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739B1 -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739B1
KR102048739B1 KR1020180063318A KR20180063318A KR102048739B1 KR 102048739 B1 KR102048739 B1 KR 102048739B1 KR 1020180063318 A KR1020180063318 A KR 1020180063318A KR 20180063318 A KR20180063318 A KR 20180063318A KR 102048739 B1 KR102048739 B1 KR 10204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way
providing
emo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민
박준서
곽남훈
Original Assignee
박승민
박준서
곽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민, 박준서, 곽남훈 filed Critical 박승민
Priority to KR102018006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739B1/ko
Priority to PCT/KR2019/006559 priority patent/WO2019231273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은 사운드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로 변경하고,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바이노럴 사운드로 생성하고, 이어폰을 통해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EMOTIONAL SOUND USING BINARUAL TECHNOLOGY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ERCIAL SPEAKER PRESET FOR PROVIDING EMOTIONAL SOUN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하여 감성적인 사운드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경우에 마치 주변에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증가하면서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음악을 감상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 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스마트폰과 연결된 유무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거나 또는 블루투스 스피커와 같은 무선 연결 스피커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개인적인 공간이 아닌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감상하기가 어렵고, 스마트폰과 페어링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에서는 고스펙의 스피커들과 같이 다양한 음역대의 사운드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대부분의 음악 파일이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고스펙의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다고 하여도 스마트폰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스피커와 물리적으로 연동하여 재생하여야 한다는 불편함도 존재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99554호, 2016년 2월 25일 등록(명칭: SAC 부가정보를 이용한 3D 바이노럴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한국 등록 특허 제10-0971700호, 2010년 7월 15일 등록(명칭: 공간큐 기반의 바이노럴 스테레오 합성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바이노럴 스테레오 복호화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을 통해 감성사운드를 제공함으로써 마치 물리적인 스피커로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을 통해 제공되는 사운드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된 위치에서 제공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로 상용되고 있는 스피커 모델들을 이용하지 않고도 해당 스피커 모델로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선택한 스피커 프리셋의 판매량 통계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들이 전략적인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은,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운드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바이노럴 사운드로 생성하고, 이어폰을 통해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는 상기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위치에서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의 멀티웨이 프리셋에 상응하게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웨이 프리셋에 설정된 멀티웨이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가 배치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에 상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특성은 주파수 범위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위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및 기설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은,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 별로 스피커 프리셋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감성사운드에 적용될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로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에 상응하는 스피커 프리셋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스피커 프리셋은 멀티웨이 개수, 멀티웨이 간 위치 및 멀티웨이 별 사운드 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결제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스피커 프리셋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은 상기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 별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량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매량 통계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은,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운드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바이노럴 사운드로 생성하고, 이어폰을 통해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이 때,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는 상기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위치에서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의 멀티웨이 프리셋에 상응하게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웨이 프리셋에 설정된 멀티웨이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가 배치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에 상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특성은 주파수 범위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위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및 기설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을 통해 감성사운드를 제공함으로써 마치 물리적인 스피커로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을 통해 제공되는 사운드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된 위치에서 제공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로 상용되고 있는 스피커 모델들을 이용하지 않고도 해당 스피커 모델로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선택한 스피커 프리셋의 판매량 통계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들이 전략적인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리트 스피커 위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스피커 프리셋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 별 멀티웨이 개수를 고려하여 배치된 멀티웨이 사운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은 사운드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로 변경한다(S110).
