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009B1 -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009B1
KR102051009B1 KR1020170099211A KR20170099211A KR102051009B1 KR 102051009 B1 KR102051009 B1 KR 102051009B1 KR 1020170099211 A KR1020170099211 A KR 1020170099211A KR 20170099211 A KR20170099211 A KR 20170099211A KR 102051009 B1 KR102051009 B1 KR 10205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ttery
battery module
modu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989A (ko
Inventor
유인선
유대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9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0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9Comprising electrode layers with interposed electrolyte compartment with possible electrolyte supply o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01M2/1077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68Means for preventing spilling of liquid or electrolyte, e.g. when the battery is tilted or turned 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76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lectrolyte stream, e.g.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을 수납하는 컨테이너(Container)가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모듈 받침 케이스와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포스트로 구성되는 배터리 랙(Battery Rack) 및 상기 배터리 모듈에 관련된 유체가 상기 컨테이너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유체 누출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CONTAINER FOR STORING A BATTERY MODULE}
본 개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사용 결과로 CO2를 계속 배출하게 되어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하여 각종 신재생에너지가 각광을 받으면서 개발과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 및 풍력을 포함하는 재생에너지는 입지환경이나 자연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출력 변동이 심하여 연속적 공급이 불가능하고 에너지 생산시점과 수요시점의 시간차가 발생하게 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써 양수발전,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 초전도 에너지 저장, 플라이휠 저장장치 등이 적용될수 있으며 대규모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 단지에는 대용량 이차전지 저장시스템이 선정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에는 대용량 에너지 저장 기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 에너지 저장에는 계통상태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효율적이다. 사용되고 있는 MW급 대용량 전력저장용 전지로써 납축전지, NaS전지, 초고용량 커패시터(supercapacitor), 리튬이차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RFB, redox flow battery)가 가능하다. 이들 중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안전하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출력과 용량의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대용량화가 용이하여 스마트 그리드, 분산형 전원 등에 기대가 되는 전지 시스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2014-0061212호는 랙 내부에서 트레이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을 통한 에너지 저장 장치들은 건축물 내부에 구성됨으로써 이동성 확보가 불가하여 사업의 유연성 확보가 어렵고, 특히 해외에서 치안, 현지 정부기관 규제 및 인력수급 등의 위험요소가 산재해 있다. 또한, 공사비가 증가함으로써 수익성도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을 내부에 배치시켜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컨테이너에 대한 당업계의 수요가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 모듈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을 수납하는 컨테이너(Container)가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모듈 받침 케이스와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포스트로 구성되는 배터리 랙(Battery Rack) 및 상기 배터리 모듈에 관련된 유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유체 누출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은 레독스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배터리 랙은 상기 모듈 받침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모듈 받침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는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구역 및 배관―상기 배관은 상기 배터리 모듈과 각각 연결되는 개별 배관 및 상기 개별 배관이 합쳐진 메인 배관을 포함함―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배터리 모듈 구역을 중심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방향,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관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외기가 포함하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Filter)를 포함하는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고, 내기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팬(Fan)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에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고, 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마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유체 누출 방지부의 상기 사전 설정된 높이는 상기 배터리 모듈 및 배관 내부의 유체가 모두 누출되는 경우의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유체의 예상 수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식의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유체 누출 방지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 중 상기 도어에 대응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둘레에 배치되는 방지 프레임 및 상기 방지 프레임과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성을 가진 얇은 판 형상의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 상기 사전 설정된 높이까지의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 및 상기 유체 누출 