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053B1 - 수면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수면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053B1
KR102047053B1 KR1020180032463A KR20180032463A KR102047053B1 KR 102047053 B1 KR102047053 B1 KR 102047053B1 KR 1020180032463 A KR1020180032463 A KR 1020180032463A KR 20180032463 A KR20180032463 A KR 20180032463A KR 102047053 B1 KR102047053 B1 KR 10204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teeth
sleep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699A (ko
Inventor
정영민
Original Assignee
정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민 filed Critical 정영민
Priority to KR102018003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61H2033/143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with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esthes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여 숙면을 유도하고, 코골이를 예방하는 등으로 최적의 수면환경을 제공하는 수면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을 감싸는 커버;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클리너; 상기 에어클리너와 커버를 연결하여, 커버의 내부로 정화된 공그기 공급되도록 하는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정화된 공기의 공급으로 주변의 오염된 공기가 커버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고, 정화된 공기와 함께 산소와 습기를 공급하여 최적의 수면환경을 만들어 숙면을 유도한다.

Description

수면용 공기청정기{Air cleaner for deep sleep}
본 발명은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여 숙면을 유도하고, 코골이를 예방하는 등으로 최적의 수면환경을 제공하는 수면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숙면이 보약이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쾌적한 수면은 인간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산업화가 되면서 대기 오염이 심각해 지고 있고, 실내는 통풍이 제한되어 공기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면시 외부에서 유입되 오염물질과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흡입하게 되고, 수면을 취하는 중에 사람의 호흡으로 인해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노가 높아져 쾌적한 수면을 어렵게 한다.
근래에는 실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 클리너가 사용되고 있지만, 에어 클리너가 공기를 정화(즉, 오염물질의 제거)하는 속도와 공간의 범위에 제약이 있어서, 수면시 사용자의 주변에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06-0107648호 "수면 캡슐", 공개특허 제10-2011-0056941호 "산소 공급 기능을 구비한 침대"는 사용자(즉, 수면자)의 몸 전체를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산소를공급하는 공조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부피가 크고, 많은 구성품과 복잡한 구조를 갖는 제품으로서 가격 부담이 크고, 보관과 유지보수 등의 관리가 어렵다.
종래기술은 좁은 수용공간에 사용자가 들어가서 수면을 취하는 구조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고 답답함을 느껴 오히려 수면을 방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하는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소형이고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하며 관리가 용이하고, 수면시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좁은 곳에 갇힌 느낌을 주지 않고, 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수면에 적합한 산소농도와 습도를 갖는 공기를 공급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도하고 코콜이를 줄여줄 수 있는 수면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을 감싸는 커버;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클리너;
상기 에어클리너와 커버를 연결하여, 커버의 내부로 정화된 공그기 공급되도록 하는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를 일정간격으로 연결하고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보강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접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에어클리너는 집진필터와 멸균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호스의 내외면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내벽과 외벽의 이중구조를 갖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직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는 연질의 랩핑필름과,
상기 랩핑필름의 외주연방향으로 배열되며 탄성을 갖는 다수의 조임링과,
상기 조임링의 직경을 조절하여 조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에어클리너의 출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조임구를 포함하는 호환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정화된 공기의 공급으로 주변의 오염된 공기가 커버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고, 정화된 공기와 함께 산소와 습기를 공급하여 최적의 수면환경을 만들어 숙면을 유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는 구성이 간단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하고, 가볍고 소형이어서 보관과 유지보수 등의 관리가 용이하고, 커버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만을 감싸 커버가 수면 중에 사용자의 활동(움직임)을 거의 방해하지 않고, 커버의 전방측은 개방되어서 좁은 곳에 갇힌 듯한 갑갑함을 주지 않는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하던 에어클리너를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줄 수있는 수면용 공기청정기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의 사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탈착결합수단을 요부로 하는 사시도.
