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24B1 -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24B1
KR102046324B1 KR1020180031448A KR20180031448A KR102046324B1 KR 102046324 B1 KR102046324 B1 KR 102046324B1 KR 1020180031448 A KR1020180031448 A KR 1020180031448A KR 20180031448 A KR20180031448 A KR 20180031448A KR 102046324 B1 KR102046324 B1 KR 10204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ser terminal
server
magnitude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857A (ko
Inventor
신지선
남일구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32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5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arget signal or of transmission, e.g.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r fast frequency hopping
    • H04K3/255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arget signal or of transmission, e.g.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r fast frequency hopping based on redundancy of transmitted data, transmission path or transmitting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요청부;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버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한다.

Description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METHOD FOR RECEIVING SIGNAL AND USER TERMINAL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환경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타인에 의해 정보가 유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일 예시로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인증키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근접 거리의 타인에 의해 인증키가 유출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두 장치 간 인증을 마친 상태에서 송신 장치가 세션키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 장치가 이를 복원하여 수신키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세션키에 관한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9457 호(2015.05.0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과 서버 간 송수신되는 신호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서,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요청부;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버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는,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로 손실 계산부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1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경로 손실 +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sensitivity)”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경로 손실 +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의 크기로 송신되어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수신 감도의 크기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각 패킷별로 설정된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와 공유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으로 각각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의 각 패킷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을 조정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수학식 2]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2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신호 수신 방법으로서, 신호 요청부에서,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신호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경로 손실 계산부에서,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버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는,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신호 수신 방법.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1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상기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 “상기 경로 손실 +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sensitivity)”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경로 손실 +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의 크기로 송신되어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수신 감도의 크기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전처리부에서, 각 패킷별로 설정된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와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으로 각각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의 각 패킷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을 조정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수학식 2]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2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의 크기를 갖는 신호를 서버로 요청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에서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에 해당하는 크기의 신호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 반면, 공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에 비해 서버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신호가 사용자 단말에서 감지할 수 있는 최소의 수신 감도 크기로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므로 공격자 단말은 상기 신호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미리 설정된 각 패킷별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은 계산된 경로 손실 및 각 패킷별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을 조정하여 상기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 반면, 공격자 단말은 각 패킷별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각 패킷별로 이득 설정 값을 미리 조정해 놓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신호를 복원할 수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100)은 사용자 단말(102), 서버(104) 및 공격자 단말(106)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4)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안테나,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주파수 하향 혼합기(Down Conversion Mixer), 이득 변환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필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 주파수 하향 혼합기, 이득 변환 증폭기 및 필터를 거쳐 증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에 포함되는 이 같은 구성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104)는 사용자 단말(102)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102)이 서버(10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는 신호 송신 및 수신이 모두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의 역할(신호 수신/송신)이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공격자 단말(106)은 공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간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탈취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격자 단말(106)은 사용자 단말(102)의 근처에 위치하여 서버(104)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중간에 가로채거나 해킹할 수 있다. 이때, 공격자 단말(106)의 수신 감도(sensitivity)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와 비슷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2)가 서버(10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가 공격자 단말(106)의 수신 감도와 설정된 범위 이내의 차이를 가지며(즉, 양자의 수신 감도가 비슷하며), 공격자 단말(106)이 사용자 단말(102)에 비해 서버(104)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2)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서버(104)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2)을 인증하는 인증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단계들 중 S102 단계, S104 단계, S106 단계 및 S108 단계는 셋업(Setup) 단계로서 사용자 단말(102)이 경로 손실(path loss)과 수신 감도를 파악하는 단계에 해당하며, S110 단계 및 S112 단계는 본 송수신단계로서 실제 송신 대상이 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이들 단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S1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4)로 인증을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인증 요청과 함께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임의로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결정한 후 서버(104)로 해당 크기를 갖는 제1 신호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4)로 0 dBm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2)은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102)은 T1 구간 : 0 dBm, T2 구간 : 20 dBm, T3 구간 : 40 dBm 의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각각 설정한 후 서버(104)로 해당 크기를 갖는 제1 신호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 신호는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서버(106)로부터 수신한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102)가 서버(104)로 0 dBm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의 송신을 요청하는 경우, 서버(104)는 0 dBm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사용자 단말(102)로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02)가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서버(104)로 요청하는 경우, 서버(104)는 해당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신호를 사용자 단말(102)로 송신할 수 있다.