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체와 반응하지 않는 성분의 내산 페인트가 도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모듈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에서 상면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Battery rack)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누출 방지부의 구조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에서 상면이 제거된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는 이동식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aving System)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 에너지 발전에서 생성된 잉여 전력을 저장하거나, 또는 에너지 저장 후 이동하여 인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컨테이너(1000)의 활용은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테이너(1000)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10)의 운송은 컨테이너의 제한된 규격에 따라 배터리 모듈(10)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는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10)의 물량을 최대화하여 배터리 모듈(10)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는 배터리 모듈(10)의 하면과 결합되는 모듈 받침 케이스(100), 하나 이상의 모듈 받침 케이스(100)와 결합하고 컨테이너(1000)의 일 면과 결합하여 배터리 모듈(10)을 고정하는 배터리 랙(200),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필요로 하는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300) 및 유체가 컨테이너(1000) 외부로 누출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유체 누출 방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1000)는 실시예에 따라 공기 흡입부(500), 공기 배출부(600), 마루(700) 및 도어(80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따라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10)을 적재하도록 배터리 모듈(10)의 하면 각각을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배터리 모듈(10)과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10)은 충격에 약한 특성이 있어 외부의 진동에도 배터리 모듈(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정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10)이 컨테이너(1000)에 수납되는 경우, 외부의 흔들림으로부터 배터리 모듈(10)을 보호하기 위해 배터리 모듈(10)을 배터리 랙(200)에 고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배터리 모듈(10)의 하면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안정적으로 거치 될 수 있다. 또한, 모듈 받침 케이스(100)의 하면은 배터리 랙(200)의 일부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 받침 케이스(100)와 배터리 모듈(10) 간의 결합, 그리고 모듈 받침 케이스(100)와 배터리 랙(200)의 결합은 추가적인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결합은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0)의 하면이 직사각형일 경우, 상기 하면과 대응되거나 보다 큰 넓이의 직사격형의 수용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배터리 모듈(10)이 거치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형성된 일정 높이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은 배터리 모듈(10)이 상면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배터리 모듈(10)을 수용하기 위해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10)의 하면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구성된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10)과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볼트, 볼트공 및 너트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받침 케이스(100)의 하면은 하나 이상의 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배터리 모듈(10)의 하면과 평행하고 컨테이너(1000)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받침 케이스(100)는 모듈 받침 케이스(100)의 일 측, 다른 일측 및 중간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3개의 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받침은 각각 배터리 모듈(10)의 하면과 평행하고, 컨테이너(1000) 중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개의 받침은 각각 볼트, 볼트공 및 너트를 통하여 배터리 랙(200)의 일부 프레임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듈 받침 케이스(10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레독스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모듈(10)은 컨테이너(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배터리 모듈(10)은 컨테이너(1000) 내부 방향으로 배터리 모듈(10)의 동작에 필요한 유체(예컨대, 전해질 등)가 출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관(300)이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원발명에서 배터리 모듈(10)은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며 전술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랙(200)은 모듈 받침 케이스(1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랙(200)은 컨테이너(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랙(200)이 포함하는 모든 프레임 및 결합들은 용접 또는, 볼팅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을 위해 추가적인 고정 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배터리 랙(200)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랙(200)은 배터리 모듈 구역(210) 및 배관 구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랙(200)은 배터리 모듈(10) 및 모듈 받침 케이스(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구역(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200)은 2열로 쌓아 올린 배터리 모듈 구역(210)을 컨테이너(1000)의 길이 방향으로 6개 연속 배치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랙(200)은 컨테이너(1000)의 일 측면에 12개의 배터리 모듈(10) 및 모듈 받침 케이스(100)를 배치할 수 있고, 하나의 컨테이너(1000) 안에 총 24개의 배터리 모듈(10) 및 모듈 받침 케이스(100)를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배터리 랙(200)의 자세한 구조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배관 구역(230)은 배관(30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 구역(210)을 중심으로 컨테이너(1000)의 내부 