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956B1 -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956B1
KR102048956B1 KR1020180001847A KR20180001847A KR102048956B1 KR 102048956 B1 KR102048956 B1 KR 102048956B1 KR 1020180001847 A KR1020180001847 A KR 1020180001847A KR 20180001847 A KR20180001847 A KR 20180001847A KR 102048956 B1 KR102048956 B1 KR 10204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train
pulse
group
signal
respon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875A (ko
Inventor
장충수
송규하
김옥휴
김산해
김소연
곽현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0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targets, e.g. IFF-radar,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7Responders; 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질의신호에 대응하여 항공기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펄스열(pulse train)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펄스열그룹을 추출하는 제1그룹추출부; 상기 추출된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펄스열로부터 도출되는 시간적 간격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펄스열그룹을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세부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그룹분류부; 상기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탐색하는 누락펄스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펄스열을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시켜서 세부그룹별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analyzing pulse train of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질문기에서 질의신호를 보냈을 때, 질의신호를 수신한 항공기가 송신하는 응답신호를 질문기가 수신하여, 응답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펄스열을 분석하고, 항공기의 소속 등과 같은 정보를 식별해내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전자전(Electronic Warfare)분야에서 활용되는 전자감시체계에서는 레이더 신호 이외의 다양한 신호들을 사전에 수집하며, 이는 전자파 비송출에 따른 레이더 탐지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효하다. 특히, 펄스형 전자파 신호를 원거리에서 조기에 탐지하는 것은 방어전을 대비하고 있는 측에서는 가장 중요한 전략적 요소가 되므로, 최신 전자감시체계하에서는 레이더 이외의 신호들을 분석하고, 레이더 이외의 신호의 발신지를 식별하는 능력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현대전에서는 항공기를 이용한 진지공격이나 군량보급이 필수적이므로, 항공기에서 방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항공기의 소속이 어디이고 용도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항공기에서 방사되는 신호로 대표적인 것이 IFF(Identification Friend or Foe)와 같은 2차 레이더 신호이다. IFF신호는 피아식별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신호로서, 지상 장비(질문기)에서 방사되는 질의신호와 항공기에 탑재된 장비에서 방사되는 응답신호를 모두 총괄하는 개념이다.
질문기(Interrogator)는 지향성이 강한 안테나를 통해 질의신호를 방사시키고, 항공기에 탑재된 응답기(Transponder)는 질의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재방사한다. 응답신호는 다시 질문기에 수신되고, 질문기에 포함되어 있거나 질문기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플롯 추출기(Plot Extractor)에 의해 처리된다. 이때, 질문기가 수신한 응답신호는 멀티패스(multipath)나 인근의 항공기로부터 다른 응답신호가 같이 송신되면, 펄스의 누락이나 중첩으로 인해서, 플롯 추출기에서 처리되는 응답신호의 분석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IFF 신호시스템이 모드 5로 진화하면서 신호의 모델링 측면에서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국내에서는 구 IFF 신호시스템을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구 IFF 신호시스템인 모드 3/A, C, 4에서 발생되는 펄스 누락 및 펄스 중첩 상황에서도 응답신호를 정확하게 분석,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7175호 (2010.08.16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 IFF 신호시스템인 모드 3/A, C, 4에서 발생되는 펄스 누락 및 펄스 중첩 상황에서도 응답신호를 정확하게 분석, 식별할 수 있는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는, 질의신호에 대응하여 항공기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펄스열(pulse train)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펄스열그룹을 추출하는 제1그룹추출부; 상기 추출된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펄스열로부터 도출되는 시간적 간격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펄스열그룹을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세부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그룹분류부; 상기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탐색하는 누락펄스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펄스열을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시켜서 세부그룹별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은, 질의신호에 대응하여 항공기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로부터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펄스열(pulse train)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펄스열그룹을 추출하는 제1그룹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펄스열로부터 도출되는 시간적 간격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펄스열그룹을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세부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그룹분류단계; 상기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탐색하는 누락펄스탐색단계; 및 상기 탐색된 펄스열을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시켜서 세부그룹별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에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IFF 모드 3/A, C, 4 플롯추출기의 단점을 극복하고 다중 신호 환경에서 누락을 고려하여 IFF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집된 펄스열의 간격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IFF 신호를 보다 정확히 식별하고 분류할 수 있으며, 신호 수신 환경에 따라 누락된 신호를 복원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에 포함되는 연산처리부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그룹추출부에 포함되는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차추출부, 제2차추출부, 제3차추출부가 응답신호로부터 추출한 각 모드 별 신호의 