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897B1 - Construc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retaining wall using strut connecting structur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struc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retaining wall using strut connecting structur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7897B1 KR102047897B1 KR1020180131129A KR20180131129A KR102047897B1 KR 102047897 B1 KR102047897 B1 KR 102047897B1 KR 1020180131129 A KR1020180131129 A KR 1020180131129A KR 20180131129 A KR20180131129 A KR 20180131129A KR 102047897 B1 KR102047897 B1 KR 102047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e
- braces
- rubber plate
- connection
- bo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휨과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버팀보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심지 굴착 공사에 적용되는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 흙막이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흙막이벽을 지지할 수 있는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bricks using a reinforcing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mporary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that can prevent bending and buckling, and also applied to urban excavation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temporary clam using a brac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which is disposed to cross between the retaining walls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지하층을 포함하는 빌딩 등 구조물의 축조, 지하철 공사 등을 위한 지반굴착시에는 굴착 배면의 토사 붕괴 방지 및 변위 억제를 도모하여 인접 주변지반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설 흙막이 공사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ground excav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including underground floors, subway construction, etc., it is common to perform temporary earthquake construc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safety of adjacent surrounding ground by preventing soil collapse and suppressing displacement of the back surface of the excavation.
특히 도심지 근접 시공의 경우에는 지반굴착으로 인한 인접 지반의 침하에 따른 위험을 배제할 수 없고, 이에 따른 주변 건물의 안전 유지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므로, 가설 흙막이 공사에 더욱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ear-city construction, the danger of settlement of adjacent ground due to ground excavation cannot be excluded, and attention must be paid to maintaining safety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이러한 가설 흙막이 공사는 버팀보 공법, 어스앵커 공법, 소일네일링 공법 등에 의해 시공되는데, 어스앵커 공법과 소일네일링 공법은 도심지 공사시에 부지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인접 대지를 침범하는 등 민원발생의 소지가 많고 이에 따른 부수적인 법적, 행정적 절차 등이 필요하므로, 도심지 근접시공에서는 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실제 현장에서는 버팀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The temporary earthquak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by the brace method, earth anchor method, and soil nailing method, and the earth anchor method and soil nailing method may cause civil complaints, such as invading adjacent land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ite space during urban construction. There are many problems, and therefore, additional legal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are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poor applicability in near urban construction, and in many cases, the temporary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props is often applied.
버팀보 공법은 흙막이벽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고정된 띠장을 설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흙막이벽들 사이에, 또는 인접한 꺾어진 흙막이벽들 사이에서 상기 띠장 사이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버팀보를 설치하여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인데, 버팀보 자재로는 H형강이나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의 강관이 사용된다.The reinforcement method installs a band fix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wall, and install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ms intersecting between the retaining retaining walls or between adjacent folded retaining walls to act on the retaining wall. It is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which is made of H-shaped steel or steel pipe of round or square cross section.
H빔은 형태적으로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의 구조가 다르므로 길이방향 압축력으로 좌굴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스티프너(stiffener)를 설치한다. Since the H-beams are different in structure from left to right and up and down, buckling may occur due to longitudinal compressive force, and a plurality of stiffener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prevent them.
그러나 스티프너는 국부 좌굴을 방지할 수 있으나 H빔 길이방향 전체를 보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결국 버팀보 길이가 10m이상이면 H빔을 2열로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자재사용량이 증가하고 공사기간을 연장시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stiffener can prevent local buckling, but it does not reinforce the entire H beam longitudinal direction, so if the brace length is 10m or more, the H beam is used in two rows. This increases the amount of material used and has the disadvantage of extending the construction period.
이에 따라 좌굴에 약한 H빔 버팀보가 아닌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의 버팀보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버팀보의 일례가 등록특허공보 제10-1003039(특허 문헌1)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사각형 단면의 강관으로 된 버팀보는 인양과정에서 슬링바나 샤클을 사용하여 강관 전체를 감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버팀보를 수평으로 인양하기 때문에 인양과정에서 결속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지거나 무게중심이 급속하게 변하게 되면 인양장비에서 버팀보가 이탈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각강관에 인양장비를 구비하였다.Accordingly,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al beam is used instead of the weak H-beam brace for buckling. An example of such a brace is shown in Patent Publication No. 10-1003039 (Patent Document 1). The reinforcement made of the steel tube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lifts the reinforcement horizontally while the whole steel pipe is wound and fixed using the sling bar or the shackle during the lifting process, so when the binding becomes unstable or the center of gravity changes rapidly during the lifting process, Lifting equipment was installed in the square steel pipe because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brace from the equipment.