방향,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0)은 철,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플라스틱, 아크릴 등과 같은 비금속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금속은 높은 강성과 성형이 용이한 성질이 있어 에너지 저장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플라스틱, 아크릴, 합성 수지 등의 비금속은 가벼운 성질이 있고, 용도에 따라 투명하게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0)은 설치할 장소, 용도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300)은 배터리 모듈(10)과 각각 연결되는 개별 배관(320) 및 상기 개별 배관이 합쳐진 메인 배관(31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관(300)은 배터리 모듈(10)의 동작에 관련된 유체를 운송하기 위하여 배터리 모듈(10) 각각에 직접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개별 배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개별 배관(320)은 컨테이너(1000) 내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배관(300)은 두 개 이상의 개별 배관(320)이 합쳐지는 메인 배관(31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배관(310, 330)은 컨테이너(10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컨테이너(1000)의 중심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메인 배관(310), 컨테이너(1000)의 중심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메인 배관(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300)은 개별 배관(320), 상부 메인 배관(310) 및 하부 메인 배관(330)을 각각 수/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밸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배관(300)은 각각 인버터 모듈(920), 또는 컨택터 모듈(930) 등의 본 개시의 다른 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는 배터리 모듈(10) 및 컨테이너(1000)의 내부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모듈(9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모듈(910)은 컨테이너(1000)의 내벽면 중 배터리 랙(200)이 배치되지 않은 일 측의 내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모듈(910)은 컨테이너(10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제 1 하단 프레임(9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하단 프레임(911)의 높이는 마루(7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단 프레임(911)은 컨테이너(1000) 내부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1단과 컨트롤 모듈(910)을 지지하도록 상기 1단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2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단은 컨트롤 모듈(910)의 두께, 즉, 컨테이너(1000)의 일 측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의 폭에 위치하는 추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단과 2단은 수직 프레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컨트롤 모듈(910)의 제 1 하단 프레임(911) 구조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를 통하여 컨트롤 모듈(910)과 컨테이너(1000)의 다양한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들을 컨트롤 모듈(910) 하단으로 노출시키고, 제 1 하단 프레임(911)의 1단과 2단 사이로 배치시켜 안정적인 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모듈(910)이 제 1 하단 프레임(911)을 통해 컨테이너(1000)의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어 진동 등의 외부 충격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단 프레임(911)의 내부가 비어 있어, 만일의 경우 배관(300) 및 배터리 모듈(10)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는 경우에 유체가 보존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는 직류 전기와 교류 전기 간의 형태를 변환시킬 수 있는 인버터 모듈(9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모듈(920)은 컨테이너(1000)의 내벽면 중 배터리 랙(200)이 배치되지 않은 일 측의 내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모듈(920)은 컨테이너(10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제 2 하단 프레임(9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하단 프레임(921)은 전술한 제 1 하단 프레임(911)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하단 프레임(921)의 높이는 마루(7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모듈(920)은 컨트롤 모듈(9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모듈(920)은 직류 형태로 저장된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켜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형태로 바꿔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버터 모듈(920)은 외부의 태양광 패널에서 직류 형태로 생성된 발전 전력을 교류로 변환시켜 배터리 모듈(10)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거나 공급할 수 있는 컨택터 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택터 모듈(930)은 컨테이너(10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제 3 하단 프레임(9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하단 프레임(921)은 전술한 제 1 및 2 하단 프레임(911, 921)과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3 하단 프레임(931)의 높이는 마루(7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시에서 컨테이너(1000) 주변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과 인버터 모듈(920) 사이, 또는 인버터 모듈(920)과 전력을 공급할 대상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택터 모듈(930)은 인버터 모듈(920)과 컨트롤 모듈(910)이 배치된 컨테이너(1000)의 반대편 측면에 위치하고, 배터리 랙(200)의 측면을 등지고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컨택터 모듈(93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는 배터리 랙(200)을 통해 배터리 모듈(10)을 안정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각 구성을 공간 효율성 높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도어(820) 및 마루(700)를 통해 관리자가 배터리 모듈(10)의 유지 및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관(300) 및 배터리 모듈(10)에서 누출될 수 있는 유체(예컨대, 전해액)를 컨테이너(10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만일의 사고에도 주변 환경을 보호하고 수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Battery