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354B1 -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354B1
KR102049354B1 KR1020180088547A KR20180088547A KR102049354B1 KR 102049354 B1 KR102049354 B1 KR 102049354B1 KR 1020180088547 A KR1020180088547 A KR 1020180088547A KR 20180088547 A KR20180088547 A KR 20180088547A KR 102049354 B1 KR102049354 B1 KR 102049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unit
supply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모
Original Assignee
강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모 filed Critical 강정모
Priority to KR102018008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및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에 가열된 공기를 혼합하여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공급부; 및 상기 온수 공급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온수를 커피 가루가 수용되어 있는 드리퍼로 배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수 공급부는, 일 단은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상기 물 공급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 공급관의 일 지점에서 연통되되,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 공급관; 및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물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에 접촉되어, 물 및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메이커{COFFEE MAKER}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원두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한다. 커피 메이커는 커피원두 가루가 수용된 드리퍼에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액을 우려내는 기기이다.
구체적으로, 커피 메이커는 대부분 커피가루를 커피망 또는 커피필터에 담아 깔대기형태의 커피 드리퍼에 넣고, 커피가루 위에서 온수를 적절하게 흩뿌리면서 흘려주면,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추출액이 추출된다. 즉, 커피가루와 온수가 섞였다가 중력으로 인하여 온수가 아래로 배출되면서 커피액이 추출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커피 메이커는 내부에 물탱크가 구비되는 본체와, 물탱크를 통해 물을 전달받아 온수를 공급하는 파이프와, 본체에 장착되며 측면에는 온수를 전달하는 파이프가 삽입되고 저면에는 온수를 분사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의 홀이 형성된 샤워캡을 포함한다.
그러나, 샤워캡의 저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홀을 통해 낙하하는 온수는 홀의 하측 지점의 커피가루로만 낙하됨으로써, 홀 하측의 커피가루로부터만 커피액이 추출된다. 따라서, 커피액의 농도나 맛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커피액이 충분이 추출되지 않은 커피가루를 버려야하는 커피가루의 낭비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6500호(2018.01.1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피 가루에 물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물의 공급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 및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에 가열된 공기를 혼합하여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공급부; 및 상기 온수 공급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온수를 커피 가루가 수용되어 있는 드리퍼로 배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수 공급부는, 일 단은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상기 물 공급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 공급관의 일 지점에서 연통되되,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 공급관; 및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물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에 접촉되어, 물 및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기 물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수용되는 온수 수용부; 상기 온수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에서 낙하하는 온수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물 흘림부;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배출관의 배출구 하측에 배치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는 제1 회전발생부; 상기 제1 회전발생부와과 체결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발생부; 및 상기 제2 회전발생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되, 하부에 상기 물 흘림부가 고정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배출관에서 낙하하는 온수가 일정량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온수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회전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흘림부는,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격벽;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에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격벽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측과 연결되는 상기 격벽의 하측에 형성되어 온수가 관통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축의 양 측으로 분기되고, 양 측으로 분기된 상기 배출관 각각의 배출구 하측에 상기 날개부가 배치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양 측으로 더 분기되고, 양 측으로 분기된 상기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상기 온수는 상기 물 흘림부로 낙하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피 가루에 물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물 공급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추출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물 공급관, 공기 공급관 및 히팅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추출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4에 따른 추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추출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추출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는 드리퍼(2)에 골고루 물을 공급하여 커피 추출액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드리퍼(2)는 컵(3)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이고, 드리퍼(2) 내측에는 거름망이 배치되고, 그 내부에 커피 가루가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커피 메이커(1)는 드리퍼(2)에 온수를 공급하여, 드리퍼(2) 내측의 커피 가루로부터 커피 추출액을 추출할 수 있다.
