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764B1 -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 Google Patents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764B1
KR102049764B1 KR1020190093732A KR20190093732A KR102049764B1 KR 102049764 B1 KR102049764 B1 KR 102049764B1 KR 1020190093732 A KR1020190093732 A KR 1020190093732A KR 20190093732 A KR20190093732 A KR 20190093732A KR 102049764 B1 KR102049764 B1 KR 10204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fixing
wave output
output devi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병조
Original Assignee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시스템(주) filed Critical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9009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8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measuring depth of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Landscapes

  • Remote Sen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cean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way terrain change measurement system by acoustic explo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sound wave output devices dispersed and installed on seabed terrain; a sonar device including a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reception of sound waves; a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to acquire numerical data for identifying seabed terrain; a database to store position information in a state of being distinguished from previous position information of corresponding sound wave output devices; a control unit to monitor and control the whole; a display unit to output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at each acquisition time in a distinguished state; and a plotting module to plot terrain of the seabed where the corresponding sound wave output devices are installed in an image. Mobility is given to the sound wave output devices by a wheel unit and an ascending/descending unit to widen an area covered by a single sound wave output device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and efficiency and resolve communication failure.

Description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본 발명은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nel topography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acoustic exploration.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어로 작업, 해양 건축물 시공, 군사작전 및 항만운항 등을 할 때에 종이해도, 전자해도 및 각종 전자 관측장비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예를 들어, 해양 구조물의 건축 시 해저 지형의 불규칙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해양 구조물 설계의 시발점이며, 이로부터 해양 구조물의 높이, 구조물 하부 형태, 선박 접안 시설의 수직 위치 결정, 부식 방지 설계 범위 등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해양 구조물의 지형적 안정성도 검증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performing fishing work, construction of marine buildings, military operations, and port operations in the ocean, information on the seabed topography is obtained using paper, electronic charts, and various electronic observation equipment. For exampl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seabed topography irregularities in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is the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offshore structures, from which the height of the offshore structure, the substructure of the structure, the vertical positioning of the ship's eyepiece, and the scope of the corrosion protection design, etc. And topographical stability of offshore structures.

이를 위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음파탐지기 또는 음향탐지기를 이용하여 해수로 등 해저 지형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음파탐지기가 선박에 설치되어 해수면 부근에서 해저면을 향해 음파를 송출한 후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음파를 수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식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해수면의 파도 및 어류 또는 수중생물의 음파 반사 현상 등에 의해서 많은 방해를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탐사 작업을 여러 차례 반복하는데 따른 긴 시간이 소요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해저 지형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적 정확히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해저 지형에 대해 비교적 일정한 위치에서 음파의 송수신을 반복해야 하는데, 종래 선박의 음파탐지기를 통한 해저 지형의 정보 획득 방식은 탐사 시에만 선박이 탐사 위치로 이동하고 탐사 후에는 항구로 복귀하는 방식이므로, 동일 해저지형에 대한 탐사 시를 기준으로 이전 탐사 시와 동일한 위치에 음파탐지기를 위치시켜 음파를 송출하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해저 지형들의 변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o this end,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eabed topography, such as the sea channel by using a sound wave detector or a sound detector. This method corresponds to a method in which a sound wave detector is installed on a ship to transmit sound waves toward the sea floor near the sea surface and then receive sound waves reflected from the sea bottom to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However, this method is hampered by sea waves and the reflection of sound waves from fish or aquatic organisms, and thus takes a long time to repeat the exploration process several times. There are difficulties that occur frequently. In addition, in order to acquire data about the change of the seabed topography relatively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ound waves at a relatively consta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abed topography. Since it moves to this location and returns to the port after the exploration,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send a sound wave by placing the sound wave detector at the same location as the previous exploration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same seab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change data of the seabed topography.