특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누락펄스탐색부가 잔여응답신호에서 누락된 펄스를 탐색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펄스열의 병합 및 복원 과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연산처리부가 응답신호로부터 펄스열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연산처리부가 잔여응답신호에서 누락된 펄스열을 미리 분류된 세부그룹에 포함시키는 과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FF 질문기(Interrogator)로부터 질의신호를 수신한 항공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송신되면, IFF 질문기는 이를 수신하여 IFF 플롯 추출기로 전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FF 플롯 추출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신호에 대한 분석과정을 거쳐서 응답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식별하여 이를 세 가지 펄스신호로 분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IFF 플롯추출기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는 실시 예에 따라서 세 가지보다 더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IFF 플롯추출기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200)를 포함한다. 즉, IFF 플롯추출기에서 출력된 신호는 그 신호의 고유한 특징에 따라서 모드번호(Mode Number), 식별코드(Identification Code), 펄스열간격타입(Pulse Train Interval Type), 펄스열간격값(Pulse Train Interval Value)이 수치화되어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확인하는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장치(200)는 저장부(210), 연산처리부(230), 출력부(250)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장치(200)는 플롯추출기에 포함되거나,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플롯추출기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저장부(210)는 질문기(Interrogator)의 질의신호에 대응하여 항공기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질문기가 방사하는 질의신호는 103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이고, 항공기가 질문기로 송신하는 응답신호는 109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펄스 신호(pulse signal)이다. 저장부(210)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신호특성정보로 구성된 PDW(Pulse Description Word)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PDW는 질문기에 응답신호가 도달한 시각을 의미하는 TOA(Time of Arrival), 응답신호의 대표펄스폭을 의미하는 PW(Pulse Width), 응답신호의 주파수(Frequency), 응답신호의 도달각을 의미하는 AOA(Angle of Arrival), 펄스의 크기를 의미하는 PA(Pulse Amplitude) 등의 신호특성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표현한 정보이다. PDW는 응답신호 그 자체의 특성을 그대로 나타내는 정보이며, 응답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신호의 특성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열분석 장치를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
이어서, 연산처리부(23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응답신호에 대한 디지털형태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응답신호를 분석하고 응답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모드별 신호를 추출하여, 모드별 신호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25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산처리부(230)는 저장부(21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산처리부(2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산처리부(230)는 응답신호를 모드번호, 모드별 코드만으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모드번호, 모드별 코드 외에 응답신호의 펄스열간격의 형태(PTI Type) 및 펄스열간격의 값(PTI Value)을 기초로 하여 분류함에 따라서, 응답신호를 보다 더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선된 분류기준에 따라서 누락된 펄스의 탐지가 용이하게 되어, 누락된 펄스를 복원하여 기존 분류된 세부신호에 산입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응답신호에서 특정 모드 신호로 분류되어야 함에도 분류되지 못한 펄스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산처리부(230)는 실시 예에 따라서, 제1그룹추출부(231), 제2그룹분류부(233), 누락펄스탐색부(2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출력부(250)는 연산처리부(230)가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에 포함되는 연산처리부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산처리부(230)는 제1그룹추출부(231), 제2그룹분류부(233), 누락펄스탐색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그룹추출부(231)는 저장부(210)로부터 디지털형태로 변환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펄스열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펄스열그룹을 추출한다. 여기서, 펄스열(pulse train)은 펄스가 기차(train)처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늘어져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응답신호는 디지털형태로 변환되어 있으므로, 0 또는 1로 구성된 이진열(binary sequence)로서 펄스열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기준펄스열(standard pulse train)은 펄스열로 표현되는 응답신호와 매칭시키기 위해서 제1그룹추출부(231)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template)으로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펄스열이 제1그룹추출부(231)에 저장된다.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제1그룹추출부(231)는 제1차추출부(2311), 제2차추출부(2313), 제3차추출부(23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1그룹추출부에 포함되는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제1차추출부(2311)는 디지털형태로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4(Mode 4)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1차적으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제1차추출부(2311)는 응답신호에서 모드 4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제1기준펄스열을 저장하고 있다가, 그 제1기준펄스열을 템플릿으로 하여 응답신호에서 모드 4의 성분을 추출해낼 수 있다. IFF 표준에 정의된 바에 따르면, 모드 4의 펄스열은 트리플 펄스(triple pulse)가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트리플펄스에서 첫번째 펄스와 세번째 펄스 사이는 3.5마이크로초(micro second)로 정의된다. 제1차추출부(2311)는 응답신호에서 1차적으로 트리플펄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트리플펄스를 구성하는 첫번째 펄스와 세번째 펄스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응답신호로부터 모드 4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추출한다.
