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976B1 - 스킨 테라피 장치 - Google Patents

스킨 테라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976B1
KR101944976B1 KR1020170021576A KR20170021576A KR101944976B1 KR 101944976 B1 KR101944976 B1 KR 101944976B1 KR 1020170021576 A KR1020170021576 A KR 1020170021576A KR 20170021576 A KR20170021576 A KR 20170021576A KR 101944976 B1 KR101944976 B1 KR 10194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ontrol module
button
switch elemen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289A (ko
Inventor
김병현
오주석
김선익
전현수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9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테라피 장치는 제1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1 LED, 제2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2 LED 및 제2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3 LED가 실장되는 LED 조립체;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일측에 상기 LED 조립체가 안착되는 상부, 내부에 상기 제어 모듈이 수용되는 하부 및 상기 상부의 타측과 상기 하부의 일측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굴곡되도록 연결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이고, 상기 몸체의 하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바(Bar) 형상이고, 상기 몸체의 상부, 하부 및 굴곡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킨 테라피 장치{SKIN THERAPY APPARATUS}
본 발명은 스킨 테라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특정 파장의 빛을 피부에 조사하여 테라피 기능을 수행하는 스킨 테라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면 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 젊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화장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보호하고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히 침투되지 못하여 피부 보호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광조사를 이용하여 피부를 미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피부 미용기기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피부 미용기기는 단일 파장의 빛만을 조사하도록 제작됨으로써, 피부 내측의 상피조직, 진피조직 및 피하지방층 중 어느 하나에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은 피부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여 피부 미용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195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을 구비함으로써 피부 내부의 상피 조직, 진피 조직 및 피하지방층 내부에 모두 효과적으로 빛을 침투시킬 수 있는 스킨 테라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광원을 피부에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킨 테라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테라피 장치는 제1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1 LED, 제2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2 LED 및 제3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3 LED가 실장되는 LED 조립체;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일측에 상기 LED 조립체가 안착되는 상부, 내부에 상기 제어 모듈이 수용되는 하부 및 상기 상부의 타측과 상기 하부의 일측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굴곡되도록 연결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이고, 상기 몸체의 하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바(Bar) 형상이고, 상기 몸체의 상부, 하부 및 굴곡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소자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어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 지지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일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하부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모듈 지지부는, 상기 몸체 하부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한돌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 모듈 지지부의 상기 하부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측 걸림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좌측 및 우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 하부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몸체 하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의 외측면이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의 내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에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의 발광 패턴 모드의 선택 제어를 위한 제2 스위치 소자; 상기 발광 패턴 모드를 표시하는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발광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몸체 하부의 전면부 중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제2 스위치 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는 입력 모듈이 삽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제2 스위치 소자에 각각 외력을 인가하는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의 일측이 상기 삽입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버튼 유닛; 상기 버튼 유닛 및 상기 제어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입력 모듈 지지부; 및 상기 버튼 유닛 및 상기 입력 모듈 지지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모듈 지지부에는,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제2 스위치 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의 타측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사각홀 및 제2 사각홀;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원형홀 및 제2 원형홀; 및 상기 버튼 유닛에 형성된 제1 슬릿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슬릿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테라피 장치는 제1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1 LED, 제2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2 LED 및 제2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3 LED가 실장되는 LED 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효능의 피부 치료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를 LED 조립체가 안착되는 상부, 내부에 상기 제어 모듈이 수용되는 하부 및 상기 상부의 타측과 상기 하부의 일측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굴곡되도록 연결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그립(Grip)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구성들 중 LED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구성들 중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구성들 중 제어 모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구성들 중 입력 모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결합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구성들 중 LED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구성들 중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구성들 중 제어 모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구성들 중 입력 모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LED 조립체(100), 몸체(200), 제어 모듈(300), 입력 모듈(400), 덮개부(500) 및 LED 커버 렌즈(10)로 구성된다.
LED 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몸체(200) 상부(21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는 빛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LED 조립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 및 기판(110) 상에 실장되어 있는 다수의 LED(110, 120, 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테라피 장치의 LED 조립체(100)는 구체적으로 제1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1 LED(120), 제2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2 LED(130) 및 제3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3 LED(130)로 구성된다.