그러나 사각강관 버팀보 외부에 인양장비를 구비할 경우 버팀보와 수직 H파일과 접속 연결시 인양장비로 인해 접속이 불가하고 사각강관 적재시 인양장비로 인해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lifting equipment is provided outside the square steel pipe brace, the connection is not possible due to the lifting equipment when connecting the brace and the vertical H-file, and the inconvenience is caused by the lifting equipment when loading the square steel pip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휨과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를 제공하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for preventing bending and buckling.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다수의 강관을 버팀보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압축강도의 버티는 힘이 극대화 되고 구조단면이 증가되며 좌굴에 대한 저항성능이 강화되어 2열 연결구조를 갖는 버팀보 구간을 1열 연결구조로 구성하게 하여 자재가 절감되고, 또한 버팀보 간격을 넓게 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steel pipe to the brace, the brace of the compressive strength is maximized, the structural cross-section is increased and the resistance to buckling is strengthened to connect the brace beam section having a two-row connection structure in one row It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upport structure hav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to reduce the material by making a structure, and also to increase the interval of the support beam to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자재의 사용량을 줄이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버팀보 간격을 넓게 하여 공사를 편리하게 하며, H빔의 날개부를 이용하여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하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use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widen the support interval, which facilitates the construction, and us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upport beam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using the wing of the H beam, It is to provide a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7발명은,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흙막이벽 가시설 공사를 위해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와, 굴착된 지반의 대향하는 양측 벽면에 다수의 H형강을 소정 간격으로 지반에 압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H형강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띠장을 설치하되, 상기 띠장은 상기 H형강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단계; 및 상기 대향하는 벽면에 각각 배치된 띠장과 띠장 사이에, 또는 띠장에 결합된 선행하중잭과 대향측에 위치한 띠장 사이에, 다수의 연결된 버팀보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된 버팀보는, 양측 단부에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상에 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단부판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단부판들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된 두 버팀보;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된 상기 두 버팀보의 상기 단부판들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 쌍 이상의 단부판 볼트홀;과, 상기 두 버팀보의 상기 단부판들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단부판에 탄력 있게 밀착되고 한 쌍 이상의 볼트 통과홀을 구비한 고무판;과, 상기 두 단부판에 구비된 상기 단부판 볼트홀과 상기 고무판에 구비된 상기 볼트통과홀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두 버팀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 및 상호 고정된 두 단부판을 감싸도록, 서로 고정된 상기 두 버팀보의 말단부에 상하 양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 연결부 및 하측 연결부는, 버팀보 말단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각각 대응하는 연결부상면 또는 연결부하면, 상기 연결부상면 또는 연결부하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또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버팀보 말단부의 측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측면, 상기 연결부측면의 하단 또는 상단으로부터 상기 버팀보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브래킷부, 및 상기 연결부측면과 연결브래킷부의 양단에서 상기 연결부측면과 연결브래킷부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조강도를 보강하도록 형성된 보강브래킷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브래킷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볼트홀이 형성되어, 연결부볼트 및 연결부너트에 의해 상기 상측 연결부와 상기 하측 연결부가 두 버팀보의 상기 말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버팀보의 말단부들이 상하좌우로 평행이동하거나 회전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연결부상면 또는 연결부하면에는 일측에 하나 이상의 핀홀이 구비되고, 상기 버팀보 말단부 일측에는 상기 핀홀에 대응하는 연결부 이동방지홀이 구비되며, 상기 상측 연결부 또는 하측 연결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핀홀 및 연결부 이동방지홀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고정핀에 의해 상기 버팀보의 길이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버팀보의 말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무판은 상기 두 버팀보 말단부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상면수평고무판과 상기 상면수평고무판 중앙에서 하방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두 단부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수직고무판을 포함하여 T자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판의 상기 볼트통과홀은 상기 중앙수직고무판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면수평고무판이 상기 두 버팀보 말단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놓여지면 상기 고무판의 상기 볼트통과홀이 상기 두 단부판의 단부판 볼트홀과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각 버팀보는 한쌍의 날개부와 상기 각 날개부를 연결하는 기둥부로 이루어지고, 좌굴방지를 위해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양측공간으로는 다수의 강관이 균등하게 배치되되, 상기 각 강관은 용접으로 버팀보에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두 버팀보는 각각 양측 단부에서 상기 단부판을 구비하되,서로 연결된 상기 두 버팀보의 길이방향 외측에 위치한 외측 단부판으로서, 제1 버팀보의 외측 단부판은 흙막이벽 가시설의 띠장에 결합되고, 제2 버팀보의 외측 단부판은 흙막이벽 가시설의 선행하중잭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버팀보의 외측 단부판과 띠장 사이 및 상기 제2 버팀보의 외측 단부판과 선행하중잭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외측 고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eventh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wall using a brace support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nd for this purpose, digging the ground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and, Press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H-beams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pposite wall surfaces of the excavated ground;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belt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beams, wherein the belts are bolted to the H-beams. Engaging in a fastening manner; And continuous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ed brac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bands and the band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pposing wall surfaces, or between the preload jacks coupled to the bands and the band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Comprising, but the connected brace has an end plate formed to close the end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the end plate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wo braces configured to abut each other; one or more pairs of end plate bolt holes formed to penetrate the end plates of the two braces disposed to abut each other; and two end plates disposed between the end plates of the two braces. A rubber plate having a pair of bolt through holes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therewith, and the end plate bolts provided at the two end plates. And by being fastened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rubber pad fixing bolt for interlocking the two beotimbo and lock nut; And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coupled from both upper and lower ends to the distal ends of the two braces fix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two end plates fixed to each other, wherein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brace, or The connecting portion upper surface or the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the connecting portion sid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upper surface or the lower side or upper side, respectively, from the lower end or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side A connecting bracket part extending outward with respect to the brace and a reinforcing bracket part formed to reinforce structural strength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art side and the connecting bracket part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art side and the connecting bracket part, One reinforcement bracket part An upper connection bolt hole is formed, and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and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two support beams interposed by the connection bolt and the connection nut, so that the distal ends of the support beams can be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in parallel And one or more pinhole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upper surface or the connecting portion, and one or more pinhole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tal end portion, and a movement prevent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pinhole is provided, and one or more of the upper or lower connecting portion is the pinhole. And a top horizontal rubber plat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brace so that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brace is prevented by a fixing pin inserted to penetrate the connection movement preventing hole, and the rubber plat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s of the two brace ends.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top horizontal rubber sheet And a T-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a central vertical rubber plate formed between the two end plates, wherein the bolt through hole of the rubber plate is provided in the central vertical rubber plate, so that the upper horizontal rubber plate is disposed at the two end portions of the two support beams. When placed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lt through hole of the rubber plate is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end plate bolt holes of the two end plates, each brace consists of a pair of wings and a pillar portion connecting each wing In order to prevent buckling, a plurality of steel pipes are evenly disposed in both spaces around the pillar, and each steel pipe includes a buttress connection structure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uttress by welding. Having an end plate, the outer side of which is located longitudinally outward of the two braces As end plate, the outer end plate of the first brace is coupled to the band of the retaining wall fixture, the outer end plate of the second brace is coupled to the preceding load jack of the retaining wall fixture, and the outer end plate and the strip of the first brace And an outer rubber plate disposed between and between the outer end plate of the second brace and the preload ja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강관을 버팀보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압축강도에 버티는 힘이 극대화 되고 구조단면이 증가되며 좌굴에 대한 저항성능이 강화되어 2열 버팀보 구간을 1열로 구성하게 하여 자재가 절감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버팀보의 날개부로 인해 가시설 현장에서 버팀보 설치 및 해체 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oil barrier construction using the brace support connection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steel pipes into the brace, the force to sustain the compressive strength is maximized, the structural section is increased and the resistance to buckling is improved. It is strengthened so that two rows of braces can be configured in one row, which saves material and reduces construction time. In addition, due to the wing portion of the brac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brace support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in the temporary site.
