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923B1 - 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 - Google Patents

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923B1
KR102046923B1 KR1020180058595A KR20180058595A KR102046923B1 KR 102046923 B1 KR102046923 B1 KR 102046923B1 KR 1020180058595 A KR1020180058595 A KR 1020180058595A KR 20180058595 A KR20180058595 A KR 20180058595A KR 102046923 B1 KR102046923 B1 KR 102046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delete delete
tap housing
present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장수
Original Assignee
(주)코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모 filed Critical (주)코스모
Priority to KR102018005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9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ulti-tap assembly having various functions for facilitating the charging of various external devices by forming an outlet box having a structure of connecting a wireless charging part to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n inner USB memory, on one side of a table, and facilitating installation to a variety of furniture such as a sink. The multi-tap assembly includes a multi-tap housing, an airtight cover; and wireless charging part.

Description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기와 내부에 USB 메모리 등의 다양한 외부기기들과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콘센트함을 테이블의 일측에 형성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충전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싱크대를 비롯한 다양한 가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ap assembly including multiple functions, and more particularly, an outlet box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s a wireless charger and a USB memory therein is formed on one side of a table to provid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ap assembly including multiple functions that can be easily charged and easily installed in various furniture including a sink.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주방 공간 등에 테이블을 설치하여 작업을 하거나 또는 음식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사무용 책상 테이블은 컴퓨터, 전화기와 같은 사무기기 등을 상부에 올려놓고 여러 필요한 사무를 볼 수 있도록 제작되며 주방가구의 테이블의 경우 음식을 조리할 공간이 제공되고 그 주변에 다양한 전기기기들이 위치된다.In general, a table is installed on a desk or a kitchen space to work or to prepare food. At this time, the office desk table is made to put office equipment such as a computer and a phone on the top to view various necessary office work. In the case of the table of kitchen furniture, a space for cooking food is provided and various electric equipments are located around the desk. do.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사무용 테이블 및 주방 가구용 테이블은 주로 일면을 벽면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로부터 테이블에 위치되는 전기기기들의 전원을 공급한다.By the way, the office table and the kitchen furniture table produced as described above is mainly located on one surface close to the wall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al equipment located on the table from the wall outlet.

이러한 테이블은 사무 또는 음식을 조리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생각하고, 테이블에 올려지는 컴퓨터, 주방전기기기와 같은 기기에 연결되고 남은 전기 배선의 정리 및 처리를 위한 것은 제작 시에 고려하지 않게 되므로 테이블 외부로 노출된 전기 배선의 가지런한 정리를 이루지 못하여 사용 및 취급이 불편하고, 외부로 노출된 전기배선이 사용자의 취급 부주의로 훼손되어 전기 누전 및 화재발생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전선의 불량한 정돈 상태로 인한 외관적으로 지저분해 보이는 등의 문제가 있다.These tables consider only the simple function of cooking office work or food, and they are not connected to equipment such as computers and kitchen appliances on the table, and the arrangement and processing of the remaining electrical wiring are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production. It is inconvenient to use and handle due to inadequate arrangement of exposed electrical wiring, and the exposed electrical wiring can be damaged due to user's carelessness, which can cause electric leakage and fire.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appearance of messy appearance due to poor trimming.

또한, 근래 들어 휴대폰의 사용이 급증함으로써 사무를 보거나 주방에서 요리를 하는 경우에도 휴대폰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에서 휴대폰 충전기가 책상 테이블이나 주방가구 테이블에 위치되어 계속적인 핸드폰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use of mobile phones has increased so that mobile phones are used even in office work or cooking in the kitchen. For this reason, mobile phone chargers are located on desk tables or kitchen furniture tables to enable continuous charging of mobile phones. .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종래의 콘센트 기구들은 싱크대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싱크대 전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콘센트 기구를 추가로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설사 기존의 싱크대에 콘센트 기구를 설치하려 하더라도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싱크대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전동식 타입의 콘센트 기구의 경우, 그 구조 자체가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싱크대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싱크대와 일체화된 고가의 제품이기 때문에 단순하고 저렴한 싱크대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쉽게 선택하기가 다소 부담스러운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known outlet mechanisms are generally provided in one piece with the sink, so it is difficult to use additional outlet mechanisms unless the entire sink is replaced. Even if the outlet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existing sin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not easy to install in the sink.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lectric type outlet mechanism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tself is so complicated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in the sink, and since it is an expensive product integrated with the sink, it is easily selected by consumers who require a simple and inexpensive sink. The following causes a somewhat burdensome problem.