즉, 3가지 종류의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3종류의 LED가 기판(110) 상에 실장되며, 제1 파장, 제2 파장 및 제3 파장은 각각 피부 내부에 침투 가능한 깊이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이 415nm인 빛은 피부의 상피 조직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포피린을 자극하여 박테리아를 괴멸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여드름균을 살균할 수 있으며, 염증 억제 작용을 통한 여드름 자국의 염증을 진정시킴과 동시에 피지선 수축작용을 통한 피지 분비를 억제할 수도 있으며, 표피 재생 작용에 의한 피부결을 다듬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파장이 630nm인 빛은 피부의 진피 조직까지 침투가 가능하며, 세포 전도 및 표면 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동시에 반염증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여드름 자국의 붉은 점을 경감시키는 등의 염증 억제의 효과, 각질/그늘짐 개선 효과, 콜라겐 생성 촉진을 통한 피부 탄력 강화 효과, 잔주름 개선 효과, 혈행 촉진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파장이 830nm인 근적외선 빛의 경우, 피하지방층까지 침투가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피부 늘어짐 개선, 리프팅, 피부 탄력 강화, 모공/법령선의 개선, 피부 대사 촉진, 표피 재생 작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황에 맞는 파장의 빛을 피부로 조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파장의 빛을 동시에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의 점등은 후술할 제어 모듈(3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러한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그밖에 효율적인 피부 테라피를 위한 다른 배치로 최적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LED 조립체(100)의 기판(100)의 외주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홈(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수 개의 홈(150)은 후술할 몸체(200)의 상부(210)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2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LED 조립체(100)가 몸체(200)의 상부(210)로 결합시키는 경우 기판(100)의 홈(150)이 가이드 돌기(211)를 따라 몸체(200)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LED 조립체(100)를 몸체(200)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LED 조립체(100)를 몸체(200) 상부(210)에 안착시킨 이후에는 LED 조립체(100) 상측에 LED 커버 렌즈(10)가 배치되도록 LED 커버 렌즈(10)를 몸체(200) 상부(210)에 안착시킨다.
구체적으로 LED 커버 렌즈(10)의 상부 외주는 몸체(200) 상부(210)의 중공보다 크게 형성하고, LED 커버 렌즈(10)의 하부(11) 외주는 몸체(200)는 몸체(200) 상부(210)의 중공과 동일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LED 커버 렌즈(10)의 하부(11)를 몸체(200) 상부(210)에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LED 커버 렌즈(10)는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의 빛은 외부로 발산하여야 하므로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렌즈 표면에 빛의 확산을 위한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몸체(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부(210), 하부(230) 및 굴곡부(220)로 구성된다.
몸체 상부(210)는 일측에 상술한 LED 조립체(100) 및 LED 커버 렌즈(10)가 결합 및 안착되는 구성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부(210)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LED 조립체(100)의 안착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21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 하부(230)는 후술할 제어 모듈(300) 및 입력 모듈(400)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굴곡부(220)는 몸체 상부(210)의 타측과 몸체 하부(220) 일측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굴곡되도록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 상부(210)의 경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이고, 몸체 하부(230)의 경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바(Bar) 형상이므로, 굴곡부(220)는 몸체 상부(210) 및 하부(230)의 다른 형상을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중공이 모두 연통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210) 및 하부(230)와 일체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몸체 상부(210)의 길이 방향과 몸체 하부(230)의 길이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아닌 미리 설정된 각도로 꺾여 있는 형상으로 몸체(200)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몸체 하부(230)를 손으로 잡고 얼굴에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 하부(2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에 삽입홀(25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개방부(240)가 형성되며, 삽입홀(250)은 후술할 입력 모듈(400)이 삽입 결합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개방부(240)는 스킨 테라피 장치의 조립시 몸체(200) 내부에 제어 모듈(300) 및 입력 모듈(400)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몸체(200) 내부에 제어 모듈(300) 및 입력 모듈(400)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덮개부(500)를 몸체 하부(230)와 결합함으로써 개방부(240)를 덮는다.
또한, 몸체 하부(230)의 내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232) 및 제2 가이드레일(233)과, 제3 가이드레일(234) 및 제4 가이드레일(23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 모듈(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LED 조립체(100)에 실장된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0), 배터리(320) 및 제어 모듈 지지부(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130)은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회로 소자들이 실장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130)의 전면부에는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에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소자(311),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의 발광 패턴 모드의 선택 제어를 위한 제2 스위치 소자(312), 발광 패턴 모드를 표시하는 제1 발광 소자(313)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발광 소자(314)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30)의 후면부에는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IC 및 배터리(320)의 전원을 입력받아 안정화시키는 전력 모듈 등이 실장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2 스위치 소자(312)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발광 패턴 모드의 경우,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를 하나씩만 점등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나, 복수 종류의 LED를 동시에 점등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415nm 파장인 제1 파장 및 830nm 파장인 제3 파장의 빛을 각각 발산하는 제1 LED(120) 및 제3 LED(140)를 동시에 온(On) 시키는 제1 모드, 630nm 파장인 제2 파장 및 830nm 파장인 제3 파장의 빛을 각각 발산하는 제2 LED(130) 및제3 LED(140)를 동시에 온(On) 시키는 제2 모드,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를 모두 동시에 온(On) 시키는 제3 모드로 구성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상호 다른 피부 깊이에서 발현되는 테라피 효과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터리(320)는 제1 LED(120), 제2 LED(130) 및 제3 LED(14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배터리(32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외부 전원을 공급용 단자를 상술한 덮개부(500) 하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 모듈 지지부(330)는 인쇄회로기판(310) 및 배터리(320)를 지지 및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 지지부(330)의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310)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부(33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터리(320)를 지지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332)가 형성된다.