이에 음파출력장치를 해저면에 분산 설치한 다음 각각의 음파출력 장치별 신호를 구분하여 수신함으로써, 해당 해저면의 지형 변화 상태를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비교적 정확히 파악 후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탐사에 의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른 선행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1492863호가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음파출력장치에 기동성이 없어 커버하는 지역이 좁고 장애물 등이 존재할 경우 통신에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sound wave output devices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 and then the signals of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are separated and received, so that the topographical change of the sea bottom is relatively accurate through analysis of data having continuity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for surveying terrain changes to sea channels by acoustic exploration. Patent No. 10-1492863 is a prior art in accordance with such a request, but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an error occurs in communication when there is a small area to cover and there is no obstacle due to maneuverability in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파출력장치에 기동성을 부여하여 하나의 음파출력장치가 커버하는 영역을 넓혀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장애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 위치를 옮겨 통신 에러를 해결하는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obility to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to expand the area covered by one sound wave output device to improve the economics and efficiency, and to solve the communication error by moving the position when there is an obstacle, etc. It is to provide a channel topography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acoustic explor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은, 해저 지형에 분산 설치되고 해수면을 향해 서로 구분되는 고유의 음파를 무선 송출하는 복수 개의 음파출력장치, 상기 음파출력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음파의 무선 수신을 위한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음파탐지기, 상기 음파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음파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음파탐지기가 설치된 모체의 GPS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연산하여 상기 음파탐지기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복수 개의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저지형을 파악할 수 있는 수치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연산모듈, 상기 위치정보 연산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각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음파출력장치 별로 해당 음파출력장치에 매칭시켜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되, 상기 위치정보 연산모듈의 위치정보 획득 시마다 해당 음파출력장치의 이전 위치정보와 구분되는 상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위치정보들을 검출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게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음파출력장치 별로 구분하는 동시에 각각의 상기 음파출력장치마다 위치정보의 획득 시점마다 구분되는 상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음파출력장치가 설치된 해저면의 지형을 이미지로 도시하는 도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파출력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방 네 모서리 영역에 연결되는 4개의 블록부, 상기 블록부 각각에 설치되되 상기 블록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해저면에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하방 네 꼭지점 영역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부, 상기 바퀴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음파출력모듈 및 상기 음파출력모듈의 음파출력 주기를 포함한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음파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바퀴부를 하강시키면 상기 블록부가 해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하강상태가 되고,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바퀴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블록부가 해저면에 내려앉는 승강상태가 되며,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제1 중공을 구비하는 제1 고정대, 일단이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어 타단이 상기 제1 고정대로부터 인접해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제2 중공을 구비하는 제2 고정대, 일단이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되어 타단이 상기 제2 고정대로부터 인접해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3 고정대, 및 상기 제3 고정대를 상기 제1 고정대의 방향으로 당기거나 반대로 밀어 상기 고정부를 신축 가능하게 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여 축소상태 또는 연장상태가 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3 고정대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힌지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는 복수의 분기대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분기대는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는 접힘상태 또는 상기 제3 고정대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어 펼쳐진 펼침상태가 되고, 각각의 상기 분기대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분기대가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분기대의 표면과 상기 제3 고정대는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블록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고정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대, 상기 제2 고정대 및 상기 제3 고정대 각각의 길이는 상기 블록부의 길이보다 짧아 상기 축소상태일 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록부에 수용되고, 상기 연장상태일 때 상기 제2 고정대 및 상기 제3 고정대는 상기 블록부의 하단로부터 돌출되며, 이동 필요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기대를 접어 상기 분기대가 상기 제3 고정대의 고정홈에 안착되는 상기 접힘상태, 상기 고정부를 축소시켜 상기 고정부를 상기 블록부 내에 수용하는 상기 축소상태, 상기 바퀴부를 하강하여 상기 블록부를 해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상기 하강상태, 상기 바퀴부를 구동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상태, 이동 완료 후 상기 바퀴부를 승강하여 상기 블록부를 해저면에 내려놓는 상기 승강상태, 상기 고정부를 연장시켜 상기 블록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대 및 상기 제3 고정대를 돌출시켜 해저면에 박는 상기 연장상태, 및 상기 제3 고정대의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분기대를 펼쳐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해저면에 고정하는 펼침상태를 차례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hannel topographical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acoustic explor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ound wave output devices wirelessly transmitting inherent sound waves distributed on a seabed topography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toward a sea surface, and the sound wave output A sound wave detector comprising a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reception of sound waves transmitted from a device, the sound wav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wave detector is analyzed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ound wave detector is calculated based o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ther body where the sound wave detector is installed. A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for acquiring information and acquiring numerical data capable of identifying a seabed topography using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ound wave output devices, and each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s obtain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By match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for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A database which is stored in a corresponding area, and stored in a state distinguished from previous posi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sound wave output device every tim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s acquired, and detect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display unit to monitor and control the whole, and classify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by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t the time of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the image in a divided state, and a drawing module showing an image of the top surface of the sea floor on which the corresponding sound wave output device is installed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output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output device includes a main body and four lower corners of the main body. Four block parts connected to each of the block portion is provided in each of the block portion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on the bottom surface, four wheel parts are installed in the four corner areas below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including a lift unit for elevating the wheel unit, a sound wave output modul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a sound wave output period of the sound wave output module. When the lifting unit lowers the wheel part, the block part is in a descending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ea bottom surface, and when the lifting part raises the wheel part, the block part is in a lifting state in which the bottom part is lowered, and the fixing part has a first inside. A first holder having a hollow,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and the other end is from the first holder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djacent to or away from the second holder having a second hollow therei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has a structure that the other end can be adjacent or away from the second holder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tracting state or an extended state including a third holder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for pulling the third holde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member or by pushing the third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lder; The fixing par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branch bar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fixing unit in a hinge structure and seated in the fixing groove, each of which is folded in the fixing groove or 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third fixing rod to be in an unfolded and unfolded stat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and each of the branch stands toward the end. It has a structure that is wider, when each of the branch is seated in the fixing groove and the surface of the branch and the third fixing rod is in the same plane, the center of the block portion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fixing rod And the first hold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length of each of the first holder, the second holder, and the third holder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lock, so that the fixing part is the block part. And the second holder and the third holder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lock part in the extended state, and if necessary, the controller folds the branch so that the branch rests in the fixing groove of the third holder. The collapsed state is reduced, the reduced state to accommodate the fixing portion in the block portion by reducing the fixing portion, the wheel portion is lowered to raise The descending state to separate the block portion from the sea bottom, the moving stat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by driving the wheel portion, the lifting stat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wheel portion to lower the block portion on the sea bottom after completion of the movement, the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by extending the fixing part and extending the branch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block part to protrude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third fixing member to the bottom surface, an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of the third fixing member. It can be controlled in turn the unfolding state to fix the to the bottom.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홈은 복수의 제1 고정홈 및 상기 복수의 제1 고정홈의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대는 상기 제1 고정홈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1 분기대와 상기 제2 고정홈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2 분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은 엇갈려 배치되고, 상기 제1 분기대가 상기 제3 고정대와 연결되는 제1 힌지는 상기 제1 분기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분기대가 상기 제3 고정대와 연결되는 제2 힌지는 상기 제2 분기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분기대가 상기 펼침상태일 때 서로 마주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xing groov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grooves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grooves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grooves, and the branch is seat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second branches mounted on the second fixing grooves and the second fixing grooves, wherein the first fixing grooves and the second fixing grooves are alternately disposed, and the first branch branches are arranged in the third branching grooves. The first hinge connected to the fixing rod is located under the first branch, and the second hinge connecting the second branch to the third fixing rod is located above the second branch, so that the branch is unfolded. You can face each other when you ar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력생산부 및 상기 전력생산부가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생산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되 양단 중 일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진동바, 상기 본체부가 방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진동바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부재, 상기 진동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자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진동바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코일, 상기 진동바의 반대편에 상기 코일과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코일과 인접한 방향이 S극인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코일과 인접한 방향이 N극을 갖는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진동바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격되게 상기 본체부의 외부와 내부 각각에는 함입된 형태의 제1 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진동바의 상부와 하부에는 함입되고 단차진 형태의 제2 실링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실링홈 및 상기 제2 실링홈 각각은 표면에 인접한 제1 홈영역 및 상기 제1 홈영역보다 깊게 위치되고 상기 제1 홈영역으로부터 단차지며 상기 제1 홈영역보다 폭이 넓은 제2 홈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밀착되는 제1 실링영역,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밀착되는 제2 실링영역, 및 상기 제1 실링영역과 상기 제2 실링영역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삽입홀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3 실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영역 및 상기 제2 실링영역에는 상기 제1 실링영역 및 상기 제2 실링영역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실링홈에 밀착되는 제1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실링영역에는 상기 제3 실링영역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실링홈에 밀착되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 각각은 표면에 인접한 제1 돌출영역 및 상기 제1 돌출영역보다 돌출 위치되고 상기 제1 돌출영역으로부터 단차지며 상기 제1 돌출영역보다 폭이 넓은 제2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es a power generation unit at least partly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a battery unit for stor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the power generation unit side Is connected to penetrate through one end of the both ends is located outside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side the body portion, the seal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vibration bar to maintain the body portion waterproof;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vibration bar, a coil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vibration bar, and spaced apart from the coil on an opposite side of the vibration bar,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coil is A first magnet which is an S pole and a second magnet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magnet and has an N pole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coil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vibration bar is inserted, and a first sealing groove having an embedded shape is formed in each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hole. A second seal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ibration bar and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wherein each of the first sealing groove and the second sealing groove is located deeper than the first groove region and the first groove region adjacent to the surface. And a second groove area which is stepped from the first groove area and is wider than the first groove area,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a first sealing area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ody part. A second sealing region and a third sealing reg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ealing region and the second sealing region, and the first sealing region and the second sealing region.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 first sealing area and the second sealing area, and a first protrusion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ealing groove, and the third sealing area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 third sealing area.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ealing groove, and each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first protrusion area and the first protrusion area adjacent to a surface thereof, and is stepped from the first protrusion area. And a second protrusion region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first protrusion region.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will be required to properly define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은 바퀴부와 승하강부를 통해 음파출력장치에 기동성을 부여하여 하나의 음파출력장치로 커버하는 영역을 넓혀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장애물 등에 통신 장애 시 음파출력장치를 이동시켜 통신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topographical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sound explor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obility to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through the wheel part and the elevating part to widen the area covered by one sound wave output device, thereby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and It can improve the efficiency and solve the communication error by moving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in case of communication fail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를 통해 옮긴 위치에서도 음파출력장치를 견고하게 해저면에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on the seabed even in the position moved through the fixing por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의 음파출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음파출력장치의 블록부와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고정부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음파출력장치의 바퀴부 및 승하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음파출력장치의 전력생산부 및 배터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topography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acoustic expl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 wave output device of a channel topography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sound exploration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lock part and a fixing part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fixing part shown in FIG. 3.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wheel part and the lifting part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shown in FIG. 2.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power generator and a battery unit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2.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topography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acoustic expl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hannel topography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the acoustic expl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은 복수 개의 음파출력장치(1000), 음파탐지기(2000), 위치정보 연산모듈(3000), 데이터베이스(4000), 제어부(5000), 디스플레이부(6000) 및 도화모듈(70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opographical change surveying system using the acoustic surve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ound wave output devices 1000, a sound wave detector 2000, a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3000, a database 4000, The controller 5000, the display 6000, and the drawing module 7000 may be included.

