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541B1 -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 Google Patents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541B1
KR102076541B1 KR1020180008097A KR20180008097A KR102076541B1 KR 102076541 B1 KR102076541 B1 KR 102076541B1 KR 1020180008097 A KR1020180008097 A KR 1020180008097A KR 20180008097 A KR20180008097 A KR 20180008097A KR 102076541 B1 KR102076541 B1 KR 102076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urniture
support ring
screw
wireless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9502A (en
Inventor
김선규
Original Assignee
김선규
주식회사 위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규, 주식회사 위콥스 filed Critical 김선규
Priority to KR102018000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541B1/en
Publication of KR2019008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자 부품이 내장된 컨센트 본체와 220 V 전원 연결구가 구비된 콘센트 표면으로 구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가구에 장착되는 가구용 콘센트이고,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가구의 표면 안 쪽에 삽입되며 상기 콘센트 표면은 가구 표면 위에 위치하고, 상기 콘센트 표면 위에는 슬라이딩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컨센트 표면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덮개를 열면 상기 220 V 전원 연결구가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덮개 양 측면에 덮개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 측면에 홈 혹은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덮개가 콘센트 표면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가구의 표면 안쪽에 삽입된 콘센트 본체를 고정하는 지지 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과 콘센트 본체는 나사 결합하므로서, 가구용 콘센트를 용이하게 가구에 장착하고, 또한 장기간 사용한 후에도 가구 콘센트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지지 링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 링의 크기를 최적화 하도록 하는 설계 구조를 가지므로서, 상대적으로 적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쉽게 회전 혹은 역 회전하므로서, 가구용 콘센트를 용이하게 장착 혹은 분리 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utlet consisting of an outlet body provided with an electrical outlet and a 220 V power connector, wherein the outlet is a furniture outlet mounted to a furniture, and the outlet body is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And the outlet surface is located on a furniture surface, and a sliding cover is provided on the outlet surface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surface. When the sliding cover is opened, the 220 V power connector is exposed, and cover sidewal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cover. It is provided with a groove or a projection on the side of the cover is the sliding cover is moved slidingly with the outlet surface, the support ring for fixing the outlet bod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is further provided, the support ring and the outlet body By screwing together, facilitate the furniture outlet It provides a support ring having a fastening structure for mounting on a sphere and also for easily detaching a furniture outlet after long-term use, and having a design structure for optimizing the size of the support ring. It can also be easily rotated or reversed, allowing for easy installation or removal of furniture outlets.

Description

가구용 콘센트{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Furniture outlets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 책상, 테이블 등 다양한 형상과 목적을 가진 가구에 매립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구의 표면 아래로는 콘센트 전자 부품등 본체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가구 표면에는 220 V 전원 연결구(口) , USB 연결 단자 혹은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가 위치하도록 하여 가구 표면에서 상에서 220 V 전원과 USB 전원을 사용할 수 있고, 무선 충전기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let embedded in a furniture having a variety of shapes and purposes, such as a sink, desk, table, etc., the main body such as the outlet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below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On the furniture surface, a 220 V power connector, a USB connection terminal, or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may be placed on the furniture surface, so that the 220 V power and USB power can be used on the furniture surface. It is about.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콘센트는 벽이나 바닥에 설치된 전원 콘센트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가전제품에 동시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기기이다. 또한, 상기 콘센트에는 일반적으로 220 V 전원 연결구(口)가 1 개만 구비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의 경우 220 V 전원 연결구(口)가 2 개 이상 구비된 멀티 콘센트 형태를 가지게 된다.Commonly used outlets are electrical outlets installed on walls or floors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n addition, the outlet is generally not provided with only one 220 V power connector (口), in most cases will have a multi-outlet type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220 V power connector (口).

한편, 최근에는 상기 콘센트가 장착된 가구가 출시되고, 또한 커피솝 등에는 테이블에도 상기 콘센트가 장착되는 실정이다. 그리고,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의 대중화로 USB 연결 단자도 상기 콘센트에 장착되어 출시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 furniture equipped with the outlet has been released, and in the coffee shop, such as the situation that the outlet is also mounted on the table. In addition,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USB connection terminals are also often installed in the outlets.

아울러, 스마트폰에 무선충전 기능이 구비되기 시작하면서, 상기 컨센트에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도 장착되어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의 충전도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as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begins to be provided in the smart phone,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is also mounted on the outlet to enable the charging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따라서, 220 V 전원 연결구(口), USB 연결 단자 및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도 장착된 콘센트도 필요할 뿐 아니라, 상기 복합 기능을 가진 콘센트를 가구 표면에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는 구조도 필요한 시장 상황이 되고 있다, Therefore, not only an outlet equipped with a 220 V power connector, a USB connection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is required, but also a structure for easily mounting the outle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mplex function on a furniture surface has become a market situation. ,

몰론,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 20-2008-0002508호 에서는 "외측으로는 걸림테두리를 형성하고 걸림테두리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에는 콘센트홀과 유에스비 단자홀과 통신단자홀과 스위치를 형성한 상부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으로는 하부몸체를 체결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용홈 후방측으로는 이동홀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홀의 전방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후방 양측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판을 형성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의해 수용홈이 개폐되는 몸체부를 책상상판이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몸체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중앙에 형성한 상태에서 상부몸체와 체결되는 고정판으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저면으로 상기 몸체부의 하부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으로는 연결콘센트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연결플러그를 형성한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하고, Molo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8-0002508 in the "Hanging border on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rder formed in the upper body formed with the outlet hole, USB terminal hole, communication terminal hole and switc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form a body portion for fastening the lower body, and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moving hole, and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hole to form a guide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o the rear The cover body formed with a cover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groove by forming guide protrusions on both sides, and the lower body to fix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accommodating groov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art in a state where the desk top is interposed. A fixing part formed of a fixing plate fastened to the upper body in a state in which a receiv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ix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body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desk-type multi-outl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nection portion to form a connection outlet on one side and a connection plug on the other si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 To provide,

미국 등록 특허 제 US 7,806,723호 에는 "그로밋 홀을 갖는 작업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전기 장치에있어서, 케이싱 (casing), 복수의 제 1 홀 및 삽입 부를 갖는 그로밋; 과 상기 그로멧에 결합 될 수있는 연결기구; 상기 케이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구성 요소들; 과 상기 케이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구성 요소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커넥터로서, 그로밋의 삽입 부는 그로밋 홀의 제 1 측면으로부터 그로밋 홀에 배치 될 수 있고; 그로멧의 상부면이 그로밋 홀의 제 1 측에 있고 삽입 부가 그로밋 홀 내에 있을 때, 그로멧은 그로 메트 홀의 반대측의 제 2 측의 연결기구와 결합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로밋 기구"를 제공한다. U.S. Pat.No. 7,806,723 describes, "In an electrical device for attaching to a work surface having a grommet hole, a casing, a gromme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inserts; and a connecting mechanism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grommets. One or more electrical components at least partially located within the casing and one or more electrical connectors at least partially located within the casing and coupled to the one or more electrical components, wherein the insert of the grommet is from the first side of the grommet hole. Can be disposed in the grommet hole; when the top surface of the grommet is on the first side of the grommet hole and the insert is in the grommet hole, the grommet will be rotatably coupled in the engagement direction with the connecting mechanism on the second side opposite the grommet hole Electrical gromme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즉, 제 20-2008-0002508호는 매립형의 방법을 제공하지만 조립 방법에서는 용이한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US 7,806,723 는 회전 가능한 결합 방법을 제공하지만, 원형 구조를 제공하고 있어서 멀티 콘센트에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That is, 20-2008-0002508 provides a buried method, but the assembly method does not provide an easy assembly method. And, US 7,806,723 provides a rotatable coupling method, but does not provide a circular structure so that it is suitable for multi-outlets.

