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466B1 -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 - Google Patents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466B1
KR102046466B1 KR1020180068846A KR20180068846A KR102046466B1 KR 102046466 B1 KR102046466 B1 KR 102046466B1 KR 1020180068846 A KR1020180068846 A KR 1020180068846A KR 20180068846 A KR20180068846 A KR 20180068846A KR 102046466 B1 KR102046466 B1 KR 102046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ntact
hand
contact terminal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훈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훈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훈기공
Priority to KR102018006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Abstract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컬러테러피를 위한 빛을 방출하는 LED부; 상기 손잡이부에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파지시 손에 접촉되는 손 접촉단자;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단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손 접촉단자가 손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상기 피부 접촉단자의 접촉 또는 미접촉에 따라 입력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피부접촉유무를 판단하여, 피부접촉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LED부를 고출력으로 동작시키며, 피부미접촉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LED부를 저출력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Rechargeable handy type skin beauty device}
본 발명은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접촉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피부접촉유무를 판단하고, 이 피부접촉유무에 따라 LED소자의 출력량을 다르게 조절하는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구조에는 각질층, 진피(유극층, 과립층, 기저층), 진피 부속 기관(모낭, 모, 피지선, 한선, 에크린선)등이 있고, 피부의 생리 기능에는 보호, 체온조절, 지각, 흡수, 분비, 감정 전달 작용 등이 있으며, 피부의 색은 멜라닌,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에 의하여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피부는 탄력성 및 유연성의 상실과, 수분량의 감소, 재생력 감소로 인해 노화됨과 동시에 주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날씨가 더운 경우에 피부가 쳐질 수 있으며, 성형 수술, 나트륨 등으로 이한 섭식, 수면 및 운동 부족, 혈액 순환 장애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부기가 발생하거나 모공이 넓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피부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피부미용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미용기기들 중 공개특허 10-2014-0079602호, 등록특허 10-1649522호, 등록특허 10-0537687호에는 각종 색상의 LED로부터 발생된 빛을 피부에 쏘여 컬러테라피기능을 갖는 피부미용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피부미용기기는 버튼 등의 조작수단에 의해 LED가 지속적으로 고출력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 계속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피부미용기기가 피부에 근접하거나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LED는 계속적으로 고출력으로 켜져 있기 때문에 고출력의 빛이 안구에 전달될 경우 안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일으킬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피부미용기기는 LED를 효율적으로 방출하지 못하여 LED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10-2014-0079602호 등록특허 10-1649522호 등록특허 10-053768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이온도입기능과 컬러테라피기능을 동작할 수 있으며, 컬러테라피기능 동작시, 피부접촉에 의한 입력전압의 변화를 통해 피부접촉유무를 판단하여, 피부미접촉시에는 LED이 출력강도를 저출력상태로 제어함으로써, LED의 불필요한 강한출력이 안구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의 전력소비도 줄여줌으로써 배터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컬러테러피를 위한 빛을 방출하는 LED부; 상기 손잡이부에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파지시 손에 접촉되는 손 접촉단자;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단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손 접촉단자가 손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상기 피부 접촉단자의 접촉 또는 미접촉에 따라 입력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피부접촉유무를 판단하여, 피부접촉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LED부를 고출력으로 동작시키며, 피부미접촉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LED부를 저출력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미용기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부에 설치된 피부 접촉단자를 얼굴 등의 피부에 접촉시켜, 피부에 전류를 제공해 이온도입법에 의한 피부미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LED부로부터 발광된 빛을 피부에 쏘여 컬러테라피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멀티미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컬러테라피기능이 동작함에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부에 설치된 피부 접촉단자(130)의 피부접촉유무에 따라,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만 LED부가 100%의 유효 출력강도로 발광되고, 피부 접촉단자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LED부가 30%이하의 저출력강도로 발광되게 하여, 피부 접촉단자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불필요한 고출력강도의 빛이 안구에 영향을 미쳐 안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써 사용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뿐 아니라, 특히, 배터리의 전력소비율을 줄여 배터리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부미용기기에서 일부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피부미용기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이 보호커버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의 제어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기기(10)는 본체(101), LED부(107), 보호커버(110), 손 접촉단자(120), 피부 접촉단자(130), 제어부(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01)는 상부에 헤드부(102)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103)가 구성된다. 손잡이부(103)에 대해 헤드부(102)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헤드부(102)의 전면에는 좌우폭방향으로 복수개의 LED노출공(102b)이 형성되며, 이 복수개의 LED노출공(102b)은 상하로 소정간격으로 다수열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이 다수열로 구성된 LED노출공(102b)의 상하 사이에는 좌우폭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끼움홈(102c)이 형성된다.