음파출력장치(1000)는 해저 지형에 일정한 간격으로 분산 설치되어 해수면을 향해 서로 구분되는 고유의 음파(음향) 신호를 송신하는 부재로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파출력장치(1000)는 음파출력모듈(1100)과 음파출력제어부(1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파출력모듈(1100)은 음파를 출력하는 부재로 음파출력제어부(1200)에 의해 설정된 일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고유 음파를 출력하여 해수면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음파출력제어부(1200)는 음파출력모듈(1100)과 음파출력모듈(1100)의 음파출력 주기뿐만 아니라 이후에 설명될 고정부(1500), 바퀴부(1600), 승하강부(1700) 등 음파출력장치(10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is a member that is distribu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eabed topography and transmits unique sound wave (sound) signal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oward the sea surface. Here,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may include a sound wave output module 1100 and a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the sound wave output module 1100 is a member for outputting sound waves set by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Inherent sound waves can be periodically outputted to the sea level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In addition,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as well as the sound wave output cycle of the sound wave output module 1100 and the sound wave output module 1100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xing unit 1500, the wheel unit 1600, the elevating unit 1700, etc.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음파탐지기(2000)는 음파출력장치(1000)로부터 송신되는 음파(음향)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파탐지기(2000)로서는 통상의 음파탐지기(SONAR; Sound Navigation And Ranging)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음파탐지기(2000)는 수신모듈(2100) 외에 음파를 송신하는 송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파출력장치(1000)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음파 신호가 송출(출력)된 시간 정보(TIME STAMP)를 포함시켜 함께 송출할 수 있고, 음파탐지기(2000)가 수신된 음파(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방식은 이미 알려진 기술, 즉 송신시간과 수신시간정보의 분석 또는 음파가 수중에서 전파되는 속도를 이용한 분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ound wave detector 2000 may include a receiving module 2100 for receiving a signal of sound wave (sound) transmitted from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Here, the conventional sound wave detector (SONAR; Sound Navigation And Ranging) may be used as the sound wave detector 2000, and the sound wave detector 2000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module (not shown) for transmitting sound waves in addition to the receiving module 2100. can do. In this case,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may transmit the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time information (TIME STAMP) in which the sound wave signal is transmitted (output) by the built-in program, and the sound wave detector 2000 receives the sound wave (sound) signal. The method of analyzing the data may use a known technique, that is, analysis of transmission time and reception time information or analysis using a speed at which sound waves propagate underwater.

위치정보 연산모듈(3000)은 음파탐지기(2000)에서 수신되는 음파 정보를 분석하고 음파탐지기(2000)가 설치된 모체의 GPS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연산하여 음파탐지기(2000)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복수의 음파출력장치(1000)의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저지형을 파악할 수 있는 수치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3000 analyzes the sound wav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wave detector 2000 and calculates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detector 2000 by calculating based o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ther body where the sound wave detector 2000 is installed. By using the identifi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ound wave output apparatuses 1000, numerical data for identifying a seabed topography may be obtained.

데이터베이스(4000)는 제어부(50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위치정보 연산모듈(3000)을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각 음파출력장치(1000) 별로 해당 음파출력장치(1000)에 매칭시켜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며, 위치정보 연산모듈(3000)의 위치정보 획득 시마다 해당 음파출력장치(1000)의 이전 위치정보와 구분되는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4000 is an area allocated by match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3000 to the corresponding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for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under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control unit 5000. Each tim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3000 is acquired, the soun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tate distinguished from previou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제어부(5000)는 데이터베이스(4000)의 위치정보들을 검출하여 음파출력장치(1000) 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6000)에 출력하며, 시스템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00 detec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4000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6000 so that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can be displayed separately, and monitor and control the entire system.

디스플레이부(6000)는 제어부(50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음파출력장치(1000)의 위치정보를 음파출력장치(1000) 별로 구분하는 동시에 각각의 음파출력장치(1000)마다 그 위치정보 획득 시점마다 구분되는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6000)가 각 음파출력장치(1000)의 위치정보를 획득 시점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식은 제어부(50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한 것으로, 동시에 색상의 차이로 표시하거나 설정된 소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동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6000 classifi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by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5000, and at the time of acqui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Can be output in a separate state.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6000 classifi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by the acquisition time and displays the position information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00, and simultaneously displays or sets a predetermined time by the difference in color. It may be displayed as a video based on or to be sequentially displayed by the input control signal, it can be displayed in a generally known manner.

도화모듈(7000)은 제어부(50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파출력장치(1000)들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음파출력장치(1000)들이 설치된 해저면의 지형을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다.The drawing module 7000 may show, as an image, the topography of the sea floor on which the corresponding sound wave output devices 1000 are install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s 1000 output through the controller 5000.

이와 같이 해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음파출력장치(1000)에서 각 음파출력장치(1000)별로 식별 가능한 고유 음파를 송출하고 음파탐지기(2000)에서 이를 수신함으로써, 각 음파출력장치(1000) 별로 구분하여 분석 및 이용할 수 있어 음파출력장치(1000)가 설치된 해당 해저면들의 지형 변화 상태를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연속성을 가지는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어로 작업, 해양 건축물 시공, 군사작전 및 항만운항 등을 위한 정보로서 활용되며, 비교적 정확한 전자해도, 종이 해저지도를 제작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음파출력장치(1000)가 동일한 음파(음향)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각 음파출력장치(1000)는 자신을 구분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음파(음향) 신호에 포함시켜 출력(송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lurality of sound wave output devices 100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transmit unique sound waves identifiable for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and receive them from the sound wave detector 2000, thereby providing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t can be classified and analyzed by each, so that the state of the topography changes of the sea floors in which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s installed can be relatively accurately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data having continuity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is information is used as information for fishing operations, construction of offshore buildings, military operations and port operations, and can be used to produce relatively accurate electronic charts and paper submarine maps. In this case, when each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transmits the same sound wave (sound) signal, each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may include (or transmit) a unique number for identifying itself in the sound wave (sound) signal. have.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의 음파출력장치(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파출력장치(10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of a channel topography change surveying system using sound exploration shown in FIG. 1. Hereinafter,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gur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파출력장치(1000)는 본체부(1300), 4개의 블록부(1400), 고정부(1500; 도 3에 도시됨), 4개의 바퀴부(1600), 바퀴부(16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1700), 본체부(13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음파출력모듈(1100; 도 1에 도시됨) 및 음파출력제어부(1200;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300, four block parts 1400, a fixing part 1500 (shown in FIG. 3), and four wheel parts. 1600, the lifting unit 170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wheel unit 1600, the sound wave output module 1100 (shown in FIG. 1) and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FIG. 1)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unit 1300. Shown in the figure).

본체부(130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음파출력모듈(1100), 음파출력제어부(1200) 등의 구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블록부(1400)는 본체부(1300)의 하방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300)를 해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다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고정부(1500; 도 3에 도시됨)는 음파출력장치(1000)를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in body 130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accommodate a configuration of a sound wave output module 1100 and a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therein. In addition, the block portion 14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our lower four corner areas of the main body portion 1300 and may serve as a leg to separate the main body portion 1300 from the sea flo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xing unit 1500 (shown in FIG. 3) may serve to fix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to the sea bottom.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음파출력장치(1000)의 블록부(1400)와 고정부(15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파출력장치(1000)의 고정부(15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lock unit 1400 and the fixing unit 1500 of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illustrated in FIG. 2. Hereinafter, the fixing unit 1500 of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파출력장치(1000)의 고정부(1500)는 4개의 블록부(1400) 각각의 하방으로부터 연장되어 해저면에 음파출력장치(1000)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500)는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고정대(1510), 제2 고정대(1520) 및 제3 고정대(1530)의 3단으로 구성되고, 신축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신축부재(15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xing unit 1500 of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from below each of the four block portions 1400 to fix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to the sea bottom. Can be. Specifically, the fixing unit 1500 may be implemented in a multi-stage structure, such as an antenna, the entire length is stretchable,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unit 1510, the second fixing unit 1520 and the third fixing unit 1530 Consists of three stages, and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1540) for driving elastically.