그러므로, 가구 표면과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면서도, 220 V 전원 연결구, USB 연결 단자 혹은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를 제공하는 멀티 콘센트의 개발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outlet that provides a 220 V power connector, a USB connection terminal, or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while being easily combined with the furniture surfac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 20-2008-0002508(2008년02월26일)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Application: 20-2008-0002508 (February 26, 2008) 선행기술 2 : 미국 등록 특허 : US 7,806,723 (2010년 10월 5일)Prior Art 2: US Registered Patent: US 7,806,723 (October 5, 2010)

본발명은, 멀티 콘센트를 가구 표면에 장착하고자 할 때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오랫 동안 사용한 다음에도 필요할 때에는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지지 링의 크기도 최적화되도록 하는 설계 구조와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가구용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easy mating when mounting multiple outlets on furniture surfaces,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ed when needed after long use, and also optimizes the size of the support ring. It is to provide a furniture outlet that provides a design structure and a coupling structure.

상기 목적은, 전기 전자 부품이 내장된 컨센트 본체와 220 V 전원 연결구가 구비된 콘센트 표면으로 구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가구에 장착되는 가구용 콘센트이고,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가구의 표면 안 쪽에 삽입되며 상기 콘센트 표면은 가구 표면 위에 위치하고, 상기 콘센트 표면 위에는 슬라이딩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컨센트 표면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덮개를 열면 상기 220 V 전원 연결구가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덮개 양 측면에 덮개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 측면에 홈 혹은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덮개가 콘센트 표면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가구의 표면 안쪽에 삽입된 콘센트 본체를 고정하는 지지 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과 콘센트 본체는 나사 결합하므로서 달성된다. The object is a receptacle consisting of a receptacle body with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therein and a receptacle surface equipped with a 220 V power connector, the receptacle being a furniture receptacle mounted on a furniture, the receptacle body being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And the outlet surface is located on a furniture surface, and a sliding cover is provided on the outlet surface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surface. When the sliding cover is opened, the 220 V power connector is exposed, and cover sidewal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cover. It is provided with a groove or a projection on the side of the cover is the sliding cover is moved slidingly with the outlet surface, the support ring for fixing the outlet bod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is further provided, the support ring and the outlet body Is achieved by screwing.

그리고, 상기 지지 링에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 존(S Zone(Screw Zone))과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NS Zone(Non S Zone(Screw Zone))이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ring includes a screw zone (S Zone (Screw Zone)) and a non-screwed NS Zone (Screw Zone).

또한, 상기 가구용 콘센트에는 220 V 전원 연결구(口)(12)가 적어도 2 개 이상 구비되거나, 혹은 적어도 1 개 이상의 220 V 전원 연결구(口)(12)와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14)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urniture outlet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220 V power connector 12 or at least one 220 V power connector 12 and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

아울러, 상기 콘센트 본체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게 되어, 콘센트 본체 중에서 두 면의 폭은 좁고 다른 두면의 폭은 넓으며, 본체 나사는 콘센트 본체에서 폭이 좁은 두 면에 형성되고, 콘센트 본체의 폭이 좁은 두 면에 본체 나사가 형성될 때, 본체 나사의 폭은 콘센트 본체에서 폭이 좁은 면의 폭보다 적고, 상기 NS Zone의 폭 혹은 각도는 본체 나사(11a)의 폭 혹은 각도 보다 작다, In addition, the outlet body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width of two sides of the outlet body is narrow and the width of the other two sides are wide, the body screw is formed on two narrow sides of the outlet body, the width of the outlet body When the main body screw is formed on two narrow surfaces, the width of the main body screw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narrow side of the outlet body, and the width or angle of the NS Zone is smaller than the width or angle of the main body screw 11a.

본 발명에서는, 가구용 콘센트를 용이하게 가구에 장착하고, 또한 장기간 사용한 후에도 가구 콘센트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를 가지는 지지 링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 링의 크기를 최적화 하도록 하는 설계 구조를 가지므로서, 상대적으로 적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쉽게 회전 혹은 역 회전하므로서, 가구용 콘센트를 용이하게 장착 혹은 분리 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 ring having a fastening structure for easily mounting the furniture outlet to the furniture, and to easily remove the furniture outlet even after long-term use, and has a design structure to optimize the size of the support ring Therefore, it has a relatively small size and can be easily rotated or reversed so that the furniture outlet can be easily installed or detached.

도 1과 도 2는 매립 구조를 가지는 전기 기구를 나타내는 종래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가구용 콘센트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지지 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콘센트 본체에 형성된 본체 나사의 형상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와 슬라이딩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슬라이딩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원 발명의 가구용 콘센트 측면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은 지지 링에서 나사 존과 비 나사 존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내지 도 17은 본원 발명의 가구용 콘센트에 무선충전기가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콘텐트 본체 내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내지 도 21은 슬라이딩 덮개가 장착되고 이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는 콘센트 본체에 전원 공급 코드가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원 발명의 불럭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4와 도 25는 NFC와 QR 코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5는 QR 코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6내지 도 28은 본원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9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1 and 2 are conventional diagrams showing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 buried structure,
3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hape of the main body screw formed in the outlet main body.
7 and 8 are views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and a sliding cover.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sliding cover.
11 and 12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ide of the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readed and non-threaded zones in a support rin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mounting a wireless charger in a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inside of a content body.
19 to 21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principle that the sliding cover is mounted and moved.
22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ounting a power supply cord to the outlet body.
Figure 23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24 and 25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llustrating NFC and QR codes.
2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QR code.
26 to 28 are diagrams of embodiment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database of a serv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콘센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통상의 기술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Hereinafter, a furnitur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s of common techniques requir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220 V 전원 연결구, USB 연결 단자 혹은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를 포함한 가구용 콘센트가 가구 표면에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ign structure that allows a furniture outlet including a 220 V power connector, a USB connection terminal, or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to be easily mounted or detached from a furniture surface.

특히, 가구용 콘센트 본체는 가구 표면 아래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하며, 지지 링으로 상기 가구 본체를 고정할 때에는 회전 결합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furniture outlet body is located in the state buried below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when using the support ring to secure the furniture body is to use a method that is rotatably coupled.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구는 사용후 분리하는 시간이 최소 일년 이상은 되게 되며 많게는 수년 이상이 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지지 링과 가구 본체의 분리가 쉽게 되도록 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지지링과 콘센트 본체가 나사의 회전으로 결합된 다음 오랜 세월이 흐르게 되면, 나사 산과 나사 골이 서로 맞 물려 밀착 고착되게 되면서, 분리시에는 쉽게 분리가 되지 않을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nd, in general, the furniture is separated after use is at least one year or more and may be many years or more, in which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paration of the support ring and the body of the furniture easily occurs. In other words, if a long time passes after the support ring and the outlet body are combin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the thread and the screw bon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b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센트 본체와 지 지링이 혹은 체결 링이 결합될 때에는 결합되는 면적을 최소화 하도록 하고, 지지 링 혹은 체결 링도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결합된 콘센트 본체와 지 지링이 혹은 체결 링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let body and the support ring or the fastening ring are combined, the area to be combined is minimized, and the support ring or the fastening ring can be modified in shape, and thus, the outlet body and the support ring or the fastening ring are combined. Make it easy to separate.