이 때,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201)에서 실행되는 음악이나 소리를 마치 사용자(200)가 위치한 공간에 설치된 물리적 디스크리트 스피커(210~250) 또는 실제로 설치되지는 않았지만 상용 판매되는 가상의 스피커를 통해 듣는듯한 느낌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운드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단말(201)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1)에서 실행되는 음악 또는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사운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1)을 통해 디코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사운드는 바이노럴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2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이 바이노럴 효과를 느낄 수 있는 음향 기기를 사용자 단말(201)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유선 또는 무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1)에는 감성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1)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1)에 설치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사운드데이터가 디코딩되는 경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210~250)의 위치로 변경하는 과정이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는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위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및 기설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리트 스피커(310, 320)의 위치는 본 발명에 따라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3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3의 도시된 두 개의 디스크리트 스피커들(310, 320)의 위치는 사용자 정면(301)을 기준으로하여 좌우로 각각 기설정된 각도(311, 321)만큼 떨어진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디스크리트 스피커들(310, 320)의 위치는 사용자(300)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각 기설정된 거리(312, 322)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는 사용자가 거실이나 실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스피커가 설치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기준으로 3~5미터 거리의 정면방향에서 좌우로 각각 20도~40도 정도의 위치로 상대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스피커 기술의 발달로 2웨이 내지 4웨이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스피커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때, 멀티웨이 스피커는 저음은 저음용 드라이버로 고음은 고음용 드라이버로 분할 담당해서 소리를 제공하는 스피커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2웨이에서 3웨이 수준의 스피커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때, 멀티웨이 스피커는 음역대에 따라, 저음은 우퍼(woofer), 중음은 미드 레인지(Midrange), 고음은 트위터(Tweeter) 등의 유닛을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멀티웨이의 개수는 유닛의 개수가 아닌 음역대역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음역을 3개의 대역으로 나누고 우퍼를 두 개 사용하는 경우, 유닛의 개수는 4개이지만 3way 스피커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음역대역의 범위나 개수, 각 유닛에 대한 상세정보 및 해당 스피커에 대한 주파수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결제 과정을 기반으로 판매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하는 방식은 도 5에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의 멀티웨이 프리셋에 상응하게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가 2way 스피커라고 가정한다면, 고음대역과 저음대역을 포함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가 3way 스피커라고 가정한다면, 고음대역, 중음대역 및 저음대역을 포함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가 4way 스피커라고 가정한다면, 고음대역, 중음대역, 중저음대역 및 저음대역을 포함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상용 스피커에 대한 정보는 각 스피커를 판매하는 판매자로부터 수집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에 상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기반으로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고음대역, 중음대역 및 저음대역에 상응하는 3way 사운드로 생성하는 경우, 각 대역의 상응하는 필터에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즉, 고음대역을 위한 트위터용 필터에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키면 고음대역의 음만 필터를 통과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중음대역을 위한 미드 레인지용 필터에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켜 중음대역의 음만 획득하고, 저음대역을 위한 우퍼용 필터에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켜 저음대역의 음만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특성은 주파수 범위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범위는 스피커에서 발생 가능한 주파수의 범위를 의미하므로 범위가 넓을수록 스피커의 성능이 높은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각 음역대 사이에 교차되는 주파수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들어오게 되면 해당 주파수의 사운드가 명확하게 모니터링 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보편적으로 각 음역대역의 존재감이 생기는 주파수 영역을 피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변경된 위치에서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way 스피커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음대역, 중음대역, 저음대역의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한 뒤 수직방향으로 가장 위쪽이 고음대역, 중간이 중음대역, 가장 아래쪽이 저음대역을 커버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800)를 기준으로 한 상대위치에 존재하는 두 개의 디스크리트 스피커(810, 820)들에 대해서 3way 사운드가 생성되었다고 가정한다면, 디스크리트 스피커(810, 820)의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음대역 위치(811, 821), 중음대역 위치(812, 822), 저음대역 위치(813, 823)를 각각 지정하여 멀티웨이 사운드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 프리셋에 설정된 멀티웨이 개수를 고려하여 멀티웨이 사운드가 배치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 개수는 디스크리트 스피커에서 사용하는 유닛의 개수가 아닌 음역대역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우퍼들, 미드레인지, 트위터를 이용하여 고음대역, 중음대역, 저음대역을 지원하는 스피커의 멀티웨이 개수는 3개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2way 스피커(900)는 고음대역과 저음대역에 상응하게 멀티웨이 사운드를 배치할 수 있고, 3way 스피커(1000)는 고음대역, 중음대역, 저음대역에 상응하게 멀티웨이 사운드를 배치할 수 있고, 4way 스피커(1100)는 고음대역, 중음대역, 중저음대역, 저음대역에 상응하게 멀티웨이 사운드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내용은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멀티웨이 사운드에 포함되는 대역이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은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바이노럴 사운드로 생성하고, 이어폰을 통해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한다(S120).