또한 볼팅 개소를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면서도 종래와 동등한 수준으로 견고하게 버팀보들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bolting point to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while connecting the braces to the same level as conventionally.
또한, 버팀보의 단부판들이 변형되어 평평하지 않게 됨으로써, 연결되는 버팀보들이 상호간에 일직선상으로 고정되기 어려운 때에도 이러한 결함을 용이하게 보완하면서 버팀보들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nd plates of the braces are deformed and not flat,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connect the braces while compensating for such defects even when the braces to be connected are difficult to be fixed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또한, 단부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판은 확장/수축성을 보유하고 있어 충격 흡수 효과가 있고 단부판 표면 전체와 고르게 부착됨으로써 단부판의 불규칙한 표면에도 불구하고 집중응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나아가 버팀보의 열변형에 따른 팽창 또는 수축의 영향을 흡수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ubber plates interposed between the end plates have expansion / contraction properties, so that they have a shock absorbing effect and are evenly attached to the entire end plate surface, so that the concentrated stress can be dispersed despite the irregular surface of the end plates. Furthermore, there is an advantage such that it can absorb the effects of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d by thermal deformation of the brac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의 연결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의 시공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흙막이벽 가시설 공사의 시공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A) 및 평면도(B),(C), (D)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rac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4. FIG.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race suppor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a side view (A) and a plan view (B), (B), (C), (D)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construction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b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reinforcemen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rac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본 발명은 좌굴에 대한 저항 성능이 강화될 수 있도록 강관(103)을 포함한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100)에 관한 것이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이를 위해 상기 버팀보(100)는 한쌍의 날개부(102)와 상기 각 날개부(102)를 연결하는 기둥부(101)로 이루어지고, 좌굴방지를 위해 상기 기둥부(101)를 중심으로 양측공간으로는 다수의 강관(103)이 균등하게 배치된다.To this end, the
상기 강관(103)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가 갖고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둥부(101)를 중심으로 양측공간으로 균등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버팀보(100)는 무게 균형과 함께 전체에 걸쳐 균일한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The
이 때 상기 각 강관(103)은 용접으로 버팀보(100)에 일체화된 것으로, 기둥부(101)의 면상 및/또는 날개부(102)의 면상에 다수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이러한 상기 강관(103)은 실시예로 단면이 사각의 형태를 취하지만, 이외에 원형, 및 버팀보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인 H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각 강관(103)은 기둥부(101)를 보강하기 위해 도 1의 (a), (a)와 같이, 기둥부(101)의 양측면에 높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또한 상기 각 강관(103)은 도 1의 (c)와 같이, 기둥부(101)의 양측면은 물론, 날개부(102)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날개부(102)의 내측 면상에 다수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또한 상기 각 강관(103)은 도 2의 (d), (e), (f)와 같이, 2개의 날개부(102)에 맞닿도록 배치하여 기둥부(101)와 날개부(102)의 보강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렇게 강관(103)이 일체화된 버팀보(100)는 압축강도에 버티는 힘이 극대화 되고 버팀보(H빔)의 구조단면이 증가되며 좌굴에 대한 저항성능이 강화되어 선택적으로 2열 버팀보 구간을 1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재가 절감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The
또한 버팀보(100)의 설치 구간이 길 경우, 2개의 연결구조를 1개의 연결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f the installation section of the
한편 상기 강관(103)은 실시예로 버팀보에 용접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볼팅 또는 리벳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reinforcement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버팀보는 강관이 포함된 버팀보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버팀보에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여 언급을 생략하기로 한다.Prior to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ement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inforcement described below in the reinforcement containing the steel pipe i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는 말단부의 단부판(110)이 서로 맞닿도록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두 버팀보(100)와, 두 버팀보(100)의 상기 단부판(110)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판(200), 그리고 상기 두 버팀보의 말단부와 상기 고무판(200)의 둘레에 결합되어 두 버팀보간의 결합을 강화하는 연결부(300)로 이루어진다.The reinforcemen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ubber plate inserted between the two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팀보(100)는 H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또는 양측의 길이방향 단부에 H형강의 말단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단부판(110)이 구비된다. 즉, 단부판(110)은 버팀보(10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버팀보(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상에 버팀보(100)의 말단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부판(110)은 버팀보(100)를 구성하는 H형강의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 판재로 형성된다. 버팀보(100)가 양측으로 모두 다른 버팀보(100)와 연결되는 때에는 양측 단부 모두에 단부판(110)이 구비되고, 일측으로는 다른 버팀보(100)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흙막이벽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일측 단부에만 단부판(110)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상기 단부판(110)에는 단부판(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단부판 볼트홀(113)이 한 쌍 이상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H형강의 웨브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의 단부판 볼트홀(113)이 구비되어 총 한 쌍의 단부판 볼트홀(113)이 구비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요구되는 단부판 사이 결합력의 크기, 분포나 H형강의 사이즈 등에 따라 두 쌍이나 세 쌍의 단부판 볼트홀(113)이 구비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pair of end plate bolt holes 113 formed to penetrate the
