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587B1 -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587B1
KR102050587B1 KR1020180013338A KR20180013338A KR102050587B1 KR 102050587 B1 KR102050587 B1 KR 102050587B1 KR 1020180013338 A KR1020180013338 A KR 1020180013338A KR 20180013338 A KR20180013338 A KR 20180013338A KR 102050587 B1 KR102050587 B1 KR 10205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pplication
count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234A (ko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주)더뉴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뉴플래닛 filed Critical (주)더뉴플래닛
Publication of KR2019007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04M1/7256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기준화면에서 상기 조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Wireless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content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 condition and automatic cont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 condition}
본 발명은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대기화면, 잠금화면, 메인화면 등과 같은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OS)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이하 "기준화면"이라 함)에서 상기 조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 및 모바일 단말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으로 불리는 무선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의 보급률은 1인 당 한 대 이상으로 전 국민 누구나 가지고 있는 장치가 되었다.
또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이러한 무선 단말기는 다양한 콘텐츠의 정보들을 언제 어디서나 검색 및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무선 단말기를 보다 더 간편하게 사용하고, 무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쉽게 제어하고, 기본적인 정보 및 다양한 콘텐츠의 정보들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특히, 무선 단말기는 제3자가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가장 필요한 정보를 간단하고 간편하게 제공하면서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대기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이 적용된 대기화면 표시 기능을 구비한다.
종래 대기화면 표시 기능은 화면이 꺼진(오프) 상태에서 무선 단말기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홈 버튼, 화면 온/오프를 전환하는 화면상태 전환버튼 등이 눌리면 미리 설정된 이미지, 시간, 메시지의 수신 여부, 수신된 메시지의 개수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하고, 대기화면에서 사용의 설정에 따라 지정된 제스처 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 시 메인화면을 표시하여 무선 단말기를 활성화시킨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은 상기 대기화면에 사용자 인증 기능을 설정하고 있으며, 사용자 인증 기능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증정보 획득 수단을 표시하고, 인증정보 획득 수단을 통해 획득된 인증정보와 미리 등록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성공 시 무선 단말기를 활성화시킨다.
최근에는 무선 단말기 전체를 활성화시키지 않고도, 대기화면 상위계층에 보안성을 요구하지 않는 고정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표시하는 대기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무선 단말기의 대기화면 표시 장치는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고정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간단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기는 하나, 콘텐츠가 단순하고 고정된 콘텐츠라는 한계를 가지며, 매 대기화면 시마다 대기화면 상위 계층에서 실행됨에 따라 사용자가 메인화면으로 진입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무선 단말기의 메인화면 표시 장치는 메인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직접 클릭하여 실행시켜야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1010호(2015.03.23.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기준화면에서 상기 조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갖는 무선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 어플리케이션 화면,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기준화면 계층에 기준화면을 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한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메인화면 계층에 메인화면을 표시한 후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신호를 출력하여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실행을 요청하는 화면 전환 처리부; 및 상기 화면 전환 처리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설정하고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메인화면 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대기모드에서 기준화면 계층의 하나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대기화면 계층에 표시될 대기화면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 및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기준화면 계층의 하나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메인화면 계층에 표시될 메인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화면 계층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전환 처리부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 판단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중 하나인 기준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로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기준화면에 대한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활성화되어 상기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중 어느 하나의 기준화면이 대기화면이면 상기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화면 표시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준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대기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활성화되어 상기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중 어느 하나의 기준화면이 메인화면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설정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하는 표시데이터를 상기 메인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대기화면에서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 획득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잠금화면 계층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기화면 처리부는, 상기 대기모드의 대기화면 표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화면 전환 처리부는, 상기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 신호에 의한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잠금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 획득 화면 데이터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화면 계층에 표시하고, 잠금화면 계층에 표시된 인증정보 획득 화면 데이터의 인증정보 획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인증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성공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잠금화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건 판단부는, 기준화면 간에 천이하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 및 화면이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 및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를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간주하고,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는: 화면 오프 상태에서 화면을 온 또는 화면 온 상태에서 화면을 오프하는 화면상태 전환버튼, 메인화면으로 진행하는 홈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어느 하나의 눌림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카운트하는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 및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건 판단부는, 대기화면에서 메인화면으로 천이하는 횟수 및 메인화면에서 대기화면으로 천이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 화면이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 상기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횟수와 상기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합산한 합산 카운트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출력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에서 출력되는 합산 카운트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합산 카운트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는: 화면 오프 상태에서 화면을 온 또는 화면 온 상태에서 화면을 오프하는 화면상태 전환버튼, 메인화면으로 진행하는 홈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눌림을 카운트하여 