더욱이, 최근에는 전자기기 특히, 휴대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Moreover, in recent years,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mobile phones are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outlet mechanism having various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thi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멀티 기능을 갖는 콘센트 구조에 대한 기술적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chnical improvement of an outlet structure having a multi-func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consumer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746호 (2000.06.05)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92746 (2000.06.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존 사무용이나 주방가구의 테이블 상판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시 노출되고 미사용시에는 폐쇄되어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시 또는 미사용시에도 상시 무선으로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어 핸드폰의 충전이 용이한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fter extensive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asily install them on the table top of existing office or kitchen furniture, as described later, and are exposed during use and closed when not in use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at the same time. Alternatively, even when not in us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mobile phone at all times wirelessly to provide a multi-tap assembly including a multi-function easy to charge the mobile pho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는, 판상의 테이블에 장착되는 멀티텝 어셈블리로써,The multi-tap assembly including the multi-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multi-step assembly mounted to the table on the plate,

일면이 개방된 구조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전기플러그가 결합되는 콘센트 모듈이 구비된 멀티탭 하우징; A multi-tap housing having an outlet module to which an electric plug is coupl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with an open structure at one side thereof;

상기 멀티탭 하우징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밀폐 커버;An airtight cover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 portion of the multi-tap housing;

상기 멀티탭 하우징과 상기 테이블을 상호 고정 결합하는 고정 브라켓; 및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multi-tap housing and the table to each other; And

상기 멀티탭 하우징 또는 밀폐 커버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multi-tap housing or the sealed cover.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멀티탭 하우징에는 스피커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tap housing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is formed.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밀폐 커버에는 상기 스피커가 노출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cov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ent portion is formed to expose the speaker.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멀티탭 하우징은 상기 테이블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tap housing may be a structure that can be removable from the table.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밀폐 커버는 상기 멀티탭 하우징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ure cover may be a structur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ulti-tap housing.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밀폐 커버에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cov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andle portion is formed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에는 논슬립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slip pad may be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멀티탭 하우징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tap housing may be formed with a cabl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cable for supplying power.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멀티탭 하우징과 상기 밀폐 커버는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후크 체결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tap housing and the sealing cover may be a structur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hook fastening method in a state that one side is rotatably fixed.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멀티탭 하우징을 상기 테이블에 고정되도록 회전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ulti-tap housing to the table.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멀티탭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multi-tap housing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is form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는 기존 사무용이나 주방가구의 테이블 상판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시 노출되고 미사용시에는 폐쇄되어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시 또는 미사용시에도 상시 무선으로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어 핸드폰의 충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tap assembly including the multi-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table top of existing office or kitchen furniture and is exposed during use and closed when not in use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at the same time during use or non-use. You can charge your phone wirelessly, making it easy to charge your ph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는 각종 음향기기 등을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스피커가 형성되어 있어서 필요 시에 간편히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ulti-tap assembly including the multi-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a separate speaker for using a variety of sound equipment and the like can be easily connected and used when 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는 내부에 각종 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구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수납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ulti-tap assembly including the multi-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urable space for storing various articles therein, the storage function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멀티탭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평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측면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고정 브라켓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tap assemb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lan views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are side views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use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strip assembly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fixing bracket of the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bracket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bracket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construed a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example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term used to properly expres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 an operator's intention, or a custom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콘센트 기구는 고가의 가구 등에 매립식으로 형성되어 설치 및 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최근에 다양해지는 전자기기들의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의 한계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outlet mechanism is not only difficult to install and replace because it is formed buried in expensive furniture, etc., but also recently, there is a limit of technology for supporting functio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 가구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외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각종 음향기기의 출력 및 무선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ough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provid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existing furniture and the like and prevents external contamin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can perform output and wireless charging functions of various acoustic device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멀티탭 어셈블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평면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schematically show plan views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100)는 외형을 이루며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멀티탭 하우징(120) 및 멀티탭 하우징(120)의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며 일측에 무선 충전부(111)와 LED 액정 화면(A)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 커버(110) 및 멀티탭 하우징(120)을 테이블(1)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1 to 3, the multi-tap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of the multi-tap housing 120 and the multi-tap housing 12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a fixing bracket 130 for fixing the airtight cover 110 and the multi-tap housing 120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1 and the LED liquid crystal display A are formed to the table 1.