커피 메이커는 물 공급부(10), 온수 공급부(20) 및 추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 공급부(10)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이 수용되어, 온수 공급부(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물 공급부(10)는 물 탱크로서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물 공급부(10)에 저장된 물을 드리퍼(2)로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온수 공급부(20)는 물 공급부(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추출부(3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온수 공급부(20)는 온수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온수가 보다 빠른 속도로 추출부(3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온수 공급부(20)는 하우징(21), 연장부(22), 물 공급관(23), 공기 공급부(24), 공기 공급관(25), 히팅부(26) 및 고정튜브(2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물 공급부(10)의 하측에 배치된다. 하우징(21)은 물 공급관(23), 공기 공급부(24), 공기 공급관(25), 히팅부(26) 및 고정튜브(27)의 구성들을 보호하도록 외형을 이룬다. 일 예로, 하우징(2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2)는 원통형의 하우징(21)의 일 측에서부터 추출부(3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연장부(22)는 하우징(21)의 일 측 하부에서 추출부(30)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22)는 곡선 또는 경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21)과 연장부(22)의 전체 형상은 주전자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 공급관(23)은 물 공급부(10)의 하측 배출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물 공급관(23)은 내부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관 또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물 공급관(23)의 상부 또는 물 공급부(10)의 배출구 측에 밸브가 배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공급부(10)로부터 물 공급관(23)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물의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물 공급관(23)은 하우징(21) 및 연장부(22)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 공급관(23)은 물 공급부(10)의 하측 배출구에서부터 추출부(30)까지 연장된 연장부(22)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물 공급관(23)의 일 단은 물 공급부(10)와 연결되고, 타 단은 추출부(3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물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물이 추출부(30)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물 공급관(23)은 하우징(21) 내에서 나선형을 그리며 배치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24)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에어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 공급부(24)는 공기 공급관(25)과 연결되어, 공기 공급관(25)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 공급관(25)은 공기 공급부(24)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공급관(25)은 내부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관 또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기 공급부(24) 또는 공기 공급관(25)에 밸브가 배치되어 공기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공급부(24)로부터 공기 공급관(25)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 여부 또는 공기의 양, 공기 공급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 공급관(25)은 물 공급관(23)의 배치를 따라서 물 공급관(2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21) 내에서 공기 공급관(25)은 물 공급관(23)의 나선형 형태를 따라 나선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관(25)은 물 공급관(23)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장되는 형태에서, 일 지점에서 물 공급관(23)과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21)에서 연장부(22)로 연결되는 부분 즉, 연장부(22)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공기 공급관(25)이 물 공급관(23)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물 공급관(25)에 공급된 공기가 물 공급관(23)으로 공급될 수 있다.
히팅부(26)는 인접하게 배치된 물 공급관(23)과 공기 공급관(25)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히팅부(26)는 열선, 히터 등 소정 온도로 발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팅부(26)는 물 및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부(26)가 발열함에 따라, 물 공급관(23) 및 공기 공급관(25)에 열을 전달하여, 물 공급관(23) 및 공기 공급관(25)을 지나가는 물 및 공기가 따뜻하게 데워질 수 있다. 즉, 히팅부(26)는 추출부(30)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기 공급관(25) 내부의 공기는 히팅부(26)에 의해 가열되면서 온도가 올라가고, 온도의 상승에 따라, 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공그 공급관(25)이 물 공급관(23)과 연통되어, 이동 속도가 증가한 공기가 물 공급관(23)으로 공급됨에 따라, 물 공급관(23) 내부의 물의 이동 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연장부(22)를 통과하여 추출부(3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30) 측의 물 공급관(23)은 히팅부(30)가 배치되지 않아, 차가운 상태이고, 하우징(21) 측의 물 공급관(23)에는 히팅부(30)가 배치되어 데워진 상태이다. 이에 따라, 하우징(21) 측의 공기 공급관(25)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증가한 상태이고, 연장부(22) 측의 물 공급관(23)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 압력이 낮은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21) 측의 공기 공급관(25)의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연장부(22) 측에서 압력이 낮은 측의 물 공급관(23)과 연통됨으로써,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물이 연장부(22)의 각도를 따라 상승하여 추출부(30)까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공기 공급부(24)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공기 공급부(24)의 밸브, 물 공급부(10)의 밸브를 제어하여, 공급하는 공기의 양, 물의 양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 튜브(27)는 물 공급관(23), 공기 공급관(25) 및 히팅부(26)를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튜브(27)의 내측에 물 공급관(23), 공기 공급관(25) 및 히팅부(26)이 밀착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추출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도 4에 따른 추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추출부(30)는 온수 공급부(20)에서 온수를 공급받아, 드리퍼(2)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추출부(30)는 케이스(31), 온수 수용부(32), 배출관(33), 동력발생부(34) 및 물 흘림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1)는 추출부(30)의 외형을 이루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31)의 상부에는 연장부(22) 및 물 공급관(23)의 단부가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홀(미도시) 형성될 수 있다.
온수 수용부(32)는 온수 공급부(20)에서 공급된 온수가 수용될 수 있다. 온수 수용부(32)는 소형의 물 탱크와 같이 온수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수용부(32)의 상부에는 연장부(22) 및 물 공급관(23)의 단부가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홀(미도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 공급관(23)에서 배출되는 온수가 온수 수용부(32)에 수용될 수 있다.