특히, 인쇄회로기판(310)를 기판 수용부(331)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어 모듈 지지부(330)에 복수 개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10)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인쇄회로기판(31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에 각각 제1 정렬홈(315a) 및 제2 정렬홈(315b)가 형성되는 경우, 제어 모듈 지지부(330)에는 인쇄회로기판(310)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코너가 각각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고정돌기(334a) 및 제2 고정돌기(334b)가 마련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310)의 제1 정렬홈(315a) 및 제2 정렬홈(315b)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정렬돌기(333a) 및 제2 정렬돌기(333b)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인쇄회로기판(310)을 제어 모듈 지지부(330)에 고정시키는 내용을 정리해보면, 먼저 인쇄회로기판(310)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을 제어 모듈 지지부(330)의 제1 고정돌기(334a) 및 제2 고정돌기(334b)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각각 인입시킨다.
이후 인쇄회로기판(310)의 제1 정렬홈(315a) 및 제2 정렬홈(315b)이 제어 모듈 지지부(330)의 제1 고정돌기(334a) 및 제2 고정돌기(334b)에 지지되도록 인쇄회로기판(310)을 제어 모듈 지지부(330)에 고정시키며, 이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310)을 제어 모듈 지지부(33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 지지부(330)의 기판 수용부(331) 및 배터리 수용부(332)에 각각 인쇄회로기판(310) 및 배터리(320)를 안착한 후 몸체(200)의 하부(230) 타측, 즉 개방부(250)로부터 하부(230) 일측 방향, 즉 굴곡부(220) 방향으로 제어 모듈(300)을 삽입하여 제어 모듈(300)을 몸체 하부(230)와 결합시키게 된다.
이 경우, 몸체 하부(230) 내에서 제어 모듈(300)의 견고하고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제어 모듈 지지부(330)는 상측 걸림부(335)를 구비하고, 이러한 상측 걸림부(335)는 상술한 몸체 하부(230)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한돌기(231)와 체결됨으로써, 제어 모듈 지지부(230)의 하부(230)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를 통하여 제어 모듈(200)이 몸체(200)와의 견고한 결합 및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몸체(200) 내부에서의 제어 모듈(200)의 조립시 제어 모듈(200)의 정확한 정렬을 위하여, 상술한 제1 가이드레일(232) 및 제2 가이드레일(233)은 제어 모듈(300)이 상기 몸체 하부(23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돌기(334a) 및 제2 고정돌기(334b)의 외측면이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레일(232) 및 제2 가이드레일(233)의 내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모듈(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200)의 삽입홀(250)에 삽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유닛(410), 입력 모듈 지지부(420) 및 결합 부재(430)로 구성된다.
버튼 유닛(410)은 인쇄회로기판(300)의 전면에 실장되는 제1 스위치 소자(311) 및 제2 스위치 소자(312)에 각각 외력을 인가하는 제1 버튼(411) 및 제2 버튼(4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411) 및 제2 버튼(412)의 일측이 상기 삽입홀(25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입력 모듈 지지부(420)는 버튼 유닛(410) 및 제어 모듈(300) 사이에 배치되어 버튼 유닛(410)을 탄성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 부재(430)는 버튼 유닛(410) 및 입력 모듈 지지부(420)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입력 모듈 지지부(420)는 일측에 버튼 유닛(410)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술한 인쇄회로기판(3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입력 모듈 지지부(420)에는 제1 스위치 소자(311) 및 제2 스위치 소자(312)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제1 버튼(411) 및 제2 버튼(412)의 타측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사각홀(421) 및 제2 사각홀(422), 제1 발광소자(313) 및 제2 발광소자(314)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원형홀(423) 및 제2 원형홀(424) 및 상기 버튼 유닛(410)에 형성된 제1 슬릿홈(413)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부재(4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슬릿홈(425)이 형성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발광소자(313) 및 제2 발광소자(314)는 스킨 테라피 장치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몸체(200) 외부로 발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몸체(200)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 제1 발광소자(313) 및 제2 발광소자(314)로부터 나오는 빛이 확산되어 사용자가 스킨 테라피 장치의 상태 확인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제1 발광소자(313) 및 제2 발광소자(314)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일측으로 집중시켜야 하며, 이러한 역할을 제1 원형홀(423) 및 제2 원형홀(424)이 담당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LED 커버 렌즈
100: LED 조립체
200: 몸체
300: 제어 모듈
400: 입력 모듈
500: 덮개부

Claims (7)