이러한 멀티탭 어셈블리(100)는 판상의 플레이트 형상의 테이블(1)을 갖는 다양한 가구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100)가 싱크대(1)에 적용된 예를 설명한다.The multi-tap assembly 100 may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furniture and the like having a plate-shaped table 1,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multi-tap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ink 1 will be described.

멀티탭 하우징(100)은 상기 내부 공간을 형상하며 각종 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챔버(200)가 형성되어 있고, 챔버(200) 하부에는 플러그 모듈(122), USB 단자홀(113) 및 과부화 차단 기능을 갖는 전원 스위치(11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multi-tap housing 100 has a chamber 20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form the internal space and to store various articles, and a plug module 122 and a USB terminal hole 113 below the chamber 200. And a power switch 119 having an overload blocking function, respectively.

일반 전자제품의 플러그(미도시)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모듈(122)이 멀티탭 하우징(120)의 저면에 매립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USB 단자홀(113)이 형성되어 있다.A plug module 122 having a plug insertion portion 112 into which a plug (not shown) of a general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s embedded in a bottom of the multi-tap housing 120, and on one side thereof, a USB terminal hole 113 is formed. Formed.

또한, 멀티탭 하우징(120)의 저면에 매립되어 있는 USB 단자홀(113)의 하면에는 USB 인쇄회로기판(150)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모듈(122)의 하면에는 전원 인쇄회로기판(16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USB printed circuit board 150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SB terminal hole 113 embedd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multi-tap housing 120, and a power printed circuit board 16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g module 122. Each is formed.

또, 플러그 삽입부(112)의 측면에는 플러그 모듈(122) 및 USB 단자홀(113)을 포함하는 멀티탭 하우징(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11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간단히 전원 스위치(119)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전원 플러그를 제거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전원 공급을 조절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wer switch 119 is formed at a side of the plug insertion part 112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multi-tap housing 100 including the plug module 122 and the USB terminal hole 113.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power supply without removing the power plug,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y simply turning on / off the power switch 119 as necessary.

밀폐 커버는 멀티탭 하우징(120)의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며 일측에 무선 충전부(111) 및 개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 등의 외부 케이블 등의 간섭없이 밀폐 커버(110)가 개폐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돌출된 형상의 손잡이부(118)가 형성되어 있고, 무선 충전부(111)의 저면에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70)이 형성되어 있다.The airtight cover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of the multi-tap housing 120, and opens and closes a predetermined space such that the airtight cover 111 is easily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and the airtight cover 110 is opened and closed without interference from an external cable such as a plug. The handle portion 118 is formed and protruded,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7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1.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충전부(111)의 상면에는 충전에 무리가 없는 범위에서 논슬립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휴대폰 등의 충전 중의 평면 상태를 보장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n-slip pad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1 in a range where charging is comfortable, thereby ensuring a flat state during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또,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부(111)는 휴대폰 등을 무선 충전하는 중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특히, 내부의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일 수 있다.In some cases,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unction of enabling data communication while wirelessly charging a mobile phone or the like. In particular,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be used through an internal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Bluetooth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ay be used. ,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한편, 멀티탭 하우징(100)에는 스피커(121)가 형성되어 있고, USB 단자홀(113)을 통하여 외부 음향기기의 상시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tap housing 100 is formed with a speaker 121, it is configured to enable the constant output of the external audio device through the USB terminal hole (113).

