를 각각 하나의 비트에 할당하여 전송함으로써, 주요 정보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축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암호화 방법은, 년도, 월, 일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날짜데이터와, 시, 분, 초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시간데이터와,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를 기설정된 비트열에 표시하는 1바이트의 유효성 방향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위도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경도데이터와, 제로 패드 1바이트를 포함하는 16바이트의 비트열을 상기 위치데이터로서 전송하며, 상기 위치데이터의 분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되, 상기 분 데이터 값이 0 내지 2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우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30 내지 5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에서 30을 뺀 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좌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한 후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GPS 위치데이터의 주요데이터 정보만을 헥사코드로 변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저속통신에서 불필요한 정보는 배제하고 필요한 정보만을 작은 크기의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의 유효성, 위도 방향, 경도 방향 정보를 각각 하나의 비트에 할당하여 전송함으로써, 주요 정보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압축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열을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쉬프트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가 유출되더라도 쉬프트 정보 없이는 해석하지 못하므로 보안이 강화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암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따라 전송하는 위치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따라 비트열을 쉬프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따라 비트열을 쉬프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장거리 저속 통신에서 위치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위치데이터는 압축된 후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는데, 종래의 위치데이터는 데이터 길이가 너무 길고, 데이터 암호화 시 길이에 맞추어 불필요한 데이터 추가가 많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장거리 저속 통신(수십킬로bps 이하의 속도)에서는 채널을 장시간 점유하게 되어 시간 당 패킷 전송률을 크게 낮추는 문제가 되어왔다.
종래의 GPS 데이터 형식은 "$GPRMC, 134807.000, A, 3732.6627, N, 12701.3549, E, 1.58,329.68, 160808,,,A*63"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중 "134807.000"는 현재 시간 13시 48분 07초 000ms을 의미하고, "A"는 현재 유효한 GPS 데이터인지 여부를, :3732.6627"는 위도 좌표를, "N"은 위도 방향을, "12701.3549"은 경도 좌표를, "E"는 경도 방향을, "080816"는 날짜 8일 8월 2016년을 각각 의미하는 정보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모든 정보를 전송하고자 할 때 총 데이터 길이 합계는 10+1+9+1+10+1+6=38바이트가 된다.(위치데이터는 스트링 형태로 처리되었음) 여기서 헤더 8바이트가 추가되면 46바이트의 패킷이 형성되며, 이를 암호화하는 경우에는 88바이트의 패킷이 만들어지게 된다.
다만, 저속 통신에서는 개별 노드가 1초에 1회 이상 통신하기는 어려운 점을 고려한다면 초 미만의 시간 단위는 의미가 없다. 즉, 위치 서비스의 가입자가 많아지게 되면 위치데이터를 빨리 보낼 수 없게 될 수 있으므로(1초에 1회 보내기도 어려운 경우 존재함) 시간 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필요하나, 초 미만의 단위는 불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따라 전송하는 위치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위치데이터 전송장치는 16바이트로 구성되는 위치데이터(100)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데이터(100)는 년도, 월, 일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날짜데이터(110)와, 시, 분, 초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시간데이터(120)와,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를 기설정된 비트열에 따라 표시하는 1바이트의 유효성 방향데이터(130)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위도데이터(140)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경도데이터(150) 및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제로 패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종래에 080816(6 byte)와 같이 표현되던 날짜 데이터는 본 발명에서는 표기 변경하여 3 byte의 헥사코드(0x08, 0x08, 0x10)로 표시될 수 있으며, 종래에 134807(6 byte)와 같이 표현되던 시간 데이터는 표기 변경하여 3 byte의 헥사코드(0x0D, 0x30, 0x07)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3732.6627(9 byte)와 같이 표현되던 위도 데이터도 본 발명에서 표기 변경되어 4 byte의 헥사코드(0x25, 0x20, 0x42, 0x1B)로 표시될 수 있으며, 종래에 12701.3549(10byte)와 같이 표현되던 경도 데이터는 표기 변경하여 4 byte의 헥사코드(0x7F, 0x01, 0x23, 0x31)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GPS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이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는 위도데이터와 경도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의미 없으므로, 위치데이터(100)는 7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가 유효한 경우 및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모두에 포함되는 유효성 방향데이터(130)는 1바이트 크기로 구성되어,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 등을 기설정된 비트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비트에서 경도 방향이 East인 경우에는 0으로 표시되고, 경도 방향이 West인 경우에는 1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2비트에서 위도 방향이 North인 경우에는 0으로 표시되고, 위도 방향이 South인 경우에는 1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비트의 경우, 위치데이터를 송신하는 객체가 이동중인 경우에는 1을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4비트의 경우, 데이터의 유효성이 있는 경우에는 1을, 유효성이 없는 경우에는 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위치데이터의 분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되, 상기 분 데이터 값이 0 내지 2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우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30 내지 5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에서 30을 뺀 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좌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한 후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 키값이 유출된 경우에도 데이터가 쉬프트되어 있으므로, 쉬프트 정보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정확한 데이터값을 추출해내기 어려워 데이터 보안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위치데이터의 유효성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동성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어, 객체가 이동 중인지 머물러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적은 데이터 량으로도 객체의 상태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객체의 이동 여부는 운동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GPS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이동 중인지, 머물러 있는지에 대해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따라 비트열을 