LED부(107)는 피부에 특정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피부에 대한 컬러테라피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부(102)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다양한 색상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LED부(107)는 LED노출공(102b)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커버(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헤드부(102)의 전면(102a)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보호커버(110)에는 좌우 폭방향으로 슬롯부(112)가 형성되며, 이 슬롯부(112)는 전방을 통해 피부 접촉단자(130)가 끼움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슬롯부(112)는 보호커버(11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된다.
한편, 슬롯부(112)는 도 4와 같이, 보호커버(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며, 이 각각의 슬롯부(112)는 각각의 끼움홈(102c)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보호커버(110)의 후면에는 도광판 패턴(116)이 형성되되, LED노출공(102b)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일부에는 도광판 패턴(116)이 형성되지 않은 패턴미형성영역(114)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LED부(107)로부터 발생된 빛은 LED노출공(102b)을 통해 전방으로 방출되며, 이 빛 중에서 보호커버(110)의 패턴미형성영역(114)을 통과하는 빛은 산란이나 굴절이 일어나지 않고 보호커버(110)을 통과하여 전방을 향해 직진방향으로 방출되며, 도광판 패턴(116)을 통과하는 빛은 다양한 각도로 산란되어 균일하게 퍼져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LED부(107)로부터 발생된 빛이 보호커버(110)를 통과하면서 직진성분과 산란되어 균일하게 넓은 영역으로 퍼지는 성분이 모두 존재하게 되어 피부에 대한 컬러테라피 기능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손 접촉단자(120)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소정길이를 갖는 바타입으로 형성되어, 도 1과 같이, 손잡이부(103)의 측면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손 접촉단자(120)는 손잡이부(103)의 측면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부(103)를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손과 손 접촉단자(120)가 접촉되어 통전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손 접촉단자(120)는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피부 접촉단자(130)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복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은 소정길이를 갖는 바타입으로 형성된다. 피부 접촉단자(130)는 슬롯부(130)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으며, 슬롯부(130)는 도 1과 같이, 보호커버(110)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피부 접촉단자(130)는 후단 중앙에는 돌출핀(132)이 구비되며, 피부 접촉단자(130)가 슬롯부(112)에 삽입설치되면, 돌출핀(132)은 슬롯부(112)에 형성된 제1관통공(112a)과 끼움홈(102c)에 형성된 제1관통공(120ca)을 통과하여, 헤드부(102)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헤드부(102)의 내부로 돌출된 돌출핀(132)을 통해 본체(101)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140)와 피부 접촉단자(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본체(101)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손 접촉단자(120), 피부 접촉단자(130) 및 LED부(1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에 전원을 인가하고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기기는 충전식으로서, 배터리(145)가 본체(101)에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배터리(145)의 전원이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구성에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된 충전단자(106)를 통해 배터리(145)를 충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101)의 측면에는 전원온/오프 버튼(105)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부(140)가 손 접촉단자(120)와 피부 접촉단자(130) 측에 전류를 인가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부(103)를 파지하여 손과 손 접촉단자(120)가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피부 접촉단자(130)를 얼굴피부에 접촉시키게 되면, 피부 접촉단자(130)를 통해 전류가 얼굴피부에 제공되어 이온도입(Iontophorese)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굴피부에 도포된 화장품이 이온도입(Iontophorese)으로 인해 피부를 통해 체내로 용이하게 침투되어 화장품에 의한 피부미용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130)를 파지하여 손과 손 접촉단자(120)가 접촉된 상태에서, 피부 접촉단자(130)를 얼굴피부에 접촉시킬 때와 접촉시키지 않을 때에는 입력전압의 변화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손 접촉단자(120)가 손에 접촉된 상태에서 피부 접촉단자(130)가 얼굴 등의 피부에 접촉되었는지의 접촉여부를 입력전압의 변화를 통해 판단한다.