버튼 눌림 횟수를 출력하는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산부는,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를 더 합산한 상기 합산 카운트 횟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은: 조건 판단부가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 카운트 과정; 상기 조건 판단부가 카운트된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 만족 판단 과정;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가 상기 카운트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디스플레이부의 기준화면이 표시되는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통신부를 통해 미리 정의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표시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 표시 과정은, 상기 조건 판단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를 활성화하여 기준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로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웹 사이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 단계; 및 상기 조건 판단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판단 전의 기준화면이 대기화면이었으면 대기화면 처리부를 활성화하여 대기모드에서 상기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화면 표시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대기화면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건 판단 과정은, 상기 조건 판단부가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기준화면 간 천이하는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카운트하는 기준 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 단계 및 상기 조건 판단부가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화면이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 단계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조건 판단부가 조건 비교부를 통해 상기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 및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카운트된 기준화면 천이 횟수를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건 판단 과정은, 상기 조건 판단부가,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눌림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카운트하는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 단계; 및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건 판단 과정은, 상기 조건 판단부가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기준화면 간 천이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 단계;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화면이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 단계; 합산부를 통해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횟수와 상기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합산한 합산 카운트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출력하는 합산 단계; 및 조건 비교부를 통해 상기 합산부에서 출력되는 합산 카운트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합산 카운트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건 판단 과정은, 상기 조건 판단부가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눌림을 카운트하는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산 단계에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합산부를 통해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를 더 합산한 합산 카운트 횟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과정 후,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종료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여부 판단 과정;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종료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들을 초기화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여부 판단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과정 후,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종료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 발생 모니터링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화면 오프에 의한 것인지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버튼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종류 판단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화면 오프에 의한 것이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화면을 오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버튼에 의한 것이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조건의 만족 시 기준화면 상위 계층에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특화되고 다양하며 가변적인 콘텐츠를 제공받아 기준화면 상위 계층에 표시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조건 만족 시 사용자가 관심있고 자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고, 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준화면이 대기화면이고, 어플리케이션이 웹브라우저인 경우, 본 발명은 대기화면의 상위계층에 표시되는 웹브라우저를 항상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만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웹브라우저의 표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른 주기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화면 상위계층에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미사용으로 인한 화면 꺼짐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표시를 유지 또는 종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선 단말기 측면에서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의 재구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콘텐츠 표시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 및 본 발명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제어부의 조건 판단부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제어부의 조건 판단부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서의 화면 상태 천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화면 콘텐츠 표시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 및 본 발명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1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600)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의 만족 시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60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들을 다운로드받고 기준화면 계층 상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콘텐츠들을 표시한다.
상기 기준화면 계층은, 대기화면 계층, 메인화면 계층, 잠금화면 계층 등과 같이 운영시스템(Operation System: OS)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 표시 계층을 통칭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600)은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 중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통신망이다.
무선 단말기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음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직접 또는 앱스토어, 구글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100)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로 콘텐츠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구성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웹브라우저인 경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인 웹브라우저에 대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인 웹서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서버뿐만 아니라 웹 서버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120)는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121),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122) 및 메인화면 계층 저장부(124)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잠금화면 계층 저장부(1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121)는 대기모드의 대기화면에서 디스플레이부(130)의 대기화면 계층에 표시될 대기화면 표시데이터를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122)는 대기화면 계층, 잠금화면 계층, 메인화면 계층 등의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의 표시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표시된 다양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잠금화면 계층 저장부(123)는 대기화면에서 메인화면, 즉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진행하기 전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한 그래픽 표시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인증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를 포함하는 잠금화면 표시데이터를 저장한다.