rack)의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0)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은 배터리 모듈(10) 및 모듈 받침 케이스(100)를 지지하기 위해 격자 구조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컨테이너(100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기둥 역할을 하는 수직 프레임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은 절곡된 판, 원기둥, 다각 기둥 및 속이 비어 있는 통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속이 비어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프레임은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며, 굴곡진 단면을 가지는 프레임은 하나의 단면을 가지는 판 형태에 비하여 더 무거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굴곡진 단면의 예로서, 단면이 안쪽으로 굽어지도록 직각으로 두 번 절곡된 후 다시 바깥으로 굽어지도록 직각 절곡되어 요철의 부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랙(200)은 5단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높이에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들을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1단계 수평 프레임은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컨테이너(1000) 내부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2, 3단계 수평 프레임은 모듈 받침 케이스(100)가 지지되는 5개의 가로축과 3개의 세로축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1단계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4, 5단계 수평 프레임은 1단계 수평 프레임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각각 3단계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방에 배치되거나, 컨테이너(1000) 내부의 천장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은 상기 1 내지 5단계의 수평 프레임을 컨테이너(1000)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 중 일부(예컨대, 1단계와 2단계 사이, 4단계와 5단계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 등)는 배관(300)의 배치를 보다 용이하도록 절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배터리 랙(20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0)과 컨테이너(1000)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랙(200)은 볼트와 너트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의 볼트공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의 양단에는 수직 프레임이 지면에 수직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수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수평면은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공이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 랙이 위치할 바닥면에 볼트를 체결할 장치가 있는 경우, 볼트공은 바닥면과 배터리 랙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수평 프레임, 또는 수직 프레임과 컨테이너(1000)의 일 면이 볼팅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0)과 컨테이너(1000)는 용접을 통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0) 내부에 고정되는 배터리 랙(200)은 대체로 컨테이너(10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터리 모듈(10)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 모듈(10)을 수납한 상태에서 배터리 모듈(10)을 운송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랙(200)은 배터리 모듈 구역(210) 및 배관 구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랙(200)은 배터리 모듈(10) 및 모듈 받침 케이스(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 구역(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200)은 2열로 쌓아 올린 배터리 모듈 구역(210)을 컨테이너(1000)의 길이 방향으로 6개 연속 배치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랙(200)은 컨테이너(1000)의 일 측면에 12개의 배터리 모듈(10) 및 모듈 받침 케이스(100)를 배치할 수 있고, 하나의 컨테이너(1000) 안에 총 24개의 배터리 모듈(10) 및 모듈 받침 케이스(100)를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배터리 랙(200)의 자세한 구조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 랙(200)은 배관(30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 구역(210)을 중심으로 컨테이너(1000)의 내부 방향,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관 구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랙(200)은 배터리 모듈 구역(210)에서 컨테이너(1000) 내부 방향으로 노출된 개별 배관(320)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의 배관 구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 구역(230)은 배터리 모듈 구역(21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결된 개별 배관(320) 및 메인 배관(310, 33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즉, 배관 구역(230)은 도 3의 우측 배터리 랙(200)을 기준으로 "ㄷ" 모양으로 배치되어, 배터리 모듈 구역(21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랙(200)은 배터리 모듈(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10)의 교환이나 정비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에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마루(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루(700)는 바닥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로부터 수직으로 결합되는 파이프(Pipe) 및 볼트 재질로써 파이프와 연결되는 로드(Rod)를 포함하는 지지대(Pedestal se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루(700)는 상기 지지대 위에 배치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에 설치되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루(70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배터리 랙(200) 사이, 그리고, 컨트롤 모듈(910)과 인버터 모듈(9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마루(700)는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모듈(910), 인버터 모듈(920) 및 컨택터 모듈(930)의 제 1, 2 및 3 하단 프레임(911, 921, 931)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1000) 내부 바닥에 복잡하게 설치되는 각종 배관과 케이블들을 마루(700)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배관(300) 및 케이블을 신경 쓰지 않고도 마루(700) 위에서 각각의 배터리 모듈(10)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이동에 