도 1과 도 2는 매립 구조를 가지는 전기 기구를 나타내는 종래도이다,1 and 2 are conventional diagrams showing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 buried structure,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나사(11a)가 형성된 콘센트 본체(11)와 결합되는 지지링 나사(15a)가 형성된 지지 링(1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링(15) 내부로 상기 콘센트 본체(11)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 나사(11a)와 지지 링(15a) 나사가 서로 회전하여 나사 결합되게되 된다.As shown in FIG. 1, a support ring 15 having a support ring screw 15a coupled to an outlet body 11 having a body screw 11a is provided. In addition, the outlet body 1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 15, and the main body screw 11a and the support ring 15a screw are rotated with each other to be screwed together.

그리고, 도 2에서 처럼, 가구 표면(2)을 사이에 두고 콘센트 표면(10a)과 지지링 날개(15b)가 위치하고, 상기 콘센트 표면(10a)과 지지링 날개(15b)는 콘센트 본체 보다 넓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콘센트는 위 아래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2, the outlet surface (10a) and the support ring blade 15b is positioned with the furniture surface (2) in between, the outlet surface (10a) and the support ring blade (15b) is formed wider than the outlet body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without moving up and down,

도 3은 본원 발명의 가구용 콘센트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3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발명의 가구용 콘센트는 220 V 전원 연결구(12), USB 연결 단자(13) 혹은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와 USB 연결 단자(13)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220 V power connector 12, USB connection terminal 13 or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s provided. Of course,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3 are not necessarily provided.

한편, 본원 발명의 콘센트(10)에서 상부의 콘센트 표면(10a)에는 220 V 전원 연결구(12), USB 연결 단자(13) 혹은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220 V 전원 연결구(12), USB 연결 단자(13)는 슬라이딩 덮개(17)로 열고 닫음이 가능하다. 즉, 열리 었을 때에는 220 V 전원 연결구(12), USB 연결 단자(13)는 노출되고, 닫히었을 때에는 220 V 전원 연결구(12), USB 연결 단자(13)는 슬라이딩 덮개(17)로 덮혀져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utlet surface 10a of the outle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220 V power connector 12,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3 or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s located. The 220 V power connector 12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3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liding cover 17. That is, when open, the 220 V power connector 12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3 are exposed, and when closed, the 220 V power connector 12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3 are covered with a sliding cover 17. do.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덮개(17)와 콘센트 표면(10 a)은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liding cover 17 and the outlet surface 10 a are slidably moved with each other.

본원 발명의 콘센트(10)는 콘센트 본체(11)와 콘센트 표면(10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콘센트 본체(11)에는 본체 나사(11a)가 형성되어져서, 지지 링(15)이 회전하면서 콘센트 본체(11)와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지지 링(15)의 안쪽에 형성된 지지 링 나사(15a)가 본체 나사(11 a)와 나사 결합된다.The outle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outlet body 11 and an outlet surface 10a. The main body screw 11a is formed in the outlet main body 11 so that the support ring 15 can be engaged with the outlet main body 11 while rotating. At this time, the support ring screw 15a formed inside the support ring 15 is screwed with the main body screw 11a.

한편, 지지 링 나사(15a)은 불연속 적이다. 즉 도 3의 지지 링(15) 안쪽을 보면 나사가 형성된 S Zone(Screw Zone)과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NS Zone(Non Screw Zone)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ring screw 15a is discontinuous. That is, when looking inside the support ring 15 of FIG. 3, there are S zones (Screw Zones) where screws are formed and NS Zones (Non Screw Zones) where screws are not formed.

그리고, 지지 링(15) 내부에 나사가 불연속적으로 되어 있으므로, 지지 링(15)과 콘센트 본체(11)가 결합 상태에서 분리될 때, 쉽게 분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콘센트 본체(11)와 지지 링(15)이 결합되어 있을 때, 지지 링(15) 내부에 나사가 연속적으로 되어 있는 경우보다 불연속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본체 나사(11a)와 지지 링 나사(15a)의 접촉 면적이 작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crew is discontinuous in the support ring 15, when the support ring 15 and the outlet body 11 are separated in a coupled state, the screw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ily removable. That is, when the outlet main body 11 and the support ring 15 are engaged, the main body screw 11a and the support ring are more discontinuous than when the screws are continuously inside the support ring 15. The contact area of the screw 15a becomes small.

결론적으로 본원 발명의 가구용 콘센트는 전기 전자 부품이 내장된 컨센트 본체와 220 V 전원 연결구가 구비된 콘센트 표면으로 구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가구의 표면 안 쪽에 삽입되며 상기 콘센트 표면은 가구 표면 위에 위치한다, In conclusion, the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let consisting of an outlet body with a built-in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 and a 220V power connector, the outlet body is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and the outlet surface is a furniture surface Located above,

상기 콘센트 표면 위에는 슬라이딩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컨센트 표면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덮개를 열면 상기 220 V 전원 연결구가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덮개 양 측면에 덮개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 측면에 홈 혹은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덮개가 콘센트 표면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가구의 표면 안쪽에 삽입된 콘센트 본체를 고정하는 지지 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과 콘센트 본체는 나사 결합을 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A sliding cover is provided on the outlet surface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surface. When the sliding cover is opened, the 220 V power connector is exposed, and cover side wal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cover, and grooves or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ver. Is provided with the sliding cover sliding the outlet surface, the support ring for fixing the outlet bod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urniture is further provided, the support ring and the outlet body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screwing will be.

도 4는 본원 발명의 지지 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처럼 지지 링(15)이 지지 링 날개(15b)와 지지 링 측벽(15c)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 링 측벽(15c) 안쪽에 지지 링 나사(15a)가 형성되어 있을 때,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지지 링 측벽(15c)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한편 링 날개(15b)는 도 2의 실싱예에서처럼 가구 표면(20)에 직접 닿고 링 측벽(15c) 보다 두께가 두겁게 형성된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support ring 15 is composed of a support ring wing 15b and a support ring side wall 15c, and a support ring screw 15a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ring side wall 15c, the screw is formed. The support ring side wall 15c is not formed in the part which is not. On the other hand, the ring wing 15b is a portion which directly touches the furniture surface 20 and is thicker than the ring side wall 15c as in the siling example of FIG. 2,

따라서, 도 4의 지지 링(15)은 지지링 측벽 중간 중간이 절개(Cut)된 형태를 가지게 되고, 중간 중간에 절개된 형태를 가지게 된 지지 링은 모양을 뒤틀리게 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뒤틀림으로 콘센트 본체(11)와 지지 링(15)이 결합되어 있을 때 결합 구조의 균열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콘센트 본체(11)와 지지 링(15)이 쉽게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support ring 15 of FIG. 4 has a shape in which the middle of the support ring sidewall is cut, and the support ring having the shape cut in the middle can be distorted. When the outlet body 11 and the support ring 15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is distortion, cracking of the coupling structure is possible, and thus the outlet body 11 and the support ring 15 can be easily separated.

