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085B1 -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085B1
KR102047085B1 KR1020190092719A KR20190092719A KR102047085B1 KR 102047085 B1 KR102047085 B1 KR 102047085B1 KR 1020190092719 A KR1020190092719 A KR 1020190092719A KR 20190092719 A KR20190092719 A KR 20190092719A KR 102047085 B1 KR102047085 B1 KR 102047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ring
attachment
dental attachment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수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메디
Priority to KR102019009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poly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C" 형상 링 부재(C-ring)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원형 기둥이 형성된 상단부를 갖도록 구성되며, 치과용 어태치먼트와 결합이 가능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원형 기둥에 장착이 가능한 탄성 폴리머 소재의 "C" 형상 링 부재(C -ring)를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 및 "C" 형상 링 부재(C-ring)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에 형성된 기둥의 외경부에 탄성 폴리머 소재의 "C" 형상 링 부재(C-ring)가 결합되어 볼 어버트먼트의 형상을 이루어 치과용 어태치먼트와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Abutments for dental attachment}
본 발명은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시술 후 틀니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고, 하부는 치조골에 매식되는 매식체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가진 구조이며, 상부는 폴리머 재질로 가공된 "C" 형상 링 부재(C-ring) 형태의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장착된 C-ring 부위는 구의 형태가 되어 틀니에 삽입되는 어태치먼트와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무치악 환자의 저작능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틀니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주로 틀니를 식사나 외출 시에 장착하고 수면 시에는 다시 탈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때 식립된 임플란트에 탈부착이 용이 하도록 볼 형태의 상부보철물을 체결하여 사용하고 틀니부위에는 리테이너나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메탈과 메탈간의 결합은 구 형태의 암수 결합이 어려우므로 실리콘이나 NBR 재질의 고무를 링 형태로 리테이너에 삽입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무치악 환자에게 사용되는 어버트먼트는 금속재질의 어버트먼트 상단부를 볼 형태로 가공하여 틀니에 삽입된 리테이너와 체결하여 사용하고 구조이며, 리테이너와 볼어버트먼트의 결합을 위해서 틀니에 삽입되는 리테이너에 고무 o-ring을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틀니 장착시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에 따라 기울어진 볼어버트먼트의 방향에 맞추어 장착하기가 까다로우며, 틀니를 탈 부착할 때 강한 힘이 필요하기도 하다.
또한, 탈부착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고무 o-ring이 손상되거나 찢어지는 경우도 있어서 고무 o-ring을 다시 빼내고 장착해야 하므로 환자가 병원을 자주 내원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무치악 환자들은 대부분 장기적으로 저작운동을 할 수 없으므로 골소실이 야기되고, 부족한 골량으로 인해 임플란트 식립 시에 일정한 방향으로 식립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가 한 쪽으로 많이 기울어진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때 틀니에 장착되는 리테이너는 반구의 형태를 가지므로 임플란트의 각도가 많이 편향되어 있는 경우 틀니에 장착된 리테이너와 결합하기가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볼어버트먼트로 임플란트의 식립각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볼 하단부에 각도를 부여한 볼어버트먼트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기존 어버트먼트보다 강도가 떨어지므로 특별한 경우 외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1250(등록일자 2013년09월1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무치악 환자의 상부 보철인 볼어버트먼트의 볼 부분에 홈을 내고, PEEK 계열의 재료를 "C" 형상 링 부재(C-ring) 형상으로 가공하여, 어버트먼트의 상단 홈 부분에 장착함으로써, 상부 어태치먼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장착 각도가 커도 쉽게 장착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강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C" 형상 링 부재(C-ring)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원형 기둥이 형성된 상단부를 갖도록 구성되며, 치과용 어태치먼트와 결합이 가능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원형 기둥에 장착이 가능한 탄성 폴리머 소재의 "C" 형상 링 부재(C -ring)를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 및 "C" 형상 링 부재(C-ring)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에 형성된 기둥의 외경부에 탄성 폴리머 소재의 "C" 형상 링 부재(C-ring)가 결합되어 볼 어버트먼트의 형상을 이루어 치과용 어태치먼트와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는 하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반구보다 작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는 C-ring 형태의 구조물을 체결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의 최상단부는 우산모양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ring은 구의 형태에서, 상단과 하단을 평면 형태로 가공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ring은 중심부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직선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부는 C-ring 체결이 가능하도록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기둥은 C-ring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C-ring의 홈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부는 C-ring와 결합되었을 