S10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한다. 경로 손실은 사용자 단말(102)의 안테나와 서버(104)의 안테나 간에 구성된 통신 링크 상에서 발생되는 송수신 전력의 손실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102)은 안테나, 저잡음 증폭기, 주파수 하향 혼합기, 이득 변환 증폭기, 필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등으로 구성되며, 최적의 성능을 얻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최대 크기를 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2)의 안테나에 입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정해진 신호의 입력 크기를 맞추기 위해 저잡음 증폭기, 주파수 하향 혼합기, 이득 변환 증폭기, 필터의 이득 값에 의해 증폭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2)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값을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이라 칭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2)은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사용자 단말(102)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1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일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102)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최대 크기) = 0dBm, 제1 송신전력의 크기(즉, 서버(104)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전력 크기) = 0dBm, 사용자 단말(102)의 안테나 이득 = 0dB,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 = 50dB 인 경우, 위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된 경로 손실 = 50dB 가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로 손실은 아래와 같이 계산될 수도 있다.
경로 손실 = 20log(4πd/λ)
(여기서, d는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간의 거리, λ는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장임)
S10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sensitivity)”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한다. 일 예시로서, S106 단계에서 계산된 경로 손실 = 50dB 이고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 = - 60dBm 인 경우, 사용자 단말(102)은 50 + (-60) = -10dBm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4)는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예를 들어, -10dBm의 크기)로 제2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신호는 서버(104)에서 사용자 단말(102)로 보내고자 하는 정보가 담긴 신호로서, 예를 들어 인증키에 관한 정보, 세션키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4)에서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2 신호는 서버(104)에서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로 송신될 수 있다.
S11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한다. 이때, 제2 신호는 사용자 단말(102)에서 상기 수신 감도의 크기로 수신될 수 있다. 즉, 서버(104)가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를 갖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2)의 안테나에서는 제2 신호가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로 입력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2)은 제2 신호를 에러 없이 복원할 수 있다. 만약, 제2 신호가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보다 작은 크기로 사용자 단말(102)에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2)은 제2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2)가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를 갖는 신호를 서버(104)로 요청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2)의 안테나에서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에 해당하는 크기의 신호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4)에서 송신된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격자 단말(106)은 사용자 단말(102)에 비해 서버(104)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므로, 상술한 경로 손실의 크기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서버(104)에서 송신된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없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는, 공격자 단말(106)의 수신 감도가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보다 더 높고(즉, 성능이 더 좋고), 공격자 단말(106)이 사용자 단말(102)과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즉, 비슷한 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2)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서버(104)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2)을 인증하는 인증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단계들 중 S202 단계, S204 단계 및 S206 단계는 셋업(Setup) 단계로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2)이 경로 손실(path loss)과 수신 감도를 파악하는 단계에 해당하며, S210 단계 및 S212 단계는 본 송수신단계로서 실제 송신 대상이 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S2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4)로 인증을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인증 요청과 함께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임의로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결정한 후 서버(104)로 해당 크기를 갖는 제1 신호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2)은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S2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서버(106)로부터 수신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102)가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서버(104)로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2)은 해당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신호를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2)은 상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각 패킷별로 설정된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와 공유한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102)은 각 패킷별로 제2 송신전력의 크기를 랜덤하게 결정한 후 서버(104)로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각 패킷이 송신되는 시간대에 관한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송신전력의 크기는 S206 단계에서 계산된 경로 손실을 고려하여 송신 가능한 전력 크기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송신전력의 크기는 S206 단계에서 계산된 “경로 손실의 크기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 이상의 범위 내에서 랜덤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2)은 경로 손실 계산부(510)에서 경로 손실이 계산된 이후 계산된 상기 경로 손실을 고려하여 송신 가능한 전력 크기 내에서 결정된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와 공유할 수 있다. 다만, 제2 송신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주체가 사용자 단말(10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4)가 각 패킷별로 제2 송신전력의 크기를 랜덤하게 결정한 후 사용자 단말(102)로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가 아닌 제3 장치(미도시)에서 각 패킷별로 제2 송신전력의 크기를 랜덤하게 결정한 후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로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각각 송신할 수도 있다.