메인화면 계층 저장부(124)는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 및 클릭된 실행 아이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화면의 오프 상태에서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순으로 진행하거나, 대기화면, 잠금화면 및 메인화면 순으로 진행한다. 대기화면은 메인화면 상부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메인화면을 덮어 대기화면만으로 표시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이하 설명에서 계층이라 정의한다. 따라서 메인화면 계층이 맨 아래에 구성되며, 메인화면 상부에 대기화면 계층이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이 상기 대기화면 계층, 메인화면 계층, 잠금화면 계층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성될 것이다. 즉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은 기준화면 계층의 상부에 구성될 것이다.
입력부(140)는 화면 오프 상태에서 화면을 온 또는 화면 온 상태에서 화면을 오프하는 화면상태 전환버튼, 메인화면으로 진행하는 홈버튼, 이전(취소) 버튼 등을 포함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하는 버튼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화면상태 전환버튼, 홈 버튼, 이전 버튼 등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판단하고 클릭된 버튼 아이콘에 대응하는 화면상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15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60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화면 전환 처리부(200) 및 어플리케이션 처리부(30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화면 전환 처리부(200)는 조건 판단부(210), 대기화면 처리부(220),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23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잠금화면 처리부(240)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준화면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공한다.
조건 판단부(210)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저장부(1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는 화면 오프 상태에서 화면이 온될 때, 화면 온 상태에서 화면이 오프될 때, 대기화면에서 메인화면으로 전환될 때, 메인화면에서 대기화면으로 전환될 때 등과 같은 기준화면 전환 시점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건 판단부(210)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이전의 기준화면 처리부인 대기화면 처리부(220), 잠금화면 처리부(240) 및 메인화면 처리부(320) 중 하나를 활성화하고,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회수가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230)를 활성화한다.
활성화된 대기화면 처리부(220)는 대기모드에서 상기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121)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화면 표시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대기화면 계층에 표시한다.
잠금화면 처리부(240)를 포함하는 경우, 대기화면 처리부(220)는 대기화면 모드의 대기화면 표시 상태에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 신호를 잠금화면 처리부(2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잠금화면 처리부(240)는 잠금화면 표시 데이터를 잠금화면 계층에 표시한다.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230)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로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122)에 저장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데이터(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122)에 저장하고,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계층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표시한다.
잠금화면 처리부(240)는 상기 대기화면 처리부(220)로부터 상기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 신호의 입력에 의한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잠금화면 계층 저장부(123)에 저장된 인증정보 획득 화면 데이터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130)의 잠금 화면 계층에 표시하고, 잠금화면 계층에 표시된 인증정보 획득 화면 데이터의 인증정보 획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인증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성공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3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10) 및 메인화면 처리부(320)를 포함하여 대기모드에서 메인모드, 잠금모드에서 메인모드로 전환 시 메인화면 표시 처리 및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 처리부(300)는 상기 화면 전환 처리부(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설정하고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메인화면 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메인화면 처리부(3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발생 시 저장부(120)의 메인화면 계층 저장부(124)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화면 표시데이터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의 메인화면 계층에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에 대한 표시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해당 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인화면 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10)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동작을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제어부의 조건 판단부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조건 판단부(210)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211),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212) 및 조건 비교부(214)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211)는 대기화면에서 메인화면 전환, 메인화면에서 대기화면 전환, 대기화면에서 잠금화면 전환, 잠금화면에서 대기화면 전환, 잠금화면에서 메인화면 전환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화면 간 천이(전환)하는 횟수를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카운트한다.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212)는 화면이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트한다. 상기 화면의 오프는 대기모드에서의 화면 오프가 될 수도 있고, 대기모드 및 어플리케이션 모드 둘 모두에서의 화면 오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건 비교부(214)는 상기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211) 및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21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를 대기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간주하고, 상기 대기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213)는 입력부의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하나의 눌림 횟수를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카운트한다.