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손 접촉단자(120)와 제어부(140), 피부 접촉단자(130)와 제어부(140)가 각각의 증폭기(125,135)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어부(140)는 손 접촉단자(120)가 손에 접촉된 상태에서 피부 접촉단자(130)의 피부접촉여부에 대한 입력전압의 변화값을 증폭된 값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별도의 증폭기(125,135)를 구성하지 않고, 제어부(140)가 손 접촉단자(120)가 손에 접촉된 상태에서 피부 접촉단자(130)의 피부접촉여부에 대한 입력전압의 변화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40)는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되었을때와 접촉되지 않았을때의 입력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해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된 피부접촉상태와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피부미접촉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손 접촉단자(120)가 손에 접촉된 상태에서,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피부미접촉상태로 판단한 경우, LED부(107)의 출력강도를 30%이하로 낮추어 출력하고,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된 피부접촉상태로 판단한 경우, LED부(107)의 출력강도를 100%로 강하게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은 제어부(140)가 손 접촉단자(130)가 손에 접촉된 상태에서 피부 접촉단자(130)의 피부접촉여부를 감지하고, 피부접촉상태로 판단한 경우, LED부(107)를 100% 출력강도로 발광시켜, 피부 접촉단자(130)에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LED부(107)의 빛이 피부에 조사되어 컬러테라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피부미접촉상태인 경우, LED부(107)의 출력강도를 최대출력강도 대비 30%이하만의 빛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서, LED부(107)의 빛이 안구에 조사되더라도 안구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120)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부(102)에 설치된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된 경우에만 LED부(107)가 100%의 출력강도로 발광하고,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는 LED부(107)가 30% 출력강도로 발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헤드부(102)가 피부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LED부(107)가 100% 출력강도로 발광하여 불필요한 강한 출력의 빛에 안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부(103)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부(130)에 설치된 피부 접촉단자(130)를 얼굴 등의 피부에 접촉시켜, 피부에 전류를 제공해 이온도입법에 의한 피부미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LED부(107)로부터 발광된 빛을 피부에 쏘여 컬러테라피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멀티미용기능을 갖는 피부미용기기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컬러테라피기능이 동작함에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부(103)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부(130)에 설치된 피부 접촉단자(130)의 피부접촉유무에 따라,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만 LED부(107)가 100%의 유효 출력강도로 발광되고,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LED부(107)가 30%이하의 저출력강도로 발광되게 하여, 피부 접촉단자(130)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불필요한 고출력강도의 빛이 안구에 영향을 미쳐 안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커버(110)의 후면에 도광판 패턴(116)이 형성되되, LED노출공(102b)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일부에는 도광판 패턴(116)이 형성되지 않은 패턴미형성영역(114)이 구비되어 있고, 이에 따라, LED부(107)에서 생성된 빛은 보호커버(110)의 패턴미형성영역(114)을 거치면서 산란되어 분산되지 않고 직진으로 통과될 뿐 아니라, 보호커버(110)의 도광판 패턴(116)을 거치면서 균일하게 산란되고 분산되어 보호커버(110)의 전방으로 넓게 퍼져 방사되는 형태로 피부에 조사될 수 있어, 컬러테라피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1...본체
102...헤드부
103...손잡이부
105...전원버튼
106...충전단자
107...LED부
110...보호커버
112...슬롯부
120...손 접촉단자
130...피부 접촉단자
140...제어부
145...배터리

Claims (1)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헤드부의에 설치되어 컬러테러피를 위한 빛을 방출하는 LED부;
    상기 손잡이부에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파지시 손에 접촉되는 손 접촉단자;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단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손 접촉단자가 손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상기 피부 접촉단자의 접촉 또는 미접촉에 따라 입력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피부접촉유무를 판단하여, 피부접촉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LED부를 고출력으로 동작시키며, 피부미접촉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LED부를 저출력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헤드부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설치구성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는 복수의 