이 때, 바이노럴 사운드는 기존에 이용되는 기술 및 향후 개발 가능한 기술을 적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공보 10-1599554에는 MPEG 서라운드(MPEG Surround)라는 국제 표준의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3차원 바이너럴 신호를 출력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10-1599554에서는 MPEG-Surround(MPS)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멀티채널 오디오 재생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오디오 재생특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대해 HRTF(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필터링을 수행하여 3D 바이너럴 신호를 출력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HRTF 필터링은 인간의 청각기관을 모델링한 더미 헤더 마이크를 이용하여 360도의 방위각과 180도의 고도각 사이를 특정 간격을 두고 각각의 위치에 대한 좌우 양쪽의 임펄스 응답을 구하는 필터링일 수 있다.
이 때, 멀티채널 오디오 재생특성 파라미터는 주파수 대역 별 전후방 채널 신호의 출력 레벨 차에 대한 것으로, MPEG-Surround(MPS) 국제 표준에서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두 귀 사이의 소리 크기 차이와 채널 사이의 상관도 등으로 표현되는 공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한국등록공보 10-0971700에는 가상음원의 위치정보와 각 채널 별 바이노럴 필터 계수에 기초하여 좌/우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바이노럴 스테레오 신호로 복호화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이 때,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스테레오 좌/우 오디오 신호를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또는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가상음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할당된 서브밴드 별 각 채널의 파워 이득 값과 각 채널에 대한 주파수 영역의 좌/우 HRTF 계수 블록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 상응하는 스테레오 좌/우 신호를 바이노럴 스테레오 신호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 때, 가상음원의 위치정보(VSLI: Virtual Source Location Information) 기반의 공간 큐 정보를 합성하여 서브밴드 별 각 채널의 파워 이득값을 산출할 수 있고, 스테레오 신호에 대한 VSLI 기반의 공간 큐 정보는 임의의 서브밴드(m)에 대하여, 좌측반면각(LHA: Left Half-plane Angle)(LHA(m)), 좌측보조평면각(LSA: Left Subsequent Angle)(LSA(m)), 우측반면각(RHA: Right Half-plane Angle)(RHA(m)) 및 우측보조평면각(RSA: Right Subsequent Angle)(RS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상기와 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에 상응하게 바이노럴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별도의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이어폰을 통해 감성사운드를 제공함으로써 마치 물리적인 스피커로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을 통해 제공되는 사운드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된 위치에서 제공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상용되고 있는 스피커 모델들을 이용하지 않고도 해당 스피커 모델로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선택한 스피커 프리셋의 판매량 통계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들이 전략적인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은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 별로 스피커 프리셋을 저장한다(S1210).
이 때,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에 대한 스피커 프리셋은 각 스피커를 판매하는 판매자로부터 수집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스피커 프리셋은 멀티웨이 개수, 멀티웨이 간 위치 및 멀티웨이 별 사운드 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 개수는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에 포함된 각 유닛의 개수가 아닌 고음대역, 중음대역, 저음대역과 같은 음의 대역의 개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간 위치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 별 사운드 필터는 멀티웨이에 포함된 대역의 음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음대역의 사운드 필터로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키는 경우, 고음대역의 음만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감성사운드에 적용될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로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220).
예를 들어, 복수개의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들에 대해 도 4와 같이 스피커 프리셋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500)을 기반으로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에 상응하는 스피커 프리셋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1230).