쉬프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데이터 전송장치는 16바이트로 구성되는 위치데이터(100)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데이터(100)는 년도, 월, 일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날짜데이터(110)와, 시, 분, 초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시간데이터(120)와,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를 기설정된 비트열에 따라 표시하는 1바이트의 유효성 방향데이터(130)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위도데이터(140)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경도데이터(150) 및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제로 패드(160)를 포함하는 16바이트의 비트열을 상기 위치데이터로서 전송하되, 상기 위치데이터의 분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 한 후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는 것은, 상기 분 데이터 값이 0 내지 2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우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30 내지 5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에서 30을 뺀 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좌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 할 수 있다.
만약, 분 데이터 값이 17(분)인 경우, 17을 16으로 나눈 나머지는 1이므로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우측으로 1바이트씩 전체 비트열을 쉬프트하여 전송함으로써, 위치데이터가 전송 과정에서 유출되더라도 쉬프트된 정보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는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보안이 보다 강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비트열의 가장 우측 비트는 우측으로 1바이트 쉬프트할 수 없으므로, 가장 좌측 비트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체 데이터의 누락없이 쉬프트된 비트열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따라 비트열을 쉬프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위치데이터 전송장치는 16바이트로 구성되는 위치데이터(100)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데이터(100)는 년도, 월, 일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날짜데이터(110)와, 시, 분, 초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시간데이터(120)와,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를 기설정된 비트열에 따라 표시하는 1바이트의 유효성 방향데이터(130)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위도데이터(140)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경도데이터(150) 및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제로 패드(160)를 포함하는 16바이트의 비트열을 상기 위치데이터로서 전송하되, 상기 위치데이터의 분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 한 후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는 것은,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짝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전반부(16바이트 중 1번째 바이트~8번째 바이트)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후반부(16바이트 중 9번째 바이트~16번째 바이트)에 배치하도록 비트열 각각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홀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도록 각 바이트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할 수 있다.
만약, 분 데이터 값이 17(분)인 경우, 17은 홀수이므로,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 즉, 2, 4, 6, 8, 10, 12, 14, 16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 즉, 1, 3, 5, 7, 9, 11, 13, 15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도록 각 바이트를 쉬프트하고자 하는 n 값을 결정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의 경우와 같이,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기 위해,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짝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전반부(16바이트 중 1번째 바이트~8번째 바이트)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후반부(16바이트 중 9번째 바이트~16번째 바이트)에 배치하도록 비트열 각각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홀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도록 각 바이트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되,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소수인 경우에는 취급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소수인 경우에는 1)쉬프트를 하지 않거나, 2)짝수와 같이 취급하여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기 위해,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는 것은, 상기 분 데이터 값이 0 내지 2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우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30 내지 5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에서 30을 뺀 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좌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하되, 상기 시 데이터 값이 소수인 경우에는 취급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시 데이터 값이 소수인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 2를 역으로 적용하여, 분 데이터 값이 0 내지 2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좌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30 내지 5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에서 30을 뺀 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우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열을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쉬프트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가 유출되더라도 쉬프트 정보 없이는 해석하지 못하므로 보안이 강화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암호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날짜 비트열
120 : 시간 비트열
130 : 유효성 방향데이터 비트열
140 : 위도 비트열
150 : 경도 비트열
160 : zero pad

Claims (5)

  1.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년도, 월, 일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날짜데이터와,
    시, 분, 초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시간데이터와,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를 기설정된 비트열에 표시하는 1바이트의 유효성 방향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위도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경도데이터와,
    제로 패드 1바이트를 포함하는 16바이트의 비트열을 위치데이터로서 전송하며,
    상기 위치데이터의 분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 한 후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는 것은,
    상기 분 데이터 값이 0 내지 2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우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30 내지 59 사이값인 경우에는 분 데이터 값에서 30을 뺀 후 1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n으로 결정하여 좌측으로 n 바이트 쉬프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
  2. 삭제
  3.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년도, 월, 일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날짜데이터와,