스피커(121)는 외부 출력이 가능하도록 멀티탭 하우징(120)의 저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최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밀폐 커버(110)에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곡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멀티탭 하우징(120)의 챔버(200)를 개폐하는 밀폐 커버(110)가 멀티탭 하우징(120)과 상호 간섭없이 개폐될 수 있다.The speaker 121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multi-tap housing 120 to allow external output, and to expose the top surface to the outside, and the sealing cover 110 has a curved portion 114 in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It is. Therefore, the airtight cover 1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hamber 200 of the multi-tap housing 120 may be opened and closed without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multi-tap housing 120.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멀티탭 어셈블리(100)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ulti-tap assembly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측면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4 to 7 schematically illustrate side views of the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100)의 멀티탭 하우징(120)의 챔버(200)에는 각종 전자기기의 플러그 또는 USB 메모리가 장착될 수 있는 플러그 삽입구(112) 및 USB 단자홀(113)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 부위에는 MP3 와 같은 음향기기들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스피커(121)가 장착되어 있다.1 to 3, the chamber 200 of the multi-tap housing 120 of the multi-tap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g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plug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or USB memories may be mounted. 112) and a USB terminal hole 113 is formed, and the speaker 121 is mounted at one corner to enable the output of sound devices such as MP3.

여기서, 멀티탭 하우징(120)의 챔버(200)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 커버(11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Here, the airtight cover 110 which seals the space of the chamber 200 of the multi-tap housing 120 is rotatably mounted.

멀티탭 하우징(120)과 밀폐 커버(110)는 힌지부(117)에 의해 회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힌지부(117)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밀폐 커버(110)가 멀티탭 하우징(120)에 고정되도록 후크부(116)가 형성되어 있다.The multi-tap housing 120 and the hermetic cover 110 are rotated by the hinge portion 117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sealing cover 110 is fixed to the multi-tap housing 120 at a portion facing the hinge portion 117. Hook portion 116 is formed so as to.

따라서, 사용자가 밀폐 커버(110)을 가압하는 경우에 밀폐 커버(110)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부(116)가 멀티탭 하우징(120)의 대응 부위에 형성된 삽입홀(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및 이탈되면서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airtight cover 110, the hook part 116 formed at one side of the airtight cover 110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an insertion hole (not shown) formed 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multi-tap housing 120. Desorption is made easily.

또, 멀티탭 하우징(120)의 하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 지지대(125)가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전원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able support 125 for guiding a power cable for supplying power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ulti-tap housing 120 so that the power cable may be stably disposed in one direction.

한편,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고정 브라켓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s 8 to 9 are shown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ure 10 is a fastening state of the fixing bracket of the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diagram showing is schematically shown.

도 8 내지 도 10을 도 1 내지 도 7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100)에는 독립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 브라켓(130)이 장착되어 있다.8 to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The multi-tap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ixing bracket 130 to be detachable independently.

고정 브라켓(130)은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멀티탭 하우징(110)의 볼트부(133)에 결합 고정되는 너트부(134)로 이루어진 고정수단(13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U' 형상으로 형성되어 멀티탭 하우징(1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양 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 부위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상향 돌출되어 전체적인 "U" 형상의 브라켓의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리브(139)가 형성되어 있다.Fixing bracket 1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means 131 made of a nut portion 134 is fixed to the bolt portion 133 of the multi-tap housing 110 is screwed to the bottom, the overall "U 'shape It is formed to extend the 132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er direction at both ends whil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tap housing 120, the lower portion protrudes upwar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 Reinforcing ribs 139 are formed to prevent bending of the bracket having a U ″ shape.

따라서, 멀티탭 어셈블리(100)를 싱크대(1)에 설치하는 경우에 싱크대(1)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홀(도시하지 않음)에 멀티탭 어셈블리(100)를 삽입하게 된다. 이 때, 멀티탭 하우징(120)의 상단에는 외주면으로 단턱부(12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멀티탭 하우징(120)이 싱크대(1)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ulti-tap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the sink 1, the multi-tap assembly 100 is inserted into an installa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sink 1. At this time, since the stepped portion 127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ulti-tap housing 120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multi-tap housing 120 may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1.

