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459B1 -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459B1
KR102050459B1 KR1020190121914A KR20190121914A KR102050459B1 KR 102050459 B1 KR102050459 B1 KR 102050459B1 KR 1020190121914 A KR1020190121914 A KR 1020190121914A KR 20190121914 A KR20190121914 A KR 20190121914A KR 102050459 B1 KR102050459 B1 KR 10205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dy
trust
farm management
je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우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마린
Priority to KR102019012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1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having means for deflecting jet or influencing cross-section thereof
    • B63H11/103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having means for deflecting jet or influencing cross-section thereof having means to increase efficiency of propulsive fluid, e.g. discharge pipe provided with means to improve the fluid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선, 특히 알루미늄 양식장 관리선을 이용하여 김양식장과 같은 곳에서 다수의 줄(string) 사이로 쉽고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두 정박이나 접안시 용이하며 원활하게 접안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안전운항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Trust device of farm management ship}
본 발명은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선, 특히 알루미늄 양식장 관리선을 이용하여 김양식장과 같은 곳에서 다수의 줄(string) 사이로 쉽고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두 정박이나 접안시 용이하며 원활하게 접안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안전운항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소정의 운항 안정성과 추진 효율을 확보하기 위해 선수와 선미 사이의 흘수 차이를 조절하여, 운항중에도 선수와 선미의 흘수가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선박은 안벽에 접안하거나, 수리를 위하여 도크(Dock)에 진입시키는 경우에 안벽 또는 도크와 평행을 이루도록 선체를 미세하게 조향시킬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시추선 등과 같은 특수 선박에서도 정교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 이러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사이드 트러스트(side thruster)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선미 또는 선수측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터널에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팬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물을 이동하고자 하는 반대측으로 배출시켜 선박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게 된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선수 또는 선미측 선체(1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터널(12)을 형성시키고, 상기 터널(12)에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팬을 이용한 사이드 트러스트(20)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물을 이동하고자 하는 반대측으로 배출시켜 선박의 위치를 미세조정하면서 접안부(30)에 접안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사이드 트러스트(20)가 설치된 선박들은 어선, 특히 양식장 관리선에 비해 현저히 큰 선박들이어서 사이드 트러스트(20)의 크기 자체도 커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어선과 같은 작은 선박, 더구나 수시로 해초나 부유물이 많고 양식을 위해 바다에 설치한 줄이 많은 양식장을 드나드는 어선의 경우 해초나 부유물이 빨려 들어가거나 줄 일부가 빨려 들어가게 되면 무용지물이 될 뿐만 아니라,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어선을 육지로 들어올리거나 혹은 잠수부를 동원하여 청소, 수리해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엄청나게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프로펠러(팬)형 트러스트는 있어도 유명무실한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특히, 김양식장과 같은 곳에서는 줄에 달려 있는 김을 채취하기 위해 어선을 최대한 접근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접안이 힘들고 파도나 바람에 의해 일정하게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밀려나는 등 작업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 공개실용 제20-2010-0003165호(2010-03-19), 선박용 사이드 트러스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어선, 특히 알루미늄 양식장 관리선을 이용하여 김양식장과 같은 곳에서 다수의 줄(string) 사이로 쉽고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두 정박이나 접안시 용이하며 원활하게 접안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안전운항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어선을 포함한 양식장 관리선의 선수 및 선미의 폭 중앙에 설치된 트러스트유닛(100)을 갖춘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트유닛(100)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유닛몸체(110); 상기 유닛몸체(110)의 외주면에 고정된 외통(120); 상기 유닛몸체(110)의 길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외통(120)까지 완전히 관통하여 유닛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분하는 분리벽(130); 상기 분리벽(130)을 기준으로 상기 유닛몸체(110)와 외통(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제1,2챔버(CH1,CH2); 상기 제1,2챔버(CH1,CH2)에 각각 연결 배관되고, 펌프에 의해 해수가 각각 급수되는 제1,2급수관(S1,S2); 상기 유닛몸체(110)의 양단에 플랜지(F)를 통해 고정된 제1,2분출유도관(P1,P2); 상기 제1분출유도관(P1)과 제1급수관(S1), 상기 제2분출유도관(P2)과 제2급수관(S2)이 각각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몸체(110)의 양단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분출유로(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2분출유도관(P1,P2)은 나팔관 형태로 확경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출유로(200)는 유닛몸체(110)의 양단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V'홈 형태로 다수 가공되며,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나선형태로 꼬이게 형성되어 분출되는 물줄기를 스크류방식으로 회전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선, 특히 알루미늄 양식장 관리선을 이용하여 김양식장과 같은 곳에서 다수의 줄(string) 사이로 쉽고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두 정박이나 접안시 용이하며 원활하게 접안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안전운항을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선박에 설치된 사이드 트러스트 및 그 사용예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선에 설치되는 트러스트 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선에 설치되는 트러스트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부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는 트러스트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트러스트유닛(100)은 어선, 특히 양식장 관리선과 같은 어선의 선수 및 선미의 폭 중앙에 설치된다.