때 구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기둥의 상단과 하단의 끝은 평면으로 형성된 면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부는 기둥의 하단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어태치먼트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부의 하단에는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고정체와 결합할 때 사용하는 도구를 체결할 수 있도록 육각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무치악 환자가 사용하는 틀니의 탈부착시 장착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탈부착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폴리머 소재의 C-ring를 결합하여 구의 형태로 어태치먼트에 체결되므로 완충역할을 하여 구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ring이 마모 되었을 때, 어버트먼트의 교환 없이 교체가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용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틀니를 체결할 때 치과용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각도에 구속되지 않고 장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틀니에 고정된 캡과 C-ring 부분의 접촉으로 인하여 생기는 마찰력에 의한 마모 발생이 적고 PEEK 재질로 만들어졌으므로 부식저항성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C-ring에 대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에 장착되어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 대한 모식도,
도 4는 도 1, 도2, 도3에 예시된 부품들이 결합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는, 티타늄으로 제작된 어버트먼트의 하부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고정체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부는 "C" 형상 링 부재(C-ring) 형태의 구조물을 체결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갖도록 구성되고, C-ring을 체결할 수 있도록 홈을 형성시킨 어버트먼트 중심부; 어태치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우산모양의 타원을 형성시킨 어버트먼트 상부; 및 어버트먼트의 중심부에 체결이 가능하고 어태치먼트의 홈부분에 밀착되는 C-ring;을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부는 형성되어 있는 홈의 기둥 외측면과, 기둥 상단 및 기둥 하단이 C-ring과 접촉되어 결합되고, 어버트먼트의 상부는 반구보다 작거나 같은 형상으로 어태치먼트의 홈 부분 일부와 접촉되어 결합되며, 어버트먼트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C-ring은 PEEK(polyetheretherketone) 계열의 폴리머 재질로 가공 되어 어태치먼트의 홈 부분 일부와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C-ring에 대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에 장착되어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에 대한 모식도, 도 4는 도 1, 도 2, 도 3에 예시된 부품들이 결합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도 1에 나타낸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100)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에 장착되어 무치악 환자의 저작을 위한 치과 시술에 사용되고, 틀니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형상의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100)는 탄성 폴리머 소재로 이루어진 "C" 형상 링 부재(C-ring, 200)를 체결할 수 있는 기둥부(110)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탄성 폴리머 소재는 PEEK(polyetheretherketone) 계열의 폴리머 소재이다. PEEK 계열의 폴리머 소재는 금속 소재에 비해 탄성 변형이 용이하여 본 실시예의 조립 구조에 적용하기에 유리하고, 폴리머 소재 중에서 강도가 우수하여 내파손성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어버트먼트의 기둥부(110)는 C-ring(200)과 체결하여 구의 형태가 완성되며, 어태치먼트(300)의 내부홀에 장착이 가능한 형상의 구조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어버트먼트의 기둥부(110)의 상부측 및/또는 하부측에는 C-ring(200)과 결합하여 구의 형상을 완성하기 위한 곡면부를 갖는 요소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의 기둥부(110) 하단에 형성된 지지부(120)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C-ring(200)과 체결되어 구의 형태로 결합되며, 어태치먼트(300)의 각도에 구속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지지부(120)는 어태치먼트(300)의 결합 각도에 변화가 있더라도 간섭되지 않도록 외면과 하부의 연결부(네크부) 형상을 갖는다.
일예로, 치아의 구조 및 임플란트의 식립방향에 따라 틀니안에 어버트먼트의 각도가 달라질 수 있는 경우에 틀니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와의 각도보정이 어려우나 상기 고안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100)에는 어버트먼트의 기둥부(110) 하단에 형성된 지지부(120)로 인해 각도에 구속받지 않고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어버트먼트 중간에 형성된 육각부위(130)는 임플란트 고정체와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100)의 체결시에 사용되는 시술기구의 장착을 위해 형성된 부위이며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산(140)은 임플란트 고정체의 내부홀의 암나사에 체결이 가는하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본 실시예의 도 2에 나타낸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100)에 체결되는 C-ring(200)은 상기 어버트번트의 기둥부(110)의 외측에 C-ring의 내측이 결합되어 구의 형태를 형성시켜 Cap(300)와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단부와 하단부는 평면의 형태이며, 외경부(220)는 잘려진 구의 형태이고, C-ring(200)의 외경부에서부터 시작하는 일자홈(230)과 C-ring(200)의 중심부에 위치한 반원보다 큰 형태의 홈(210)이 형성된 형상의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C-ring(200) 중심부에 형성된 원형의 홈(210)은 어버트먼트 상부 기둥의 외경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의 구조이며, C-ring(200)의 외경부에서부터 시작된 일자 홈은 C-ring(200) 체결 시에 어버트먼트의 기둥에 접촉시켜 외력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 홈(230)이며 외경부(220)는 어버트먼트와 장착 하였을 때 구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형상이다.