예를 들어, 도 13을 기반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320-1)로 제공된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A브랜드의 aa 스피커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310)는 서버 내 메모리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aa 스피커의 스피커 프리셋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320-1)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이 때, 도 1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들(1320-1~1320-N)은 네트워크(1330)를 기반으로 서버(1310)로부터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획득하여 사용하는 단말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한 결제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스피커 프리셋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은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 별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량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판매량 통계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판매량 통계 정보는 브랜드 별 판매량, 제품별 판매량, 주파수 특성 별 판매량, 멀티웨이 종류별 판매량과 같이 다양한 기준으로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에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1410), 사용자 단말이 사운드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S1420).
이 때,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서버로부터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 때, 사운드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음악 또는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사운드일 수도 있다.
이 후,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S1430).
이 때,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는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에 상응할 수 있고, 상대위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및 기설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후, 멀티웨이 사운드를 수직방향으로 분리 및 배치할 수 있다(S1440).
이 때,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할 수 있고,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피커의 스피커 프리셋을 기반으로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후, 바이노럴 사운드를 생성하고(S1450), 생성된 바이노럴 사운드를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출력할 수 있다(S1460).
이 때,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유선 또는 무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은 먼저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 별 스피커 프리셋을 저장할 수 있다(S1510).
이 때,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에 대한 스피커 프리셋은 각 스피커를 판매하는 판매자로부터 수집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스피커 프리셋은 멀티웨이 개수, 멀티웨이 간 위치 및 멀티웨이 별 사운드 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로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1520).
예를 들어, 복수개의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들에 대해 도 4와 같이 스피커 프리셋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500)을 기반으로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스피커의 스피커 프리셋 결제요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525), 결제 요청이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1530).
이 후, 사용자에 의해 결제된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스피커 프리셋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1540).
이 후,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량 통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업데이트하고(S1550), 해당 판매량 통계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560).
따라서, 판매자는 판매량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량 통계 정보는 브랜드 별 판매량, 제품별 판매량, 주파수 특성 별 판매량, 멀티웨이 종류별 판매량과 같이 다양한 기준으로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525)의 판단결과 결제요청이 발생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로 다른 스피커 선택 인터페이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다른 스피커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은 통신부(1610), 프로세서(1620) 및 메모리(1630)를 포함한다.
통신부(16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거나, 상용 디스크리트 스피커에 대한 스피커 프리셋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610)는 서버로부터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620) 또는 메모리(163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620)는 중앙연산 처리장치에 상응하는 것으로, 통신부(1610)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메모리(1630)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20)는 사운드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로 변경한다.
이 때,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201)에서 실행되는 음악이나 소리를 마치 사용자(200)가 위치한 공간에 설치된 물리적 디스크리트 스피커(210~250) 또는 실제로 설치되지는 않았지만 상용 판매되는 가상의 스피커를 통해 듣는듯한 느낌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운드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단말(201)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1)에서 실행되는 음악 또는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사운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1)을 통해 디코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사운드는 바이노럴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2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이 바이노럴 효과를 느낄 수 있는 음향 기기를 사용자 단말(201)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유선 또는 무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1)에는 감성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1)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1)에 설치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사운드데이터가 디코딩되는 경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210~250)의 위치로 변경하는 