즉, 종래와 같이 터널(12, 도 1 참조) 상에 설치된다. 다만, 기존처럼 프로펠러(스크류 혹은 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초나 부유물 혹은 줄(string)이 들어가 걸리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러스트유닛(100)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유닛몸체(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닛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더 큰 외경을 갖는 외통(12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유닛몸체(110)의 길이 중앙에는 상기 외통(120)까지 완전히 관통하여 유닛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분하는 분리벽(130)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유닛몸체(110)의 외측에서 상기 외통(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상기 분리벽(130)을 기준으로 제1챔버(CH1)와 제2챔버(CH2)로 나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2챔버(CH1,CH2)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고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챔버(CH1)에는 제1급수관(S1)이 연결 배관되고, 상기 제2챔버(CH2)에는 제2급수관(S2)이 연결 배관되며, 상기 제1,2급수관(S1,S2)은 선체에 설치된 펌프(미도시)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닛몸체(110)의 양단에는 플랜지(F)를 통해 제1분출유도관(P1)과 제2분출유도관(P2)이 각각 고정되어 일체를 이룬다.
이 경우, 상기 제1분출유도관(P1)은 제1급수관(S1)과 통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제2분출유도관(P2)은 제2급수관(S2)과 통할 수 있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1,2분출유도관(P1,P2)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분출유도관(P1)과 제1급수관(S1), 상기 제2분출유도관(P2)과 제2급수관(S2)이 각각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몸체(110)의 양단 둘레에는 도 3,4에서와 같이 다수의 분출유로(200)가 형성된다.
상기 분출유로(200)는 유닛몸체(110)의 양단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V'홈 형태로 다수 가공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때문에, 연장된 길이에 의해 상기 제1분출유도관(P1)과 제1급수관(S1), 상기 제2분출유도관(P2)과 제2급수관(S2)이 각각 서로 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출유로(200)를 연장시킬 때 나선상으로 꼬이게 연장하게 되면 분출되는 물이 스크류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분사되기 때문에 추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어선의 접안이 필요하거나 혹은 김양식장 등에서 김을 따기 위해 김이 붙어 있는 줄을 향해 최근접해야 할 경우 어선을 바짝 붙여야 한다.
이때, 만약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어선을 붙여야 하는 경우, 제1급수관(S1)을 통해 해수를 공급한다.