즉, 콘센트 본체(11)와 지지 링(15)이 오랜 시간 결합되어 있어서 밀착 고착되었을 때에도, 본원 발명의 도 3 혹은 도 4에 제시된 지지 링의 구조로 인하여, 서로 고착된 콘센트 본체(11)와 지지 링(15)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That is, even when the outlet main body 11 and the support ring 15 have been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for a long tim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ring shown in FIG. 3 or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main body 11 and the fixed main body 11 are fixed to each other. Separation of the support ring 15 is facilitated.

도 5와 도 6은 콘센트 본체에 형성된 본체 나사의 형상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5 and 6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hape of the main body screw formed in the outlet main body.

본원 발명의 가구용 컨센트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전원 공급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들어 220 V 전원 연결구(口)(12)가 적어도 2 개 이상 구비되거나, 아니면 적어도 1 개 이상의 220 V 전원 연결구(口)(12)와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14)가 구비되어 있다.The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t least two power supplies. For example, at least two 220 V power connectors 12 are provided, or at least one 220 V power connector 12 and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are provided.

따라서, 본원 발명의 콘센트 본체(11)는 도 5에서처럼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의 콘센트 본체(11) 중에서 두 면의 폭은 좁고 다른 두면의 폭은 넓다.Thus, the outlet body 1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width of two surfaces of the outlet main body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arrow and the width of the other two surfaces is wide.

그리고, 본체 나사(11a)는 콘센트 본체(11)에서 폭이 좁은 두 면에 형성된다. 한편, 도 6은 콘센트(10)를 아래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콘센트 본체(11)의 폭이 좁은 두 면에 본체 나사(11a)가 형성될 때, 본체 나사(11a)의 폭은 콘센트 본체(11)에서 폭이 좁은 면의 폭보다 적다,The main body screws 11a are formed on two surfaces of the outlet main body 11 which are narrow in width.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when the outlet 10 is viewed from the downward direction. When the main body screws 11a are formed on two narrow surfaces of the outlet main body 11, the width of the main body screws 11a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narrow side in the outlet main body 11,

또한, 본체 나사(11a)는 상기 폭이 좁은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본체 나사(11a)의 양 옆은 경사(slope)구조를 형성한다. 즉 본체 나사(11a)와 상기 폭이 좁은 면은 경사 구조를 통하여 연결된다, The main body screw 11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narrow surface.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crew (11a) forms a slope (slope) structure. That is, the main body screw 11a and the narrow surface are connected through the inclined structure,

도 7과 도 8은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와 슬라이딩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and a sliding cover.

도 7은 슬라이딩 덮개(17)가 닫혀져 있는 상태의 도면이도 도 8은 슬라이딩 덮개(17)다 열려진 상태의 도면이다. 상기 슬라이딩 덮개(17) 아래에는 220 V 전원 연결구(12)와 USB 연결 단자(13)가 위치한다, 그리고,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는 슬라이딩 덮개가 덮지를 않게 된다. 즉,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는 언제나 노출되어 있다, FIG. 7 is a view in which the sliding cover 17 is closed. FIG. 8 is a view in which the sliding cover 17 is opened. The 220 V power connector 12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3 are positioned below the sliding cover 17, and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s not covered by the sliding cover. That is,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s always exposed,

도 9와 도 10은 슬라이딩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a sliding cover.

도 9은 슬라이딩 덮개(17)의 안쪽 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슬라이딩 덮개(17)의 안쪽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sliding cover 17, a view showing the inner portion of the sliding cover 17 shown in FIGS.

상기 슬라이딩 덮개(17)의 3 변에는 덮개 측벽(17a)이 형성되고 1 변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1 변 방향에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가 위치한다. Cover sidewalls 17a are formed at three sides of the sliding cover 17 and one side is opened, and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s positioned in the open one side direction.

그리고, 슬라이딩 덮개(17)의 두변에 형성된 덮개 측벽(17a)에는 슬라이딩 홈(17c)(혹은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이 형성되어, 콘센트 표면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 sliding groove 17c (or a sli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s formed in the cover sidewall 17a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liding cover 17, so that the sliding surface and the sliding movement are possible.

한편, 슬라이딩 홈(17c)(혹은 슬라이딩 돌기)이 형성되지 않은 변 쪽에 장김 돌기(17b)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덮개가 열리거나 닫힐 때, 더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장김 역활을 하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 콘센트 표면(10a)에는 상기 장김 돌기에 맞 물리는 돌기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long projection 17b i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sliding groove 17c (or the sliding projection) is not formed, and when the sliding cover is opened or closed, it acts as a longage so that it no longer moves. The outlet surface 10a is formed with projections that engage the girdles.

또한, 덮개 측벽(17a)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슬라이딩 덮개(17)가 열리었을 때 더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턱(17d)이 형성된다. 이때에도 콘센트 표면(10a)에는 상기 걸림턱(17d) 맞 물리는 돌기가 형성된다. In addition, where the cover side wall 17a is not formed, the locking jaw 17d is formed so that the sliding cover 17 does not move any more when the cover 17 is opened. At this time, the projection surface (10a) is formed with a projection to engage the locking step (17d).

도 10은 슬라이딩 덮개(17)와 콘센트 표면(10a)이 결합되고 슬라이딩 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슬라이딩 덮개(17)가 슬라이딩 이동 되는 방향으로 존재하는 덮개 측벽(17b)에는 슬라이딩 홈(17c)이 형성되고, 콘센트 표면(10a) 양 측면에는 슬라이동 돌기(1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와 홈이 서로 맞 물리면서 슬라이딩 덮개(17)가 콘센트 표면(10a)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 덮개(17)에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콘센트 표면(10a)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10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that the sliding cover 17 and the outlet surface 10a are coupled and slid. Sliding grooves 17c are formed in the cover sidewall 17b in which the sliding cover 17 is slid and moved, and sliding protrusions 10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let surface 10a. The sliding cover 17 slides with the outlet surface 10a while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the slid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liding cover 17 and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let surface 10a. It may be.

그리고, 도면에서처럼, 슬라이딩 덮개(17)와 콘센트 표면(10a)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Gap)이 존재한다. 상기 간격이 존재하는 이유는 슬라이딩 덮개(17)와 콘센트 표면(10a)의 원할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덮개(17)는 탄성력을 가지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 덮개(17)가 눌려지어도 깨지지 않게 된다. And, as shown, there is a constant gap between the sliding cover 17 and the outlet surface 10a. The reason for the gap is for smooth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cover 17 and the outlet surface 10a, and the sliding cover 17 ha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liding cover 17 is not broken even when the sliding cover 17 is pressed. Will not.

또한, 슬라이딩 덮개(17)가 콘센트 표면과 결합될 때에서 슬라이딩 덮개(17)의 탄성력을 활용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liding cover 17 is engaged with the outlet surface, the elastic force of the sliding cover 17 is utilized.

도 11과 도 12는 본원 발명의 가구용 콘센트 측면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1 and 12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ide of the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슬라이딩 덮개가 덮혀진 상태의 도면으로, 측면에서 볼 때 슬라이딩 덮개(17)와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14)의 높이는 같다.11 is a view of the sliding cover is covered, the height of the sliding cover 17 and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n the side view.

