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594B1 - 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 Google Patents

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594B1
KR102046594B1 KR1020170042883A KR20170042883A KR102046594B1 KR 102046594 B1 KR102046594 B1 KR 102046594B1 KR 1020170042883 A KR1020170042883 A KR 1020170042883A KR 20170042883 A KR20170042883 A KR 20170042883A KR 102046594 B1 KR102046594 B1 KR 10204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andle
jaw
horizontal direc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2251A (en
Inventor
국동훈
Original Assignee
국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동훈 filed Critical 국동훈
Priority to KR102017004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594B1/en
Publication of KR2018011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이 삽입되는 링형 고정부재, 링형 고정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 공간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 공간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가 제공된다.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xed rod which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transport means, th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in the engaging manner provided in the coupling spac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and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t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engaging manner in the coupl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dom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ecured while the passenger is not held by hand, and when the passenger is held by hand, movement of the passe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nstrained so a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is provided.

Description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본 발명은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he freedom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ecured when the passenger is not held by hand, and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nstrained when the passenger is held by h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enables the passenger to be safe.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에는 좌석에 앉아있지 않고 서 있는 탑승객의 운행 중 안전을 위한 손잡이가 천정면에 설치되어 있다.Public transport such as buses and subways are equipped with handles on the ceiling for safety during the operation of passengers who are not seated.

한편, 이와 같은 손잡이는 교통 수단 내에서 걸어서 이동하는 탑승객의 머리에 부딪히는 경우 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갖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handle is installed in a manner having a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when hit the head of the passengers walking on the transportation means.

그러나, 막상 탑승객이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서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손잡이에 구비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로 인해 탑승객은 손잡이를 잡고 있음에도 몸이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However, in the state where the occupant grips the handle to support his / her weight, the passengers are shaken from side to side even though the passenger holds the handle due to the horizontal freedom provided in the handle for the above reas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as the freedom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ecured while the passengers are not held by hand and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nstrained when the passengers are held by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는,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이 삽입되는 링형 고정부재(100);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결합 공간(1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0); 및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결합 공간(2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The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od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vehicle; A connection member 200 installed in a first engagement space 150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n a locking manner; And a handle part 300 installed in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in a locking man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결합 공간(150)에 구비된 제1 걸림턱(155)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제1 걸림구(2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hole 270 which is installed in a locking manner on the first locking step 155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space 150. It is done.

또한, 상기 제1 걸림구(270)의 측면에는 제1 돌출턱(27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을 이격시키는 제1 탄성체(17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protruding jaw 275 is provided at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atching jaw 27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jaw 275 and the first catching jaw 155 and the first protruding jaw. And a first elastic body 170 spaced apart from the 275 and the first latching jaw 155.

또한, 상기 제1 탄성체(170)에 의해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이 이격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the first protruding jaw 275 and the first locking jaw 155 are spaced apart by the first elastic body 170,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ossible.

또한, 탑승객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00)가 아래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1 탄성체(170)가 압축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에 구비된 제1 고정 구간(15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elastic member 170 is compressed as the handle 300 is pulled downward by a passenger,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first fixed to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tion 157,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strained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dom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ecured while the passenger is not held by hand, and when the passenger is held by hand, movement of the passe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nstrained so a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형상을 나타낸 도면, 및
도 3은 탑승객이 도 1에서의 손잡이부를 파지한 경우에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내부의 구조적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oving shape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in FIG. 1; and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al change state inside the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when the passenger grips the handle i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는 링형 고정부재(100), 연결부재(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a connecting member 200, and a handle 300.

링형 고정부재(100)는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봉이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를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performs a function of fixing the handle structure for the vehicle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vehicle by inserting the fixing rod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vehicle.

한편, 링형 고정부재(100)의 내측 홀의 상하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수평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정봉이 삽입되는 링형 고정부재(100)의 내측 홀은 상하부가 직선으로 된 타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hole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s formed as shown in Figure 1,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inner hole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nto which the fixing rod is inserted into an elliptical shape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straight. have.