이때, 제1 고정대(1510)는 블록부(1400)의 중앙에 형성된 수용홈(1410)에 수용 고정되며, 제2 고정대(1520)는 일단이 제1 고정대(1510)의 제1 중공(1511)에 삽입되어 타단이 제1 고정대(1510)로부터 인접해지거나 멀어질 수 있고, 제3 고정대(1530)는 일단이 제2 고정대(1520)의 제2 중공(1521)에 삽입되어 타단이 제2 고정대(1520)로부터 인접해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때, 제3 고정대(1530)는 해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은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holder 1510 is receiv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141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portion 1400, the second holder 1520 is one end of the first hollow 1511 of the first holder 1510 The other end may be adjacent to or away from the first fixing unit 1510, and one end of the third fixing unit 153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1521 of the second fixing unit 1520,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unit 1510. It may be adjacent or far from 1520. At this time, the third fixing stand 1530 may include a region that is narrower toward the end at least in part to be easily embedded in the sea bottom.

또한, 신축부재(1540)는 일측이 제1 고정대(1510) 또는 블록부(1400) 내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3 고정대(1530)와 연결되어, 제3 고정대(1530)를 제1 고정대(1510)의 방향으로 당기거나 반대로 밀어냄으로써 고정부(1500)를 신축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각 고정대의 길이는 블록부(1400)의 길이보다 짧아 도 3(a)와 같은 "축소상태"일 때 고정부(1500)는 블록부(1400)의 수용홈(1410)에 모두 수용될 수 있고, 도 3(b)와 같은 "연장상태"일 때 제2 고정대(1520) 및 제3 고정대(1530)가 블록부(140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해저면에 박힐 수 있다. 이러한 "축소상태"와 "연장상태"의 동작은 음파출력제어부(1200)가 신축부재(1540)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1540 is fixed in the first holder 1510 or the block portion 14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third holder 1530, the third holder 1530 to the first holder 1510 The fixing part 1500 may be elastically implemented by pulling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or pushing the opposite direction. At this time, the length of each fixing rod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lock portion 1400, when the "reduced state" as shown in Figure 3 (a), the fixing portion 1500 is to be accommodated in all the receiving groove 1410 of the block portion 1400 In the “extended state”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second fixing stand 1520 and the third fixing stand 1530 may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block portion 1400 and may be embedded in the sea bottom. The operation of the "reduced state" and "extended state" can be made by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control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mber 1540.

이와 같이 고정부(1500)를 3단으로 구성하는 것은 제한된 블록부(1400)의 길이 내에 모두 수용되는 것을 감안하되 최대한 길게 돌출되도록 하여 해저면에 음파출력장치(10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보다 안정적인 음파출력장치(1000)의 고정을 위하여 각 고정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ree parts of the fixing unit 1500 are accommodated within the length of the limited block unit 1400, but protrude as long as possible so that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can be stably fixed to the sea bottom. It may be for the following. In addition, in order to fix the more stabl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each guide may be implemented in a square pillar shape.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고정부(1500)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50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fixing part 1500 illustrated in FIG. 3. Hereinafter, the fixing part 1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고정대(1530)가 제2 고정대(1520)로부터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2 고정대(1520)의 내측에 레일돌기(1522)를 형성하고 제3 고정대(1530)의 각 면 외측에 레일홈(153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레일돌기(1522)가 레일홈(1534)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3 고정대(1530)가 제2 고정대(1520)로부터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고정부(1500)의 신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레일홈(1534)의 최외곽폭(1535)은 최대폭(1536)보다 좁도록 구현하여 레일돌기(1522)의 레일홈(1534)에 대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일돌기(1522) 및 레일홈(1534) 구조는 제2 고정대(1520)와 제3 고정대(1530) 사이뿐만 아니라 제1 고정대(1510)와 제2 고정대(1520) 사이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a rail protrusion 1522 is formed inside the second holder 1520 so that the third holder 1530 can easily slide from the second holder 1520. Rail grooves 1534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each surface of the holder 1530. At this time, the rail protrusion 1522 may implement a sliding method in a state in which the rail groove 1534 is inserted, and the third holder 1530 is easily slid from the second holder 1520 so that the fixing part 1500 is stretched. This may be possible. In this case, the outermost width 1535 of the rail groove 1534 may be implemented to be narrower than the maximum width 1536 to prevent the rail groove 153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groove 1534.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rail protrusion 1522 and the rail groove 1534 may be applicable not only between the second holder 1520 and the third holder 1530 but also between the first holder 1510 and the second holder 1520. have.

한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500)의 제3 고정대(1530)는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고정홈(153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홈(1533)에는 분기대(1539)가 안착될 수 있는데, 분기대(1539)는 제3 고정대(1530)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힌지(1537a, 1537b)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대(1539)를 접어 분기대(1539) 전체가 고정홈(1533)에 안착되어 있는 "접힘상태"(도 3(b) 참조)와 분기대(1539)를 힌지(1537a, 1537b) 기준으로 회동시켜 펼침으로써 분기대(1539)의 타단이 고정홈(1533)으로부터 이탈되는 "펼침상태"(도 4(b) 참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힘상태"와 "펼침상태"의 제어는 음파출력제어부(12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b), the third holder 1530 of the fixing unit 1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53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have. In addition, the branch 1539 may b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1533, the branch 1539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fixing stand 1530 in the hinge (1537a, 1537b) structure,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branch 1539 is folded to hinge the branch 1539 and the "folded state" (see FIG. 3 (b)) in which the entire branch 1539 is seated in the fixing groove 1533. By unfolding by reference, the other end of the branch 1539 can be implemented in the "expanded state" (see Fig. 4 (b)) is released from the fixed groove 1533, such a "folded state" and "unfolded state" The control of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may be made.

이와 같이 "펼침상태"가 되는 경우 도 3(b)와 같은 "접힘상태"와 비교하여 분기대(1539)가 펼쳐져 해저면에 추가적으로 박히게 되므로 음파출력장치(1000)를 더욱 견고하게 해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기대(1539)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도 4(a) 참조). 또한, "접힘상태", 즉 분기대(1539)가 고정홈(1533)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분기대(1539)의 표면과 제3 고정대(1530)의 표면이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도 3(b)에서와 같이 제3 고정대(1530)가 연장되었을 때 용이하게 고정부(1500)가 해저면에 박히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expanded state" is compared to the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3 (b), the branching band 1539 is unfolded and additionally embedded in the sea floor, so that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s more firmly fixed to the sea bottom. can do.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the fixing force, it may be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ranching band 1539 becomes wider toward the end (see FIG. 4A). In addition, when the “folded state”, that is, the branch 1539 is seated in the fixing groove 1533, the surface of the branch 1539 and the surface of the third fixing table 1530 are in the same plane. As in b), when the third fixing bar 1530 is extended, the fixing part 1500 may be easily embedded in the sea bottom.