그러면, 공급된 해수는 수압을 받은 채 제1챔버(CH1)로 유입되고, 펌핑에 의해 상당한 수압을 받기 때문에 제1챔버(CH1) 내부의 물은 분출유로(200)를 통해 제1분출유도관(P1) 내부, 특히 내주면을 따라 물줄기 형태로 뿜어져 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미는 힘이 생겨 어선은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다수의 분출유로(200)에서 뿜어져 나온 물줄기가 나팔관 형태로 확경된 제1분출유도관(P1)을 빠져나갈 때 제1분출유도관(P1)의 중앙부로는 물이 유닛몸체(110)를 향해 빨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것은 일종의 벤츄리 효과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빨려 들어갔던 물이 분출유로(200)에서 뿜어져 나오는 물줄기를 따라 다시 제1분출유도관(P1) 밖으로 배출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빨려 들어온 물이 유닛몸체(110)의 분리벽(130)에 부딪혀 이를 밀게 되고, 이것은 어선을 우측으로 붙이는 더욱 더 유리한 힘을 제공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는 팬(스크류나 프로펠러)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유닛몸체(110)의 내부 중앙이 분리벽(130)에 의해 완전히 막혀 있기 때문에 해수가 그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간혹 해초나 부유물들이 유입되더라도 바로 빠져나가 버리기 때문에 이들이 걸려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완전히 해소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선체의 흘수 아랫부분에는 그 외표면이 수중에 상시 잠겨있기 때문에 물때를 비롯한 따개비 등의 수중생물이 쉽게 부착하여 자랄 수 있고, 그럴 경우 운항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도록 물때억제층을 더 코팅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때억제층은 티오바실러스 페로옥시단스(Thiobacillus ferrooxidans) 11중량%와, 인회석 분말 3중량%와,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3중량%와, 에테닐 아세테이트(CH2CHCOOCH3) 12중량%와,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13중량%와, 소성된 산화이테르븀 6중량%와, 디우론(Diuron) 5중량%와, 테르페노이드(terpenoids) 5중량%와, 메타인산염 3중량%와, ATO(Antimony doped Tin Oxide) 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코팅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티오바실러스 페로옥시단스(Thiobacillus ferrooxidans)는 악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해 제거하여 악취 발생을 극소화시키는데 기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인회석은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착물구조를 갖추어 내수압특성을 강화시키게 되며, 상기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은 전기음성도가 불소(F) 다음으로 큰 염소 원자 2개가 있어 매우 강한 소수성을 보이는 물질로서, 방수성 및 발수성이 우수하여 내수압특성 강화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테닐 아세테이트(CH2CHCOOCH3)는 수지의 스티프니스(stiffness)와 인장강도 조절하여 표면 내구성을 급격히 증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는 코팅 표면의 피막 형성을 통해 부유력을 높이며, 수지물의 점도 조절에도 기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소성된 산화이테르븀은 희토류 금속으로서 내화학성과 내약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디우론(Diuron)은 제초제의 일종이지만 수생식물 부착 억제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고, 상기 테르페노이드는 수중생물의 식생을 억제하는 기능성 물질이며, 메타인산염은 표면에서의 산화방지 기능을 강화시키면서 살균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ATO는 선체의 외표면에서 내열성 및 슬립성 확보에 기여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구성을 높인 베이스 수지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분사효율을 높이고, 와류 발생을 촉진하기 위해 센터 측류발생기(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터 측류발생기(300)는 도우넛 형상을 갖고 둘레면을 따라 90°간격을 두고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는 4개의 지점이 마련되고, 그 연통되는 지점에는 체크밸브(310)가 설치되어 제1챔버(CH1)로부터 센터 측류발생기(300) 측으로만 물이 공급되고 역류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2챔버(CH2)에도 동일하게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측류발생기(300)의 원 중심에는 연통관(320)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320)의 중심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공급된 물을 물줄기 형태로 센터 분사하는 센터분사관(330)이 설치된다.
따라서, 분출유로(200)를 통해 물이 분사됨과 동시에 센터를 통해서도 물이 줄기 형태로 분사되는데, 분출유로(200)는 슬릿 형태로 좁아 굉장히 빠른 속도로 분사됨에 반해, 센터분사관(330)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므로 물이 줄기 형태로 분사되면서 분출유로(200)에 비해 늦은 속도로 분사되게 된다.