연결되는 버팀보(100)들의 서로 맞닿은 단부판(110)들은 상기 단부판 볼트홀(113)을 통과한 고정볼트(117)에 고정너트(119)를 체결함으로써 상호 결합되고, 이로써 인접한 두 버팀보(100)들을 연결하여 버팀보(100)들이 상호간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이때 단부판(110)이 변형되어 휘거나 돌출되거나 찢어진 부위 등이 있는 경우에는, 연결되는 버팀보(100)의 단부판(110)들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하게 되지 못하여 버팀보(100)에 가해지는 하중의 전달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예컨대, 단부판 중 접촉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추가적인 변형이나 파손 발생 가능). 또한, 단부판(110) 표면의 변형에 따른 기하학적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서로 맞닿아서 상호간에 고정되어야 할 단부판(110)들이 소정 범위 내에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이 있는 상태로 결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측 버팀보(100)의 단부판(110) 중앙에 돌출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거나 단부판(110)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휘어진 경우에는, 타측 버팀보(100)의 단부판(110)과 전체적으로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지 못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 유격이 있는 상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이러한 경우에는 하나의 버팀보(100)에 가해진 하중이 이 버팀보(100)에 연결된 인접한 버팀보(100)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므로, 하중이 버팀보(10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지지되지 못하고, 오히려 예를 들어 두 버팀보(100)간의 연결부를 파손시키는 결과를 낳게 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load applied to one
버팀보(100)의 단부판(110)에 이러한 문제가 있는 경우, 버팀보(100) 자체를 문제가 없는 자재로 교체하거나, 아니면 버팀보(100)를 수리하여 단부판(110) 부분을 제거 후에 정상품 단부판을 용접하여 부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법은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거나 추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해결책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If there is such a problem in the
이에 따라, 적어도 버팀보(100)의 단부판(110)의 결함이 일정 정도 이내로 경미한 경우에는 추가 비용 발생이나 추가 작업시간 발생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부판(110) 결함 해결방안이 필요하다.Accordingly, when at least the defect of the
이에 부응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 버팀보(100)의 상기 단부판들(110)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단부판(110)에 탄력 있게 밀착되는 고무판(200)을 구비한다. 고무판(200)은 그 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맞닿는 양측의 단부판(110)에 존재하는 휘거나 돌출되거나 하는 등의 변형 부위에도 불구하고 단부판(110)과 전체적으로 고르게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버팀보(100)를 통해 단부판(110)에 전달되는 하중을 인접한 연결된 버팀보(110)로 충실히 전달해줄 수 있게 된다.In response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서로 연결되는 버팀보(100)의 단부판들(110) 사이의 틈새가 균일하지 못하여 버팀보(100)들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다소간의 각도가 발생하게 되어 버팀보(100)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도, 두 버팀보(100)의 단부판(110)들 사이에 고무판(200)을 삽입하고, 두 단부판(110)을 상기 고정볼트(117) 및 고정너트(119)에 의해 상호 결합하되 연결되는 두 버팀보(100)들이 서로 일직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 고정볼트(117)와 고정너트(119)의 체결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두 버팀보(100)들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무판의 재질 특성상, 좀더 많이 조여지는 부위의 고무판 부분의 일부 체적이 좀 덜 조여지는 부위로 사실상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두 단부판들(110) 사이의 틈새의 광협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사이의 고무판(200)의 밀도 분포와 고무판(200)에 의한 단부판들(110)의 연결 및 지지효과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달리 말하면, 단부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판(200)은 단부판(110) 표면 전체와 고르게 부착됨으로써 단부판(110)의 불규칙한 표면에도 불구하고 집중응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판(200)의 확장/수축성은 충격 흡수 효과로 연결되고, 나아가 버팀보(100)의 열변형에 따른 팽창 또는 수축의 영향을 흡수하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단부판들(110) 사이에 고무판(200)을 구비함으로써, 연결되는 버팀보(100)의 단부판들(11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철강제 버팀보(100)간의 마찰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other words, the
고무판(200)이 단부판들(110)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볼트(117) 및 고정너트(119)에 의해 단부판들(110)과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판(200)에는 단부판(110)의 상기 단부판 볼트홀(113)에 대응되는 위치, 크기 및 개수로 형성된 한 쌍 이상의 볼트통과홀(210)이 구비된다.In order for the
이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117)는, 두 단부판(110)에 구비된 상기 단부판 볼트홀(113)과 두 단부판(110) 사이에 삽입된 고무판(200)에 구비된 상기 볼트통과홀(210)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너트(119)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두 단부판(110)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두 단부판(110)이 부착된 인접한 두 버팀보(100)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xing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도 4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4.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흙막이벽 가시설 공사의 시공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A) 및 평면도(B)이다.상기 고무판(200)을 두 단부판(110) 사이에 삽입할 때에, 고무판(200)의 볼트통과홀(210)을 단부판(110)의 단부판 볼트홀(113)과 맞추고 그 상태로 고정볼트(117) 및 고정너트(119)를 체결할 때까지 유지하는 것도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두 단부판(110)의 단부판 볼트홀(113) 위치를 서로 맞추는 것은 버팀보(100)들을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지그 또는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수행할 수 있으나, 고무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지그나 받침대 등을 두 단부판(110) 사이에 구비하기에는 공간상 제약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Figure 5 is a side view (A) and a plan view (B)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construction wall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erted between the 110, the bolt through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무판(200)을 두 단부판(110)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수직고무판(230)과 상기 중앙수직고무판(230)의 상단에서 양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면수평고무판(250)으로 이루어져 T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판(200)은 상면수평고무판(250)이 서로 연결되는 두 버팀보(100) 말단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말단부 상부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중앙수직고무판(230)은 상기 상면수평고무판(250)의 중앙에서 하방 연장되어 형성된 형태가 되므로, 연결되는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 자체가 일종의 지그 또는 받침대로 작용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경우 상기 고무판(200)의 상기 볼트통과홀(210)은 상기 중앙수직고무판(230)에 구비될 것이고, 그 위치는 상기 상면수평고무판(250)이 버팀보(100) 말단부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놓여진 때에 상기 볼트통과홀(210)이 두 단부판(110)의 단부판 볼트홀(113)과 일치하도록 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lt through
이하 상기 도 3 내지 도 5과 함께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의 연결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long with FIGS. 3 to 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의 연결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race suppor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고무판(200)과 고정볼트(117) 및 고정너트(119)에 의해, 부분적인 변형이 있는 단부판(110)을 가진 버팀보(100)들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당한 토압이 가해지는 흙막이벽(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해야 하는 버팀보(100)의 역할을 생각할 때, 상기 고무판(200), 고정볼트(117) 및 고정너트(119) 만으로는, 흙막이벽으로부터 가해지는 상당한 하중에도 서로 연결된 버팀보(100)들이 일직선상으로 유지되며 그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the