과정이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는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위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및 기설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리트 스피커(310, 320)의 위치는 본 발명에 따라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3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3의 도시된 두 개의 디스크리트 스피커들(310, 320)의 위치는 사용자 정면(301)을 기준으로하여 좌우로 각각 기설정된 각도(311, 321)만큼 떨어진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디스크리트 스피커들(310, 320)의 위치는 사용자(300)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각 기설정된 거리(312, 322)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는 사용자가 거실이나 실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스피커가 설치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기준으로 3~5미터 거리의 정면방향에서 좌우로 각각 20도~40도 정도의 위치로 상대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20)는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스피커 기술의 발달로 2웨이 내지 4웨이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스피커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때, 멀티웨이 스피커는 저음은 저음용 드라이버로 고음은 고음용 드라이버로 분할 담당해서 소리를 제공하는 스피커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2웨이에서 3웨이 수준의 스피커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때, 멀티웨이 스피커는 음역대에 따라, 저음은 우퍼(woofer), 중음은 미드 레인지(Midrange), 고음은 트위터(Tweeter) 등의 유닛을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멀티웨이의 개수는 유닛의 개수가 아닌 음역대역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음역을 3개의 대역으로 나누고 우퍼를 두 개 사용하는 경우, 유닛의 개수는 4개이지만 3way 스피커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음역대역의 범위나 개수, 각 유닛에 대한 상세정보 및 해당 스피커에 대한 주파수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결제 과정을 기반으로 판매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하는 방식은 도 5에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의 멀티웨이 프리셋에 상응하게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가 2way 스피커라고 가정한다면, 고음대역과 저음대역을 포함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가 3way 스피커라고 가정한다면, 고음대역, 중음대역 및 저음대역을 포함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가 4way 스피커라고 가정한다면, 고음대역, 중음대역, 중저음대역 및 저음대역을 포함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상용 스피커에 대한 정보는 각 스피커를 판매하는 판매자로부터 수집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에 상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기반으로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고음대역, 중음대역 및 저음대역에 상응하는 3way 사운드로 생성하는 경우, 각 대역의 상응하는 필터에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즉, 고음대역을 위한 트위터용 필터에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키면 고음대역의 음만 필터를 통과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중음대역을 위한 미드 레인지용 필터에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켜 중음대역의 음만 획득하고, 저음대역을 위한 우퍼용 필터에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통과시켜 저음대역의 음만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특성은 주파수 범위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범위는 스피커에서 발생 가능한 주파수의 범위를 의미하므로 범위가 넓을수록 스피커의 성능이 높은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각 음역대 사이에 교차되는 주파수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들어오게 되면 해당 주파수의 사운드가 명확하게 모니터링 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보편적으로 각 음역대역의 존재감이 생기는 주파수 영역을 피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변경된 위치에서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way 스피커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음대역, 중음대역, 저음대역의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한 뒤 수직방향으로 가장 위쪽이 고음대역, 중간이 중음대역, 가장 아래쪽이 저음대역을 커버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800)를 기준으로 한 상대위치에 존재하는 두 개의 디스크리트 스피커(810, 820)들에 대해서 3way 사운드가 생성되었다고 가정한다면, 디스크리트 스피커(810, 820)의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음대역 위치(811, 821), 중음대역 위치(812, 822), 저음대역 위치(813, 823)를 각각 지정하여 멀티웨이 사운드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 프리셋에 설정된 멀티웨이 개수를 고려하여 멀티웨이 사운드가 배치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웨이 개수는 디스크리트 스피커에서 사용하는 유닛의 개수가 아닌 음역대역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우퍼들, 미드레인지, 트위터를 이용하여 고음대역, 중음대역, 저음대역을 지원하는 스피커의 멀티웨이 개수는 3개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2way 스피커(900)는 고음대역과 저음대역에 상응하게 멀티웨이 사운드를 배치할 수 있고, 3way 스피커(1000)는 고음대역, 중음대역, 저음대역에 상응하게 멀티웨이 사운드를 배치할 수 있고, 4way 스피커(1100)는 고음대역, 중음대역, 중저음대역, 저음대역에 상응하게 멀티웨이 사운드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내용은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멀티웨이 사운드에 포함되는 대역이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620)는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바이노럴 사운드로 생성하고, 이어폰을 통해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때, 바이노럴 사운드는 기존에 이용되는 기술 및 향후 개발 가능한 기술을 적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공보 10-1599554에는 MPEG 서라운드(MPEG Surround)라는 국제 표준의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3차원 바이너럴 신호를 출력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10-1599554에서는 MPEG-Surround(MPS)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멀티채널 오디오 재생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오디오 재생특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대해 HRTF(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필터링을 수행하여 3D 바이너럴 신호를 출력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HRTF 필터링은 인간의 청각기관을 모델링한 더미 헤더 마이크를 이용하여 360도의 방위각과 180도의 고도각 사이를 특정 간격을 두고 각각의 위치에 대한 좌우 양쪽의 임펄스 응답을 구하는 필터링일 수 있다.