아울러, 고정봉의 링형 고정부재(100)와의 결합부위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상하부가 직선으로 된 타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고정봉과 결합된 링형 고정부재(100)는 고정봉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구속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fixed rod with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the cross-section is in the ellipt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a straight line, and thus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coupled with the fixing rod is fixed rod The rotation about the center is constr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링형 고정부재(100)의 회전이 구석되는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를 사용하는 탑승객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rotation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the passengers using the handle structure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한편,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에는 연결부재(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결합 공간(1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부재(20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걸림구(270)는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결합 공간(1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space 150 in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inserted and coupled, the first locking hole 27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installed in a locking manner in the first coupling space 15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구체적으로, 제1 결합 공간(150)은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공간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공간(150)은 약 3cm 정도의 직경값(제1 직경값)을 갖는 제1 원통형 공간과 약 4cm 정도의 직경값(제2 직경값)을 갖는 제2 원통형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원통형 공간은 제1 원통형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space 150 is a cylindrical space that is open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an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space 150 has a diameter value of about 3 cm (first diameter value). And a second cylindrical space having a diameter value (second diameter value) of about 4 cm, and the second cylindrical space is formed above the first cylindrical space.

한편, 제1 원통형 공간과 제2 원통형 공간의 직경 차이로 인해, 도 1에서와 같이 제1 원통형 공간과 제2 원통형 공간의 경계에는 제1 걸림턱(155)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first cylindrical space and the second cylindrical space, as shown in Figure 1, the first locking step 155 is form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ylindrical space and the second cylindrical space.

한편, 연결부재(200)는 다양한 직경의 원통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부재로서, 연결부재(200)의 상부는 링형 고정부재(100)와의 걸림 방식의 결합을 형성하고, 연결부재(200)의 하부는 손잡이부(300)와의 걸림 방식의 결합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a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cylinders of various diameters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forms a coupling of the engaging method with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the connection member 200 The lower part of the) forms the engaging method of the handle portion 300.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00)의 상부에는 원통형 피스톤 형상의 제1 걸림구(2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걸림구(270)의 상부 외측에는 환형 돌출턱(제1 걸림턱(155))이 제1 걸림구(270)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latch 270 having a cylindrical piston shape, and an annular protruding jaw (first latching jaw 155)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first latch 270. It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is 1st latch 270. As shown in FIG.

도 1에서와 같이, 제1 걸림구(270)는 제1 결합 공간(150)에서의 상부 공간인 제2 원통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걸림턱(155)에 설치되어 있는 용수철 등의 제1 탄성체(170)에 의해 제1 결합 공간(150)의 제1 걸림턱(155)과 제1 걸림구(270)의 제1 돌출턱(275)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locking hole 270 is installed in a second cylindrical space, which is an upper space in the first coupling space 150, and is formed of a spring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first locking jaw 155. The first locking jaw 155 of the first coupling space 150 and the first protruding jaw 275 of the first locking hole 270 are maintained by the first elastic body 170.

한편, 이와 같이 탑승객이 손잡이부(300)를 파지하지 않음으로써, 하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즉, 손잡이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제1 탄성체(170)에 의해 제1 걸림턱(155)과 제1 돌출턱(275)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결과, 제1 걸림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 곡면인 제1 라운드부(277)가 제1 고정 구간(157) 및 제1 걸림턱(155)에 구속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확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enger does not hold the handle portion 300 in this way,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downward (that is, when the handle structure is not used) the first locking jaw by the first elastic body 170 As a result of the 155 and the first protruding jaw 275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round portion 277, which is a convex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section 157. And it is not restrained by the first locking step 155,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2 the handle portion 300 to secure the freedom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즉, 손잡이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가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운송 수단 내에서 탑승객이 걸어서 이동하는 중에 탑승객의 머리가 손잡이부(300)에 만약 부딪히게 되는 경우라도 그 충격이 최소화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handle structure is not used, as shown in FIG. 2, as the handle 300 is freely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ead of the passenger while the passenger walks in the vehicle is moved to the handle 300. ) Even if it strikes, the impact is minimized.