이에 따라, 인접한 부 버팀보(100)의 연결 부위를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단으로서, 상호 고정된 두 단부판(110)을 감싸도록, 서로 고정된 상기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에 상하 양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연결부(310, 330)로 이루어진 연결부(300)를 구비한다.Accordingly, a means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acent
상기 상측 연결부(310)는, 버팀보(100) 말단부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연결부상면(313), 상기 연결부상면(313)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버팀보(100) 말단부의 측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측면(315), 상기 연결부측면(315)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버팀보(100)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브래킷부(317), 및 상기 연결부측면(315)과 연결브래킷부(317)의 양단에서 상기 연결부측면(315)과 연결브래킷부(317)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조강도를 보강하도록 형성된 보강브래킷부(3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기 하측 연결부(330)는, 버팀보(100) 말단부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연결부하면(333), 상기 연결부하면(333)의 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버팀보(100) 말단부의 측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측면(335), 상기 연결부측면(335)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버팀보(100)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브래킷부(337), 및 상기 연결부측면(335)과 연결브래킷부(337)의 양단에서 상기 연결부측면(335)과 연결브래킷부(337)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조강도를 보강하도록 형성된 보강브래킷부(3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lower connecting
상기 보강브래킷부(319, 339)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볼트홀(350)이 형성되어, 연결부볼트(353) 및 연결부너트(355)에 의해 상기 상측 연결부(310)와 상기 하측 연결부(330)가 두 버팀보(100)의 상기 말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결합됨으로써, 연결된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곧, 연결된 상기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상하좌우로 평행이동하거나 회전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서로간에 구속되는 것을 뜻한다.One or more
더욱이, 상기 연결부상면(313) 또는 연결부하면(333)에는 일측에 하나 이상의 핀홀(357)이 구비되고, 상기 버팀보(100) 말단부 일측에는 상기 핀홀(357)에 대응하는 연결부 이동방지홀(120)이 구비되며, 상기 핀홀(357) 및 연결부 이동방지홀(120)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고정핀(359)에 의해, 상기 상측 연결부(310) 또는 하측 연결부(330)가 상기 버팀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속되어 상기 버팀보(100)의 말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359)에 의한 구속은 필요에 따라 상기 상측 연결부(310) 또는 하측 연결부(330) 중 한 쪽에만 구현할 수도 있고, 양측 모두에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connection part
고정핀(359)을 핀 형태가 아니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구비하고 H형강 내측에서 삽입된 고정핀(359)의 단부에 고정핀 너트(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함으로써, 고정핀(359) 및 고정핀 너트에 의해 연결부(300)가 H형강으로 이루어진 버팀보(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고정핀(359)이 상하측 연결부(310, 330)) 모두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측에 위치된 고정핀(359)의 이탈 또는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측에 위치되는 고정핀(359)은 고정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볼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ixing
상기 연결부 이동방지홀(120)과 상기 핀홀(357)은 H형강의 웨브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상면(313) 또는 연결부하면(333)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그 개수는 필요한 전단강도 등을 고려하여 1-4개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2개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상면(313) 또는 연결부하면(333)의 대각선 방향 2개소에 형성될 수 있고, 4개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상면(313) 또는 연결부하면(333)의 네 귀퉁이 부근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한편, 상기 고무판(200) 대신에 적절한 두께의 폼테이프(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폼테이프는 예를 들어 아크릴 폼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폼테이프는 우수한 점착력/접착력과 함께 뛰어난 내열성과 내후성을 가지고, 탁월한 유연성과 확장/수축성을 보유하여, 손상되어 불규칙한 표면을 가지는 단부판(110)에 부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Meanwhile, instead of the
고무판(200)을 폼테이프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하려는 버팀보(100)의 서로 맞닿게 될 단부판(110) 중 하나에 먼저 폼테이프를 부착한 다음, 다른 단부판(110)을 폼테이프의 노출된 접착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고무판(200)의 경우와 달리 버팀보(100)에 대해 폼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나 특별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즉, 폼테이프의 경우에는 고무판의 상면수평고무판(250)과 같은 보조지지수단이 불필요하다.When the
또한, 폼테이프는 고무판(200)의 볼트통과홀(210)과 마찬가지로 단부판(110)의 단부판 볼트홀(113)에 대응하는 볼트통과홀(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볼트(117)가 폼테이프에 불필요하게 점착되는 일 없이 고정너트(119)와 체결되어 양측의 단부판들(110)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am tape has a bolt passing ho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end
또는, 이와 달리 양측의 버팀보(100)를 고정볼트(117)와 고정너트(119)를 사용하지 않고 폼테이프만으로 상호간에 접착되도록 한 다음, 연결부(300)에 의해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들을 함께 감싸서 고정지지함으로써, 두 버팀보(100)가 일직선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구성은 단부판들(110)간의 연결부위의 연결강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제한적으로만 활용가능할 것이다.Alternatively, instead of using the fixing
폼테이프가 전적으로 고무판(200)을 대신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고무판(200)을 사용하면서 폼테이프를 고무판(200)에 부분적으로 덧대는 방식으로 폼테이프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폼테이프는 고무판(200)의 중앙수직고무판(230) 양측에 부착되어 양측의 버팀보(100)의 단부판(110)에 각각 접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폼테이프의 특성과 고무판의 특성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작업공정단계가 늘어나고 비용이 다소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The foam tape does not replace the
이하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7 to 9 looks at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enware temporary construction using the support structur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의 시공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흙막이벽 가시설 공사의 시공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A) 및 평면도(B),(C),(G)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quake temporary construction using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the support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A) and a plan view (B), (B), (C), (G)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construction wall constructio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wall construction u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는 다음 순서로 시공될 수 있다.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in the following order.