  1. 제1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1 LED, 제2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2 LED 및 제3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제3 LED가 실장되는 LED 조립체;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일측에 상기 LED 조립체가 안착되는 상부, 상기 제어 모듈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단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부 및 상기 상부의 타측과 상기 하부의 일측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굴곡되도록 연결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제어 모듈을 상기 몸체 하부에 삽입한 후 상기 개방부를 덮도록 형성된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이고, 상기 몸체의 하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바(Bar) 형상이고, 상기 몸체의 상부, 하부 및 굴곡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 하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어 모듈의 일측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돌기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소자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 지지부는, 상기 제한돌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걸림부; 및 내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측 하단이 각각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좌측 및 우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몸체 하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의 외측면이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의 내측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킨 테라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는 스킨 테라피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에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소자; 상기 제1 LED, 제2 LED 및 제3 LED의 발광 패턴 모드의 선택 제어를 위한 제2 스위치 소자; 상기 발광 패턴 모드를 표시하는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발광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몸체 하부의 전면부 중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제2 스위치 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는 입력 모듈이 삽입 결합되는 스킨 테라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제2 스위치 소자에 각각 외력을 인가하는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의 일측이 상기 삽입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버튼 유닛;
    상기 버튼 유닛 및 상기 제어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 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입력 모듈 지지부; 및
    상기 버튼 유닛 및 상기 입력 모듈 지지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
    를 포함하는 스킨 테라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 지지부에는,
    상기 제1 스위치 소자 및 제2 스위치 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의 타측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사각홀 및 제2 사각홀;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원형홀 및 제2 원형홀; 및
    상기 버튼 유닛에 형성된 제1 슬릿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슬릿홈;
    을 포함하는 스킨 테라피 장치.
KR1020170021576A 2017-02-17 2017-02-17 스킨 테라피 장치 KR10194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576A KR101944976B1 (ko) 2017-02-17 2017-02-17 스킨 테라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576A KR101944976B1 (ko) 2017-02-17 2017-02-17 스킨 테라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289A KR20180095289A (ko) 2018-08-27
KR101944976B1 true KR101944976B1 (ko) 2019-02-07

Family

ID=6345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576A KR101944976B1 (ko) 2017-02-17 2017-02-17 스킨 테라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9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5579A1 (en) 2003-08-18 2005-03-24 Chen George C.C. Portable infrared device
US20070106347A1 (en) 2005-11-09 2007-05-10 Wun-Chen Lin Portable medical and cosmetic photon emissio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51B1 (ko) 2012-03-21 2012-10-17 권용운 전기자극을 개선한 피부미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5579A1 (en) 2003-08-18 2005-03-24 Chen George C.C. Portable infrared device
US20070106347A1 (en) 2005-11-09 2007-05-10 Wun-Chen Lin Portable medical and cosmetic photon emissio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289A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04163A1 (en) Optical treatment device for scalp and hair
KR102287036B1 (ko) 피부 미용기기
JP5496042B2 (ja) 頭皮用施療装置
WO2014171441A1 (ja) ネイル樹脂用光照射装置
JP2013532503A (ja) 使い捨てのスキンケア装置
DE60207202D1 (de) Vorrichtung zur photodynamischen stimulation
KR101700158B1 (ko) 피부관리기
JP2013528404A (ja) 低レベルレーザー治療(lllt)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KR200471948Y1 (ko) 안면 마스크
KR101392417B1 (ko) 피부 미용기
WO2009014312A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skin
KR20140079602A (ko) 피부 미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장치
CN112604149A (zh) 美容手柄
TWM300116U (en) Laser wrinkle removing device
KR200474701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피부 미용기기
KR20190088953A (ko) 스킨 테라피 장치
KR101944976B1 (ko) 스킨 테라피 장치
US9056198B2 (en) Low level laser therapy (LLLT) systems and devices
KR101724080B1 (ko) 레이저 조사 유닛과 전자기장 발생 유닛을 결합한 피부 및 두피 관리 장치
KR200371927Y1 (ko) 저출력 광 발생장치가 설치된 치료 보조대
KR102073921B1 (ko)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102095040B1 (ko) 미세전류가 흐르는 미용기기
KR101960857B1 (ko) 스킨 테라피 장치
KR101226939B1 (ko)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의 제어장치
CN215135864U (zh) 美容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