배출관(33)은 온수 수용부(32)의 하측의 배출구(미도시)와 연결되어, 온수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관(33)에서 배출되는 온수는 동력발생부(34) 또는 물 흘림부(35)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배출관(33)은 복수개로 분기될 수 있다. 즉, 온수가 배출되는 배출관(33)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33)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동력발생부(34)는 배출관(40)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낙하력에 의해 축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발생부(34)는 물에 의해 회전하여, 물 흘림부(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발생부(34)는 날개부(341), 구동축(342), 제1 회전발생부(343), 제2 회전발생부(344) 및 회전축(345)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341)는 배출관(33)의 배출구(3311, 3321)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날개부(341)는 물레방아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관(33)의 배출구(3311, 3321)에서 낙하하는 물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일 수 있다. 날개부(341)는 복수의 날개가 이격되어 있는 형태이며, 각 날개의 일 측면에는 수용홈(34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관(33)의 배출구(3311, 3321)에서 배출되는 온수가 낙하하여, 날개부(341)의 수용홈(3411)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수용홈(3411)에 물이 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홈(3411)에 물이 고임에 따라, 물의 무게에 의해 날개부(341)가 회전될 수 있다.
구동축(342)은 날개부(34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축(342)은 날개부(34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연결되어, 날개부(341)가 구동축(342)을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발생부(343)은 구동축(342)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전발생부(343)는 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발생부(344)는 제1 회전발생부(343)과 체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회전발생부(344)는 웜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웜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회전발생부(343)와 제2 회전발생부(344)는 베벨기어 등 서로 맞물려서 서로 다른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발생부(343)가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제1 회전발생부(343)와 맞물려 있는 제2 회전발생부(344)는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전발생부(343)와 제2 회전발생부(344)는 물 흘림부(35)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수차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발생부(344)는 제1 회전발생부(34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발생부(343)이 구동축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 회전발생부(344)는 제1 방향과 회전 방향이 수직하도록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전발생부(343)이 상하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경우, 제2 회전발생부(344)는 좌우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발생부(344)에는 회전축(345)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발생부(344)의 중심에는, 제2 회전발생부(34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345)이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345)은 제2 회전발생부(344)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제2 회전발생부(344)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345)의 하부에는 물 흘림부(35)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발생부(344)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345)이 회전되고, 회전축(345)의 회전에 따라 물 흘림부(35)가 회전될 수 있다.
물 흘림부(35)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커피 드리퍼(2)로 공급된다. 따라서, 물 흘림부(35)에서 배출되는 온수는 드리퍼(2)에 낙하되어, 드리퍼(2) 내부의 커피 가루에 분사되고, 이에, 커피액이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물 흘림부(35)는 동력발생부(34)에 의해 축회전 할 수 있다. 물 흘림부(35)가 회전함에 따라, 커피로 낙하하는 물은 드리퍼(2) 내의 커피가루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 물 흘림부(35)가 정지된 상태에서 온수가 커피가루로 낙하하게 될 경우, 커피 원두의 동일한 지점에만 물이 낙하하여, 커피원두가 골고루 추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흘림부(35)가 동력발생부(34)에 의해 회전하여, 물 흘림부(35)에서 낙하하는 온수가 드리퍼(2) 내부의 커피 원두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가루가 골고루 추출될 수 있다.
물 흘림부(35)는 격벽(351), 경사부(352) 및 배출홀(353)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51)은 물 흘림부(35)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물 흘림부(3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격벽(351)은 원통형의 둘레를 따라 내부에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경사부(352)는 어느 하나의 격벽(351)에서 인접한 다른 하나의 격벽(351)까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부(352)는 어느 하나의 격벽(351) 상단에서부터 인접한 다른 하나의 격벽(351) 하단까지 연장되어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353)은 물 흘림부(35)로 낙하한 물이 커피 드리퍼(2)로 낙하되도록 하는 홀이다. 이러한 배출홀(353)은 경사부(352)의 하측과 연결되는 격벽(35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부(352)와 격벽(351)의 하단이 연결된 부위의 격벽(351) 하측에 배출홀(35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출관(33)은 구동축(3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축(342)의 양 측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양 측으로 분기된 배출관(33)은 제1 배출관(331) 및 제2 배출관(33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배출관(331) 및 제2 배출관(332)은 제1 배출구(3311) 및 제2 배출구(3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출구(3311) 및 제2 배출구(3321) 각각의 하측에 날개부(341)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축(342)의 양 측에 날개부(341)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날개부(341)의 수용홈(3411) 상측에 제1 배출구(3311) 및 제2 배출구(3321)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3311)와 날개부(341)가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됨으로써, 동력발생부(34)를 구동시켜서 물 흘림부(3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구(3311) 및 날개부(341)는 한 개씩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추출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출관(33)은 구동축(3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축(342)의 양 측으로 분기될 수 있고, 구동축(34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양 측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기된 배출관(33)의 배출구(3311)는 네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온수 배출구(3311)는 서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출관(33)은 제1 배출관(331), 제2 배출관(332), 제3 배출관(333) 및 제4 배출관(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관(331), 제2 배출관(332), 제3 배출관(333) 및 제4 배출관(334) 각각은 제1 배출구(3311), 제2 배출구(3321), 제3 배출구(3331) 및 제4 배출구(33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배출구(3311) 및 제2 배출구(3321)는 날개부(341) 상측에 위치되어, 날개부(341)로 온수가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수는 날개부(341)로 떨어진 후에 물 흘림부(35)로 떨어질 수 있다. 