한편, 고정홈(1533)은 예시적으로 복수의 제1 고정홈(1531)과 복수의 제1 고정홈(1531)의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홈(1532)을 포함하고, 분기대(1539)는 제1 고정홈(1531)에 안착되는 제1 분기대(1537)와 제2 고정홈(1532)에 안착되는 제2 분기대(15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분기대(1537)가 제3 고정대(1530)와 연결되는 제1 힌지(1537a)는 제1 분기대(1537)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2 분기대(1538)가 제3 고정대(1530)와 연결되는 제2 힌지(1538a)는 제2 분기대(1538)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분기대(1537)와 제2 분기대(1538)가 펼쳐지는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보적인 효과에 따라 더욱 강력한 해저면에 대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1 분기대(1537)와 제2 분기대(1538)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현된 제3 고정대(1530)의 각 면에 각각 4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보적 효과에 따라 해저면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groove 1533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grooves 1531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grooves 1532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grooves 1531, for example. The 1539 may include a first branch 1537 seated in the first fixing recess 1531 and a second branch 1538 seated in the second fixing recess 1532. At this time, the first hinge 1537a, in which the first branch 1537 is connected to the third fixing bar 1530, is positioned under the first branch 1537, and the second branch 1538 is the third fixing bar ( The second hinge 1538a connected to the 1530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branch 1538.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ranch 1537 and the second branch 1538 are unfolded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ccordingly, a more powerful bottom surface may be fixed according to a complementary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ranch 1537 and the second branch 1538 may be implemented in four on each side of each of the third fixing stand 1530 implemented in a square pillar shape, it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figure Although illustrated as being to be overlapping with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nd in this case it can further improve the fixing force to the bottom according to the complementary effect.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음파출력장치(1000)의 바퀴부(1600) 및 승하강부(17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바퀴부(1600) 및 승하강부(17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wheel unit 1600 and the lifting unit 1700 of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illustrated in FIG. 2. Hereinafter, the wheel unit 1600 and the elevation unit 1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부(1600)는 본체부(1300) 하방의 네 꼭지점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4개로 구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1700)는 바퀴부(1600)와 본체부(1300) 사이에 설치되어 바퀴부(1600)를 승하강시키는 예를 들어 실린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5(a)와 같이 승하강부(1700)가 바퀴부(1600)를 상승시키면 블록부(1400)는 해저면에 닿는 "승강상태"일 수 있으며, 도 5(b)와 같이 승하강부(1700)가 바퀴부(1600)를 하강시키면 하강된 바퀴부(1600)에 의해 블록부(1400)가 해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하강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퀴부(1600)가 구동되면 음파출력장치(1000)의 위치가 변동되는 "이동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상태", "하강상태" 및 "이동상태"의 제어는 음파출력제어부(12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nd FIG. 5, the wheel part 1600 may be connected to four vertex areas below the main body part 1300, respectively, and implemented in four. In addition, the lifting unit 17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heel unit 1600 and the main body unit 1300, for example, a cylinder or the lik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wheel unit 1600. At this time, when the lifting unit 1700 ascends the wheel portion 1600 as shown in Figure 5 (a), the block portion 1400 may be in the "elevation state" to reach the bottom, as shown in Figure 5 (b) When the 1700 lowers the wheel part 1600, the block part 1400 may be in a "falling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ea bottom by the lowered wheel part 1600. In this state, when the wheel unit 1600 is driven, the posi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may be changed to a "moving state". The control of the "lift state", "fall state" and "moving state" may be made by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부(1600)와 승하강부(1700)를 이용하여 음파출력장치(100)에 기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 기존에는 음파출력장치(1000)가 고정형이었기 때문에 하나의 음파출력장치(1000)로 커버할 수 있는 영역 넓이가 제한적이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음파출력장치(1000)에 기동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하나의 음파출력장치(1000)가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이 기존 대비 효과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에서의 음파출력장치(1000) 개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wheel part 1600 and the elevating part 1700 may be used to impart mobility to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 In the past, since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was fixed type, the area area that can be covered by on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was limited. In this embodiment, one sound wave is provided because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s maneuverable. The area that the output device 1000 can cover can be effectively widened compared to the existing. Therefore, the number of sound wave output devices 1000 in the entire system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and efficiency.

또한, 장애물 등으로 인해 음파출력장치(1000)와 음파탐지기(2000) 간 통신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음파출력장치(1000)의 위치를 변동시켜 통신 에러를 해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and the sound wave detector 2000 due to an obstacle, the posi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may be changed to solve the communication error.

이상과 같이 설명한 음파출력장치(1000)의 이동과 고정을 음파출력제어부(1200)가 제어하는 방식에 대하여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The manner in which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controls the movement and fix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음파출력장치(1000)가 제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데 제2 위치로 음파출력장치(1000)를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 먼저 음파출력제어부(1200)는 펼쳐져 있는 분기대(1539)를 접어 분기대(1539)가 제3 고정대(1530)의 고정홈(1533)에 안착되도록 하는 "접힘상태"로 분기대(1539)를 제어할 수 있다(도 3(b) 상태). 이때 분기대(1539)가 해저면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였기 때문에 음파출력장치(1000)는 제2 고정대(1520)와 제3 고정대(1530)에 의해서만 고정되므로, "펼침상태" 대비 해저면에 대한 고정력이 떨어질 수 있다.When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first folds the branching branch 1539 that is extend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ranch 1539 in a "folded state" to allow the 1539 to b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1533 of the third holder 1530 (Fig. 3 (b)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branching band 1539 releases the fixing to the sea bottom,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s fixed only by the second fixing bar 1520 and the third fixing bar 1530, so that the branching basin 1539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ea floor compared to the "open state". The holding force may drop.

다음, 음파출력제어부(1200)는 신축부재(1540)를 제어함으로써 고정부(1500)를 축소시켜 고정부(1500)를 블록부 내에 수용하는 "축소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도 3(a) 상태). 이때, 고정부(1500)가 축소되면 해저면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음파출력장치(1000)는 해저면에 단순히 놓인 상태로 볼 수 있다.Next,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may control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mber 1540 to reduce the fixing unit 1500 to control the reduced state to accommodate the fixing unit 1500 in the block portion (FIG. 3 (a). ) condition).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unit 1500 is reduced, the fixing to the sea bottom is released, so that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may be viewed as simply placed on the sea bottom.

다음, 음파출력제어부(1200)는 승하강부(1700)를 제어하여 바퀴부(1600)를 하강시킴으로써 블록부(1400)가 해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하강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도 5(b) 상태).Next,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may control the lifting unit 1700 in the "falling state" so that the block unit 1400 is separated from the sea floor by lowering the wheel unit 1600 (Fig. 5 ( b) status).

다음, 음파출력제어부(1200)는 바퀴부(1600)를 구동시켜 음파출력장치(10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may drive the wheel 1600 to control the "moving stat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다음, 음파출력제어부(1200)는 음파출력장치(1000)가 제2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승하강부(1700)를 제어하여 바퀴부(1600)를 승강시킴으로써 블록부(1400)를 해저면에 내려놓는 "승강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도 5(a) 상태).Next, when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controls the lifting unit 1700 to lift and lower the wheel unit 1600 to lower the block unit 1400 on the sea bottom. It can be controlled to the "elevated state" (Fig. 5 (a) state).

다음, 음파출력제어부(1200)는 신축부재(1540)를 제어함으로써 고정부(1500)를 연장시켜 제2 고정대(1520) 및 제3 고정대(1530)가 블록부(140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해저면에 박히는 "연장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도 3(b) 상태). 이때, 음파출력장치(1000)는 제한적으로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Next,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extends the fixing unit 1500 by controlling the stretchable member 1540 so that the second fixing unit 1520 and the third fixing unit 1530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block unit 1400 to the seabed. It can be controlled in the "extended state" to be stuck to the surface (Fig. In this case,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may be fixed on the bottom of the sea.