한편, 연결부재(200)의 하부에는 손잡이부(300)의 상부에 구비된 원통형 피스톤 형상의 제2 걸림구(37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결합 공간(2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손잡이부(300)의 상부에 구비된 제2 걸림구(370)는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결합 공간(2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provided with a second engaging space 2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hole 370 of the cylindrical piston shap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300, the handle portion The second locking hole 37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300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n a locking manner.

구체적으로, 제2 결합 공간(250)은 연결부재(200)의 하부로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공간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공간(250)은 약 1.5cm 정도의 직경값(제3 직경값)을 갖는 제3 원통형 공간과 약 2.5cm 정도의 직경값(제4 직경값)을 갖는 제4 원통형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4 원통형 공간은 제3 원통형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is a cylindrical space that is ope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has a diameter value of about 1.5 cm (third diameter value). ), And a fourth cylindrical space having a diameter value (fourth diameter value) of about 2.5 cm, and the fourth cylindrical space is formed above the third cylindrical space.

한편, 제3 원통형 공간과 제4 원통형 공간의 직경값의 차이로 인해, 도 1에서와 같이, 제3 원통형 공간과 제4 원통형 공간의 경계에는 제2 걸림턱(255)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iameter value of the third cylindrical space and the fourth cylindrical space, as shown in Figure 1, the second locking step 255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hird cylindrical space and the fourth cylindrical space.

아울러, 손잡이부(300)의 상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통형 피스톤 형상의 제2 걸림구(3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 걸림구(370)의 상부 외측에는 환형 돌출턱(제2 걸림턱(255))이 제2 걸림구(370)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300, as shown in Figure 1 is provided with a second latch 370 of the cylindrical piston shape, the upper out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hole 370 annular projection jaw (second latching jaw) (255)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ocking hole (370).

도 1에서와 같이, 제2 걸림구(370)는 제2 결합 공간(250)에서의 상부 공간인 상기 제4 원통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결합 공간(250)의 제2 걸림턱(255)에 설치되어 있는 용수철 등의 제2 탄성체(270)에 의해 제2 걸림턱(255)과 제2 걸림구(370)의 제2 돌출턱(375)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locking hole 370 is installed in the fourth cylindrical space, which is an upper space in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5 of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is provided. The second locking jaw 255 and the second protruding jaw 375 of the second locking port 370 are kep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econd elastic body 270 such as a spring.

한편, 손잡이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탄성체(270)에 의해 제2 걸림턱(255)과 제2 돌출턱(375)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결과, 제2 걸림구(37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 곡면인 제2 라운드부(377)가 제2 고정 구간(257) 및 제2 걸림턱(255)에 구속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확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structure is not used, the second locking jaw 255 and the second protruding jaw 375 are kept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econd elastic body 270 as a result, the second locking port 370 The second round part 377, which is a convex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 is not constrained to the second fixing section 257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5. As a result, as shown in FIG. 300 is to secure the freedom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즉, 손잡이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가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운송 수단 내에서 걸어서 이동하는 탑승객의 머리가 손잡이부(300)에 만약 부딪히게 되는 경우라도 그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handle structure is not used, as shown in Figure 2, as the handle 300 is freely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ead of the passenger to walk in the transport means if the handle 300 Even when hit, the impact can be minimized.

도 3은 탑승객이 도 1에서의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경우에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내부의 구조적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al change state of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when the passenger grips the handle part 300 of FIG. 1.

도 3에서와 같이, 운송 수단을 이용하는 탑승객이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체중을 지탱하게 되면, 손잡이부(300)는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며, 그에 따라 제1 탄성체(170) 및 제2 탄성체(270)가 압축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passenger using the vehicle supports the weight in the state of holding the handle part 300, the handle part 300 is pulled downward, and thus the first elastic body 170 and the first body are pulled down. 2 elastic body 270 is compressed.