이 때, 멀티채널 오디오 재생특성 파라미터는 주파수 대역 별 전후방 채널 신호의 출력 레벨 차에 대한 것으로, MPEG-Surround(MPS) 국제 표준에서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두 귀 사이의 소리 크기 차이와 채널 사이의 상관도 등으로 표현되는 공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한국등록공보 10-0971700에는 가상음원의 위치정보와 각 채널 별 바이노럴 필터 계수에 기초하여 좌/우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바이노럴 스테레오 신호로 복호화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이 때,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스테레오 좌/우 오디오 신호를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또는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가상음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할당된 서브밴드 별 각 채널의 파워 이득 값과 각 채널에 대한 주파수 영역의 좌/우 HRTF 계수 블록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 상응하는 스테레오 좌/우 신호를 바이노럴 스테레오 신호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 때, 가상음원의 위치정보(VSLI: Virtual Source Location Information) 기반의 공간 큐 정보를 합성하여 서브밴드 별 각 채널의 파워 이득값을 산출할 수 있고, 스테레오 신호에 대한 VSLI 기반의 공간 큐 정보는 임의의 서브밴드(m)에 대하여, 좌측반면각(LHA: Left Half-plane Angle)(LHA(m)), 좌측보조평면각(LSA: Left Subsequent Angle)(LSA(m)), 우측반면각(RHA: Right Half-plane Angle)(RHA(m)) 및 우측보조평면각(RSA: Right Subsequent Angle)(RS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상기와 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에 상응하게 바이노럴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163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와 함께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163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이어폰을 통해 감성사운드를 제공함으로써 마치 물리적인 스피커로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을 통해 제공되는 사운드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된 위치에서 제공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상용되고 있는 스피커 모델들을 이용하지 않고도 해당 스피커 모델로 음악을 감상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선택한 스피커 프리셋의 판매량 통계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자들이 전략적인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200, 300: 사용자
201, 500, 1320-1~1320-N: 사용자 단말
210~250, 310, 320, 810, 820: 디스크리트 스피커
301: 사용자 정면 311, 321: 기설정된 각도
312, 322: 기설정된 거리 811, 821: 고음대역 위치
812, 822: 중음대역 위치 813, 823: 저음대역 위치
900: 2way 스피커 1000: 3way 스피커
1100: 4way 스피커 1310: 서버
1330: 네트워크 1610: 통신부
1620: 프로세서 1630: 메모리

Claims (20)

  1.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운드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
    고음, 중음, 저음에 기반하여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멀티웨이에 상응하는 음역대별 특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바이노럴 사운드로 생성하고, 이어폰을 통해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의 멀티웨이 프리셋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사운드에 상응하게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감성사운드는
    상기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가 상기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디스크리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효과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느낌을 제공하는 사운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사운드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는
    상기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사운드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위치에서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사운드 제공방법.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웨이 프리셋에 설정된 멀티웨이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가 배치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사운드 제공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에 상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사운드 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특성은
    주파수 범위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사운드 제공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대위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및 기설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사운드 제공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운드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의 위치를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
    고음, 중음, 저음에 기반하여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멀티웨이에 상응하는 음역대별 특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에 대한 멀티웨이 프리셋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바이노럴 사운드로 생성하고, 이어폰을 통해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고,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상용 스피커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의 멀티웨이 프리셋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사운드에 상응하게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감성사운드는
    상기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바이노럴 사운드가 상기 변경된 위치에 상응하는 디스크리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효과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느낌을 제공하는 사운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리트 스피커의 위치는
    상기 이어폰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대위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위치에서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에 상응하는 멀티웨이 사운드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
  16. 삭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웨이 프리셋에 설정된 멀티웨이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가 배치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용 스피커에 상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사운드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상기 멀티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특성은
    주파수 범위 및 크로스오버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대위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및 기설정된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감성사운드 어플리케이션.