다음, 음파출력제어부(1200)는 분기대(1539)가 제3 고정대(1530)의 고정홈(1533)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분기대(1539)를 펼쳐 분기대(1539)가 해저면에 추가적으로 박히게 하는 "펼침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된 제2 위치에서의 음파출력장치(1000) 고정을 견고하게 완료할 수 있다.Next,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unfolds the branch 1539 so that the branch 1539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1533 of the third fixing stand 1530 so that the branch 1539 is further embedded in the sea bottom. It can be controlled in an "unfolded state", thereby firmly completing the fixing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in the moved second position.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음파출력장치(1000)의 전력생산부(1800) 및 배터리부(19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부(1800) 및 배터리부(19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the power generator 1800 and the battery unit 1900 of the sound wave output apparatus 1000 illustrated in FIG. 2. Hereinafter, the power generation unit 1800 and the battery unit 19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전력생산부(1800)는 전력을 생산하는 부재로서 전력생산부(1800)가 생산한 전력은 배터리부(190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생산부(1800)는 진동바(1810), 실링부재(1820), 제1 자석(1830), 코일(1840), 제2 자석(1850) 및 제3 자석(186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바(1810)는 본체부(1300)의 외벽면을 관통하도록 연결되어 양단 중 일단(1811)은 본체부(1300)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단(1812)은 본체부(13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power generation unit 1800 is a member that generates power, and the power produc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1800 may be stored in the battery unit 1900. The power generation unit 1800 may include a vibration bar 1810, a sealing member 1820, a first magnet 1830, a coil 1840, a second magnet 1850, and a third magnet 1860. . The vibrating bar 1810 is connected to penetrate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300 so that one end 1811 of both ends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1300 and the other end 1812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300. Can be.

진동바(1810)가 본체부(1300)를 관통하게 되면 본체부(1300)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본체부(1300) 내부의 방수 상태 유지를 위해 본체부(1300)와 진동바(1810) 사이에는 실링부재(182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해저의 수압이 높은 점을 감안하여 방수를 최대한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방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When the vibrating bar 1810 penetrates the main body 1300, seawater may flow into the main body 1300, and thus, the main body 1300 and the vibrating bar may be maintained to maintain a waterproof state inside the main body 1300. The sealing member 18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1810. 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water pressure of the seabe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waterproof to the maximum. In this embodiment, the waterproof system can be implemented as follows.

구체적으로 본체부(1300)에는 진동바(1810)가 삽입되는 삽입홀(1310)이 형성되며, 삽입홀(1310)의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게 외부와 내부 각각에 제1 실링홈(132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실링홈(1320)은 4군데 형성되며 내측을 향해 함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실링홈(1320)은 단차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표면에 인접한 제1 홈영역(1321) 및 제1 홈영역(1321)에 비해 표면으로부터 멀도록 깊게 위치되고 폭이 더 넓도록 제1 홈영역(1321)으로부터 단차진 제2 홈영역(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진 구성의 경우 해수의 수분이 침투되는 경로가 길어지므로 방수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진동바(1810)의 표면 중 삽입홀(1310)을 바라보는 표면 상부와 하부에 제2 실링홈(18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실링홈(1813)도 제1 실링홈(1320)과 마찬가지로 깊어질수록 폭이 넓어지게 단차진 형상으로 구현하여 방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detail, an insertion hole 1310 into which the vibration bar 18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main body 1300, and the first sealing groove 1320 is formed in each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13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formed. That is, the first sealing groove 1320 may be formed in four places and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In this case, the first sealing groove 1320 may be embodied in a stepped shape. Specifically, the first sealing groove 1320 is located deeper and farther from the surface than the first groove region 1321 and the first groove region 1321 adjacent to the surface. It may include a second groove region 1322 stepped from the first groove region 1321 to be wider. In the case of the stepped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th of penetration of moisture in the seawater becomes longer, the waterproofing a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a second sealing groove 1813 may be formed in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of the surface of the vibrating bar 1810 facing the insertion hole 1310, and the second sealing groove 1813 also includes the first sealing groove 1320. Like), the deeper the width, the wider the stepped shape to improve waterproof.

실링부재(1820)는 본체부(1300)의 외부에 밀착되는 제1 실링영역(1821), 본체부(1300)의 내부에 밀착되는 제2 실링영역(1822) 및 제1 실링영역(1821)과 제2 실링영역(1822) 사이를 연결하면서 삽입홀(1310)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3 실링영역(18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영역(1821)과 제2 실링영역(1822)에는 돌출된 형상을 갖되 제1 실링홈(1320)에 대응되게 돌출될수록 폭이 넓어지게 단차진 형상의 제1 돌기(1824)가 형성되어 제1 실링홈(1320)에 밀착됨으로써 방수를 구현하고, 제3 실링영역(1823)에는 돌출된 형상을 갖되 제2 실링홈(1813)에 대응되게 돌출될수록 폭이 넓어지게 단차진 형상의 제2 돌기(1825)가 형성되어 제2 실링홈(1813)에 밀착됨으로써 방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1824)는 표면에 인접한 제1 돌출영역(1826) 및 제1 돌출영역(1826)에 비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폭이 더 넓도록 제1 돌출영역(1826)으로부터 단차진 제2 돌출영역(18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돌기(1825)도 마찬가지로 돌출될수록 폭이 넓게 단차진 구조를 가져 방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820 may include a first sealing area 1821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300, a second sealing area 1822 and a first sealing area 1821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300, and the sealing member 1820. It may include a third sealing region (1823)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1310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sealing region (1822),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addition, the first sealing region 1721 and the second sealing region 1822 have a protruding shape, but the first protrusion 1824 having a stepped shape is widened so as to protrude to correspond to the first sealing groove 1320.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ealing groove 1320 to achieve waterproofing, and have a protruding shape in the third sealing region 1823 but protrude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ealing groove 1813 to have a wider stepped shape. The second protrusion 1825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ealing groove 1813 to realize waterproofing.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1824 is position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than the first protruding region 1826 and the first protruding region 1826 adjacent to the surface, and is stepped from the first protruding region 1826 so as to have a wider width.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protruding region 1827, and the second protrusion 1825 may also have a stepped structure that is wider as it protrudes, thereby improving waterproofing.

한편, 제1 자석(1830)은 진동바(1810)의 타단(1812) 양면 중 어느 일면에 결합되며, 코일(1840)은 본체부(1300)의 내측에 진동바(1810)의 타단(1812)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석(1850)은 진동바(1810)의 반대편에 코일(1840)과 이격되되 코일(1840)과 인접한 방향이 S극이도록 설치되고, 제3 자석(1860)은 제2 자석(1850)의 하부에 코일(1840)과 인접한 방향이 N극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agnet 1830 is coupled to any on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other end 1812 of the vibration bar 1810, the coil 1840 is the other end 1812 of the vibration bar 1810 inside the body portion 1300 It can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In addition, the second magnet 185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il 184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ibration bar 1810 so that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coil 1840 is the S pole, and the third magnet 1860 is the second magnet 1850. It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coil 1840 is the N pole in the lower portion.