제2차추출부(2313)는 디지털형태로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1, 2, 3/A, C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2차적으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제2차추출부(2313)는 응답신호에서 모드 1, 2, 3/A, C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제2기준펄스열을 저장하고 있다가, 그 제2기준펄스열을 템플릿으로 하여 응답신호에서 모드 1, 2, 3/A, C의 성분을 추출해낼 수 있다. IFF 표준에 정의된 바에 따르면, 모드 1, 2, 3/A, C의 펄스열은 프레임펄스인 F1, F2가 존재해야 하고, 프레임펄스 사이에 위치하는 A1와 D4자리에 위치한 펄스를 기초로 스쿼크코드(Squawk code)가 결정된다. 제2차추출부(2313)는 응답신호에서 1차적으로 프레임펄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두 프레임펄스 사이에 위치한 펄스를 기초로 스쿼크코드를 파악한다. 스쿼크코드는 0000에서 7777까지 다양한 값으로 정의되므로, 제2차추출부(2313)에 미리 저장되는 제2기준펄스열은 스쿼크코드의 종류의 수만큼 복수가 될 수 있다.
제3차추출부(2315)는 디지털형태로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S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3차적으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제3차추출부(2315)는 응답신호에서 모드 S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추출하기 위한 기준펄스열을 저장하고 있다가, 그 기준펄스열을 템플릿으로 하여 응답신호에서 모드 S의 성분을 추출해낼 수 있다. IFF 표준에 정의된 바에 따르면, 모드 S의 펄스열은 4.5 마이크로초동안 헤더 펄스(header pulse) 4개가 수신되고, 그 이후에 일정한 시간동안 수신되는 펄스들이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자리에 맞게 존재하는 특성을 갖는다. 헤더 펄스 이후에 수신되는 펄스들은 모드 S의 데이터 블록 코드(data block code)를 형성하며, 데이터 블록 코드는 전술한 스쿼크코드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제3차추출부(2315)는 모드 S에 대한 펄스열그룹에서 29비트의 데이터블록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종래의 모드 S에서는 프리앰블(preamble) 펄스 뒤의 데이터블록펄스가 갖는 비트는 56비트 또는 112비트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모드 S에 대한 신호의 처음 5비트와 패리티 비트(parity bit)로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블록코드의 마지막 24비트를 결합한 29비트의 코드값을 위협의 분류인자로 축약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드 S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위협성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체크하는 비트의 숫자가 29비트로 현저히 감소함에 따라서, 오류가 감소되며 판별속도도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응답신호에서 전술한 과정을 통해서 각각의 모드의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차추출부(2311)가 동작한 이후에, 제2차추출부(2313)가 동작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제3차추출부(2315)가 동작함으로써, 응답신호에서 각각의 모드의 신호가 추출된다. 즉, 본 발명은 응답신호로부터 모드 4에 대한 신호, 모드 1, 2, 3/A, C에 대한 신호, 모드 S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추출함에 따라서, 종래의 기술보다 응답신호로부터 각 모드의 신호를 누락률을 최소화하여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제1차추출부, 제2차추출부, 제3차추출부가 응답신호로부터 추출한 각 모드 별 신호의 특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드 1, 2, 3/A, C 신호의 펄스열(510)은 F1, F2라는 프레임 펄스 사이에 스쿼크 코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펄스를 포함하고, 모드 4 신호의 펄스열(530)은 첫번째 펄스와 세번째 펄스의 시간간격이 3.5마이크로초인 트리플펄스를 포함하며, 모드 S의 신호의 펄스열(550)은 4.5마이크로초에 해당하는 헤더 펄스 뒤에 데이터 블록 코드를 구성하는 펄스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그룹분류부(233)는 제1그룹추출부(231)가 추출한 복수의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그 정렬된 펄스열로부터 도출되는 시간적 간격(time interval)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펄스열그룹을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세부그룹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제1그룹추출부(231)가 추출한 복수의 펄스열그룹에 모드 4에 대한 펄스열그룹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제2그룹분류부(233)는 모드 4에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펄스열의 시간적 간격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한다. 전술한 것처럼 모드 4에서 기준펄스열은 트리플펄스로 구성되며, 제2그룹분류부(233)는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기 위해서 기준펄스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제2그룹분류부(233)는 모드 4의 펄스열그룹에서 기준펄스열을 기초로 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기준펄스열과 동일한 펄스열이 기준반복횟수를 초과하여 반복하여 나타나는지 탐색한다.