KR1020180063318A 2018-06-01 2018-06-01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4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18A KR102048739B1 (ko) 2018-06-01 2018-06-01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19/006559 WO2019231273A2 (ko) 2018-06-01 2019-05-31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18A KR102048739B1 (ko) 2018-06-01 2018-06-01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662A Division KR20190137672A (ko) 2018-12-24 2018-12-24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739B1 true KR102048739B1 (ko) 2019-11-26

Family

ID=6869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18A KR102048739B1 (ko) 2018-06-01 2018-06-01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8739B1 (ko)
WO (1) WO2019231273A2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864A1 (en) * 2007-03-01 2009-02-19 Genaudio, Inc. Audio spatialization and environment simulation
KR100971700B1 (ko) 2007-11-07 2010-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큐 기반의 바이노럴 스테레오 합성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바이노럴 스테레오 복호화 장치
KR20110053600A (ko) * 2009-11-16 201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사운드 신호 생성 장치
KR101599554B1 (ko) 2009-03-23 2016-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ac 부가정보를 이용한 3d 바이노럴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4349A (ko) * 2015-01-30 2016-08-09 가우디오디오랩 주식회사 바이노럴 렌더링을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36437A (ko) * 2014-03-26 2016-11-29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기하학적 거리 정의를 이용한 오디오 렌더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302A (ko) * 2014-12-10 2017-11-01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82105B1 (ko) * 2015-05-28 2016-12-02 조애란 입체음향 조절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864A1 (en) * 2007-03-01 2009-02-19 Genaudio, Inc. Audio spatialization and environment simulation
KR100971700B1 (ko) 2007-11-07 2010-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큐 기반의 바이노럴 스테레오 합성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바이노럴 스테레오 복호화 장치
KR101599554B1 (ko) 2009-03-23 2016-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ac 부가정보를 이용한 3d 바이노럴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3600A (ko) * 2009-11-16 201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사운드 신호 생성 장치
KR20160136437A (ko) * 2014-03-26 2016-11-29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기하학적 거리 정의를 이용한 오디오 렌더링 장치 및 방법
KR20160094349A (ko) * 2015-01-30 2016-08-09 가우디오디오랩 주식회사 바이노럴 렌더링을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273A2 (ko) 2019-12-05
WO2019231273A3 (ko)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526B1 (ko) 빔형성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를 위한 공간적 오디오 렌더링
Colloms High performance loudspeakers: optimising high fidelity loudspeaker systems
US10779083B2 (en) Soundbar having single interchangeable mounting surface and multi-directional audio output
US9124966B2 (en) Image generation for collaborative sound systems
TWI489887B (zh) 用於喇叭或耳機播放之虛擬音訊處理技術
US8442244B1 (en) Surround sound system
TW201440541A (zh) 使用向上發聲驅動器之用於反射聲音呈現的虛擬高度濾波器
KR20080060640A (ko) 개인 청각 특성을 고려한 2채널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장치
KR102119240B1 (ko) 스테레오 오디오를 바이노럴 오디오로 업 믹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20109968A (ja) ユーザ固有音声情報及びハードウェア固有音声情報に基づくカスタマイズされた音声処理
US20210306786A1 (en) Sound reproduction/s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 sound reproduction
KR20190109019A (ko)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오디오 신호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20508590A (ja) マルチチャネル・オーディオ信号をダウンミックス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0440495B2 (en) Virtual localization of sound
JP6236503B1 (ja) 音響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12840678B (zh) 立体声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048739B1 (ko)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방법과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383853B (zh) 多个分散独立立体声扩音器
WO202308703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spatial audio using spatialization shaders
KR20190137672A (ko) 바이노럴 기술을 이용한 감성사운드 제공을 위한 상용 스피커 프리셋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U2777613C1 (ru)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моделирования звука и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CN113728661B (zh) 用于再现多声道音频的音频系统和方法以及存储介质
EP3720143A1 (en) Sound reproduction/s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 sound reproduction
KR20240062489A (ko) 전자 장치 및 그 음향 출력 방법
KR20230119192A (ko) 스테레오 헤드폰 심리음향 음 위치측정 시스템 및 이를사용한 스테레오 심리음향 음 신호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