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061B1 -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061B1
KR102049061B1 KR1020180064852A KR20180064852A KR102049061B1 KR 102049061 B1 KR102049061 B1 KR 102049061B1 KR 1020180064852 A KR1020180064852 A KR 1020180064852A KR 20180064852 A KR20180064852 A KR 20180064852A KR 102049061 B1 KR102049061 B1 KR 10204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hared
rmi
work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윤
김영모
김일환
홍덕기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은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신규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METHOD OF INTEGRATING SHARED IMAGES RIGHTS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유저작물은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된 저작물, 저작권(2차 저작물 작성권 포함)이 기증된 저작물, 일정한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유이용 허락표시 저작물(CCL), 공공기관이 창작하거나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공공 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 저작물(KOGL)등을 통칭한다.
최근 세계 각국의 다양한 기관들은 다양한 형태의 공유저작물을 제공하고, 저작물의 식별정보, 저작자 정보 및 이용조건 정보 등 저작물에 대한 권리관리정보를 나타내는 RMI(Rights Management Information)를 표기하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는 이용, 복사, 수정, 재배포 등의 이용허락범위만 준수한다면 특별한 제약 없이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별 상이한 RMI 체계 및 잘못된 RMI 표기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공유저작물에 대한 RMI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저작권 침해로 인한 분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획득하고,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삭제, 추가, 중복되는 데이터들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모두 적용 가능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Rights Management Information) 통합 관리 방법은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신규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이미지 해시(hash),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상기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을 제한 또는 자유이용으로 판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제한으로 판별되면, 다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획득한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 중 이미지 해시를 식별자로 하여 상기 기초 데이터를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신규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갱신될 데이터 정보인 갱신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2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매칭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제1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가 모두 추출된 경우,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 중 업데이트 날짜가 최신인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거나,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RMI(Rights Management Information) 통합 관리 장치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신규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이미지 해시(hash),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정보를 상기 기초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획득하는 웹 크롤링부,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을 제한 또는 자유이용으로 판별하는 이용조건 판별부 및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제한으로 판별되면, 다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기초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갱신부는,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갱신될 데이터 정보인 갱신 데이터를 설정하는 갱신 데이터 설정부, 상기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2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매칭부 및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데이터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제1 매칭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제2 매칭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제1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가 모두 추출된 경우,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하고, 상기 출처 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 중 업데이트 날짜가 최신인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통합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저작물의 RMI를 일관성 있게 갱신하여 제공함으로써,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의 높은 신뢰도를 보장함은 물론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정확한 RMI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최신의 RMI 제공으로 인해 공유저작물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여 공유저작물 이용자와 저작권자와의 저작권 분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MI 통합 관리 장치가 적용된 공유저작물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I 통합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추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웹 크롤링부에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 시 사용하는 소스 코드의 일 예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웹 크롤링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정보의 일 예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갱신부의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MI 통합 관리 장치가 적용된 공유저작물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유저작물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 웹 사이트(400) 및 RMI 통합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 사이트(400)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개인용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사이트(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한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웹 사이트(400)는 이미지 형태의 공유저작물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로, 예를 들면, "공유마당", "플리커", "유로피아나"일 수 있다.
공유저작물은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된 저작물, 저작권(2차 저작물 작성권 포함)이 기증된 저작물, 일정한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유이용 허락표시 저작물(CCL), 공공기관이 창작하거나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공공 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 저작물(KOGL)등을 통칭한다.
웹 사이트(400)는 공유저작물을 제공함은 물론 공유저작물에 대한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RMI(Rights Management Inform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웹 사이트(400) 별로 RMI 표시 체계가 상이하거나, 웹 사이트(400) 별로 동일한 공유저작물에 대해 상이한 RMI가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I 통합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웹 사이트(400)에서 제공하는 공유저작물의 RMI를 일관성 있게 갱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I 통합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I 통합 관리 장치(100)는 데이터 추출부(110), 데이터 갱신부(150),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 및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RMI 통합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데이터 추출부(110) 및 데이터 갱신부(150)는 공유저작물의 RMI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추출부(110) 및 데이터 갱신부(15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듀롤 이루어질 수도 있다.