NO 110us 220us 330us 440us 550us 비고
Name 펄스열1 펄스열2 펄스열3 펄스열4 펄스열5 Stable
표 1은 제2그룹분류부(233)가 모드 4에 대한 펄스열그룹에서 펄스열을 분류하여 세부그룹을 추출하는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제2그룹분류부(233)는 먼저 펄스열그룹에 기준펄스열이 있는지 파악하고, 기준펄스열과 일치하는 펄스열을 찾으면, 각 펄스열의 시간정보에 기초로 하여, 그 펄스열의 전방 및 후방에 기준펄스열과 동일한 펄스열이 반복하여 나타나는지 탐색한다. 표 1에 따르면, 제2그룹분류부(233)는 트리플펄스인 펄스열1 내지 펄스열5를 모두 포함하는 펄스열그룹에서 펄스열3을 찾고, 펄스열3의 전방 및 후방에 기준펄스열과 동일한 트리플펄스가 있다는 것을 파악한 뒤에, 펄스열1 내지 펄스열5를 세부그룹인 Stable로 그룹핑하여 추출한다. 이때, 제2그룹분류부(233)는 펄스열1 내지 펄스열5의 시간적 간격이 110μs로 일정하므로, 펄스열1 내지 펄스열5가 포함된 세부그룹을 Stable라는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NO 120us 240us 480us 960us 1.92ms 3.84ms 7.68ms 15.36ms 비고
Name 펄스열a 펄스열b 펄스열c 펄스열d 펄스열e 펄스열f 펄스열g 펄스열h stagger
표 2는 제2그룹분류부(233)가 모드 4에 대한 펄스열그룹에서 펄스열을 분류하여 세부그룹을 추출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표 2에 따르면, 제2그룹분류부(233)는 트리플펄스인 펄스열a 내지 펄스열h를 모두 포함하는 펄스열그룹에서 펄스열d를 찾고, 각 펄스열의 시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펄스열d의 전방에 세 개의 기준펄스열이 있고, 후방에 다섯 개의 기준펄스열이 있는 경우에, 펄스열a 및 펄스열h를 세부그룹인 Stagger로 그룹핑하여 추출한다.
이때, 제2그룹분류부(233)는 펄스열d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펄스열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갖고 있으며, 다른 예로서, 제2그룹분류부(233)에 후방의 기준펄스열을 두 개만 그룹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표 2에서 펄스열a 내지 펄스열f까지가 하나의 세부그룹으로 그룹핑될 수도 있다. 또한, 표 2는 표 1과 달리 펄스열간의 시간적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계차수열(sequence of differences)의 형태를 띄게 되므로, 제2그룹분류부(233)는 Stagger의 세부그룹을 추출하게 된다.
제1그룹추출부(231)가 추출한 펄스열그룹으로부터 전술한 Stable 또는 Stagger의 세부그룹이 추출될 수 있고, 제2그룹분류부(233)는 펄스열그룹으로부터 복수의 Stable 또는 Stagger를 추출할 수 있다. 제2그룹분류부(233)가 펄스열그룹으로부터 세부그룹을 추출하기 위해서,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들의 기준펄스열에 대한 정보 및 펄스열그룹에서 세부그룹의 기초가 되는 기준펄스열(전술한 예에서 펄스열3이나 펄스열d)을 찾았을 때에 탐색해야 하는 전방 및 후방의 펄스열의 수에 대한 정보가 제2그룹분류부(233)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동일한 시간적 간격으로 반복되는 PTI형태의 세부그룹을 제1세부그룹, 상이한 시간적 간격으로 반복되는 PTI형태의 세부그룹을 제2세부그룹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제2그룹분류부(233)는 최종적으로 세부그룹의 최대, 최소, 평균시간간격에 대한 정보(펄스열간격값)를 산출하여, 세부그룹의 메타정보로서 저장하게 된다. 제2그룹분류부(233)가 산출하는 펄스열간격값의 단위는 마이크로초 또는 밀리초가 될 수 있다.