우선 서로 연결하려는 두 버팀보(100)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위치 및 각도에 맞추어 지그나 받침대 위에 배치한다. 지그나 받침대가 마땅치 않은 경우에는 평평한 지면위에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두 버팀보(100)의 단부판(110)들은 고무판(20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남겨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두 버팀보(100)를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S110, 도 7(A) 참조).First, the two
이어서, 두 단부판(110) 사이에 T자형 단면의 고무판(200)을 삽입하여 버팀보(100) 말단부의 단부판(110)의 결함이 보완될 수 있도록 한다(S120, 도 5(A) 및 도 5(B) 참조).Subsequently, a
다음으로 고정볼트(117) 및 고정너트(119)를 체결하여 단부판(110)들과 고무판(200)을 견고하게 결합한다(S130, 도 7(A) 및 도 7(B) 참조).Next, the fixing
이로써, 두 버팀보(100) 간의 직접적인 연결은 완료되었으며, 이제 연결부위 보강을 위하여 연결부(300)를 결합한다. 즉,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 상하측에서 각각 상측 연결부(310)와 하측 연결부(330)를 끼우고 연결부볼트(353) 및 연결부너트(355)에 의해 상측 연결부(310)와 하측 연결부(330)를 결합하여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 연결부위를 보강한다(S140, 도 7(C) 및 도 7(D) 참조).As a result,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two
마지막으로, 고정핀(359)으로 연결부(300)를 버팀보(100)에 고정시켜서, 연결부(300)가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 연결부위를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구속한다(S150, 도 7(C) 및 도 7(D) 참조).Finally, by fixing the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S110단계의 이전에, 두 버팀보는 각각 좌굴방지를 위해 기둥부를 중심으로 양측공간으로는 다수의 강관이 균등하게 배치되되, 상기 각 강관은 용접으로 버팀보에 일체화되어 시키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7, before the step S110, the two braces, respectively, in order to prevent the buckling, the two sides spaced around the column portion evenly arranged a plurality of steel pipes, each steel pipe is welded to the braces to be integrated The process must be preceded.
이상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의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enware temporary construction us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도시된 실시예에서, H형강으로 이루어지고 H형강의 플랜지 사이에 용접 고정된 스티프너(430)를 구비하며 보걸이(440)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는 띠장(420)이 흙막이벽(410)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고, 띠장(420)의 외측면(흙막이벽(410)에서 먼 쪽에 위치한 면)에 H형강으로 이루어진 제1 버팀보(100a)의 외측 단부판(460)이 결합됨으로써, 제1 버팀보(100a)가 제1 흙막이벽(410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띠장(420)에 고정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상기 제1 흙막이벽(410a)의 대향측에 위치한 제2 흙막이벽(410b)에도 위와 동일하게 띠장(420)이 상기 제2 흙막이벽(410b)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되, H형강으로 이루어진 제2 버팀보(100b)의 외측 단부판(460)이 띠장(420)의 외측면에 직접 결합되지 아니하고, 선행하중잭(450, Prestress Jack)을 거쳐서 결합된다. 선행하중잭(45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버팀보(100)에 충분한 축하중을 인가함으로써 버팀보(100)와 띠장(420)의 연결 부위와, 버팀보들(100) 사이의 연결 부위의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는 한편 흙막이벽(410)에 소정의 선행하중이 가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선행하중잭(450)에 의한 선행하중을 인가하기 이전에 양측의 버팀보들(100a, 100b)은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부볼트(353)와 연결부너트(350)에 의한 상측 연결부(310)와 하측 연결부(330)의 결합과 고정핀(359)에 의해 연결부(300)가 버팀보(100a, 100b)에 고정된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A)에서는 두 버팀보(100a, 100b)의 단부판(110)과 그 단부판들(110) 사이에 삽입된 고무판(200)을 나타내기 위하여 연결부(300)를 마치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개체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Before applying the preceding load by the preceding
한편,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로 연결된 두 버팀보(100)의 길이방향 외측에 위치된 두 버팀보(100)의 단부판(110)인 외측 단부판(460)이 각각 흙막이벽 가시설의 띠장(420) 또는 선행하중잭(450)과 맞닿아서 결합되는 바, 상기 외측 단부판(460) 역시 상기 연결부(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내측 단부판(110)과 마찬가지로 반복되는 사용 중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띠장(420) 또는 선행하중잭(450)과의 결합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변형이 발생한 단부판(110)들간 결합시의 문제점이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the outer end plate 460, which is th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버팀보(100a)의 외측 단부판(460)과 띠장(420) 사이에, 또한 상기 제2 버팀보(100b)의 외측 단부판(460)과 선행하중잭(450) 사이에 상기 고무판(2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외측 고무판(47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외측 고무판(470)에 대해서는 고무판(200)에 관한 상기 설명과 한정들이 모두 동일하게 또는 적절한 변형을 가하여 적용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etween the outer end plate 460 and the
즉, 상기 제1 및 제2 버팀보(100a, 100b)를 각각 띠장(420) 또는 선행하중잭(450)과 연결할 때에도,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및 제2 버팀보(100a, 100b)의 외측 단부판(460)을 띠장(420) 또는 선행하중잭(450)의 측면과 맞붙여 볼트로 체결하는데, 이 때에 외측 고무판(470)이 불규칙한 버팀보 외측 단부판(460)으로 인한 들뜸부위를 채워주는 역할을 하여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That is, even when the first and
또한 도 10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띠장에도 버팀보(100)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0, even in the strip of various forms can be installed effectively the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와 그 연결구조를 이용한 띠장-버팀보 시공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 of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 belt-supporte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s to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버팀보
100a : 제1 버팀보 100b : 제2 버팀보
101: 기둥부 102: 날개부
103: 강관 110 : 단부판
113 : 단부판 볼트홀 117 : 고정볼트
119 : 고정너트 120 : 연결부 이동방지홀
200 : 고무판 210 : 볼트통과홀
230 : 중앙수직고무판 250 : 상면수평고무판
300 : 연결부 310 : 상측 연결부
313 : 연결부상면 315 : 연결부측면
317 : 연결브래킷부 319 : 보강브래킷부
330 : 하측 연결부 333 : 연결부하면
335 : 연결부측면 337 : 연결브래킷부
339 : 보강브래킷부 350 : 연결부 볼트홀
353 : 연결부볼트 355 : 연결부너트
357 : 핀홀 359 : 고정핀
410 : 흙막이벽 410a : 제1 흙막이벽
410b : 제2 흙막이벽 420 : 띠장
430 : 스티프너 440 : 보걸이
450 : 선행하중잭 460 : 외측 단부판
470 : 외측 고무판100: brace
100a:
101: pillar portion 102: wing portion
103: steel pipe 110: end plate
113: end plate bolt hole 117: fixing bolt
119: fixing nut 120: connection movement prevention hole
200: rubber plate 210: bolt through hole
230: center vertical rubber plate 250: top horizontal rubber plate
300: connection part 310: upper connection part
313: connecting portion side 315: connecting portion side
317: connecting bracket portion 319: reinforcing bracket portion
330: lower connecting portion 333: connecting portion
335: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337: connection bracket portion
339: reinforcement bracket 350: connection bolt hole
353: Connection bolt 355: Connection nut
357: pinhole 359: fixing pin
410: retaining
410b: second retaining wall 420: strip
430: Stiffener 440: Hanger
450: preload jack 460: outer end plate
470: outer rubber plate
Claims (8)
굴착된 지반의 대향하는 양측 벽면에 다수의 H형강을 소정 간격으로 지반에 압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H형강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띠장(420)을 설치하되, 상기 띠장(420)은 상기 H형강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단계; 및
상기 대향하는 벽면에 각각 배치된 띠장(420)과 띠장(420) 사이에, 또는 띠장(420)에 결합된 선행하중잭(450)과 대향측에 위치한 띠장(420) 사이에, 다수의 연결된 버팀보(100)를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된 버팀보(100)는,
양측 단부에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상에 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단부판(110)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단부판(110)들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된 두 버팀보(100);