따라 배관(300) 및 케이블에 가해지는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각 구성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전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외기가 포함하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Filter)(510)를 포함하는 공기 흡입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510)는 공기 흡입부(500)를 통과하는 외기에 섞인 노폐물들을 필터링하는 다공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500)는 본 개시인 컨테이너(1000)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며, 선택적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1000)의 장축 방향에 위치한 두 면 중 일 면을 전면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전면의 반대측 일 면을 후면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 면은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흡입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흡입부(500)는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된 전후면 도어(810)의 일부가 개방되어 구성되는 환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부(500)는 각 구성의 배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도어(800)의 하단, 중단, 또는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부(500)는 컨트롤 모듈(910) 및 인버터 모듈(920)과 인접한 전후면 도어(8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부(500)는 양 쪽 여닫이 형식의 전후면 도어(810) 각각에 배치되고, 각 전후면 도어(810)의 중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공기 흡입부(50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 등의 구성들의 동작으로 온도가 높아진 컨테이너(100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켜 온도를 낮춤으로써, 통상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를 사용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모듈(10)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수명을 길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필터(510)를 통하여 외부의 컨테이너(1000) 내부의 구성들과 반응할 수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어, 미연의 사고(예컨대, 먼지로 인한 합선 등)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또는 후면은 각각 배터리 모듈이 노출되는 개방된 형태일 수 있고, 전후면 도어(81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전후면 도어(810)는 개폐형의 경우 개폐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하여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통상의 여닫이 문의 형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전후면 도어(810)는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전술한 배터리 랙(200), 마루(700) 또는 컨테이너(1000) 등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고, 내기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팬(Fan)(61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팬(610)은 컨테이너(1000)의 내부로 내장되어 설치됨으로써 국제 컨테이너의 규격을 유지하면서 배터리 모듈(10) 등의 구성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공기 배출부(600)는 본 개시인 컨테이너(1000)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며, 선택적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1000)의 4개의 측면 중 장축 방향에 위치한 두 면을 제외한 두 면을 각각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2 측면 중 적어도 일 면은 내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 배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배출부(600)는 제 1 측면, 또는 제 2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600)는 각 구성의 배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 1 측면, 또는 제 2 측면의 하단, 중단, 또는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부(600)는 컨택터 모듈(930)과 인접한 제 1 측면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600)는 모터 및 팬(610)이 컨테이너(1000) 내부로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공기 배출부(60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610)은 배터리 모듈(10) 등의 구성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컨테이너(1000)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팬(610)은 컨테이너(1000) 외부에 팬(610)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610), 컨테이너(1000)의 측면과 덮개부는 서로 연통되는 볼트공을 포함하고 볼팅 결합할 수 있다. 한편, 팬(610)을 덮개부와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 반드시 볼트공과 볼트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팬 (610) 또는 덮개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홈 및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팬(610)은 통상적으로 24시간 작동시켜 컨테이너(1000) 내부의 환기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 등의 구성들의 동작으로 온도가 높아진 컨테이너(100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켜 온도를 낮춤으로써, 통상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를 사용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모듈(10)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수명을 길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공기 흡입부(500)와 공기 배출부(600)를 서로 멀리 떨어져 배치하고, 공기 배출부(600)를 공기 흡입부(500)보다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컨테이너(1000)의 내부 공기를 전체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식 중 어느 하나의 도어(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의 4개의 측면 중 장축 방향에 위치한 두 면을 제외한 두 면을 각각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2 측면 중 적어도 일 면은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식이고, 하나 이상인 사이드 도어(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닫이 형식은 개폐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하여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통상의 여닫이 문의 형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형식이다. 