모드번호 모드별코드 PTI형태 PTI값
1, 2, 3/A, C 스쿼크코드
(0000~7777)
Stable/Stagger 최소/평균/최대
4 - Stable/Stagger 최소/평균/최대
S 데이터블록코드
(29bits)
Stable/Stagger 최소/평균/최대
표 3은 응답신호로부터 분류되는 각각의 모드별 신호에 대한 그룹핑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표이다. 즉, 제1그룹추출부(231)가 디지털형태의 응답신호에 대해서 모드번호 및 모드별 코드에 대한 1차분류를 수행하면, 제2그룹분류부(233)는 1차분류된 응답신호를 펄스열간격형태(PTI형태), 펄스열간격값(PTI값)을 추가기준으로 하여, 세부그룹으로 분류하게 된다. 또한, 표 1 및 표 2에는 모드 4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있으나, 그 외의 모드 1, 2, 3/A, C나 모드 S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누락펄스탐색부(235)는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응답신호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탐색한다. 응답신호가 질문기에 수신될 때에 펄스의 누락이나 펄스의 중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응답신호에서 제1그룹추출부(231)가 펄스열그룹을 추출하고 남은 응답신호에도 여전히 기존에 추출된 펄스열그룹에 속하거나, 새로운 펄스열그룹을 생성할 수 있는 펄스 또는 펄스열이 일부 훼손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다. 누락펄스탐색부(235)는 그런 펄스 또는 펄스열을 탐색하여, 출력부(25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제1그룹추출부(231)가 펄스열그룹을 추출하고 남은 응답신호를 잔여응답신호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누락펄스탐색부(235)는 잔여응답신호에서 누락된 펄스를 탐색하기 위한 조건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누락펄스탐색부(235)는 잔여응답신호에서 기준펄스열 및 PTI형태, PTI값을 기초로 하여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누락률보다 더 낮은 누락률을 보이는 펄스열을 탐색하고, 탐색된 펄스열을 복원하여 출력부(250)에 전달함으로써, 출력부가 복원된 펄스열을 펄스열그룹 또는 펄스열그룹의 세부그룹에 포함시켜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누락펄스탐색부(235)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누락률은 권한이 있는 시스템관리자에 의해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누락펄스탐색부가 잔여응답신호에서 누락된 펄스를 탐색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그룹추출부(231)에 의해서 총 다섯 개의 모드 1, 2, 3/A, C에 대한 펄스열 중 첫 번째, 세 번째의 펄스열그룹만이 추출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나머지 펄스열그룹은 제1그룹추출부(231)에서 추출되지 못한 펄스열그룹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 제1그룹추출부(231)에 의해 1차적으로 추출되지 못한 나머지 펄스열그룹 중에서 두 번째 및 네 번째 펄스열그룹은 프레임펄스 간의 시간적 간격이 20.3마이크로초로 기추출된 펄스열그룹과 동일하며, 펄스열그룹 단위를 결정하는 프레임펄스 F1, F2만 일부 누락되어 있을 뿐이므로, 누락률이 기설정된 기준누락률보다 낮아서 누락펄스탐색부(235)에 의해서 복원될 수 있다. 반면, 마지막 다섯 번째 펄스열그룹은 프레임펄스 외에 스쿼크코드(Squawk code)를 구성하는 프레임펄스 사이의 펄스들의 누락률도 기준누락률보다 높아서 누락펄스탐색부(235)에 의해서 복원대상으로 탐색되지 않게 된다.
도 7은 펄스열의 병합 및 복원 과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펄스열간격(Pulse Train Interval)이 22.22밀리초인 펄스열이 도시되어 있으며, 복원되어야 하는 스쿼크코드가 2326으로 결정된 것을 비추어, 모드 1, 2, 3/A, C에 대한 펄스열그룹인 것을 알 수 있다. 누락펄스탐색부(235)는 기준펄스열 및 제2차추출부(2313)에 의해 결정된 펄스열간격의 형태가 Stable이라는 점을 기초로 하여, 스쿼크코드가 1125인 누락펄스열을 스쿼크코드가 2326의 펄스열로 복원하여 펄스열그룹(세부그룹)에 포함시킨다.