그 결과, 연결부재(200)의 제1 걸림구(270)는 링형 고정부재(100)에 구비된 제1 결합 공간(150)의 하부 공간이자 제1 걸림구(270)를 고정시키는 구간(제1 고정 구간(157))에 해당하는 제1 원통형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제1 걸림구(270)의 직경과 제1 원통형 공간의 직경은 동일하기 때문에, 연결부재(200)는 링형 고정부재(100)에 하부에 좌우 이동이 결박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locking hole 270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a lower space of the first coupling space 150 provided in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and a section for fixing the first locking hole 270. 1 fixed section 157) is moved to the first cylindrical space, as shown in Figure 3, because the diameter of the first locking hole 270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cylindrical space is the same,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fixed to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bound.

그에 따라, 손잡이부(30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그 결과 탑승객은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손잡이부(30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handle 300 is in a state that cannot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result the passenger can grip the handle 300 more securely and securely.

한편, 이 경우에 제1 걸림구(270)에 구비된 제1 돌출턱(275)은 제1 걸림턱(155)에 걸림으로써, 연결부재(200)가 링형 고정부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ding jaw 275 provided in the first catching hole 270 is caught by the first catching jaw 155,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Will be prevented.

아울러, 손잡이부(300)에 상부에 구비된 제2 걸림구(370)는 연결부재(200)에 구비된 제2 결합 공간(250)의 하부 공간이자 제2 걸림구(370)를 고정시키는 구간(제2 고정 구간(257))에 해당하는 제3 원통형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제2 걸림구(370)의 직경과 제3 원통형 공간의 직경은 동일하기 때문에, 손잡이부(300)는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좌우 이동이 결박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locking hole 37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art 300 is a lower space of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provided in the connection member 200 and a section for fixing the second locking hole 370. It moves to the third cylindric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section 257), the diameter of the second locking hole 370 and the diameter of the third cylindrical space as shown in Figure 3, the handle portion ( 300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bou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그에 따라, 손잡이부(30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에 있게 되며, 그 결과 탑승객은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손잡이부(30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handle 300 is in a state that cannot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result the passenger can grip the handle 300 more securely and securely.

한편, 이 경우에 제2 걸림구(370)에 구비된 제2 돌출턱(375)은 제2 걸림턱(255)에 걸림으로써, 손잡이부(300)가 연결부재(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ding jaw 375 provided in the second catching hole 370 is caught by the second catching jaw 255, thereby preventing the handle part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200. Done.

한편, 탑승객이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제1 탄성체(170)와 제2 탄성체(270)가 다시 탄성 복원되게 되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는 도 1에서와 같은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enger releases the gripped state of the handle 300, the first elastic body 17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270 is elastically restored again, as a result the 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is formed.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링형 고정부재, 150: 제1 결합 공간,
155: 제1 걸림턱, 157: 제1 고정 구간,
170: 제1 탄성체, 200: 연결부재,
250: 제2 결합 공간, 255: 제2 걸림턱,
257: 제2 고정 구간, 270: 제2 탄성체,
275: 제1 돌출턱, 277: 제1 라운드부,
300: 손잡이부, 370: 제2 걸림구,
375: 제2 돌출턱, 377: 제2 라운드부.
100: ring-shaped fixing member, 150: first coupling space,
155: first locking step, 157: first fixing section,
170: first elastic body, 200: connecting member,
250: second coupling space, 255: second locking jaw,
257: second fixing section, 270: second elastic body,
275: first projection jaw, 277: first round portion,
300: handle portion, 370: second latch,
375: second projection jaw, 377: second round portion.