이러한 구조에서 음파출력장치(1000)의 외부에서 자연스러운 조류가 발생되면 본체부(1300)의 외부에 위치한 진동바(1810)의 일단(1811)이 진동되고 이러한 진동은 진동바(1810)의 타단(1812)에 전달되며, 진동바(1810)의 타단(1812) 끝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을 하면서 코일 내부의 자속이 변화되어 교류 전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석(1850)과 제3 자석(1860)은 서로 다른 극성이 코일(1840)을 향하고 있어 진동바(1810)의 진동 시 코일(1840)의 자속 변화량을 더욱 증가시켜 코일(1840)의 출력 전압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바(1810)가 상향 진동되는 경우, 제1 자석(1830)과 제2 자석(1850)에 의해 코일(1840) 속의 자속 밀도가 증가하는데, 제1 자석(1830)의 N극과 제2 자석(1850)의 S극에 따른 인력에 의해 코일(1840) 속의 자속 밀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제1 자석(1830)의 N극에서 발산된 자기장이 제2 자석(1850)의 S극으로 수렴하게 되어, 코일(1840) 속의 자속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진동바(1810)가 하향 진동되는 경우 제1 자석(1830)과 제3 자석(1860)에 의해 코일(1840) 속의 자속 밀도가 감소하는데, 제1 자석의 N극과 제2 자석(1850)의 N극에 따른 척력에 의해 코일(1840) 속의 자속 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제1 자석(1830)의 N극에서 발산된 자기장이 제3 자석(1860)의 N극에서 발산된 자기장에 의해 상쇄되어 코일(1840) 속의 자속 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바(1810)가 상향 진동되는 경우 자속 밀도가 극대화되고 하향 진동되는 경우 자속 밀도가 극소화될 수 있으므로, 시간에 따른 코일(1840) 내 자속의 변화를 최대화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when a natural tidal current is generated outside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one end 1811 of the vibration bar 1810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unit 1300 is vibrated, and the vibration is per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vibration bar 1810. 1812, the magnetic flux inside the coil is changed while the other end portion 1812 of the vibration bar 1810 moves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generating an AC voltage.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s 1850 and the third magnets 1860 have different polarities toward the coils 1840 so that the magnetic flux change amount of the coils 1840 increases when the vibration bar 1810 vibrates, thereby increasing the coils 1840. Can increase the output voltage. Specifically, when the vibration bar 1810 is vibrated upward, the magnetic flux density in the coil 1840 is increased by the first magnet 1830 and the second magnet 1850, and the N pole and the first pole of the first magnet 1830 are increased. The magnetic flux density in the coil 1840 may increase due to the attraction force due to the S pole of the two magnets 1850. That is, the magnetic field emitted from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1830 converges to the S pole of the second magnet 1850, so that the magnetic flux density in the coil 1840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bar 1810 is vibrated downward, the magnetic flux density in the coil 1840 is reduced by the first magnet 1830 and the third magnet 1860, and the N pole and the second magnet 1850 of the first magnet are reduced. Magnetic flux density in the coil 1840 may be reduced by the repulsive force according to the N pole of the (). That is, the magnetic field emitted from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1830 may be canceled by the magnetic field emitted from the N pole of the third magnet 1860, thereby reducing the magnetic flux density in the coil 1840. As such, when the vibration bar 1810 is vibrated upward, the magnetic flux density may be maximized, and when the vibration bar 1810 is vibrated downward, the magnetic flux density may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variation of the magnetic flux in the coil 1840 with time may be maximized.

이때, 코일(1840)이 출력하는 교류 전압을 별도의 정류기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부(1900)에 저장되었다가 음파출력모듈(1100), 음파출력제어부(1200), 고정부(1500), 승하강부(1700) 및 바퀴부(1600) 등을 구동할 때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C voltage output from the coil 1840 may be converted into a DC voltage by a separate rectifier. The generated electrical energy is stored in the battery unit 1900 and then the sound wave output module 1100 and the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200. ), The fixing unit 1500, the elevating unit 1700 and the wheel 1600 may be used as energy when driving.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부(1800)를 본체부(1300)의 측면 4곳에 모두 설치함으로써 시간과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조류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음파출력장치(1000)가 별도의 전원 없이 지속적으로 구동되도록 충분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power production unit 18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 all four sides of the main body unit 1300,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duce power regardless of the current changes depending on time and season, sound wave output device 1000 Can produce enough power to continue running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which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channel topography change measurement system through sound expl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000 : 음파출력장치
1100 : 음파출력모듈
1200 : 음파출력제어부
1300 : 본체부
1400 : 블록부
1500 : 고정부
1600 : 바퀴부
1700 : 승하강부
1800 : 전력생산부
1900 : 배터리부
2000 : 음파탐지기
3000 : 위치정보 연산모듈
4000 : 데이터베이스
5000 : 제어부
6000 : 디스플레이부
7000 : 도화모듈
1000: sound wave output device
1100: sound wave output module
1200: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1300: main body
1400: block portion
1500: fixed part
1600: wheel
1700: lift
1800: Power Production Department
1900: battery unit
2000: Sound Detector
3000: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4000: Database
5000: control unit
6000: display unit
7000: drawing module

Claims (2)