누락펄스탐색부(235)가 누락된 펄스열을 복원하여 펄스열그룹에 복원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누락펄스탐색부(235)는 잔여응답신호에서 모드번호, 모드별코드, 펄스열간격의 형태(Stable or Stagger) 및 펄스열간격의 값(PTI값)을 기초로 하여, 누락된 펄스열을 탐색하며, 이때 미리 설정된 제1누락률의 초과여부를 기초로 누락된 펄스열을 탐색하게 된다. 이어서, 제1누락률 미만의 펄스열이 탐색되면, 탐색된 펄스열을 복원하여 펄스열그룹에 병합시킨다. 이어서, 누락펄스탐색부(235)는 모드번호, 모드별코드는 다르지만, 펄스열간격의 형태 및 펄스열간격의 값이 일치하는 펄스열을 탐색한다. 마찬가지로, 누락펄스탐색부(235)는 제2누락률의 초과여부를 기초로 누락된 펄스열을 재차 탐색하여, 탐색된 펄스열을 주변의 펄스열과 법칙성을 갖도록 복원하여 펄스열그룹(세부그룹)에 병합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누락펄스탐색부(235)는 위와 같이 제1누락률 및 제2누락률을 각각 저장하고 있다가, 제1누락률을 적용할 때에는 네 가지 정보(모드번호, 모드별코드, PTI형태, PTI값)를 기초로 누락된 펄스열을 탐색, 복원하고, 제2누락률을 적용할 때에는 두 가지 정보(PTI형태, PTI값)를 기초로 누락된 펄스열을 탐색, 복원하여 세부그룹에 포함시킴으로써, 응답신호에서 누락된 펄스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누락펄스탐색부(23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열을 세부그룹별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에서 질문기에 1차적으로 수신되었던 응답신호에 어떠한 세부적인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응답신호를 송신한 항공기가 어느 진영에 속한 항공기인지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른 방법은 도 2에 따른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는 저장부(210), 연산처리부(230) 및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먼저, 저장부(210)가 항공기가 송신한 응답신호를 질문기가 수신하여 전달하면, 전달받은 응답신호를 디지털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연산처리부(230)는 저장부(210)로부터 디지털형태로 변환된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810).
연산처리부(230)는 응답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기준펄스열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펄스열그룹을 추출한다(S830).
연산처리부(230)는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펄스열그룹을 복수의 세부그룹으로 분류한다(S850).
연산처리부(230)는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응답신호에서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탐색한다(S870).
연산처리부(230)가 탐색한 펄스열을 세부그룹에 포함시켜서 출력부(250)에 전달하면, 출력부(250)에 전달받은 펄스열그룹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에 세부그룹별로 출력되도록 한다(S890).
도 9는 연산처리부가 응답신호로부터 펄스열그룹을 추출하는 과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연산처리부(230)는 제1차추출부(2311), 제2차추출부(2313), 제3차추출부(2315)를 포함하고, 도 9는 도 8의 단계 S810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차추출부(2311)는 응답신호로부터 제1기준펄스열을 기초로 하여 모드 4에 대한 신호를 추출하고, 식별코드로서 모드번호를 생성한다(S831).
제2차추출부(2313)는 응답신호로부터 2차적으로 제2기준펄스열을 기초로 하여 모드 1, 2, 3/A, C에 대한 신호를 추출하고, 식별코드로서 모드번호 및 스쿼크코드를 생성한다(S833). 식별코드는 스쿼크코드(Squawk code)가 된다.
제3차추출부(2315)는 응답신호로부터 3차적으로 제3기준펄스열을 기초로 하여 모드 S에 대한 신호를 추출하고, 식별코드로서 모드번호 및 데이터블록코드를 생성한다(S835). 단계 S835가 종료되면, 도 8의 단계 S850으로 이어진다.
도 10은 연산처리부가 잔여응답신호에서 누락된 펄스열을 미리 분류된 세부그룹에 포함시키는 과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연산처리부(230)는 제1그룹추출부(231), 제2그룹분류부(233), 누락펄스탐색부(235)를 포함하고, 도 10은 도 8의 단계 S830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그룹추출부(231)는 응답신호에서 기준펄스열을 탐색한다(S851).