이때, 본원 발명에서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14)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에 올려 놓아서 무선충전을 실시 할 수 있는 충전 패드이다. 따라서, 상기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14) 안쪽에는 무선 충전 전력 에너지를 송신하는 코일(혹은 안테나)가 구비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pad that can perform a wireless charging by placing a portable terminal on. Therefore, a coil (or antenna) for transmitting wireless charging power energy is provided inside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따라서, 본발명에서의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14)는 그 아래에 무선 충전 전력 에너지를 송신하는 코일(혹은 안테나)가 위치하고 플라스틱 수지로 만들어진 것이다. 즉, 상기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14)는 콘센트의 외부를 형성하는 콘센트 케이스의 일부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콘센트 케이스는 플라스틱 수지로 만들어지고 본원 발명의 가구용 케이스의 외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refore,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il (or antenna) positioned under it and made of plastic resin.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forms part of an outlet case forming the outside of the outlet. At this time, the outlet case is made of plastic resin means to form the outside of the furnitur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슬라이딩 덮개(17)가 열려진 상태의 도면으로, 슬라이딩 덮개가 열려지면, 220 V 전원의 연결이 가능하고 USB 전원의 연결도 가능하게 된다.FIG. 12 is a view in which the sliding cover 17 is opened. When the sliding cover is opened, the 220 V power can be connected and the USB power can also be connected.

즉, 슬라이딩 덮개(17)는 220V 전원 연결구와 USB 연결 단자는 덮개 되지만,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는 덮지 않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 덮개(17)가 닫혀졌을 때의 높이는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의 높이와 같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덮개(17)가 열려지면 콘센트 표면(10a)이 노출되고 220V 전원 연결구와 USB 연결 단자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sliding cover 17 is covered with a 220V power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but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s not covered, the height when the sliding cover 17 is closed,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It will be equal to the height of. When the sliding cover 17 is opened, the outlet surface 10a is exposed and the use of the 220V power connector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is possible.

한편, 본원 발명의 가구용 컨센트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전원 공급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들어 220 V 전원 연결구(口)(12)가 적어도 2 개 이상 구비되거나, 아니면 적어도 1 개 이상의 220 V 전원 연결구(口)(12)와 무선 충전기 충전 패드(14)가 구비되어 있다.Meanwhile, the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t least two power supply devices. For example, at least two 220 V power connectors 12 are provided, or at least one 220 V power connector 12 and a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are provided.

따라서, 본원 발명의 콘센트 본체(11)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의 콘센트 본체(11) 중에서 두 면의 폭은 좁고 다른 두면의 폭은 넓다.Therefore, the outlet body 1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at is, the width of two surfaces of the outlet main body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arrow and the width of the other two surfaces is wide.

도 13은 지지 링에서 나사 존과 비 나사 존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3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readed and non-threaded zones in a support ring,

본원 발명의 지지 링에 형성된 나사는 불연속 적이다. 즉 지지 링 나사(15a)가 형성된 나사 존(S Zone(Screw Zone))과 지지 링 나사(15a)가 형성되지 않은 NS Zone(Non S Zone(Screw Zone))이 존재한다.The screws formed in the support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ontinuous. That is, there is a screw zone (S Zone (Screw Zone)) in which the support ring screw 15a is formed and an NS zone (Non S Zone (Screw Zone)) in which the support ring screw 15a is not formed.

그리고, 상기 NS Zone의 폭 혹은 각도는 본체 나사(11a)의 폭 혹은 각도 보다 작아야 한다,And, the width or angle of the NS Zone should be smaller than the width or angle of the body screw (11a),

도 14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라이딩 덮개(!7)가 장착되는 콘센트 표면(10a)는 가구 표면(20) 위에 위치하고, 콘센트 본체(11)는 가구 표면(20) 아래에 위치하고, 콘센트 본체(11) 외곽에는 지지 링(15)이 위치한다,The outlet surface 10a on which the sliding cover! 7 is mounted is located above the furniture surface 20, the outlet body 11 is located below the furniture surface 20, and the support ring 15 is outside the outlet body 11. Is located,

그리고, 상기 콘센트 본체(11)와 상기 지지 링(15)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일정한 간격 사이에 체결 링(18)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체결 링(18)은 측벽(18a)과 날개(18b)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링 측벽(18a)는 상기 콘센트 본체(11)와 상기 지지 링(15)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고, 체결 링(18) 날개(18b)는 지지 링(15)을 아래에서 받쳐 주게 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gap exists between the outlet body 11 and the support ring 15, and a fastening ring 18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stant gaps. The fastening ring 18 is composed of a side wall 18a and a wing 18b, the fastening ring side wall 18a is located at a distance between the outlet body 11 and the support ring 15, and the fastening ring ( 18) the wings 18b support the support ring 15 from below,

또한, 상기 상기 체결링 측벽(18a)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 나사(18c)도 본원 발명에서 지지 링(15)에 나사가 형성된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불연속적인 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절개되어 체결링 측벽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 screw is formed on the fastening ring side wall 18a, and the fastening ring screw 18c is also formed with a discontinuous screw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where the screw is formed on the support ring 15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ortion where the screw is not formed may be cut off so that the fastening ring sidewall does not exist.

도 15내지 도 17은 본원 발명의 가구용 콘센트에 무선충전기가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5 to 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mounting a wireless charger in a furnitur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0V 전원 연결구(12)와 USB 연결단자(13)가 구비되고 프라스틱 소재로 사출하여 제조된 콘센트 표면(10a)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무선충전기 장착부(14a)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5, a 220 V power connector 12 and a USB connector 13 are provided, and a wireless charger mounting portion 14 a is integrally connected to an outlet surface 10 a manufactured by injection into a plastic material. .

상기 무선충전기 장착부(14a)는 상기 콘센트 표면(10a)처럼 프라스틱으로 사출되어 제작되고, 무선충전기 장착부(14a)와 상기 콘센트 표면(10a)은 일체형으로 제조된다.The wireless charger mounting portion 14a is made of plastic injection like the outlet surface 10a, and the wireless charger mounting portion 14a and the outlet surface 10a are made in one piece.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기 장착부(14a)와 상기 콘센트 표면(10a)은 전기 부품이 내장된 콘센트 본체(11)를 덮는 덮개 역할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기 장착부(14a)에 무선충전기 기판(25a)가 장착되게 된다. Thus, the wireless charger mounting portion 14a and the outlet surface 10a also serve as a cover for covering the outlet body 11 i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are embedded.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is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 mounting portion 14a.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기 기판(25a)에는 무선충전기 안테나(25b)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충전기 안테나(25b)는 무선 전력 에너지를 방출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er antenna 25b. The wireless charger antenna 25b emits wireless power energy to enable wireless charging.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별도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무선충전기(25)를 제작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상기 무선충전기 기판(25a)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충전기를 제작하기 위한 전자 부품은 상기 무선충전기 기판(25a)의 뒷면(도면에서 볼 때 뒷면)에 장착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component for manufacturing the wireless charger 25 is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for manufacturing the wireless charger is mounted on the back side (back side when seen in the drawing) of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도 16에서는 무선충전기 장착부(14a)에 무선충전기 절개부(14b)가 형성됨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기 절개부(14b)에 무선충전기 기판(25a)이 장착되게 된다. 16 shows that the wireless charger cutout 14b is formed in the wireless charger mounting portion 14a.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is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 cutout 14b.