서로 맞닿도록 배치된 상기 두 버팀보(100)의 상기 단부판(110)들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한 쌍 이상의 단부판 볼트홀(113);
상기 두 버팀보(100)의 상기 단부판(110)들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단부판(110)에 탄력 있게 밀착되고 한 쌍 이상의 볼트통과홀(210)을 구비한 고무판(200);
상기 두 단부판(110)에 구비된 상기 단부판 볼트홀(113)과 상기 고무판(200)에 구비된 상기 볼트통과홀(210)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두 버팀보(100)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17) 및 고정너트(119); 및
상호 고정된 두 단부판(110)을 감싸도록, 서로 고정된 상기 두 버팀보(100)의 말단부에 상하 양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연결부(310, 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 연결부(310) 및 하측 연결부(330)는, 버팀보(100) 말단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각각 대응하는 연결부상면(313) 또는 연결부하면(333), 상기 연결부상면(313) 또는 연결부하면(333)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또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버팀보(100) 말단부의 측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측면(315,335), 상기 연결부측면(315,335)의 하단 또는 상단으로부터 상기 버팀보(100)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브래킷부(317,337), 및 상기 연결부측면(315,335)과 연결브래킷부(317,337)의 양단에서 상기 연결부측면(315,335)과 연결브래킷부(317,337)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조강도를 보강하도록 형성된 보강브래킷부(319,3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브래킷부(319,339)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볼트홀(350)이 형성되어, 연결부볼트(353) 및 연결부너트(355)에 의해 상기 상측 연결부(310)와 상기 하측 연결부(330)가 두 버팀보(100)의 상기 말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버팀보(100)의 말단부들이 상하좌우로 평행이동하거나 회전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연결부상면(313) 또는 연결부하면(333)에는 일측에 하나 이상의 핀홀(357)이 구비되고, 상기 버팀보(100) 말단부 일측에는 상기 핀홀(357)에 대응하는 연결부 이동방지홀(120)이 구비되며, 상기 상측 연결부(310) 또는 하측 연결부(330)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핀홀(357) 및 연결부 이동방지홀(120)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고정핀(359)에 의해 상기 버팀보(100)의 길이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버팀보(100)의 말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무판(200)은 상기 두 버팀보(100) 말단부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상면수평고무판(250)과 상기 상면수평고무판(250) 중앙에서 하방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두 단부판(110)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수직고무판(210)을 포함하여 T자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판(200)의 상기 볼트통과홀(210)은 상기 중앙수직고무판(210)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면수평고무판(250)이 상기 두 버팀보(100) 말단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놓여지면 상기 고무판(200)의 상기 볼트통과홀(210)이 상기 두 단부판(110)의 단부판 볼트홀(113)과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두 버팀보(100)는 한쌍의 날개부(102)와 상기 각 날개부(102)를 연결하는 기둥부(101)로 이루어지고, 좌굴방지를 위해 상기 기둥부(101)를 중심으로 양측공간으로는 다수의 강관(103)이 균등하게 배치되되, 상기 각 강관(103)은 용접으로 버팀보(100)에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버팀보(100) 연결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두 버팀보(100)는 각각 양측 단부에서 상기 단부판(110)을 구비하되,
서로 연결된 상기 두 버팀보(100)의 길이방향 외측에 위치한 외측 단부판(460)으로서, 제1 버팀보(100a)의 외측 단부판은 흙막이벽 가시설의 띠장(420)에 결합되고, 제2 버팀보(100b)의 외측 단부판(460)은 흙막이벽 가시설의 선행하중잭(450)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버팀보(100a)의 외측 단부판(460)과 띠장(420) 사이 및 상기 제2 버팀보(100b)의 외측 단부판(460)과 선행하중잭(45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외측 고무판(4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Excavating the ground for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wall construction;
Press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H-beams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pposite wall surfaces of the excavated ground;
Installing a plurality of strips 42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beams, the strips 420 being coupled to the H-beams in a bolted manner; And
A plurality of connected braces between the band 420 and the band 420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pposing wall, or between the preload jack 450 coupled to the band 420 and the band 42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Continuously arranging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connected brace 100 is,
Two braces 100 having end plates 110 formed to close the ends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and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end plates 110 abut each other. );
One or more pairs of end plate bolt holes 113 formed to penetrate the end plates 110 of the two braces 100 disposed to abut each other;
A rubber plate (200) disposed between the end plates (110) of the two braces (100) to b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 plates (110) and having at least one pair of bolt through holes (210);
The end plate bolt hole 113 provided in the two end plates 110 and the bolt through hole 210 provided in the rubber plate 200 is fastened to fasten the two braces 100 to mutually fixed Bolt 117 and fixing nut 119; And
To surround the two end plates 110 fixed to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310 and 330 couple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two braces 100 fixed to each other;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10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330, the connecting portion upper surface 313 or connecting portion 333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distal end 100,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ortion upper surface 313 or lower surface Connecting side surfaces 315 and 335 extending downwardly or upwardly from both ends of 333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distal ends of the brace 100,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side surfaces 315 and 335 with respect to the brace 100, respectively. Connection brackets 317 and 337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on side surfaces 315 and 335 and the connection bracket parts 317 and 337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side surfaces 315 and 335 and the connection bracket portions 317 and 337, respectively. Reinforcing brackets formed to reinforce the strength (319,339) including,
One or more connection part bolt holes 350 are formed in the reinforcing bracket parts 319 and 339, and the upper connection part 310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330 are formed by two connection bolts by the connection part bolt 353 and the connection part nut 355.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distal end portion of 100)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race 100 is prevented from moving up and down parallel left or right,
One or more pinholes 357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upper surface 313 or the connection bottom surface 333, and one connection preventing movement hole 120 corresponding to the pinhole 357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istal end 100. At least on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10 or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330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357 and the connecting portion movement preventing hole 120 by a fixing pin 359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e 100.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brace 100 to prevent movement,