때문에, 분사되는 물의 속도차에 의해 센터 물 기둥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서 와류가 발생하면서 이를 나선상으로 감아 분출되는 효과를 증대시키며, 이것은 결국 추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트러스트 기능을 더욱 더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110: 유닛몸체 120: 외벽
130: 분리벽 200: 분출유로

Claims (2)

  1. 삭제
  2. 어선을 포함한 양식장 관리선의 선수 및 선미의 폭 중앙에 설치된 트러스트유닛(100)을 갖춘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트유닛(100)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유닛몸체(110);
    상기 유닛몸체(110)의 외주면에 고정된 외통(120);
    상기 유닛몸체(110)의 길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외통(120)까지 완전히 관통하여 유닛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분하는 분리벽(130);
    상기 분리벽(130)을 기준으로 상기 유닛몸체(110)와 외통(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제1,2챔버(CH1,CH2);
    상기 제1,2챔버(CH1,CH2)에 각각 연결 배관되고, 펌프에 의해 해수가 각각 급수되는 제1,2급수관(S1,S2);
    상기 유닛몸체(110)의 양단에 플랜지(F)를 통해 고정된 제1,2분출유도관(P1,P2);
    상기 제1분출유도관(P1)과 제1급수관(S1), 상기 제2분출유도관(P2)과 제2급수관(S2)이 각각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몸체(110)의 양단 둘레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분출유로(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2분출유도관(P1,P2)은 나팔관 형태로 확경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출유로(200)는 유닛몸체(110)의 양단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V'홈 형태로 다수 가공되며,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나선형태로 꼬이게 형성되어 분출되는 물줄기를 스크류방식으로 회전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
KR1020190121914A 2019-10-02 2019-10-02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 KR10205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14A KR102050459B1 (ko) 2019-10-02 2019-10-02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14A KR102050459B1 (ko) 2019-10-02 2019-10-02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459B1 true KR102050459B1 (ko) 2019-11-29

Family

ID=6872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914A KR102050459B1 (ko) 2019-10-02 2019-10-02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4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397A (ja) * 2002-03-29 2003-10-15 Toshiba Corp 流体中自由運動体
JP2008302912A (ja) * 2007-06-05 2008-12-18 Saburo Yamano 二重筒ジェット水流発生機
KR20100003165U (ko) 2008-09-11 2010-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사이드 트러스트
KR20150062363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 배출을 이용한 선박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69607A (ko) * 2014-12-08 2016-06-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사이드 스러스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397A (ja) * 2002-03-29 2003-10-15 Toshiba Corp 流体中自由運動体
JP2008302912A (ja) * 2007-06-05 2008-12-18 Saburo Yamano 二重筒ジェット水流発生機
KR20100003165U (ko) 2008-09-11 2010-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사이드 트러스트
KR20150062363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 배출을 이용한 선박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69607A (ko) * 2014-12-08 2016-06-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사이드 스러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9160C2 (ru) Система вентури с множеством направляющих насадок для судна
SE443759B (sv) Fartygspropeller
US6554660B2 (en) Propulsion system for yachts, trawlers and the like
US4046094A (en) Antifouling system for active ships at rest
KR20130088961A (ko) 추진기 주변에 계단형식을 갖춘 선미형상을 한 에어 캐비티 및 공기윤활 방식 선박
US5282763A (en) Steerable bow thruster for swath vessels
KR101641882B1 (ko) 보호망을 구비한 코트 노즐 프로펠러
KR102050459B1 (ko) 양식장 관리선의 트러스트 장치
WO2014087207A1 (en) Device for cleaning ships and method in which such a device is applied
US5545063A (en) Chambered anti-Coanda jet marine propulsion device with gaseous boundary layer for a thrust jet flow stream exhibiting staged controlled boundary layer separation properties, vessel trim adjustment, and movable thrust vector application points(s)
KR102378872B1 (ko) 해양용 덕트식 프로펠러 제트 추진 시스템
KR102271758B1 (ko) 테슬라 펌프를 이용한 워터젯 추진 장치
JP7064212B2 (ja) 気泡生成装置
US2395944A (en)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vessels against attack of torpedoes
US2303437A (en) Means for the propulsion of ships
JP4466915B2 (ja) 船底等への水生生物の着生防止装置並びに着生防止方法
Newman Pump it up!: Water jets are no longer used just for thrill-seeking jet-skiers. Now larger boats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are using the technology for propulsion—so what's powering the trend?
KR102484390B1 (ko) 추진 효율성 및 구난 효율성이 향상된 워터제트 추진 무인 구난정
US20210347450A1 (en) Anti-sedimentation system for marine vessels
RU22470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вышающее пропульсивные показатели водометных движителей
JPS62253594A (ja) ドリルウエル・ム−ンプ−ルの海水遮蔽方法
HRP20040598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potential over a body
CN117246494A (zh) 一种多功能自稳定喷射装置
EP32634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rag of vessel
KR101026749B1 (ko) 물분사 추진장치의 유도관의 립 형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