한편, 상기 무선충전기 절개부(14b)의 가장 자리 영역에 무선충전기 절개부(14b) 보다 낮은 위치에 반사부(14c)가 구비되고, 상기 반사부(14c)에 금속 막 등이 코팅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reflector 14c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er cutout 14b than the wireless charger cutout 14b, and a metal film or the like may be coated on the reflector 14c. .

도 17은 무선충전기(25)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으로, 무선충전기 기판(25a)와 무선충전기 안테나(25b)로 구비되며, 상기 무선충전기 기판(25a) 뒷면(도 17의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에는 무선충전기와 관련된 전기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무선충전기 기판(25a) 가장자리에 무선충전기 안테나(25b)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 램프(Lamp)(25c)가 구비된다.1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er 25, which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and a wireless charger antenna 25b, the back of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not shown in the figure of Figure 17) Electrical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charger are installed. In addition, a lamp 25c is provided in an area where the wireless charger antenna 25b is not provided at the edge of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상기 램프(Lamp)(25c)는 무선충전기가 작동되는 여부 등을 확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Lamp)(25c)가 도 16에 도시된 반사부(14c)에 위치하도록, 무선충전기 기판(25a)이 무선충전기 절개부(14b)에 장착된다.The lamp 25c functions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wireless charger is operated. Then,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25a is mounted to the wireless charger cutout 14b so that the lamp 25c is located at the reflector 14c shown in FIG.

한편, 상기 무선충전기(25)를 무선충전 패트(14)가 덮개되고, 상기 무선충전 패드(14)는 콘센트 표면(10a)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상기 무선충전 패드(14)의 재질은 슬라이딩 덮개(17)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harging pad 25 is covered with a wireless charging pad 14, the wireless charging pad 14 is fixedly attached to the outlet surface 10a, the material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14 is a sliding cover It i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aterial as (17).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 패드(14)의 가운데에는 무선충전 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무선 충전 패드(14)의 외관 색은 슬라이딩 덮개의 외관 색과 동일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무선 충전 패드(14)에서 램프(25c)가 위치한 곳은 투명하게 한다, 램프(25c)가 위치한 곳을 투명하게 하는 방법은 투명한 무선 충전 패드(14)의 표면에 도료를 코팅하고, 투명하게 하도자 하는 영역의 표면에 코팅된 도료를 레이저 공정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And, the wireless charging position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14, the external color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14 is the same as the external color of the sliding cover. However, the place where the lamp 25c is positioned in the wireless charging pad 14 is transparent. The method of making the place where the lamp 25c is transparent is coated with a paint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reless charging pad 14, A method of removing the paint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region to be transparent by using a laser process is used.

도 18은 콘텐트 본체 내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inside of a content body.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 본체(11) 내부에는 SMPS(26), USB 연결 단자(13) 및 USB 장착 기판(13a)이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18, an SMPS 26, a USB connection terminal 13, and a USB mounting board 13a are provided in the outlet body 11.

상기 SMPS(26)는 외부 전원이 무선충전기와 USB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전압을 변화시켜주는 부품이다. 그리고, USB 장착 기판(13a)에는 USB 연결 단자(13)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전기 부품이 장착되고, USB 장착 기판(13a)에 USB 연결 단자(13)가 구비된다. The SMPS 26 is a component that changes the voltage so that external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USB. The USB mounting board 13a is equipped with an electric component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3, and the USB mounting board 13a is provided with a USB connection terminal 13.

이때, 상기 USB 장착 기판(13a)은 콘센트 본체(11)의 내부 측벽에 장착된다.At this time, the USB mounting substrate 13a is mounted on the inner sidewall of the outlet body 11.

도 19내지 도 21은 슬라이딩 덮개가 장착되고 이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9 to 21 are views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principle that the sliding cover is mounted and moved.

도 19에서처럼 덮개 측벽(17a)에는 슬라이딩 홈(17c)(혹은 돌기)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덮개(17)가 콘센트 본체(11)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장김 돌기(17b)는 슬라이딩 덮개(17)가 콘센트 표면(10a)에 장착되게 하는 역할을 하고, 걸림턱(17d)를 슬라이딩 덮개(17)가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19, the cover sidewall 17a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17c (or a protrusion), so that the sliding cover 17 can slide with the outlet body 11. 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17b serves to allow the sliding cover 17 to be mounted on the outlet surface 10a, and to prevent the sliding cover 17 from moving any further.

이때, 슬라이딩 덮개의 장김 돌기(17b)는 도 15에 도시된 콘센트 표면(10a)의 걸림부(10c)(10d)에 맞물리게 되며, 콘센트 표면(10a)의 걸림부(10c)(10d)는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상기 콘센트 표면(10a)의 걸림부(10c)(10d)가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방법은 콘센트 표면(10a)을 절개하는 방법이다.At this time, the elongated protrusion 17b of the sliding cov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s 10c and 10d of the outlet surface 10a shown in FIG. 15, and the engaging portions 10c and 10d of the outlet surface 10a are elastic. And the way that the engaging portion (10c) (10d) of the outlet surface (10a) has an elastic force is a method of cutting the outlet surface (10a).

또한, 슬라이딩 덮개의 걸림턱(17d)은 는 도 15에 도시된 콘센트 표면(10a)의 걸림 턱(10e)에 맞물리게 된다. 콘센트 표면(10a)의 걸림턱(17d)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방법은 콘센트 표면(10a)을 절개하는 방법이다.  Further, the locking jaw 17d of the sliding cover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10e of the outlet surface 10a shown in FIG. The method of having the elasticity of the locking step 17d of the outlet surface 10a is a method of cutting the outlet surface 10a.

도 20은 슬라이딩 덮개의의 장김 돌기(17b)와 걸림 턱(10e)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장김 돌기(17b) 양면이 경사되어 있는 산 모양을 돌기 형상이고, 걸림 턱(10e)은 한쪽은 수직 방향의 형상을 가지고 한쪽은 경사진 형상을 가진 돌기 형상이다.20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elongated protrusion 17b and the locking jaw 10e of the sliding cover. The elongate protrusion 17b is a protrusion shape having a mountain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inclined, and the locking jaw 10e has a protrusion shape having one of the vertical shape and one of the inclined shape.

도 21은 콘센트 표면(10a)의 걸림부(10c)(10d)와 콘센트 표면(10a)의 걸림턱(17d)이 탄성력을 가지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걸림부(10c)(10d)와 걸림턱(17d)의 세변은 절개되고, 한변(10d-1)(10e-1)은 절개되지 않고 콘센트 표면(10a)에 부착되므로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FIG. 21 is a view showing a principle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s 10c and 10d of the outlet surface 10a and the engaging jaw 17d of the outlet surface 10a have elastic force. The three sides of the locking portions 10c and 10d and the locking jaw 17d are cut, and the one sides 10d-1 and 10e-1 are not cut and are attached to the outlet surface 10a to have elastic force.

도 22는 콘센트 본체에 전원 공급 코드가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2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ounting a power supply cord to the outlet body.