여기서, 싱크대(1)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고정 브라켓(130)이 장착되게 되는데, 고정 브라켓(130)의 연장부(132)가 싱크대(1)의 하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멀티탭 하우징(120)에 돌출 형성된 고정수단(131)의 볼트부(133)에 너트부(134)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 결합시킴으로써, 멀티탭 어셈블리(100)가 고정 브라켓(130)을 통하여 싱크대(1)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fixing bracket 130 is mounted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1, and the extension tab 132 of the fixing bracket 130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1 in the state of the multi-tap housing 120. By rotationally coupling the nut part 134 to the bolt part 133 of the fixing means 131 protruding from the screw, the multi-tap assembly 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sink 1 through the fixing bracket 130. It can be firmly fixed without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수단(131)의 볼트부(133)크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대략 30mm 이상의 폭을 가지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비나 장치없이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만으로도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bolt portion 133 of the fixing means 1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a size having a width of approximately 30mm or more, so that the user without physical equipment or device It can be easily adjusted with only forc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멀티탭 어셈블리(100)가 싱크대(1)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싱크대(1)의 측면 등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ulti-tap assembly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1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ink 1 or the like.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xing bracket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130)은 연장부(132)에는 복수의 요철(135)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1 together with FIG. 1, the fixing bracke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135 ar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32.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따라서, 고정 브라켓(130)의 연장부(132) 상면에는 복수의 요철(1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싱크대(1)의 하면에 연장부(132)가 밀착되는 경우에 멀티탭 어셈블리(100)가 미끄러지거나 유격 없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lurality of irregularities 13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32 of the fixing bracket 130, the multi-tap assembly 100 slips when the extension part 1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1. Can be fixed firmly or without play.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의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bracket of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130)은 양측 외면에 가이드 리브(136) 또는 가이드홈(137)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2 together with FIG. 1, the fixing bracke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except that guide ribs 136 or guide grooves 137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thereof. The same description is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따라서, 고정 브라켓(130)의 양측 외면에 멀티탭 하우징(120)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가이드 리브(136) 또는 별도의 볼트가 결합 가능한 가이드 홈(137)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멀티탭 어셈블리(100)를 싱크대(1)에 장착하는 경우에 'U'자 형상의 고정 브라켓(130)의 양 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이완되거나 벌어지는 외형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guide rib 136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r the guide groove 137 to which a separate bolt can be couple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rround the multi-tap housing 120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xing bracket 130, the multi-tap When the assembly 100 is mounted on the sink 1, both ends of the 'U'-shaped fixing bracket 130 may be prevented from deforming or deforming in the outward direction.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가 고정브라켓에 의해 테이블에 고정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t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upled to a table by a fixing bracket.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어셈블리(100)는 멀티탭 하우징(120)의 하면에 볼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그루브(138)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고정 브라켓(130)에는 너트가 구비되어 상기 볼트가 고정 브라켓(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를 회전 결합시키는 구성이라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3, in the multi-tap assembly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138 in which the bolt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multi-tap housing 1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hereto Since the fixing bracket 130 is provided with a nut and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bol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nut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is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130,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멀티탭 어셈블리(100)를 설치하는 경우에 작업환경에 따라서, 고정 브라켓(130)의 위치 및 개수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multi-tap assembly 100,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it can be fixed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fixing bracket 130 and the lik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 싱크대 100: 멀티탭 어셈블리
110: 밀폐 커버 111: 무선 충전부
112: 플러그 모듈 113: USB 단자홀
114: 만곡부 115: 후크 체결부
116: 후크부 117: 힌지부
119: 전원스위치 120: 멀티탭 하우징
121: 스피커 125: 케이블 지지대
127: 단턱부 130: 고정 브라켓
131: 고정수단 132: 연장부
133: 볼트부 134: 너트부
135: 요철 136: 가이드부
139: 보강 리브 150: USB 인쇄회로기판
160: 전원 인쇄회로기판 170: 컨트롤 인쇄회로기판
200: 챔버
1: sink 100: multi-tap assembly
110: airtight cover 111: wireless charging unit
112: plug module 113: USB terminal hole
114: curved portion 115: hook fastening portion
116: hook portion 117: hinge portion
119: power switch 120: multi-tap housing
121: speaker 125: cable support
127: step 130: fixing bracket
131: fixing means 132: extension
133: bolt portion 134: nut portion
135: unevenness 136: guide part
139: reinforcement rib 150: USB printed circuit board
160: power printed circuit board 170: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200: chamber

Claims (14)