상기 조건 비교부(214)는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213)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버튼의 눌림 횟수에 의한 대기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와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23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1), 어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232) 및 기준화면 천이 검출부(233)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1)는 조건 비교부(214)에 의해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기준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어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2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활성화되어,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들을 다운로드 받아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와 함께 어플리케이션화면 계층 저장부(122)에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232)는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종료 버튼 또는 무선 단말기(100)의 입력부(140)의 이전버튼 등의 눌림 시 어플리케이션 종료 신호를 대기화면 천이 검출부(233)로 출력한다.
대기화면 천이 검출부(233)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232)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종료 신호의 입력에 의한 대기화면 천이 및 일정 시간 초과에 의한 화면 오프를 검출하고, 대기화면 천이 시 상기 대기화면 처리부(220)를 호출하고, 화면 오프 검출 시 어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232)로 어플리케이션 종료 또는 유지 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232)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유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화면 오프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지한다. 즉 유지 명령이 입력된 경우 화면이 꺼졌다가 켜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자동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계속해서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제어부의 조건 판단부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조건 판단부(210)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211),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212) 및 합산부(216)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230)는 제1실시예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2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211)는 대기화면에서 메인화면으로 천이하는 횟수 및 메인화면에서 대기화면으로 천이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카운트한다.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212)는 화면이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트한다.
합산부(216)는 상기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211)에서 카운트된 횟수와 상기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212)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합산한 합산 카운트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출력한다.
조건 비교부(217)는 상기 합산부에서 출력되는 합산 카운트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합산 카운트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213)는 상기 입력부(140)의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눌림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버튼 눌림 횟수를 상기 합산부(216)로 출력한다.
그러면, 합산부(216)는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215)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 상기 대기화면 천이 횟수 및 화면 오프 횟수를 합산한 합산 카운트 횟수를 조건 비교부(217)로 출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서의 화면 상태 천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참조된 부호 141은 화면상태 전환버튼이고, 142는 홈버튼이다.
그리고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대응하는 것으로 화면 오프 횟수 및 기준화면 천이 횟수 중 어느 하나가 어플리케이션 화면표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제어부(110)는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켜지거나 이전에 대기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화면 콘텐츠, 즉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었다가 종료되었으면 어플리케이션 화면표시 조건을 초기화한다(S111).
어플리케이션 화면표시 조건이 초기화되면 제어부(110)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2).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화면상태 전환버튼(141)의 눌림 또는 일정 시간 초과에 따른 화면 오프 이벤트인지(S113), 도 6의 611과 같이 사용자의 어떠한 행동 또는 무선 단말기(100) 내부의 이벤트(메시지 수신,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에 의한 기준화면 천이 이벤트인지(S115)를 판단한다.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화면 오프 이벤트에 의해 발생한 것이면 제어부(110)는 화면 오프 횟수를 카운팅하고(S117), 카운팅된 화면오프 횟수가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화면오프) 횟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여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119).
반면,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기준화면 천이 이벤트이면, 제어부(110)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를 카운팅하고(S121), 카운팅된 기준화면 천이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125).
상기 S119 및 S125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조건 만족 여부 판단에서 둘 모두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일반적인 화면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S127). 즉 도 6의 S211에서 S213 또는 S214로 바로 진행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S119 및 S125 중 어느 하나가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110)는 대기모드의 대기화면 계층의 상위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S129), 도 6의 S212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하여 어플리케이션 자동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개시한다(S131).
어플리케이션 자동 콘텐츠 제공 서비스가 개시되면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예: 웹브라우저)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32).
어플리케이션 화면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종료 이벤트가 화면 오프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S133),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버튼, 무선 단말기(100)의 이전 버튼 등에 의해 발생되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명령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S135)를 판단한다.
화면 오프에 의한 것이면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S137) 상술한 S111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종료 명령에 의해 발생된 것이면, 제어부(110)는 도 6의 S213과 같은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S139),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는지(S141), 대기화면 표시 시부터 카운트된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S143).
대기화면 표시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제어부(110)는 화면을 오프하고(S145) 상술한 S111을 수행한다.
또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다시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도 6의 S214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실행하고(S147), 화면이 오프될 때까지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S149).