또한, 도어(800)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랙(200), 마루(700) 또는 컨테이너(1000) 등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도어(800)의 재질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써, 유리,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에 3개의 여닫이 형식 사이드 도어(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이드 도어(821), 제 2 사이드 도어(822) 및 제 3 사이드 도어(823)는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되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측면도 동이하게 3개의 사이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사이드 도어(820)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이드 도어(820)의 개방을 통해, 굳이 컨테이너(1000) 내부에 들어가 작업을 하지 않고도 정비 및 교체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도어(820)의 개방을 통해 내부 공기를 빠르게 환기 시키거나 냉각 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10) 등의 효율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누출 방지부의 구조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는 컨테이너(1000)의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10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유체 누출 방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누출 방지부(400)는 컨테이너(1000)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누출 방지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ㄴ"자 형태로 접철되어 컨테이너(1000) 내부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용접되어 결합된 방지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지 프레임(410)은 전후면 도어(810) 및 사이드 도어(820)에 대응되도록 컨테이너(1000)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300) 및 배터리 모듈(10)이 포함하고 있던 유체(예컨대, 전해액)이 새는 경우에도 컨테이너(1000)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유체 누출 방지부(400)의 자세한 형태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체 누출 방지부(400)는 배터리 모듈(10) 및 배관(300) 내부의 유체가 모두 누출될 경우에 도출되는 예상 수위에 기초하여 사전 설정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10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방지 프레임(410)의 최상단까지의 높이는 유체의 예상 누출 수위보다 높게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의 예상 누출 수위는 상기 유체가 모두 누출된 경우를 가정하여, 배관(300) 및 배터리 모듈(10)이 포함하는 유체의 부피와 컨테이너(1000)의 바닥면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300) 및 배터리 모듈(10)의 내부에 있던 유체 전량이 빠져나온 경우에도 컨테이너(1000)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유체 누출에 따른 주변 토양 오염 등의 2차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누출 방지부(400)는 방지 프레임(410)과 사이드 도어(820) 사이에 배치되는 패치(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1000)의 제 1 측면, 또는 제 2 측면에는 여닫이 형식의 사이드 도어(8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치(420)는 사이드 도어(820)와 방지 프레임(410) 사이에 배치되고, 가변성을 지닌 얇은 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도어(820)가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 사이드 도어(820)의 개폐와 상관없이 사이드 도어(820)와 방지 프레임(410) 간의 간격을 메꿈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테이너(1000)의 바닥면, 사전 설정된 높이까지의 컨테이너(1000)의 적어도 일 측면 및 유체 누출 방지부(400) 중 적어도 하나는 유체와 반응하지 않는 성분의 내산 페인트가 도포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전량이 빠져나와 컨테이너(1000) 바닥면으로부터 최고 수위까지 차오르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유체와 접촉될 수 있는 구성들에 내산 페인트가 도포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0)의 바닥면, 컨테이너(1000) 측면 중 사전 설정된 높이까지의 일부 측면, 배터리 랙(200)이 포함하는 프레임 중 사전 설정된 높이까지의 부분, 그리고, 방지 프레임(410)에 내산 페인트가 도포 될 수 있다. 여기서 내산 페인트는 유체(예컨대, 전해액)이 금속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학성이 높은 내산도료 AP-101 제품일 수 있다. 전술한 내산 페인트의 도포 부위 및 제품의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0)는 배터리 랙(200)을 통해 배터리 모듈(10)을 안정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각 구성을 공간 효율성 높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도어(820) 및 마루(700)를 통해 관리자가 배터리 모듈(10)의 유지 및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관(300) 및 배터리 모듈(10)에서 누출될 수 있는 유체(예컨대, 전해액)를 컨테이너(10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만일의 사고에도 주변 환경을 보호하고 수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의 누출에도 컨테이너(1000) 내부의 구성들이 화학 반응하지 않아 온전히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컨테이너
100 : 모듈 받침 케이스
10 : 배터리 모듈
200 : 배터리 랙
210 : 배터리 모듈 구역
230 : 배관 구역
300 : 배관
310 : 상부 메인 배관
320 : 개별 배관
330 : 하부 메인 배관
340 : 밸브
400 : 유체 누출 방지부
410 : 방지 프레임
420 : 패치
500 : 공기 흡입부
510 : 필터
600 : 공기 배출부
610 : 팬
700 : 마루
800 : 도어
810 : 전후면 도어
820 : 사이드 도어
821, 822, 823 : 제 1, 2 및 3 사이드 도어
910 : 컨트롤 모듈
911 : 제 1 하단 프레임
920 : 인버터 모듈
921 : 제 2 하단 프레임
930 : 컨택터 패널
931 : 제 3 하단 프레임

Claims (10)

  1.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을 수납하는 컨테이너(Container)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모듈 받침 케이스와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포스트로 구성되는 배터리 랙(Battery Rack); 및
    상기 배터리 모듈에 관련된 유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유체 누출 방지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유체 누출 방지부의 상기 사전 설정된 높이는,