제1그룹추출부(231)는 탐색된 기준펄스열을 기초로 전방 및 후방을 탐색하여 탐색된 펄스열을 2차그룹핑한다(S853).
제2그룹분류부(233)는 펄스열그룹내의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시간적간격에 따라 제1세부그룹 및 제2세부그룹으로 분류한다(S855).
제2그룹분류부(233)는 잔여응답신호에서 펄스열간격형태(PTI형태) 및 펄스열간격값(PTI값)을 기초로 하여 누락된 펄스열의 유무를 탐색한다(S870). 또한 제2그룹분류부(233)는 탐색된 펄스열의 누락률이 T% 미만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871). 단계 S870 및 S871은 실시 예에 따라서, 두 번 이상 반복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제2그룹분류부(233)는 탐색된 펄스열의 누랄률이 T% 미만이면, 탐색된 펄스열을 복원하여 세부그룹에 포함시킨다(S890). 도 10의 단계 S890은 도 8의 단계 S890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하며, 이전 단계와의 연계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중복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의 IFF 모드 3/A, C, 4 플롯추출기의 단점을 극복하고 다중 신호 환경에서 누락을 고려하여 IFF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집된 펄스열의 간격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IFF 신호를 보다 정확히 식별하고 분류할 수 있으며, 신호 수신 환경에 따라 누락된 신호를 복원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응답신호를 모드번호 및 모드별 코드로 분류할 뿐만 아니라(1차 그룹핑), PTI형태 및 PTI값을 기초로 하여 응답신호를 세부적으로 그룹핑하는 구성(2차 그룹핑)을 포함하고, 잔여응답신호에서 누락된 펄스열을 탐색하고 복원(3차 그룹핑)하여, 최종적으로 응답신호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 신호 환경에서 실시간 위협 탐지가 필요한 수동형 전자감시체계에 직접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의 인식 방법은 시간 도메인에서 일정한 패턴을 갖는 IFF 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원에도 응용될 수 있어, 전자전 지원 시스템의 신호 식별 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질의신호에 대응하여 항공기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펄스열(pulse train)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펄스열그룹을 추출하는 제1그룹추출부;
    상기 추출된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펄스열로부터 도출되는 시간적 간격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펄스열그룹을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세부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그룹분류부;
    상기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탐색하는 누락펄스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펄스열을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시켜서 세부그룹별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락펄스탐색부는,
    상기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번호, 모드별코드, 펄스열간격의 형태 및 펄스열간격의 값에 미리 설정된 제1누락률을 적용하여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1차적으로 탐색하고,
    펄스열간격의 형태 및 펄스열간격의 값에 미리 설정된 제2누락률을 적용하여, 누락된 펄스열을 2차적으로 탐색하고,
    상기 제1그룹추출부는,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4(Mode 4)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1차적으로 추출하는 1차추출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1, 2, 3/A, C(Mode 1, 2, 3/A, C)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2차적으로 추출하는 2차추출부; 및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S(Mode S)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3차적으로 추출하는 3차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신호는 1030MHz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신호이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형태의 응답신호는,
    1090MHz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펄스신호가 PDW(Pulse Description Word)로 변환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분류부는,
    상기 정렬된 펄스열로부터 동일한 시간적 간격으로 반복되는 제1펄스열을 포함하는 제1세부그룹 및 상이한 시간적 간격으로 반복되는 제2펄스열을 포함하는 제2세부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장치.