상기 설명에서는 무선 단말기(100)에 본 발명에 따른 조건 만족 시 미리 설정되는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은 둘 이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인 경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 간 실행 중복을 방지하기 위한 중복 방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복 방지 방법은 각각의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들이 상호 통신을 통해 중복 방지를 수행하는 분산 제어 방식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횟수 및 주기를 관리하는 중앙제어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분산제어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A, B 두 개의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조건 만족 시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새로운 C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C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의 조건 실행횟수를 A, B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 A, B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A, B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조건 실행횟수를 수신받아 중복 방지를 수행한다.
중복 방지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만약에 A, B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 각각이 5회 10회 실행 조건인데 현재 17회까지 on/off가 작동된 시점에서 C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다면 그 즉시 로테이션을 리셋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호출 조건인 20회째에서 AB에 C가 추가된 ABC로테이션으로 리셋한다.
본 발명은 5/10/15 배수의 화면 ON/OFF 기준횟수에서 작동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때문에 5회마다 어느 한 앱은 반드시 실행되는 것이 기본 조건이다. 먼저 잦은 빈도로 호출되는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들을 우선적으로 호출한다. 예를 들어, 각각 호출빈도가 5회 15회 10회인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 A,B,C가 있다면 호출 순서는 A,C,B가 된다.
그렇게 A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 C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 B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한 번 씩 노출 될 때까지 로테이션을 한 번 돈다. 하지만 여기서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5회 호출 조건을 걸어놓아 호출이 자주 되는 A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C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은 이미 한번 로테이션을 돌았기 때문에 B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노출해 줄 차례인데 5회가 호출조건인 25회 ON/OFF시점에 걸리게 되면 25는 15의 배수가 아니기 ??문에 호출할 수 없게 된다. 이럴 때는 가장 잦게 호출되는 A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B 자동 실행 어플리케이션 대신 호출한다. 그리고 다시 5번 더 ON/OFF가 실행된 시점인 30회째 ON/OFF일 때 비로소 B를 실행시켜 로테이션을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무선 단말기 110: 제어부
120: 저장부 121: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
122: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
123: 잠금화면 계층 저장부
124: 메인화면 계층 저장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입력부 150: 통신부
200: 화면 전환 처리부 210: 조건 판단부
211: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 212: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
213: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 214, 217: 조건 비교부
216: 합산부 220: 대기화면 처리부
230: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 231: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232: 어플리케이션 구동 처리 부 233: 대기화면 천이 검출부
240: 잠금화면 처리부 300: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31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320: 메인화면 처리부
500: 어플리케이션 서버 600: 유무선 데이터통신망

Claims (16)

  1.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
    어플리케이션 화면,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기준화면 계층에 기준화면을 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한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메인화면 계층에 메인화면을 표시한 후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신호를 출력하여 어플리케이션 모드의 실행을 요청하는 화면 전환 처리부; 및
    상기 화면 전환 처리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설정하고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메인화면 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대기모드에서 기준화면 계층의 하나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대기화면 계층에 표시될 대기화면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 및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기준화면 계층의 하나로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메인화면 계층에 표시될 메인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화면 계층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전환 처리부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 판단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중 하나인 기준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로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기준화면에 대한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활성화되어 상기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중 어느 하나의 기준화면이 대기화면이면 상기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화면 표시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준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대기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활성화되어 상기 대기화면 및 메인화면 중 어느 하나의 기준화면이 메인화면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드를 설정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하는 표시데이터를 상기 메인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화면 계층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대기화면에서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 획득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잠금화면 계층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기화면 처리부는,
    상기 대기모드의 대기화면 표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화면 전환 처리부는,
    상기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 신호에 의한 화면 전환 요청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잠금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 획득 화면 데이터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화면 계층에 표시하고, 잠금화면 계층에 표시된 인증정보 획득 화면 데이터의 인증정보 획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인증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성공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드 실행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잠금화면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건 판단부는,
    대기화면에서 메인화면으로 천이하는 횟수 및 메인화면에서 대기화면으로 천이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
    화면이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