도 5 는 도4의 탈착결합수단의 탈착 과정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용 공기청정기는 커버(10), 받침대(20), 에어클리너(30), 호스(40), 호환연결부재(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0)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을 감싸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주변의 공기는 유입되는 않도록 차단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10)는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덮개(11)와, 상기 덮개(11)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고 양단은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15)에 결합되는 다수의 보강살(1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접힘이 가능하다. 회전축(15)은 보강살(13)들이 공유할 수도 있다.
커버(10)는 접힘이 가능하여 미사용시에는 접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시에 펼쳐 얼굴 주변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펼치는 범위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의 덮개(11)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하고, 투명한 덮개(11)에는 불투명한 가림막(미도시)이 탈착가능하게 씌어져 커버(10) 내부공간을 암실화하여 수면시 주변의 방해환경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에는 상기 커버(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10)는 경량의 제품으로, 사용자가 수면 중에 뒤척이는 움직임으로 커버(10)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버(10)는 제자리를 벗어날 수 있다. 상기 커버(10)가 결합되는 상기 받침대(20)는 이처럼 커버(10)에 무의식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제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중량감을 제공한다.
상기 받침대(20)는 보관 등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한 다수의 조립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는 받침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받침대(20)의 상부면에는 안착홈(27)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0)에서 회전축(15)이 구비되는 축지지판(16)의 하부에는 상기 안착홈(27)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블럭(17)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블럭(17)이 상기 안착홈(2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탈착결합수단(S)이 구비된다.
상기 탈착결합수단(S)은 상기 안착블럭(17)을 상기 안착홈(27)으로 눌러 삽입시키면 안착블럭(17)이 안착홈(27)에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안착블럭(17)을 누르면 안착블럭(17)이 안착홈(27)에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탈착결합수단(S)은 상기 안착홈(27)의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S11)과 상기 안착블럭(17)의 측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S11)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S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S11)에는 전면에 톱니(S13)가 형성된 걸림판(S12)이 배치되고,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전면에는 상기 톱니(S13)와 결합되는 대응톱니(S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은 상기 안착블럭(17)이 안착홈(27)에 삽입되는 것은 허용하나 후퇴하여 이탈하는 것은 불허한다.
상기 걸림판(S12)에는 막대(S14)가 가로질러 구비되고, 상기 막대(S14)의 양측은 전후스프링(S15)이 후방에서 탄성지지하여 막대(S14)를 전방으로 민다. 상기 안착블럭(17)이 상기 안착홈(27)으로 삽입되어 상기 대응톱니(S23)가 상기 톱니(S13)를 밀면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막대(S14)와 걸림판(S12)은 후진하여 대응톱니(S23)를 삽입을 허용하고, 대응톱니(S23)가 삽입되면 상기 전후스프링(S15)에 의해 막대(S14)와 걸림판(S12)은 전진하여 대응톱니(S23)와 톱니(S13)가 결합되어 대응톱니(S23)의 후퇴를 불허한다.
상기 탈착결합수단(S)은 상기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으로 상기 안착블럭(17)이 안착홈(2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블럭(17)을 누르면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안착블럭(17)이 안착홈(27)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홈(27)의 바닥에는 승강스프링(S25)으로 지지되는 승강판(S24)이 구비되어서 안착홈(27)에 안착된 안착블럭(17)을 상부측으로 민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전면에서 상기 대응톱니(S23)의 옆에는 상기 대응톱니(S23)에서 이탈된 상기 톱니(S13)가 수용되는 가이드홈(S27)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응톱니(S23)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판(S12)을 옆으로 밀어 상기 톱니(S13)가 상기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여 수용되도록 하는 푸싱돌기(S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막대(S14)에는 상기 걸림판(S12)의 일측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푸싱돌기(S29)가 상기 걸림판(S12)을 미는 힘이 소멸하면 걸림판(S12)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S16)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탈착결합수단(S)을 통해 상기 안착블럭(17)을 누를 때마나 상기 안착블럭(17)이 상기 안착홈(27)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과정을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삽입돌출부(S21)가 상기 삽입홈(S11)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블럭(17)을 안착홈(27)에 넣으면 상기 승강판(S24)이 안착블럭(17)을 탄성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안착블럭(17)을 손가락으로 눌러 안착블럭(17)의 표면이 받침대(20)의 표면과 일치되는 정도로 안착블럭(17)을 살짝 누르면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대응톱니(S23)와 상기 삽입홈(S11) 내에 구비되는 걸림판(S12)의 톱니(S13)가 치합되어 걸림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판(S24)이 안착블럭(17)을 상부로 탄성지지하고, 대응톱니(S23)와 톱니(S13)가 걸림결합되어서 안착블럭(17)은 안착홈(27)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안착홈(27)에 안착되어 있는 안착블럭(17)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안착블럭(17)이 안착홈(27)의 바닥으로 하강을 한다. 