RMI 통합 관리 장치(100)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RMI 통합 관리 장치(100)는 컴퓨터(computer),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RMI 통합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추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추출부(110)는 웹 크롤링부(111), 이용조건 판별부(113) 및 기초 데이터 추출부(115)를 포함하여,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웹 크롤링부(111)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게재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웹 크롤링은 웹 사이트가 담고 있는 컨텐츠를 읽어 오는 기술로, 파이썬(python)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웹 크롤링부(111)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RMI, 이미지 해시(hash), 출처 코드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웹 크롤링부에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 시 사용하는 소스 코드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웹 크롤링부(111)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게재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총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웹 크롤링부(111)는 기타 문자를 제거하고 숫자만 남길 수 있도록 다른 html 코드를 정제함으로써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게재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총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웹 크롤링부(111)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총 개수를 이용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 검색 결과의 최대 페이지 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웹 크롤링부(111)는 이미지 공유저작물 검색 결과의 최대 페이지 수를 이용하여,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URL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웹 크롤링부(111)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URL을 이용하여 이미지 해시 및 RMI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해시는 이미지의 행과 열에 대한 해시 정보를 생성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총 128비트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공유저작물 별로 고유의 이미지 해시를 가질 수 있다. RMI는 공유저작물에 대한 관리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CL 기반의 RMI를 표시하거나, 개별적인 표시 체계에 따라 RMI를 표시할 수 있다.
웹 크롤링부(111)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게재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미지 해시 및 RMI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웹 크롤링부(111)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업데이트 날짜, 출처 코드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웹 크롤링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정보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웹 크롤링부(111)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중 하나인 공유마당을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미지 해시(11), RMI(13), 업데이트 날짜(15) 및 출처 코드(18)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공유마당 사이트 특성 상 업데이트 날짜(15)는 제공되지 않으며, 이와 달리, 다른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인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는 업데이트 날짜(15)가 제공된다.
이용조건 판별부(113)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이용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을 제한 또는 자유이용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용조건 판별부(113)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가 "No-Re-Use", "In Copyright", "Copyright Not Evaluated"등에 해당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에 대한 모든 권리를 저작권자가 가지고 있거나, 다운로드가 불가한 경우, 해당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을 제한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용조건 판별부(113)는 상술한 것처럼 이용조건 제한에 해당하는 RMI를 제외한 RMI를 갖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은 그 이용조건을 자유이용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용조건 판별부(113)는 자유이용으로 판별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자유이용 저작물"로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조건 판별부(113)는 "기증저작물", "만료저작물", "자유이용 저작물", "Public Domain" 등의 RMI를 가져 자유이용으로 판별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자유이용 저작물"로 통합할 수 있다.
기초 데이터 추출부(115)는 이용조건 판별부(113)에 의해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으로 판별된 이미지 공유저작물에 한하여, 해당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기초 데이터 추출부(115)는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으로 판별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미지 해시, RMI, 업데이트 날짜 및 출처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기초 데이터 추출부(115)는 기초 데이터를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할 수 있다.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는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이미지 공유저작물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실시예에서 RMI 통합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의 데이터 표시 체계를 통합하며, 최신 정보로 일관성 있게 갱신하여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서 동일한 이미지 공유저작물을 검색하는 경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별로 상이한 RMI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하고 최신의 RMI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기초 데이터 추출부(115)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미지 해시를 식별자로 하여 기초 데이터를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이미지 해시는 이미지 공유저작물 별로 고유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는 각각 데이터 형식이 다르므로, 이미지 해시를 식별자로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매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갱신부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갱신부(150)는 갱신 데이터 설정부(151), 데이터 매칭부(153) 및 데이터 비교부(155)를 포함하여,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 데이터 설정부(151)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갱신될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갱신 데이터 설정부(151)는 특정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된 이미지 공유저작물, 또는, 수정될 이미지 공유저작물 등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갱신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매칭부(153)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 매칭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매칭부(153)는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매칭부(153)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와 동일한 값을 갖는 이미지 해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해시의 데이터 셋을 제1 매칭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매칭부(153)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와 동일한 값을 갖는 이미지 해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매칭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다.
데이터 매칭부(153)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에서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2 매칭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 매칭부(153)는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에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매칭부(153)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에서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와 동일한 값을 갖는 이미지 해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해시의 데이터 셋을 제2 매칭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매칭부(153)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에서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와 동일한 값을 갖는 이미지 해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매칭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다.