콘센트 본체(11) 하부의 가장자리에 본체 홀(11b)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홀(11b)은 탄성력을 가진 홀 측면 커버(11c)에 의하여 측면이 막혀지고, 본체 홀(11b)과 홀 측면 커버(11c) 사이에 만들어진 홀에 전원 공급 코드(11d)가 끼여지게 된다. The main body hole 11b is formed in the edge of the lower part of the outlet main body 11, and the main body hole 11b is blocked by the side by the hole side cover 11c which has an elastic force, and the main body hole 11b and the hole side cover The power supply cord 11d is pinched in the hole made between 11c.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코드(11d)에 의하여 콘센트 본체(11) 내부에 구비된 전기 부품에 전원이 공급된다.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provided in the outlet body 11 by the power supply cord 11d.

도 23은 본원 발명의 불럭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Figure 23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교류인 220 V 외부 전원(23)은 220V 전원부(12)에 바로 연결되고, SMPS(26)와도 연결된다. 상기 SMPS(26)는 전압을 변화시켜, 무선충전기(25)와 USB 기판(13a)에 변압된 전원을 공급하여 주게 된다.The AC 220V external power source 2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220V power supply unit 12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SMPS 26. The SMPS 26 changes the voltage to supply the transformed power to the wireless charger 25 and the USB substrate 13a.

따라서, 무선충전기에는 무선충전에 관련된 부품이 일체화되어 존재하고, USB 기판에는 USB와 관련된 부품이 일체화되어 존재한다. Therefore, components related to wireless charging are integrally present in the wireless charger, and components related to USB are integrally present in the USB substrate.

도 24와 도 25는 NFC와 QR 코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24 and 25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llustrating NFC and QR codes.

본원 발명에서는 무선충전 코일의 내부 혹은 외부에 근거리 통신칩을 구비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칩으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형태의 근거리 통신 수단을 사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chip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chip us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in the form of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도 24의 도면은 근거리 통신칩의 개요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 칩(100)은 수십 cm 이내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칩(100)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형태의 근거리 통신 수단을 사용한다.2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schematic diagram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communication within several tens of centimeters.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chip 100 us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in the form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

즉, 상기 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거리 통신칩(100)은, 맨 아래에 접착제가 코팅된 필름 형태의 부착 필름(101)이 구비되어 근거리 통신칩(101)을 테이블 등에 부착하고, 상기 부착 필름 위에 NFC 태그 부품(102)이 구비되며, 다시 맨 위에 QR 코드 인쇄 보호필름(103)이 구비되어, NFC 태그 부품을 보호한다.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100, the bottom of the adhesive film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film 101 in the form of a film is attach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101 attached to the table, the attachment The NFC tag component 102 is provided on the film, and the QR code printing protection film 103 is provided on the top again to protect the NFC tag component.

본원 발명의 특징은 상기 근거리 통신칩(100)으로부터 광고 정보를 전송 받게 된다.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dvertising information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100).

즉, 휴대용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칩(10)으로부터,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는 URL 정보를 수신 받는다.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200 receives URL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300 from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chip 10.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그 단계는 아래와 같다.In addition, the step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as follows.

1 단계 : 휴대용 단말기(200)를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14)에 올려 놓는다. Step 1: Place the portable terminal 200 on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

2 단계 : 휴대용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칩(10)으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 받는다.Step 2: The portable terminal 200 receives the URL information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hip 10.

3 단계 : 수신 받은 URL 주소를 가진 서버(300)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광고를 표시한다. Step 3: Connected to the server 300 having the received URL address, the portable terminal 200 displays an advertisement.

도 25는 QR 코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2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QR code.

본원 발명에서는 서버(300)의 URL 주소를 QR 코드를 통해서도 받을 수 있다, 그 단계는 아래와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RL address of the server 300 can also be received through a QR code, the steps are as follows.

1 단계 : 휴대용 단말기(200)로 QR 코드를 인식 시킨다.Step 1: Recognize the QR code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2 단계 : 휴대용 단말기(200)는 QR 코드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 받는다.Step 2: The portable terminal 200 receives the URL information from the QR code.

3 단계 : 수신 받은 URL 주소를 가진 서버(300)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광고를 표시한다. Step 3: Connected to the server 300 having the received URL address, the portable terminal 200 displays an advertisement.

도 26내지 도 28은 본원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26 to 28 are diagrams of embodiment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가맹점 내에서 제 1 테이블의 무선 충전기(무선 충전 패드(14))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0-1이라 하고, 제 2 테이블의 무선 충전기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2이라 하고, 마찬가지로 제 n 테이블의 무선 충전기(10)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200-n이라 하면, 상기 단말기는 서버(300)와 각각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26,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wireless charging pad 14) of the first table in an arbitrary affiliate store is referred to as 200-1, and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of the second table is referred to as 20-1. 2,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10 of the n-th table is 200-n, the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server 300, respectively.

또한,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별도 서버(본원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와도 접속가능하며, 이 경우는 최초로 접속된 서버(300)에 의하여, 별도 서버의 URL 정보틀 얻게 되어 접속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 separate server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URL 300 of the separate server is obtained by the first connected server 300 and connected.

이때, 별도 서버는 광고를 제공하거나 결재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서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parate server may be at least two or more servers providing an advertisement or a payment function.

도 27은 서버(300)와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유무선 인터넷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3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300)의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101), 및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102)가 구성된다. 2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300 and the terminal 20. The server 300 in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is a device that configures a system for operating a service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An input unit 103 for managing or inputting information by an administrator or an operator of the server 300, an output unit 105 for outputting 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database unit 104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service operations. ), A control unit 101 that controls, controls, and outputs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102 that enable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그리고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And information means all information files, such as an image, a video, and a text.

그리고, 단말기(혹은 휴대용 컴퓨터)(200)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In addition, the terminal (or portable computer) 200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a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ing necessary information on a display.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200)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1)(중앙처리장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2),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4)가 구성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모듈과 스피커 진동 혹은 키 버튼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도 부과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refore, the terminal 200 includes a CPU 21 (central processing unit) serving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a display unit 23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 memory unit 22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inputting information. An input device 24 is constructed.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functions such a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dule and speaker vibration or a key button may be imposed in various ways.

도 28은 휴대용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1)(CPU)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22a)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22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22c)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2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 As shown in FIG. In the figu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 (CPU)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M 22a controls the execution program of the display device, the RAM 22b stores data generated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and the Y pyrom 22c stores data needed by the user and data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program. Keep it.

통신모듈(25)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출력부(26)는 각종 입력장치 및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는 스피카와 센서 등도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5 is a radio frequency, tunes to an RF channel, amplifies an input voice signal, and converts an RF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The input / output unit 26 includes various input devices, numeric keys, menu keys, and selection keys, and includes a spica and a sensor.

중앙처리장치(21)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3a)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3)가 있다. There is a display driving circuit 23a for driving the display by the outpu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 and there is a display 23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ing circuit.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24a)를 통해서 입력장치(24)를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PU controls the input device 24 through the input device driver 24a.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었으나, 중앙처리 장치, 입력장치(24)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portable terminal as an embodiment, all devices us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input device 24 and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29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database of a server.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 충전 정보 데이터 베이스,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광고 정보(혹은 필요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As shown in FIG. 29, a merchant information database, a charging information database, a member information database, and an advertisement information (or necessary information) database exist in the database 104 of the server.