안착블럭(17)이 하강하면 삽입돌출부(S2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푸싱돌기(S29)가 상기 삽입홈(S11) 내에 구비되는 걸림판(S12)을 일측으로 밀게 된다. 일측으로 밀리는 걸림판(S12)의 톱니(S13)는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대응톱니(S23)를 벗어나기 시작하여 종국에는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게 된다. 톱니(S13)가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면 막대(S14)를 탄성지지하는 전후스프링(S15)에 의해 톱니(S13)는 전진하여 가이드홈(S27)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안착블럭(17)을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승강판(S24)이 안착블럭(17)을 상부로 밀어 안착홈(27)에서 일부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S27)은 톱니(S13)를 따라 이동하여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충돌을 방지한다. 안착홈(27)에서 일부 이탈된 안착블럭(17)은 손가락으로 집어서 분리시킬 수 있다. 안착블럭(17)이 안착홈(27)에서 분리되면 걸림판(S12)을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S16)에 의해 걸림판(S12)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에어클리너(30)는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시켜 상기 커버(10)에의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에어클리너(30)의 출구 측에는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한번 더 제거하는 집진필터(31)와, 공기의 세균을 제거하는 멸균필터(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멸균필터(32)는 화확물질을 이용한 멸균이 아니고 자연물질을 이용한 멸균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클리너(30)에는 산소를 발생시키고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혼입시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조절하는 산소발생기(33)와, 물을 기화시키고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혼입시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리너(30)에 의해 호스(40)를 통해 커버(10)의 내부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면, 공급된 공기는 커버(10) 내에 잠시 머물다가 커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커버(10) 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막을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은 커버(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호스(40)는 상기 커버(10)와 에어클리너(30)를 연결하여서 에어클리너(30)의 정화된 공기가 커버(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스(40)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4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커버(10)와 에어클리너(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40)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커버(10)에는 체결구(18)가 구비된다.
상기 호스(40)는 상기 체결구(18)의 내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18)의 내면에는 상기 호스(40)의 주름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출부(19)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출부(18)와 호스(40) 주름 홈의 걸림결합은 비의도적으로 가해지는 약한 충격에 의해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결합력이고,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호스(40)를 분리할 때 어렵지 않게 분리시킬 수 있는 수준의 결합력이다.
상기 체결구(18)는 상기 커버(10)의 보강살(13)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체결판(14)에 구비된다.
에어클리너(30)를 보유하고 있는 가정이 많다. 그래서 이미 구비하고 있는 에어클리너(30)를 본 발명의 수면용 공기청정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연결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환연결부재(50)는 상기 호스(40)의 내외면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내벽(52)과 외벽(53)의 이중구조를 갖는 결합구(51)와, 상기 결합구(51)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직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는 연질의 랩핑필름(55)과, 상기 랩핑필름(55)의 외주연방향으로 배열되며 탄성을 갖는 다수의 조임링(57)과, 상기 조임링(57)의 직경을 조절하여 조임링(57)의 탄성력으로 에어클리너(30)의 출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조임구(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구(51)에서 외벽(53)의 내면에는 상기 호스(40)의 외면에 형성되는 주름의 홈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걸림돌기(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54)는 돌출 높이가 낮고 양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결합구를 호스(40)에 삽입시키거나 분리시킴에 있어 크게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상기 에어클리너(30)의 출구 크기에 상응하는 상기 랩핑필름(55)의 내경 부위를 에어클리너(30)의 출구 주변을 감싸고, 상기 조임구(59)를 이용해 그 위치에 있는 상기 조임링(57)을 조여 랩핑필름(55)이 에어클리너(30)의 출구 외면에 밀착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랩핑필름(55)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에어클리너(30)에 결합된 부위를 벗어난 부분(즉, 결합된 부위의 외측으로 직경이 큰 부분은)은 반대방향으로 젖혀지거나 눌려서 랩핑필름(55)이 에어클리너(30)의 출구에 결합됨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면용 공기청정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커버 11 : 덮개
13 : 보강살 15 : 회전축
17 : 안착블럭 18 : 체결구
20 : 받침대 27 : 안착홈
30 : 에어클리너 31 : 집진필터
32 : 멸균필터 33 : 산소발생기
34 : 가습기 40 : 호스
50 : 호환연결부재 51 : 결합구
55 : 랩핑필름 57 : 조임링
59 : 조임구 S : 탈착결합수단