본 실시예의 도 3에 나타낸 틀니에 삽입되어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는 어태치먼트(300)는 외경부(310)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틀니에 삽입되어 강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형상이며, 하단부에 형성된 홈(320)은 반구의 형태로 이루어져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기둥에(110)에 결합된 C-ring(200)과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도 4는 틀니용 Cap(300)이 장착된 어버트먼트(100)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틀니에 삽입되는 어태치먼트(300)와 임플란트 고정체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00) 어버트먼트의 기둥부와 체결되는 C-ring(200)을 결합시킨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110: C-ring와 결합되는 기둥부
120: 각도 보정이 가능한 공간
130: 시술기구와 체결되는 육각부
140: 임플란트 고정체와 체결되는 나사부
200: 어버트먼트의 상단 기둥부와 결합되는 PEEK 재질의 C-ring
210: 어버트먼트의 기둥부와 결합되는 원형홈
220: C-ring의 외경부
230: 어버트먼트의 기둥부가 들어가는 일자홈
300: 틀니용 어태치먼트
310: 어태치먼트의 외경 요철부
320: 어태치먼트의 내경 홀

Claims (7)

  1. "C" 형상 링 부재(C-ring)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원형 기둥이 형성된 상단부를 갖도록 구성되며, 치과용 어태치먼트와 결합이 가능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에 형성된 원형 기둥에 장착이 가능한 탄성 폴리머 소재의 "C" 형상 링 부재(C -ring)를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 및 "C" 형상 링 부재(C-ring)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에 형성된 기둥의 외경부에 탄성 폴리머 소재의 "C" 형상 링 부재(C-ring)가 결합되어 볼 어버트먼트의 형상을 이루어 치과용 어태치먼트와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 고정체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방향의 상단부에 기둥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형성된 기둥은 "C" 형상 링 부재(C-ring)의 중심부에 형성된 원형홈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단부 기둥의 아래에 어태치먼트 체결 시 각도 보정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형상 링 부재(C-ring)의 탄성 폴리머 소재는 PEEK(polyetheretherketone) 계열의 폴리머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형상 링 부재(C-ring)는 중심부에 형성된 원형홈이 어버트먼트의 상단에 형성된 기둥의 외경부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형상 링 부재(C-ring)은 상단부와 하단부는 평면 형상이며, 외경부는 구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KR1020190092719A 2019-07-30 2019-07-30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KR102047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19A KR102047085B1 (ko) 2019-07-30 2019-07-30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19A KR102047085B1 (ko) 2019-07-30 2019-07-30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085B1 true KR102047085B1 (ko) 2019-11-20

Family

ID=6872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19A KR102047085B1 (ko) 2019-07-30 2019-07-30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455B1 (ko) * 2006-06-21 2007-12-24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1228449B1 (ko) * 2011-07-12 2013-02-01 (주)지르코리아덴탈랩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311250B1 (ko) 2012-04-06 2013-09-27 김만용 틀니용 어태치먼트
JP2017512580A (ja) * 2014-06-06 2017-05-25 ゼスト、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ー、カンパニーZest Ip Holdings,Llc 歯科アタッチメント・アセンブリのキャップおよび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455B1 (ko) * 2006-06-21 2007-12-24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1228449B1 (ko) * 2011-07-12 2013-02-01 (주)지르코리아덴탈랩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311250B1 (ko) 2012-04-06 2013-09-27 김만용 틀니용 어태치먼트
JP2017512580A (ja) * 2014-06-06 2017-05-25 ゼスト、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ー、カンパニーZest Ip Holdings,Llc 歯科アタッチメント・アセンブリのキャップおよび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0572B2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dental component to a dental implant
JP5480628B2 (ja) 歯科用アタッチメントアッセンブリ及び方法
ES2949681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ntal híbrido fijo
JP2557047B2 (ja) 骨内インプラント
CN108697492B (zh) 可拆卸的种植体结合假体
KR10180859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ES2819224T3 (es) Pilar
US20140011160A1 (en) Abutment system and dental methods
US10507085B2 (en) Structure enabling continuous angular adjustment for fixing a single dental device into an implant
US9072567B2 (en) Super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48668B2 (en) Dental implant, and superstructure therefore
KR102047085B1 (ko)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KR101380919B1 (ko)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장치
US10004576B2 (en) Dental superstructure attaching system and methods for attaching a dental superstructure to a dental implant
KR102203823B1 (ko) PEEK 소재의 C-ring을 결합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KR101909323B1 (ko) 치아 임플란트
KR100839231B1 (ko) 테이퍼 핀으로 체결되는 임플란트 구조
KR20090090894A (ko) 멀티 임플란트
KR20180003080A (ko)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오버덴쳐 시스템
JP2018531713A (ja) 回転防止上部接続部を有する経上皮スリーブを備えた、歯科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補綴部品のセット
BRPI1003125A2 (pt)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parafuso de retenção de prótese dentária
JP2018046902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20180110847A (ko) 임플란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