  5. 질의신호에 대응하여 항공기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로부터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준펄스열(pulse train)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펄스열그룹을 추출하는 제1그룹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펄스열그룹에 포함된 펄스열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펄스열로부터 도출되는 시간적 간격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펄스열그룹을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세부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그룹분류단계;
    상기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탐색하는 누락펄스탐색단계; 및
    상기 탐색된 펄스열을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시켜서 세부그룹별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락펄스탐색단계는,
    상기 펄스열그룹이 추출되고 남은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번호, 모드별코드, 펄스열간격의 형태 및 펄스열간격의 값에 미리 설정된 제1누락률을 적용하여 상기 세부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펄스열을 1차적으로 탐색하고,
    펄스열간격의 형태 및 펄스열간격의 값에 미리 설정된 제2누락률을 적용하여, 누락된 펄스열을 2차적으로 탐색하고,
    상기 제1그룹추출단계는,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4(Mode 4)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1차적으로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1, 2, 3/A, C(Mode 1, 2, 3/A, C)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2차적으로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 및
    상기 변환된 응답신호에서 모드 S(Mode S)에 대한 펄스열그룹을 3차적으로 추출하는 3차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신호는 1030MHz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신호이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형태의 응답신호는,
    1090MHz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펄스신호가 PDW(Pulse Description Word)로 변환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분류단계는,
    상기 정렬된 펄스열로부터 동일한 시간적 간격으로 반복되는 제1펄스열을 포함하는 제1세부그룹 및 상이한 시간적 간격으로 반복되는 제2펄스열을 포함하는 제2세부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9. 제5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01847A 2018-01-05 2018-01-05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10204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47A KR102048956B1 (ko) 2018-01-05 2018-01-05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47A KR102048956B1 (ko) 2018-01-05 2018-01-05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75A KR20190083875A (ko) 2019-07-15
KR102048956B1 true KR102048956B1 (ko) 2019-11-26

Family

ID=6725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47A KR102048956B1 (ko) 2018-01-05 2018-01-05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5470B (zh) * 2023-04-20 2023-12-1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基于pdw的s应答信号解码器解码方法及fpga实现装置
CN117375771B (zh) * 2023-12-08 2024-05-28 长沙先度科技有限公司 一种iff模式五信号的帧头检测方法、装置及信号接收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2996A1 (en) * 2001-11-30 2003-06-05 Sanford Norman Ray Reduced split target reply processor for secondary surveillance radars and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s
US20100026553A1 (en) 2006-12-12 2010-02-04 Thales Method for Reducing Multipath Propagation Effects During the Processing of Replies in Mode "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5695B1 (en) * 2000-09-13 2005-04-26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ulti-mode IFF receiver architecture
KR100977175B1 (ko) 2009-07-08 2010-08-20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레이더 신호 식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2996A1 (en) * 2001-11-30 2003-06-05 Sanford Norman Ray Reduced split target reply processor for secondary surveillance radars and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s
US20100026553A1 (en) 2006-12-12 2010-02-04 Thales Method for Reducing Multipath Propagation Effects During the Processing of Replies in Mode "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75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5555B (zh) 网络异常行为的检测方法及系统
CN110084094B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无人机目标识别分类方法
CN104198999B (zh) 一种基于同构序列的脉冲分选方法
KR102048956B1 (ko) 피아식별신호의 펄스열분석 방법 및 그 장치
CN108226869B (zh) 一种重频参差的雷达信号的检测方法
CN104615542B (zh) 一种基于函数调用的脆弱性关联分析辅助漏洞挖掘的方法
KR101632167B1 (ko) 수집 레이더 신호의 클러스터링 방법
CN106650605A (zh) 一种基于机器学习的Morse信号自动检测译码方法
CN110907908B (zh) 基于包络分析的导航雷达信号分选方法
US7760135B2 (en) Robust pulse deinterleaving
CN115396169A (zh) 基于ttp的多步骤攻击检测与场景还原的方法及系统
CN109270520B (zh) 基于幅度信息获取二次雷达应答目标身份代码的处理方法
KR101651541B1 (ko) 슬라이딩 윈도우기반 iff 신호탐지 방법
CN105894541B (zh) 一种基于多视频碰撞的运动目标检索方法及系统
Hubacek et al. Probabilistic code extractor for low SNR SIF/IFF mode A, C respond
KR101427149B1 (ko) 지수이동평균을 이용한 이중 레이어 svm 기반 레이더 신호의 pri 복합변조형태 인식 방법
US20120054183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an Object
CN112836104B (zh) 一种数据库辅助自主聚类信号分选方法及系统
CN110426696B (zh) 一种脉冲缺损的雷达信号特征序列搜索方法
CN109343005A (zh) 自主智能决策的辐射源自动识别系统
JPH09264946A (ja) レーダ識別装置並びにその識別方法
CN105537131B (zh) 一种基于多样化信息协同的邮件分拣系统
CN115219991A (zh) 一种基于希尔伯特变换的二相编码调制信号识别方法
CN108106500A (zh) 一种基于多传感器的导弹目标类型识别方法
CN105354597B (zh) 一种游戏物品的分类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