데이터 비교부(155)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 및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를 비교하여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55)는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55)는 제1 매칭 데이터만 추출되고, 제2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제1 매칭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갱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신규 등록되는 공유저작물이 아닌 기존에 등록되어 있던 공유저작물이고, RMI가 이용 제한 상태로 변경된 경우이다. 예를 들면,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저작권자가 이용조건을 사용 제한으로 변경한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비교부(155)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에 해당하는 제1 매칭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55)는 제1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고, 제2 매칭 데이터만 추출되는 경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제2 매칭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갱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신규 등록되는 공유저작물인 경우이다. 따라서, 데이터 비교부(155)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제2 매칭 데이터를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55)는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가 모두 추출된 경우,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갱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여러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등록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데이터 비교부(155)는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중 갱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가장 최신에 등록된 공유저작물 사이트를 판별하기 위해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하여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비교부(155)는 먼저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의 출처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출처 코드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명을 나타내는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가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인 경우 업데이트 날짜를 제공한다. 반면,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가 공유마당인 경우 업데이트 날짜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비교부(155)는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의 출처 코드가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에 해당하는 경우,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55)는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 중 업데이트 날짜가 최신인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는 동일한 이미지 해시를 갖는 데이터 셋에 있어서, 출처 코드가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에 해당하는 경우, 업데이트 날짜가 최신인 것으로 자동 갱신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55)는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의 출처 코드가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와는 달리 업데이트 날짜를 미제공하는 공유마당에 해당하는 경우, 제2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I 통합 관리 장치(100)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획득하고,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삭제, 추가, 중복되는 데이터들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모두 적용 가능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게재된 동일한 이미지 공유저작물에 대해 일관적이고 정확한 RMI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지 공유저작물을 바르게 사용하여 저작권자와의 저작권 분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RMI 통합 관리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RMI 통합 관리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데이터 추출부(110)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500).
데이터 추출부(110)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라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의 이미지, RMI, 이미지 해시(hash), 출처 코드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110)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조건을 판별할 수 있다(510).
데이터 추출부(110)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는 RMI를 이용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을 제한 또는 자유이용으로 판별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 추출부(110)는 자유이용으로 판별한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자유이용 저작물"로 통합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110)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에 해당하면(520),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530).
데이터 추출부(110)는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으로 판별된 이미지 공유저작물에 한하여 이미지 해시, RMI, 업데이트 날짜 및 출처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110)는 기초 데이터를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할 수 있다(540).
데이터 추출부(110)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미지 해시를 식별자로 하여 기초 데이터를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갱신부(150)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하고(550),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 및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를 비교하여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560).
구체적으로는,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 갱신부(150)는 갱신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561).
데이터 갱신부(150)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갱신될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갱신 데이터 설정부(151)는 특정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된 이미지 공유저작물, 또는, 수정될 이미지 공유저작물 등을 설정하고, 해당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갱신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갱신부(150)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 및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에서 갱신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562).
데이터 갱신부(150)는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 및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에서 각각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 결과,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로부터 제1 매칭 데이터만 추출되는 경우(563), 데이터 갱신부(150)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제1 매칭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565).
이와 같은 경우, 갱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신규 등록되는 공유저작물이 아닌 기존에 등록되어 있던 공유저작물이고, RMI가 이용 제한 상태로 변경된 경우이다. 예를 들면,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저작권자가 이용조건을 사용 제한으로 변경한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갱신부(150)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서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에 해당하는 제1 매칭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매칭 결과,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133)로부터 제2 매칭 데이터만 추출되는 경우(564), 데이터 갱신부(150)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제2 매칭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566).
이와 같은 경우, 갱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신규 등록되는 공유저작물인 경우이다. 따라서, 데이터 갱신부(150)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제2 매칭 데이터를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매칭 결과,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가 모두 추출되는 경우(563,564), 데이터 갱신부(150)는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가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567).
이와 같은 경우, 갱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여러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등록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데이터 갱신부(150)는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중 갱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가장 최신에 등록된 공유저작물 사이트를 판별하기 위해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하여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 다만, 출처 코드는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명을 나타내는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가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인 경우 업데이트 날짜를 제공한다. 반면,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가 공유마당인 경우 업데이트 날짜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갱신부(150)는 먼저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의 출처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갱신부(150)는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가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에 해당하는 경우(567),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 중 업데이트 날짜가 최신인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568).