LED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LED부는 상기 LED노출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후면에는 도광판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LED노출공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일부에는 상기 도광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패턴미형성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LED부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LED노출공을 통해 전방으로 방출되며, 상기 LED노출공을 통해 방출되는 빛 중 상기 패턴미형성영역을 통과하는 빛은 산란이나 굴절이 일어나지 않고 상기 보호커버를 통과하여 전방을 향해 직진방향으로 방출되며, 상기 도광판패턴을 통과하는 빛은 산란되어 균일하게 퍼져서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




KR1020180068846A 2018-06-15 2018-06-15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 KR102046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846A KR102046466B1 (ko) 2018-06-15 2018-06-15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846A KR102046466B1 (ko) 2018-06-15 2018-06-15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466B1 true KR102046466B1 (ko) 2019-12-02

Family

ID=6884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846A KR102046466B1 (ko) 2018-06-15 2018-06-15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7784A (ko) 2022-07-07 2024-01-17 리현화 다기능 피부 관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687B1 (ko) 2003-06-17 2005-12-22 (주)닥터스텍 피부 미용장치
KR20120131730A (ko) * 2011-05-26 2012-12-05 조봉환 휴대용 진동 레이져 조사기
KR20140079602A (ko) 2012-12-17 2014-06-27 고민석 피부 미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장치
KR20160026234A (ko) * 2014-08-29 2016-03-09 (주)코스메디션 다기능 경피 흡수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KR101649522B1 (ko) 2016-01-07 2016-08-19 주식회사 삼진컴퓨터앤아이티 다기능 미용기기
KR20160128079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삼명텍 고주파 치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687B1 (ko) 2003-06-17 2005-12-22 (주)닥터스텍 피부 미용장치
KR20120131730A (ko) * 2011-05-26 2012-12-05 조봉환 휴대용 진동 레이져 조사기
KR20140079602A (ko) 2012-12-17 2014-06-27 고민석 피부 미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장치
KR20160026234A (ko) * 2014-08-29 2016-03-09 (주)코스메디션 다기능 경피 흡수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KR20160128079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삼명텍 고주파 치료기
KR101649522B1 (ko) 2016-01-07 2016-08-19 주식회사 삼진컴퓨터앤아이티 다기능 미용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7784A (ko) 2022-07-07 2024-01-17 리현화 다기능 피부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906B1 (ko) 방사선-계 피부치료 장치 및 방법
JP7083184B2 (ja) 皮膚美容機器
JP5496042B2 (ja) 頭皮用施療装置
KR101616002B1 (ko) 안면 피부 클리닉 마스크 장치
US20130304163A1 (en) Optical treatment device for scalp and hair
US9962545B2 (en) Hand-held device for combined light and electrotherapy of a skin surface
US9504825B2 (en) Percutaneous penetration enhancing apparatus and percutaneous penetration enhancing method
KR102147529B1 (ko) 두피 케어 장치
US20200054891A1 (en) Rhinitis photo therapeutic device with a nasal probe using low-level laser based on diffusing light technology
WO2009014312A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skin
KR102111774B1 (ko) 저출력 레이저 광 확산 기반 기술을 적용한 비강 프로브를 구비한 비염 치료 장치
KR102046466B1 (ko) 충전식 핸디형 피부미용기기
KR102036475B1 (ko) 마스크팩 흡수력 개선용 웨어러블 피부 미용기
KR101764333B1 (ko) 목 마사지 겸용 피부 관리장치
CN203634651U (zh) Led光疗面膜
KR102025204B1 (ko) 두피 케어 장치
KR102370929B1 (ko)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12654B1 (ko)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피부 미용기기
KR102458954B1 (ko) 수분 및 온도측정 기반 고주파 출력 제어 디바이스
KR101192034B1 (ko)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KR102334562B1 (ko) 마스크 장치와 마스크 시트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088953A (ko) 스킨 테라피 장치
KR20200048734A (ko) 피부 미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방법
KR101944976B1 (ko) 스킨 테라피 장치
KR20200137063A (ko)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마스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