    상기 배터리 모듈 및 배관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는 경우의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유체의 예상 수위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 상기 사전 설정된 높이까지의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 또는 상기 유체 누출 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체와 반응하지 않는 성분의 내산 페인트가 도포되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레독스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랙은,
    상기 모듈 받침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모듈 받침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는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구역; 및
    배관―상기 배관은 상기 배터리 모듈과 각각 연결되는 개별 배관 및 상기 개별 배관이 합쳐진 메인 배관을 포함함―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배터리 모듈 구역을 중심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방향,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관 구역;
    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외기가 포함하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Filter)를 포함하는 공기 흡입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고, 내기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팬(Fan)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높이에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고, 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마루;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식의 도어;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누출 방지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 측면 중 상기 도어에 대응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둘레에 배치되는 방지 프레임; 및
    상기 방지 프레임과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성을 가진 얇은 판 형상의 패치;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10. 삭제
KR1020170099211A 2017-08-04 2017-08-04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KR102051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211A KR102051009B1 (ko) 2017-08-04 2017-08-04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211A KR102051009B1 (ko) 2017-08-04 2017-08-04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862A Division KR20190113736A (ko) 2019-10-01 2019-10-01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89A KR20190014989A (ko) 2019-02-13
KR102051009B1 true KR102051009B1 (ko) 2019-12-02

Family

ID=6536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211A KR102051009B1 (ko) 2017-08-04 2017-08-04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45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스타리온 재사용 배터리 노화측정 시스템
KR20210133441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스타리온 재사용 배터리 운송 및 노화 고속측정용 컨테이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1396B (zh) * 2023-08-08 2023-10-31 宁波格劳博智能工业有限公司 一种重卡换电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46978U (zh) * 2014-03-31 2014-07-30 大连融科储能技术发展有限公司 适用于室外放置的液流电池系统
JP2014529858A (ja) * 2011-08-22 2014-11-13 ゼットビービー エナ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モンDCバスに接続されたZnBrフローバッテリーのための反転可能な極性動作およびスイッチ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124A (ko) * 2009-07-29 2011-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스택용 환기장치
US20140134460A1 (en) * 2012-11-13 2014-05-15 Samsung Sdi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9858A (ja) * 2011-08-22 2014-11-13 ゼットビービー エナ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モンDCバスに接続されたZnBrフローバッテリーのための反転可能な極性動作およびスイッチング方法
CN203746978U (zh) * 2014-03-31 2014-07-30 大连融科储能技术发展有限公司 适用于室外放置的液流电池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45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스타리온 재사용 배터리 노화측정 시스템
KR20210133441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스타리온 재사용 배터리 운송 및 노화 고속측정용 컨테이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89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1706B1 (en) Solar canopy with integral storage compartment to receive high capacity batteries
KR102051009B1 (ko)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EP2884202A1 (en)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KR102579053B1 (ko) 배기 열 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WO2018209378A1 (en) Portable power station and array module attachment therefor
TW201624811A (zh) 氣冷燃料電池系統
AU2015252753A1 (en) Portable power station and array module attachment therefor
TWI797216B (zh) 具有共同入口充氣部及共同出口充氣部的可堆疊燃料電池發電機配置
CN206379434U (zh) 一种可进行箱内循环散热的移动电站
KR101281425B1 (ko) 태양광발전기능이 구비된 창틀
CN106256032A (zh) 包括间隔器的电池组
Alkhalidi et al. Recommendations for energy storage compartment used in renewable energy project
US20200303761A1 (en) Power tower for heat capture
US20210336302A1 (en) Modular battery stack and support system
JP2012002038A (ja) 建物設備ユニット及び建物
KR20190113736A (ko)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WO2021058832A2 (en) Containerized electric power supply
JP6801992B2 (ja) 蓄電システム
KR101857739B1 (ko) 창호용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CN219180654U (zh) 一种储能电池箱
CN212836927U (zh) 一种便携式环保房屋
CN203334729U (zh) 一种兆瓦级并网光伏电站装置
JPH11206037A (ja) 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ユニットを用いた構築物
CN218645352U (zh) 一种方便维护的太阳能led路灯
AU2019101627A4 (en) Portable power station and array module attachment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