데이터 갱신부(150)는 제1 매칭 데이터 및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가 유로피아나 또는 플리커가 아닌 경우(567), 업데이트 날짜를 미제공하는 공유마당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제2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131)를 갱신할 수 있다(569).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공유저작물 제공 시스템
100: RMI 통합 관리 장치
200: 사용자 단말 장치
400: 웹 사이트

Claims (15)

  1.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Rights Management Information)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RMI 통합 관리 장치에서의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추출부가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및
    데이터 갱신부가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신규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이미지 해시(hash),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명을 나타내는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상기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신규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중 갱신 대상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가장 최근에 등록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갱신 대상 이미지 공유저작물과 매칭되는 출처 코드로부터 상기 갱신 대상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등록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가 업데이트 날짜를 제공하는 사이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을 제한 또는 자유이용으로 판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제한으로 판별되면, 다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획득한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 중 이미지 해시를 식별자로 하여 상기 기초 데이터를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신규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갱신될 데이터 정보인 갱신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2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매칭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제1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가 모두 추출된 경우,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 중 업데이트 날짜가 최신인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거나,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9. 제1항에 따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Rights Management Information) 통합 관리 장치에 있어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에 신규 등록 할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인 신규 데이터에 의해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이미지 해시(hash),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명을 나타내는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상기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갱신부는,
    상기 복수의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 중 갱신 대상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가장 최근에 등록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갱신 대상 이미지 공유저작물과 매칭되는 출처 코드로부터 상기 갱신 대상 이미지 공유저작물이 등록된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가 업데이트 날짜를 제공하는 사이트인지를 확인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공유저작물 검색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획득하는 웹 크롤링부;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을 제한 또는 자유이용으로 판별하는 이용조건 판별부; 및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제한으로 판별되면, 다른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이용조건이 자유이용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 데이터로 추출하는 기초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갱신부는,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갱신될 데이터 정보인 갱신 데이터를 설정하는 갱신 데이터 설정부;
    상기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갱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해시를 이용하여 상기 신규 데이터 셋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갱신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2 매칭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매칭부; 및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의 추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데이터 비교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제1 매칭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매칭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제2 매칭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제1 매칭 데이터는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추가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가 모두 추출된 경우,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처 코드 및 업데이트 날짜를 확인하고,
    상기 출처 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매칭 데이터 및 상기 제2 매칭 데이터 중 업데이트 날짜가 최신인 매칭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매칭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통합 공유저작물 RMI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장치.
KR1020180064852A 2018-06-05 2018-06-05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KR10204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52A KR102049061B1 (ko) 2018-06-05 2018-06-05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52A KR102049061B1 (ko) 2018-06-05 2018-06-05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061B1 true KR102049061B1 (ko) 2020-01-08

Family

ID=6915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852A KR102049061B1 (ko) 2018-06-05 2018-06-05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370A (ko) 2019-12-31 2021-07-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저작물 권리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31477B1 (ko) * 2022-11-07 2023-05-12 미러 주식회사 발췌된 원문의 정보를 제공하는 논문 작성 시스템의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072A (ja) * 2004-06-16 2006-01-05 Sony Corp ライセンス評価装置,ライセンス評価方法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01575A (ko) * 2007-04-27 2009-01-09 스타워너비(주) 디지털 컨텐츠 제작자 확인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KR101000871B1 (ko) * 2009-01-16 2010-12-13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디지털 저작물의 통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072A (ja) * 2004-06-16 2006-01-05 Sony Corp ライセンス評価装置,ライセンス評価方法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01575A (ko) * 2007-04-27 2009-01-09 스타워너비(주) 디지털 컨텐츠 제작자 확인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KR101000871B1 (ko) * 2009-01-16 2010-12-13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디지털 저작물의 통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370A (ko) 2019-12-31 2021-07-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저작물 권리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31477B1 (ko) * 2022-11-07 2023-05-12 미러 주식회사 발췌된 원문의 정보를 제공하는 논문 작성 시스템의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3302B2 (ja) 情報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RU265699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доступа третьей стороны к охраняемому объекту
US95950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ird party access to a restricted item
US20190182053A1 (en) Technology validation and ownership
CN101971591B (zh) 分析网址的系统及方法
CN101371490A (zh) 用于实现上下文相关的文件安全的方法和装置
KR102049061B1 (ko) 이미지 공유저작물의 rmi 통합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CN113342639B (zh) 小程序安全风险评估方法和电子设备
KR10197717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파일 위변조 검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JP6548936B2 (ja) セキュリティゲートウェイ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77635A1 (en) System and Method to Automatically Enhance Confidence in Intellectual Property Ownership
JP2005531828A (ja) データ・レポジトリの電子透かし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517574B (zh) 互联网上使用访问/搜索应用自动搜索非法内容的系统和方法
KR101888866B1 (ko)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4603791A (zh) 签名验证装置及签名验证方法和程序
JP2001306528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807364B2 (ja) 情報管理装置
KR101327530B1 (ko) 중계서버에서의 불법 업로드 차단 장치 및 방법
Guadamuz et al. Data mining in UK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law and policy
KR20200050164A (ko) 허가되지 않은 글꼴이 사용된 문서를 수정하여 웹 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웹 페이지 관리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9275195B1 (en) Intermediated rights management
KR101990998B1 (ko)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JP7269747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および検出プログラム
US107890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open source usage
US20150186622A1 (en) Print to eBook Conver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