다만, 날개부(341)로 낙하하는 온수의 일부는 물 흘림부(35)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배출구(3331) 및 제4 배출구(3341)는 바로 물 흘림부(35)로 낙하할 수 있다. 즉, 하측에 날개부(341)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 바로 물 흘림부(35)로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관(33)을 분기에 따라 형성된 배출구(3311)의 개수 조절을 통해, 물 공급량 및 물 흘림부(35)의 회전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커피 메이커
10: 물 공급부
20: 온수 공급부
21: 하우징
22: 연장부
23: 물 공급관
24: 공기 공급부
25: 공그 공급관
26: 히팅부
27: 고정 튜브
30: 추출부
31: 케이스
32: 온수 수용부
33: 배출관
34: 동력 발생부
341: 날개부
3411: 수용홈
342: 구동축
343: 제1 회전발생부
344: 제2 회전발생부
345: 회전축
35: 물 흘림부
351: 격벽
352: 경사부
353: 홀

Claims (7)

  1. 물 및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에 가열된 공기를 혼합하여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공급부; 및
    상기 온수 공급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온수를 커피 가루가 수용되어 있는 드리퍼로 배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수 공급부는,
    일 단은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상기 물 공급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 공급관의 일 지점에서 연통되되,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 공급관; 및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물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에 접촉되어, 물 및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물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수용되는 온수 수용부;
    상기 온수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에서 낙하하는 온수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물흘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배출관의 배출구 하측에 배치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는 제1 회전발생부;
    상기 제1 회전발생부와 체결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발생부; 및
    상기 제2 회전발생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되, 하부에 상기 물 흘림부가 고정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배출관에서 낙하하는 온수가 일정량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온수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회전하는 커피 메이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흘림부는,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격벽;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에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격벽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측과 연결되는 상기 격벽의 하측에 형성되어 온수가 관통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축의 양 측으로 분기되고,
    양 측으로 분기된 상기 배출관 각각의 배출구 하측에 상기 날개부가 배치되는 커피 메이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양 측으로 더 분기되고,
    양 측으로 분기된 상기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상기 온수는 상기 물 흘림부로 낙하하는 커피 메이커.
KR1020180088547A 2018-07-30 2018-07-30 커피 메이커 KR102049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47A KR102049354B1 (ko) 2018-07-30 2018-07-30 커피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47A KR102049354B1 (ko) 2018-07-30 2018-07-30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354B1 true KR102049354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47A KR102049354B1 (ko) 2018-07-30 2018-07-30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3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725B2 (ja) * 1996-09-27 2001-01-15 マスターフーズ株式会社 自動飲料抽出装置
KR101246888B1 (ko) * 2013-01-04 2013-03-25 강정모 커피드리퍼용 물흘림구
KR101281648B1 (ko) * 2011-08-17 2013-07-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 드립 커피머신
KR20180006500A (ko) 2012-02-08 2018-01-17 베엠에프 그룹 게엠베하 커피 메이커 및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725B2 (ja) * 1996-09-27 2001-01-15 マスターフーズ株式会社 自動飲料抽出装置
KR101281648B1 (ko) * 2011-08-17 2013-07-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 드립 커피머신
KR20180006500A (ko) 2012-02-08 2018-01-17 베엠에프 그룹 게엠베하 커피 메이커 및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1246888B1 (ko) * 2013-01-04 2013-03-25 강정모 커피드리퍼용 물흘림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2595B (zh) 具有流体收集组件的离心式冲煮机
JP6564760B2 (ja) 自動コーヒードリップ装置
KR101693261B1 (ko)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KR101896838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KR101927743B1 (ko) 온수 유량 제어 기능을 갖는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JP6061931B2 (ja) 遠心力が加えられた液体を収集するための飲料収集器および該収集器を使用する遠心式飲料マシン
EP3473145A1 (en) Coffee maker
KR102049354B1 (ko) 커피 메이커
KR20220002548A (ko) 액체 거품을 생성하기 위한 거품 생성 장치, 거품 분배 장치 및 음료 분배 장치
US10080462B2 (en) Sprayhead for a coffee brewing machine
KR102112037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용 살균 구조
NL2023999B1 (nl) Schuimvormings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een vloeibaar schuim alsmede een schuimafgifte-toestel en een drankafgifte-toes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