Claims (4)

  1. 사용자의 얼굴 주변을 감싸는 커버;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클리너;
    상기 에어클리너와 커버를 연결하여, 커버의 내부로 정화된 공그기 공급되도록 하는 호스;
    바닥에 놓이는 받침대;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안착블럭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안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면용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탈착결합수단(S)은
    상기 안착홈(27)의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S11)과 상기 안착블럭(17)의 측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S11)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S21)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S11)에는 전면에 톱니(S13)가 형성된 걸림판(S12)이 배치되고,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전면에는 상기 톱니(S13)와 결합되는 대응톱니(S2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S12)에는 막대(S14)가 가로질러 구비되고, 상기 막대(S14)의 양측은 전후스프링(S15)이 후방에서 탄성지지하여 막대(S14)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안착블럭(17)이 상기 안착홈(95)으로 삽입되어 상기 대응톱니(S23)가 상기 톱니(S13)를 밀면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막대(S14)와 걸림판(S12)은 후진하여 대응톱니(S23)의 삽입을 허용하고, 대응톱니(S23)가 삽입되면 상기 전후스프링(S15)에 의해 막대(S14)와 걸림판(S12)은 전진하여 대응톱니(S23)와 톱니(S13)가 결합되어 대응톱니(S23)의 후퇴를 불허하고,

    상기 안착홈(27)의 바닥에는 승강스프링(S25)으로 지지되는 승강판(S24)이 구비되어서 안착홈(27)에 안착된 안착블럭(17)을 상부측으로 밀고,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전면에서 상기 대응톱니(S23)의 옆에는 상기 대응톱니(S23)에서 이탈된 상기 톱니(S13)가 수용되는 가이드홈(S27)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응톱니(S23)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판(S12)을 옆으로 밀어 상기 톱니(S13)가 상기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여 수용되도록 하는 푸싱돌기(S29)가 형성되고,
    상기 막대(S14)에는 상기 걸림판(S12)의 일측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푸싱돌기(S29)가 상기 걸림판(S12)을 미는 힘이 소멸하면 걸림판(S12)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S16)이 구비되어서,
    상기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으로 상기 안착블럭(17)이 안착홈(9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블럭(17)을 누르면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안착블럭(17)이 안착홈(27)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용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모양의 변형이 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를 일정간격으로 연결하고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보강살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접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용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집진필터와 멸균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용 공기청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내외면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내벽과 외벽의 이중구조를 갖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직경이 연속적으로 커지는 연질의 랩핑필름과,
    상기 랩핑필름의 외주연방향으로 배열되며 탄성을 갖는 다수의 조임링과,
    상기 조임링의 직경을 조절하여 조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에어클리너의 출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조임구를 포함하는 호환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용 공기청정기.
KR1020180032463A 2018-03-21 2018-03-21 수면용 공기청정기 KR10204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63A KR102047053B1 (ko) 2018-03-21 2018-03-21 수면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63A KR102047053B1 (ko) 2018-03-21 2018-03-21 수면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99A KR20190110699A (ko) 2019-10-01
KR102047053B1 true KR102047053B1 (ko) 2019-11-20

Family

ID=6820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463A KR102047053B1 (ko) 2018-03-21 2018-03-21 수면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666B1 (ko) * 2020-12-03 2021-04-01 이정호 이동형 에어커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06B1 (ko) * 2001-09-05 2003-09-13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매트용 수면 보조장치
KR20110097019A (ko) * 2010-02-24 2011-08-31 김경중 휴대용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99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60B1 (ko) 다기능 마스크
US8480797B2 (en) Activated carbon systems for facilitating use of dimethyl sulfoxide (DMSO) by removal of same, related compounds, or associated odors
EP1125594A3 (en) Ventilator oxygen concentration system
WO2008036791A2 (en) Respirators for delivering clean air to an individual user
US8673061B2 (en) Methods for facilitating use of dimethyl sulfoxide (DMSO) by removal of same, related compounds, or associated odors
KR102047053B1 (ko) 수면용 공기청정기
CN201120038Y (zh) 二氧化碳吸收罐
US20060137689A1 (en) Breathing protective device
US8066005B2 (en) Complex respirator
KR101213197B1 (ko) 공기 정화수단이 구비된 침대용 매트리스
CN201744093U (zh) 烟、尘净化过滤器
CN113531759A (zh) 一种具有防尘机构的空气净化用环保型杀菌装置
JP6829533B1 (ja) 感染防止ユニット
KR200185268Y1 (ko) 초소형 다용도 방진 마스크
CN203540235U (zh) 一种可拆分式烟尘净化消毒器
CN214345470U (zh) 一种麻醉科用呼吸过滤器
CN208941443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沙发
CN202151203U (zh) 静电式除尘除菌空气净化操作台
TWI249413B (en) Air purification device
CN108741289A (zh) 一种具备阻隔污染颗粒的自主净化口罩
CN218044450U (zh) 一种多功能推拉式组合床
CN217909501U (zh) 一种便于对滤网拆卸的烟尘治理用环保设备
KR102308742B1 (ko) 웨어러블 머플러형 공기청정기
CN2586488Y (zh) 水过滤防烟尘呼吸器
CN107490103A (zh) 一种空气净化的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