    상기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횟수와 상기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합산한 합산 카운트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출력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에서 출력되는 합산 카운트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합산 카운트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화면 오프 상태에서 화면을 온 또는 화면 온 상태에서 화면을 오프하는 화면상태 전환버튼, 메인화면으로 진행하는 홈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어느 하나의 눌림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카운트하는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 및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카운트된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화면 오프 상태에서 화면을 온 또는 화면 온 상태에서 화면을 오프하는 화면상태 전환버튼, 메인화면으로 진행하는 홈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눌림을 카운트하여 버튼 눌림 횟수를 출력하는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산부는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를 더 합산한 상기 합산 카운트 횟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9. 조건 판단부가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 카운트 과정;
    상기 조건 판단부가 카운트된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 만족 판단 과정;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가 상기 카운트된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디스플레이부의 기준화면이 표시되는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통신부를 통해 미리 정의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표시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 표시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조건 판단 과정은,
    상기 조건 판단부가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기준화면 간 천이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 단계;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화면이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 단계;
    합산부를 통해 기준화면 천이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횟수와 상기 화면 오프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합산한 합산 카운트 횟수를 상기 기준화면 전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출력하는 합산 단계; 및
    조건 비교부를 통해 상기 합산부에서 출력되는 합산 카운트 횟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의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합산 카운트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 표시 과정은,
    상기 조건 판단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부를 활성화하여 기준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로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웹 사이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데이터를 상기 기준화면 계층의 상위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처리 단계; 및
    상기 조건 판단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조건 판단 전의 기준화면이 대기화면이었으면 대기화면 처리부를 활성화하여 대기모드에서 상기 대기화면 계층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화면 표시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화면 계층에 표시하는 대기화면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판단 과정은,
    상기 조건 판단부가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를 통해 화면상태 전환버튼 및 홈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눌림을 카운트하는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산 단계에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합산부를 통해 상기 버튼 눌림 횟수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횟수를 더 합산한 합산 카운트 횟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과정 후,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종료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여부 판단 과정;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종료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들을 초기화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여부 판단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과정 후,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종료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 발생 모니터링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화면 오프에 의한 것인지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버튼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종류 판단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이벤트가 화면 오프에 의한 것이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화면을 오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버튼에 의한 것이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모드 종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KR1020180013338A 2017-12-18 2018-02-02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KR102050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4019 2017-12-18
KR1020170174019 201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234A KR20190073234A (ko) 2019-06-26
KR102050587B1 true KR102050587B1 (ko) 2019-12-03

Family

ID=6710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338A KR102050587B1 (ko) 2017-12-18 2018-02-02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8119B2 (en) * 2021-05-12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app password based log-in detection using user interface ele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9379A (ja) * 2012-02-28 2013-09-09 Kyocera Corp 携帯端末、特定モード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特定モード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432B1 (ko) * 2005-09-22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넌시에이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정보업데이트 및 단축키 제공 방법
KR20150031010A (ko) 2013-09-13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9379A (ja) * 2012-02-28 2013-09-09 Kyocera Corp 携帯端末、特定モード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特定モード設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234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7832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pplication discovery and trial
KR102405752B1 (ko)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권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9542744B (zh) 检测终端开机异常问题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WO2017211226A1 (zh) 展示媒体文件的方法、终端和存储介质
US201703515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20160046751A (ko)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EP1849072A2 (en) System and method for background java application resource control
CN106453925B (zh) 一种信息传输的方法及移动终端
CN106445309B (zh) 应用下载入口的显示方法及装置
CN10708550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50026648A1 (en) Method for triggering applications with a smart device
CN102550003A (zh) 用于管理持续丰富因特网应用的方法和设备
EP296112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CN109725950B (zh) 一种实现客户端单实例运行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6557669A (zh) 一种应用程序安装过程的权限控制方法及装置
CN106713608B (zh) 应用的功能状态修改方法、装置及终端
CN107908487B (zh) 任务控制管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30019020A1 (en) Smart wireless connection
CN106557687A (zh) 一种应用程序安装过程的权限控制方法及装置
KR102050587B1 (ko)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기능을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조건에 따른 콘텐츠 자동 표시 방법
WO2016072833A1 (en) System and method to disable factory reset
CN110865823B (zh) 预装应用控制方法、预装应用控制装置及存储介质
CN111766987B (zh) 应用程序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905209A (zh) 应用程序更新方法及装置
CN113190143A (zh) 界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