해저 지형에 분산 설치되고 해수면을 향해 서로 구분되는 고유의 음파를 무선 송출하는 복수 개의 음파출력장치;
상기 음파출력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음파의 무선 수신을 위한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음파탐지기;
상기 음파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음파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음파탐지기가 설치된 모체의 GPS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연산하여 상기 음파탐지기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복수 개의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저지형을 파악할 수 있는 수치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연산모듈;
상기 위치정보 연산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각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음파출력장치 별로 해당 음파출력장치에 매칭시켜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되, 상기 위치정보 연산모듈의 위치정보 획득 시마다 해당 음파출력장치의 이전 위치정보와 구분되는 상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위치정보들을 검출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게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음파출력장치 별로 구분하는 동시에 각각의 상기 음파출력장치마다 위치정보의 획득 시점마다 구분되는 상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음파출력장치가 설치된 해저면의 지형을 이미지로 도시하는 도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파출력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방 네 모서리 영역에 연결되는 4개의 블록부, 상기 블록부 각각에 설치되되 상기 블록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해저면에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하방 네 꼭지점 영역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부, 상기 바퀴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음파출력모듈 및 상기 음파출력모듈의 음파출력 주기를 포함한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음파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바퀴부를 하강시키면 상기 블록부가 해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하강상태가 되고,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바퀴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블록부가 해저면에 내려앉는 승강상태가 되며,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제1 중공을 구비하는 제1 고정대, 일단이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어 타단이 상기 제1 고정대로부터 인접해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제2 중공을 구비하는 제2 고정대, 일단이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되어 타단이 상기 제2 고정대로부터 인접해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3 고정대, 및 상기 제3 고정대를 상기 제1 고정대의 방향으로 당기거나 반대로 밀어 상기 고정부를 신축 가능하게 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여 축소상태 또는 연장상태가 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3 고정대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힌지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는 복수의 분기대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분기대는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는 접힘상태 또는 상기 제3 고정대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어 펼쳐진 펼침상태가 되고, 각각의 상기 분기대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분기대가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분기대의 표면과 상기 제3 고정대는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블록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고정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대, 상기 제2 고정대 및 상기 제3 고정대 각각의 길이는 상기 블록부의 길이보다 짧아 상기 축소상태일 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록부에 수용되고, 상기 연장상태일 때 상기 제2 고정대 및 상기 제3 고정대는 상기 블록부의 하단로부터 돌출되며,
이동 필요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기대를 접어 상기 분기대가 상기 제3 고정대의 고정홈에 안착되는 상기 접힘상태, 상기 고정부를 축소시켜 상기 고정부를 상기 블록부 내에 수용하는 상기 축소상태, 상기 바퀴부를 하강하여 상기 블록부를 해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상기 하강상태, 상기 바퀴부를 구동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상태, 이동 완료 후 상기 바퀴부를 승강하여 상기 블록부를 해저면에 내려놓는 상기 승강상태, 상기 고정부를 연장시켜 상기 블록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대 및 상기 제3 고정대를 돌출시켜 해저면에 박는 상기 연장상태, 및 상기 제3 고정대의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분기대를 펼쳐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해저면에 고정하는 펼침상태를 차례로 제어하는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
A plurality of sound wave output devices which are distributed in the seabed terrain and wirelessly transmit unique sound wave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ward the sea surface;
A sound wave detector comprising a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reception of sound waves transmitted from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Analyze the sound wav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wave detector and calculate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detector by calculat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ther body where the sound wave detector is installed, and use the identifi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ound wave output devices. A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for acquiring numerical data capable of identifying a seabed topograph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obtain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s matched with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for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and stored in the allocated area, and the sound wave output is obtained wheneve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is acquired. A database for storing the device in a state distinct from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 controller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and outputting it to a display unit so that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can be classified and displayed;
A display unit for divid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by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ound wave output device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t each time point; And
It includes a drawing module showing the topography of the seabed surface is installed on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output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main body, four block parts connected to four lower corner regions of the body part, and fixed parts installed at each of the block parts and extending downward of the block part to fix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to the sea bottom.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including four wheel parts installed in four vertex areas below the main body part, a lift par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wheel part, a sound wave output module located inside the body part, and a sound wave output period of the sound wave output module. A sound wave output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hen the lifting unit descends the wheel part, the block part is in a descending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ea bottom, and when the lifting part raises the wheel part, the block part is in a lifting state in which the bottom part is settled.
The fixing part has a first fixing rod having a first hollow therein,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so that the other end is adjacent to or away from the first fixing rod and has a second hollow therein A second fixing st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and the other end is adjacent to or away from the second fixing stand,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rd fixing stand Including the stretchable member to stretch the fix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or to push the fixing portion is in a reduced state or extended state,
The fixing par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ing ends, each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fixing unit by a hinge structure, and is seated in the fixing groove, each of which is in a folded state or the third seating in the fixing groove. 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ture to be in an unfolded state of unfolding from the fixing groove, each branch has a structure that becomes wider toward the end, the surface of the branch when each branch is seated in the fixing groove And the third fixing plate form the same plane,
An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portion to accommodate the first fixing rod, and the first fixing rod is accommodat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length of each of the first fixing rod, the second fixing rod, and the third fixing rod is the block. The fix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block part when the contracting state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third fixing part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block part in the extended state.
When the movement is necessary, the control unit folds the branch and the folded state is seated in the fixing groove of the third fixing, the reduced state to reduce the fixing part to receive the fixing part in the block portion, the wheel The descending state of lowering the part to separate the block portion from the sea bottom, the moving stat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by driving the wheel portion, the elevating the wheel portion to raise and lower the block portion on the sea bottom after completion of movement State, the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lock portion to protrude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third fixing member to the sea bottom surface, and the branch to expan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of the third fixing member Water channel through sound exploration that in turn controls the unfolding state to fix the sound wave output device to the sea bottom Change Surve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복수의 제1 고정홈 및 상기 복수의 제1 고정홈의 상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대는 상기 제1 고정홈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1 분기대와 상기 제2 고정홈에 안착되는 복수의 제2 분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은 엇갈려 배치되고,
상기 제1 분기대가 상기 제3 고정대와 연결되는 제1 힌지는 상기 제1 분기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분기대가 상기 제3 고정대와 연결되는 제2 힌지는 상기 제2 분기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분기대가 상기 펼침상태일 때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groov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grooves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grooves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grooves.
The branch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ranch seat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seat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are arranged alternately,
The first hinge, in which the first branch is connected to the third anchor, is located below the first branch, and the second hinge, in which the second branch is connected to the third ancho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econd branch. Positioned, channel topography change surveying system through the acoustic survey, characterized in that facing each other when the branch is in the open state.
KR1020190093732A 2019-08-01 2019-08-01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KR1020497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32A KR102049764B1 (en) 2019-08-01 2019-08-01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32A KR102049764B1 (en) 2019-08-01 2019-08-01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764B1 true KR102049764B1 (en) 2019-11-28

Family

ID=6873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732A KR102049764B1 (en) 2019-08-01 2019-08-01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76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6576A (en) * 2021-04-22 2021-07-27 广西纳海交通设计咨询有限公司 Sound wave detection device for channel measurement and use method thereof
KR102322175B1 (en) * 2020-05-26 2021-11-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submarine and method for detecting submarine using thereof
KR102458475B1 (en) * 2022-06-08 2022-10-25 주식회사 씨엠에스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KR102458476B1 (en) * 2022-06-08 2022-10-25 주식회사 씨엠에스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007A (en) * 1987-07-21 1989-01-2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Detecting apparatus of state of excavation
KR101492863B1 (en) * 2014-08-18 2015-03-02 네이버시스템(주) Surveying system for seawater road by sound exploration
CN104457637A (en) * 2013-09-13 2015-03-25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Seabed pipeline bending deformation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WO2018182098A1 (en) * 2017-03-29 2018-10-0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Underwater structure measuring system and underwater structure meas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007A (en) * 1987-07-21 1989-01-2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Detecting apparatus of state of excavation
CN104457637A (en) * 2013-09-13 2015-03-25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Seabed pipeline bending deformation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492863B1 (en) * 2014-08-18 2015-03-02 네이버시스템(주) Surveying system for seawater road by sound exploration
WO2018182098A1 (en) * 2017-03-29 2018-10-0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Underwater structure measuring system and underwater structure measuring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175B1 (en) * 2020-05-26 2021-11-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submarine and method for detecting submarine using thereof
CN113176576A (en) * 2021-04-22 2021-07-27 广西纳海交通设计咨询有限公司 Sound wave detection device for channel measurement and use method thereof
CN113176576B (en) * 2021-04-22 2024-04-16 广西北港规划设计院有限公司 Acoustic wave detection device for channel measurement and use method thereof
KR102458475B1 (en) * 2022-06-08 2022-10-25 주식회사 씨엠에스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KR102458476B1 (en) * 2022-06-08 2022-10-25 주식회사 씨엠에스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764B1 (en)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AU2005253638B2 (en) Electromagnetic Surveying
JP4996615B2 (en) Hydrocarbon reservoir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BRPI0412126B1 (en) marine geophysical acquisition system
EP3432037A1 (en) System for detecting hydrates near seafloor
AU20153585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sweeping and humming seismic acquisition
US8797038B2 (en) High voltage DC power for electromagnetic survey source
EP2221703A3 (en) Unmanned boat automatic survey system and unmanned boat automatic survey method
WO2014161041A1 (en) A magneto-hydrodynamic seismic source and a method of marine seismic surveying
KR1017669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mirine seismic refraction using unmanned gliders
KR101492863B1 (en) Surveying system for seawater road by sound exploration
US11747497B2 (en) Seafloor multi-wave seismic source and seafloor exploration system
RU2246122C1 (en) Method of naval multiwave multicomponent seismic prospecting
KR101876563B1 (en) Marin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IS
KR102049762B1 (en) Waterway data update system
KR100950973B1 (en) Observation system for seabed by the sonar
KR100950970B1 (en) Observation system for waterway on the seabed
US9846254B2 (en) Method for marine electric survey of oil-gas deposit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reof
WO2019112035A1 (en) Method for exploring ocean floor subterranean layers
KR101313871B1 (en) Surveying system for seawater road by sound exploration
KR10118033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nderwater robot
KR101321595B1 (en) Amending system of new measuring data with audio signal for numeric map
ES2369724T3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ACOUSTIC EMISSIONS.
RU2007115550A (en) METHOD OF 3D MARINE ELECTRIC EXPLORATION OF OIL AND GAS DEPOSITS
KR10140821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ro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