The rubber plate 20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horizontal rubber plate 250 and the upper horizontal rubber plate 250 which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wo end portions of the two support (100) and between the two end plates (110) It is made to have a T-shaped cross-section including the central vertical rubber plate 210 is located in, the bolt through hole 210 of the rubber plate 200 is provided in the central vertical rubber plate 210, the upper horizontal rubber plate ( When the 25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wo support (100) so that the bolt through hole 210 of the rubber plate 200 coincides with the end plate bolt hole 113 of the two end plate 110 Are located,
The two braces 100 are composed of a pair of wing portions 102 and pillar portions 101 connecting the respective wing portions 102 to both sides of the pillar portion 101 to prevent buckling. Is a plurality of steel pipes 103 are equally arranged, each steel pipe 103 include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upport 100 is made integrally to the support 100 by welding,
The two braces 100 are each provided with the end plate 110 at both ends,
As the outer end plate 460 located in the longitudinal outer side of the two braces 100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uter end plate of the first brace 100a is coupled to the strip 420 of the retaining wall temporary fixture, the second brace 100b The outer end plate 460 of the) is coupled to the preceding load jack 450 of the retaining wall temporary fixture,
An outer rubber plate disposed between the outer end plate 460 and the strip 420 of the first brace 100a and between the outer end plate 460 and the preceding load jack 450 of the second brace 100b, respectively. Tempered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 using a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47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092457 | 2018-08-08 | ||
KR1020180092457 | 2018-08-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7897B1 true KR102047897B1 (en) | 2019-12-02 |
Family
ID=6884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1129A KR102047897B1 (en) | 2018-08-08 | 2018-10-30 | Construc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retaining wall using strut connecting structur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7897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0777A (en) * | 2004-05-19 | 2005-11-24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Coupl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 |
KR100812338B1 (en) * | 2006-09-11 | 2008-03-11 | 김일 | Temporary prestress system for transmit prestress to land side protection wall |
KR20100042830A (en) * | 2008-10-17 | 2010-04-27 | 남광토건 주식회사 | Flange-reinforced composite member and strut structure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KR101003039B1 (en) | 2008-10-07 | 2010-12-21 | (주)피에스테크 |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KR20130061536A (en) * | 2011-12-01 | 2013-06-11 | 주식회사 포스코 | Connection apparatus of steel pipe for strut, steel pipe strut using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eel pipe strut |
KR20130112387A (en) * | 2012-04-04 | 2013-10-14 | (주)피에스테크 | Apparatus for connecting struts using end plate |
-
2018
- 2018-10-30 KR KR1020180131129A patent/KR10204789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0777A (en) * | 2004-05-19 | 2005-11-24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Coupl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 |
KR100812338B1 (en) * | 2006-09-11 | 2008-03-11 | 김일 | Temporary prestress system for transmit prestress to land side protection wall |
KR101003039B1 (en) | 2008-10-07 | 2010-12-21 | (주)피에스테크 |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KR20100042830A (en) * | 2008-10-17 | 2010-04-27 | 남광토건 주식회사 | Flange-reinforced composite member and strut structure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KR20130061536A (en) * | 2011-12-01 | 2013-06-11 | 주식회사 포스코 | Connection apparatus of steel pipe for strut, steel pipe strut using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eel pipe strut |
KR20130112387A (en) * | 2012-04-04 | 2013-10-14 | (주)피에스테크 | Apparatus for connecting struts using end pl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9440B1 (en) | Steel pipe strut having an enclosure connector | |
CA2017669C (en) | Curtain wall for a building | |
KR101728700B1 (en) | Reinforcement apparatus for earth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and temporary structure having the same | |
US4911582A (en) | Concrete replacement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ll | |
US8359793B2 (en) | Earthquake force absorption system | |
KR102243984B1 (en) | Non-supporting formwork system for retaining wall using self-supporting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57775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struts using end plate | |
KR100698878B1 (en) | Y Type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s | |
KR101500144B1 (en) | Arched wider width wale and wale structure by using of it | |
KR100908321B1 (en) | Prestress composition wale construction method for sheathing work | |
KR101212653B1 (en) | Connector for multi-row steel stru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US6984092B1 (en) | Corner connection for temporary shoring | |
KR20180137268A (en) | Aseismatic Reinforcement Steel Frame with Friction Slip Brac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 |
KR101908356B1 (en) | Aseismatic Reinforcement Double Steel Fram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 |
KR101845717B1 (en) | Aseismatic Reinforcement Steel Frame with Hinge Type Friction Slip Brac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 |
KR101026583B1 (en) | A wale system for supporting earth retaining wall | |
KR102047897B1 (en) | Construc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retaining wall using strut connecting structur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1528248B1 (en) | Tetragonal lattice girders and reinforce method for cutting surface of tunnel using the same | |
KR101991938B1 (en) | Device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and Methods | |
JP2021092029A (en) | Existing tunnel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2008991B1 (en) | supporting system for strut using wale girders with plural row | |
KR101129017B1 (en) | Steel strip-strut structurte with its strip having wider width for underground retaining wall | |
KR20180090231A (en) | Device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and Methods | |
KR102005848B1 (en) | Earthquake resistant tower for power transmission line | |
KR102680017B1 (en) | Strut structrue for temporary facilit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