    시, 분, 초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시간데이터와,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를 기설정된 비트열에 표시하는 1바이트의 유효성 방향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위도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경도데이터와,
    제로 패드 1바이트를 포함하는 16바이트의 비트열을 위치데이터로서 전송하며,
    상기 위치데이터의 분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 한 후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는 것은,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짝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도록 비트열 각각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홀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도록 각 바이트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는 것은,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짝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도록 비트열 각각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홀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도록 각 바이트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되,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소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도록 비트열 각각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
  5.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년도, 월, 일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날짜데이터와,
    시, 분, 초 데이터를 각각 1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시간데이터와,
    데이터 유효성, 객체의 이동성, 위도방향, 경도방향, 초단위 정보 포함여부를 기설정된 비트열에 표시하는 1바이트의 유효성 방향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위도데이터와,
    4바이트의 헥사코드로 구성되는 경도데이터와,
    제로 패드 1바이트를 포함하는 16바이트의 비트열을 위치데이터로서 전송하며,
    상기 위치데이터의 분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 한 후 상기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16바이트의 위치데이터를 n 바이트 쉬프트(shift)하는 것은,
    상기 시 데이터 값이 소수가 아니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짝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도록 비트열 각각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고,
    상기 시 데이터 값이 소수가 아니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홀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도록 각 바이트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며,
    상기 시 데이터 값이 소수이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짝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도록 비트열 각각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고,
    상기 시 데이터 값이 소수이고, 상기 분 데이터 값이 홀수인 경우, 2m(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 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비트열의 전반부에 배치하고, 2m+1(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바이트는 비트열의 후반부에 배치하도록 각 바이트에 대하여 n값을 결정하여, n 바이트 쉬프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암호화 방법.
KR1020170118924A 2017-05-23 2017-09-15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 KR10205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0775 WO2019054583A1 (ko) 2017-05-23 2018-01-17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84 2017-05-23
KR20170063284 201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328A KR20180128328A (ko) 2018-12-03
KR102051704B1 true KR102051704B1 (ko) 2020-01-08

Family

ID=6474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24A KR102051704B1 (ko) 2017-05-23 2017-09-15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1704B1 (ko)
WO (1) WO20190545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35A1 (ko)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404B1 (ko) * 2007-07-19 2009-11-0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위치 추적 장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KR101092513B1 (ko) * 2009-10-15 2011-12-13 (주)아센코리아 Gps 수신 장치 및 그의 위치 정보 교환 방법
EP2397868A1 (en) * 2010-06-15 2011-12-21 The European Union, represent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ble time-and-location indication
KR101335498B1 (ko) * 2011-11-15 2013-12-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484145B1 (ko) * 2013-06-21 2015-01-23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물류 추적장비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193004B1 (ko) * 2013-10-17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35A1 (ko)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4583A1 (ko) 2019-03-21
KR20180128328A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3029B2 (en) Bluetooth internet of things sensor network
US101540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encryption, transmission, and decryption of video data
CN103975533B (zh) 可变长度编码的数据流的高带宽解压
EP2584732B1 (en) Secure data transfer using random ordering and random block sizing
US10382342B2 (en) Class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a real-time classification of a data strea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US9635053B2 (en) Computing system with protocol protec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7105324B (zh) 一种保护弹幕信息的方法及客户端
CN103532984B (zh) websocket协议的数据传输方法、设备和系统
CN105430640A (zh) 一种短信加密认证方法、终端及系统
CN104135452A (zh) 一种iq数据同步压缩还原算法及装置
CN112291268A (zh) 信息的传输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051704B1 (ko) 장거리 저속통신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
CN111083806B (zh) 一种基于dmr标准实现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CN107749815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处理方法及装置
CN104219300B (zh) 坐标转换参数的分享方法和系统
MX2013000119A (es) Mejoras de seguridad para sustratos flexibles.
CN110213292B (zh) 数据发送方法及装置、数据接收方法及装置
KR101991562B1 (ko) 포지션 데이터 패킷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6119624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其装置
KR101955077B1 (ko) 위치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JP6036442B2 (ja) 暗号通信装置、暗号通信方法、および暗号通信プログラム
CN104796249A (zh) 用于微电脑的串行通讯数据的加密方法
CN114745207A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产品
CN104243141A (zh) 信息分段加密通信方法
CN106254365A (zh) 一种数据加解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