판상의 테이블에 장착되는 멀티텝 어셈블리로써,
일면이 개방된 구조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전기플러그가 결합되는 콘센트 모듈이 구비되고 상단에는 외주면으로 단턱부가 형성되고 스피커가 형성되는 멀티탭 하우징;
상기 멀티탭 하우징의 개방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후크 체결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후크부가 형성되며 개폐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가 노출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는 밀폐 커버;
상기 멀티탭 하우징과 상기 테이블을 상호 고정 결합하며 전체적으로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멀티탭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면서 양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멀티탭 하우징 또는 밀폐 커버에 형성되며 논슬립패드를 구비한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연장부 상면에 형성되는 요철 및 양측 외면에 상기 멀티탭 하우징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별도의 볼트가 결합 가능한 가이드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멀티탭 하우징이 상기 테이블에 고정되도록 회전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A multi-step assembly mounted on a plate table,
A multi-tap housing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having an outlet module to which an electric plug is coupled,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top thereof, and a speaker formed;
A hermetic cover having a hook portion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hook fastening method in a rotatably fixed state to an open portion of the multi-tap housing, a handl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and a bent portion formed to expose the speaker;
A fixing bracket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multi-tap housing and the table and is formed in an overall “U” shape and extends to both ends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outward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tap housing; And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multi-tap housing or the sealing cover and having a non-slip pad.
The fixing bracket is formed with a guide rib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o surround the multi-tap housing on th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and both sides thereof, and a guide groove capable of coupling a separate bol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ulti-tap housing is formed on the fixing bracket. Multi-tap assembly comprising a multi-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ans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 하우징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tap assembly having a multi-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support for inserting the power supply cable is formed in the multi-tap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58595A 2018-05-23 2018-05-23 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 KR102046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95A KR102046923B1 (en) 2018-05-23 2018-05-23 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95A KR102046923B1 (en) 2018-05-23 2018-05-23 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923B1 true KR102046923B1 (en) 2019-11-20

Family

ID=6872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595A KR102046923B1 (en) 2018-05-23 2018-05-23 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9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24A (en) * 2020-11-02 2022-05-10 박창호 Built in electrical outl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746Y1 (en) 2000-03-04 2000-08-16 주식회사한샘 Integrated top board of sink
KR20100023060A (en) * 2008-08-21 2010-03-04 곽판수 Consent cover
KR101459093B1 (en) * 2013-10-02 2014-11-12 주식회사 두남 Multi-tap fixed on hole of desk
KR20150142418A (en) * 2014-06-12 2015-12-22 조경제 Multi socket outlet equipped with bluetooth speaker unit
KR20170024738A (en) * 2015-08-26 2017-03-08 (주)밀크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746Y1 (en) 2000-03-04 2000-08-16 주식회사한샘 Integrated top board of sink
KR20100023060A (en) * 2008-08-21 2010-03-04 곽판수 Consent cover
KR101459093B1 (en) * 2013-10-02 2014-11-12 주식회사 두남 Multi-tap fixed on hole of desk
KR20150142418A (en) * 2014-06-12 2015-12-22 조경제 Multi socket outlet equipped with bluetooth speaker unit
KR20170024738A (en) * 2015-08-26 2017-03-08 (주)밀크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24A (en) * 2020-11-02 2022-05-10 박창호 Built in electrical outlet
KR102521747B1 (en) 2020-11-02 2023-04-17 박창호 Built in electrical out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5148B1 (en) Luggage with integrated wireless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s
US20080272258A1 (en) Device for rechargeable electrical apparatus retainer unit
US20170104297A1 (en) USB Lamp Base
WO2005122686A3 (en) Vehicle interface
KR101787085B1 (en) The outlet for the table
KR102046923B1 (en) Multi-tap including multi-function for electric device
WO2014180237A1 (en) Waterproof plug for mobile terminal
US6969803B1 (en) Faceplate with storage device coupled thereto
CN104184086A (en) Junction box
CN204576377U (en) A kind of computer cabinet
KR102076541B1 (en)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KR102384932B1 (en) Multi tap
US20040017681A1 (en) Cabinet lamp
CN210381257U (en) Sliding cover type earphone charging box
CN204068364U (en) Formula charge rack inserted by wall
US2015036295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tecting a computing device
CN201742519U (en) Fixed wall-mounted multifunctional digital audio speaker
CN208522138U (en) Socket with storage function
CN207184561U (en) Mobile terminal and its housing
KR200473420Y1 (en) A housing for USB charging socket outlet
US20110135287A1 (en) Power supply device with humidifying function
EP3200285A1 (en) Holder for concealed electrical connections
CN219644040U (en) Bluetooth sound equipment capable of charging wireless earphone
CN211744151U (en) Detachable wireless charging seat with storage function
KR20190011412A (en) The table-mounting out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