Claims (3)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이 삽입되는 링형 고정부재(100);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결합 공간(1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0); 및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결합 공간(2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결합 공간(150)에 구비된 제1 걸림턱(155)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제1 걸림구(2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구(270)의 측면에는 제1 돌출턱(27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을 이격시키는 제1 탄성체(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300)의 상부에는 상기 제2 결합 공간(250)에 구비된 제2 걸림턱(255)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제2 걸림구(37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걸림구(370)의 측면에는 제2 돌출턱(375)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돌출턱(375)과 상기 제2 걸림턱(25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돌출턱(375)과 상기 제2 걸림턱(255)을 이격시키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하며,
탑승객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00)가 아래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1 탄성체(170) 및 상기 제2 탄성체가 압축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에 구비된 제1 고정 구간(15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상기 제2 걸림구(37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구비된 제2 고정 구간(25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 걸림구(37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며,
상기 탑승객이 상기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제1 탄성체(170) 및 상기 제2 탄성체가 탄성 복원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00) 및 상기 제2 걸림구(370)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확보하는 것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A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nto which a fixing rod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vehicle;
A connection member 200 installed in a first engagement space 150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in a locking manner; And
Handle portion 300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n a locking manner
Inclu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hole 270 which is installed in a locking manner on the first locking step 155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space 150,
A first protruding jaw 275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hole 270,
It further includes a first elastic body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jaw 275 and the first locking jaw 155 to space the first protruding jaw 275 and the first locking jaw 155 apart. ,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300 is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hole 370 which is installed in a locking manner on the second locking step 255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space 250,
A second protruding jaw 375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locking hole 370,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elastic body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jaw 375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5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rotruding jaw 375 and the second locking jaw 255,
When the first elastic member 17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re compressed as the handle 300 is pulled downward by a passenger,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provided in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section 157,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constr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00, the second latch 370 is the connection memb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section 257 provided in the (200), the second locking hole 370 is constr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connecting member 200,
When the passenger releases the gripped state of the handle part 300, as the first elastic body 17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re elastically restored, the connecting member 200 and the second latching hole 370. Is a handle structure for a vehicle for securing the freedom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42883A 2017-04-03 2017-04-03 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KR102046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83A KR102046594B1 (en) 2017-04-03 2017-04-03 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83A KR102046594B1 (en) 2017-04-03 2017-04-03 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51A KR20180112251A (en) 2018-10-12
KR102046594B1 true KR102046594B1 (en) 2019-11-19

Family

ID=6387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883A KR102046594B1 (en) 2017-04-03 2017-04-03 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59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82Y1 (en) * 2003-01-28 2003-05-09 김흥배 a handle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708336B1 (en) * 2015-05-12 2017-02-21 장은화 Handle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499A (en) * 2005-07-28 2007-02-01 전성호 Handle for passenger on b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82Y1 (en) * 2003-01-28 2003-05-09 김흥배 a handle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708336B1 (en) * 2015-05-12 2017-02-21 장은화 Handle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51A (en)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9464A1 (en) Trim clip for trim for curtain side air bag
EP3222796B1 (en) Scaffold with latch assembly and method
US20190137008A1 (en) Conduit clamp
US20120167350A1 (en) Safety release device for roman blind pull cord
CN101802326A (en) Trim clip for trim for curtain side airbag
RU2666478C2 (en) Mobile vehicle handle with retractable holder
JP6350306B2 (en) Door lock device mounting structure
KR102046594B1 (en) 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CN107000802A (en) Anti-theft device for bicycle
JP5800210B1 (en) Folding cane
US11172652B2 (en) Multiple dog attachment apparatus
JP5945200B2 (en) Hook device
KR200370872Y1 (en) Hanger of Tools
KR102529441B1 (en) Curtain Airbag Pillar Assembly
JP2017038508A (en) Adapter for indirect live-line tool, and work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6178295B (en) Fall protection device for a rescue capsule of an aerial ladder, in particular for a fire-fighting vehicle
JP3197528U (en) Hanging tool that also serves as an accessory
KR100802834B1 (en) Assist handle for vehicle
KR101866302B1 (en) Tether clip device
US20190202569A1 (en) Disconnect assembly for an aerial delivery apparatus
KR101871479B1 (en) Holding device for escape
KR101753693B1 (en) Mounting device
JP5550509B2 (en) Umbrella and band member extension
CN209790774U (en) Hand-held pole-climbing mechanism and hand-held pole-climbing machine
KR100642492B1 (en) Handle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