가맹정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가맹점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메뉴나 상품, 가맹점 위치,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 정보는 제 1 테이블, 제 2 테이블처럼 가맹점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수이다. The franchise information database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affiliate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affiliated store stores information on a menu or product sold by the affiliated store, the location of the affiliated store, and a table existing in the affiliated store. The table information is the number of tables existing in the affiliate store, such as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충전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충전이 발생될 경우 충전 기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In the charging information database, when charging occurs in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affiliated stor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record is stored.

광고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광고가 표시될 경우 광고 표시 기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database stores information on an advertisement display record when an advertisement is display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affiliated store.

10 : 콘센트 10 a : 콘센트 표면
10 b : 슬라이딩 돌기 10c : 걸림부
11 : 콘센트 본체 11 a : 본체 나사
11b: 본체 홀 11c : 홀 측면 커버
12 : 220 V 전원 연결구(口) 13 : USB 연결 단자
13 a : USB 장착 기판 12a : 220 V 전원부
14 : 무선충전기 충전 패드 14a : 무선충전기 장착부
14 b : 무선충전기 절개부 14c : 반사부
25 : 무선충전기 25a : 무선충전기 기판
25b : 무선충전기 안테나 25c : lamp
15 : 지지 링 20 : 가구 표면
15a :지지 링 나사 15b :지지 링 날개
17 : 슬라이딩 덮개 15c :지지 링 측벽
17a : 덮개 측벽 17b : 장김 돌기
17c : 슬라이딩 홈 17d : 걸림턱
18 : 체결 링 18a : 체결링 측벽
18b : 체결링 날개 18c : 체결링 나사
26 : SMPS 23 : 교류 전원부
100 : 근거리 통신칩 200 : 휴대용 단말기
300 : 서버 350 : 별도 서버
10: outlet 10 a: outlet surface
10 b: Sliding protrusion 10c: Hanging part
11: outlet body 11 a: body screws
11b: body hole 11c: hole side cover
12: 220 V power connector (口) 13: USB connection terminal
13 a: USB mounting board 12a: 220 V power supply
14: wireless charger charging pad 14a: wireless charger mounting portion
14 b: Wireless charger incision 14c: Reflector
25: wireless charger 25a: wireless charger board
25b: wireless charger antenna 25c: lamp
15: support ring 20: furniture surface
15a: support ring screw 15b: support ring wing
17: sliding cover 15c: support ring side wall
17a: cover sidewall 17b: long protrusion
17c: sliding groove 17d: locking jaw
18: fastening ring 18a: fastening ring side wall
18b: fastening ring blade 18c: fastening ring screw
26: SMPS 23: AC power supply
100: near field communication chip 200: portable terminal
300: server 350: separate server

Claims (4)

가구의 표면 아래로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본체 나사를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구비하며, 전기 전자 부품을 내장하고 있는 콘센트 본체;
상기 콘센트 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가구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슬라이딩 덮개에 의해 덮일 수 있는 220 V 전원 연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덮개에 의해 덮일 수 없도록 상기 220 V 전원 연결구와 이웃하게 위치한 충전 패드에 의해 덮여 있는 무선충전기 장착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표면;
상기 본체 나사와 나합하기 위한 지지 링 나사가 형성된 나사 존과 상기 지지 링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 존을 번갈아 구비하고, 상기 비나사 존의 폭을 상기 본체 나사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하며, 상기 비나사 존의 높이를 상기 나사 존의 높이보다 낮추기 위한 절개를 상기 비나사 존에 구비하고, 상기 지지 링 나사와 상기 본체 나사 간 나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가구의 표면 아래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를 고정시키는 지지 링;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 부품을 하면에 장착한 채 상기 무선충전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무선충전기 기판 및 상기 무선충전기 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무선충전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및
상기 충전 패드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충전 패드에 놓인 휴대용 단말기가 읽어들일 URL 정보를 가지고 있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 가구용 콘센트.
An outlet body installed to be inserted below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the main body having screws on two sides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an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 therein;
It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top of the outlet body and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and has a 220 V power connector that can be covered by a sliding cover, and adjacent to the 220 V power connector so that it cannot be covered by the sliding cover. An outlet surface having a wireless charger mount covered by a positioned charging pad;
Alternately provided with a screw zone having a support ring screw for screwing with the main body screw and a non-screw zone without the support ring screw, the width of the non-screw zone being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ain body screw, An incision in the non-screw zone for lowering the height of the non-screw zone than the height of the screw zone, and fixing the outlet body under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when the screwing between the support ring screw and the main body screw is completed. Support ring;
A wireless charger including a wireless charger substrate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er mounting unit while mounting an electronic component for wireless charging, and a wireless charger antenna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er substrate; And
And an NFC tag installed on the charging pad, the NFC tag having URL information to be read by the portable terminal placed on the charging pa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08097A 2018-01-23 2018-01-23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KR102076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97A KR102076541B1 (en) 2018-01-23 2018-01-23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97A KR102076541B1 (en) 2018-01-23 2018-01-23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02A KR20190089502A (en) 2019-07-31
KR102076541B1 true KR102076541B1 (en) 2020-02-12

Family

ID=6747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097A KR102076541B1 (en) 2018-01-23 2018-01-23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5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28U (en) 2020-03-17 2021-09-27 (주)더모운 Furniture concent with easily couplable locking 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314B1 (en) * 2019-10-25 2020-03-17 (주)퍼맥스 Multi-tap keeping device for desk pa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58Y1 (en) * 2013-08-01 2014-10-22 (주)코스모 Electrical sock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6723B2 (en) 2007-01-05 2010-10-05 Belkin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grommet device
KR20080002508U (en) 2007-01-04 2008-07-09 박지용 A towel for body cleaning
KR20170140938A (en) * 2016-06-14 2017-12-22 유인창 System for management business place based on outlet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58Y1 (en) * 2013-08-01 2014-10-22 (주)코스모 Electrical so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28U (en) 2020-03-17 2021-09-27 (주)더모운 Furniture concent with easily couplable locking 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02A (en)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4375B1 (en) Set top box or server having snap-in heat sink and smart card reader
US8233949B2 (en) Mobile phone
US20030021082A1 (en) Detachable wireless input device of notebook computer
KR101973127B1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S58129641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input/output equipment for terminal
US20140061312A1 (en) Touch control barcode scanner and barcode scanning device having the scanner
KR102076541B1 (en) Electrial outlet for the furniture
US10247402B2 (en) Lamp device
US9331519B2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20170168637A1 (en) Handheld electronic touch screen device
KR20190011668A (en) The electrical outlet for the furniture
US8678862B2 (en) Homeplug having panel replacement structure
US10651879B2 (en) Handheld electronic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TW201440348A (en) A slide transmission system and a slide transmission device
KR102149443B1 (en) Socket device
US9208660B2 (en) Docking device for credit card payment and cash drawer including the same
KR20190011655A (en) The electrical outlet for the furniture
US9965664B2 (en) Mobile data collector with keyboard
US9007749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7637467B2 (en) Stand for supporting computer
KR101588881B1 (en) All in one computer
CN110471495B (en) Storage medium, docking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combin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9123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communication module
US6741475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replaceable built-in external power supply module
KR102142572B1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