S2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4)에서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2 신호는 서버(104)에서 상기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으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의 제1 패킷은 0dBm의 크기로 송신되며, 제2 신호의 제2 패킷은 20dBm의 크기로 송신되며, 제2 신호의 제3 패킷은 40dBm의 크기로 송신되며, 제2 신호의 제4 패킷은 60dBm의 크기로 송신될 수 있다. 즉, 제2 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은 미리 설정된 서로 다른 크기의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102)로 순차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S21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은 제2 신호를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2)은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제2 신호의 각 패킷별로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을 조정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수학식 2]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2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 주파수 하향 혼합기, 이득 변환 증폭기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일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102)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최대 크기) = 0dBm, 경로 손실 = 50dB, 사용자 단말(102)의 안테나 이득 = 0dB이라 가정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2)은 0dBm의 크기로 송신되는 제1 패킷의 수신시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을 50dB로 설정하고, 20dBm의 크기로 송신되는 제2 패킷의 수신시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을 30dB로 설정하고, 40dBm의 크기로 송신되는 제2 패킷의 수신시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을 10dB로 설정하고, 60dBm의 크기로 송신되는 제2 패킷의 수신시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을 -10dB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신호를 구성하는 각 패킷들은 순차적으로 송신되므로, 사용자 단말(102)은 해당 패킷이 수신되는 시간 구간별로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을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2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간에 공유되는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에 상기 각 패킷이 송신되는 시간대에 관한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패킷의 수신 시점에 해당 패킷에 맞는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사용자 단말(102)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상기 이득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4)가 미리 설정된 각 패킷별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2)은 계산된 경로 손실 및 각 패킷별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을 조정하여 상기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 공격자 단말(106)의 경우 각 패킷별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각 패킷별로 이득 설정 값을 미리 조정해 놓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신호를 복원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공격자 단말(106)의 위치에 관계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의 경우 공격자 단말(106)이 사용자 단말(102)의 주변에 위치하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며, 공격자 단말(106)은 서버(104)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중간에 가로채거나 해킹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앞에서 상술한 신호 수신 방법들은 암호화, 인증 절차 등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수신 방법들은 암호화된 문서를 복호화하는 데 사용되거나,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의 송수신에 사용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인증을 마친 상태에서 세션키를 주고 받는 과정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2)은 신호 요청부(402), 신호 송신부(404), 신호 수신부(406) 및 경로 손실 계산부(408)을 포함한다.
신호 요청부(402)는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신호 송신부(404)로 전달한다. 일 예시로서, 신호 요청부(402)는 0 dBm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의 송신을 서버(104)로 요청하기 위해 상기 0 dBm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신호 송신부(404)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는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신호 송신부(404)는 신호 요청부(402)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한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신호 송신부(404)는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sensitivity)”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한다.
신호 수신부(406)는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서버(104)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신호 수신부(406)는 서버(10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고, 후술할 경로 손실 계산부(408)에서 계산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복원한다.
경로 손실 계산부(408)는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로 손실 계산부(404)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송신부(404)는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sensitivity)”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하고, 신호 수신부(406)는 서버(104)에서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신호는 서버(104)에서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로 송신되어 사용자 단말(102)에서 상기 수신 감도의 크기로 수신될 수 있다. 즉, 서버(104)가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를 갖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2)의 안테나에서는 제2 신호가 사용자 단말(102)의 수신 감도의 크기로 입력되며 이에 따라 신호 수신부(406)는 제2 신호를 에러 없이 복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2)은 전처리부(502), 신호 요청부(504), 신호 송신부(506), 신호 수신부(508) 및 경로 손실 계산부(510)를 포함한다.
전처리부(502)는 각 패킷별로 설정된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와 공유한다. 일 예시로서, 전처리부(502)는 각 패킷별로 제2 송신전력의 크기를 랜덤하게 결정한 후 신호 송신부(506)를 통해 서버(104)로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502)는 신호 수신부(506)를 통해 서버(104) 또는 제3 장치로부터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각 패킷이 송신되는 시간대에 관한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부(502)는 후술할 경로 손실 계산부(510)에서 경로 손실이 계산된 이후 계산된 상기 경로 손실을 고려하여 송신 가능한 전력 크기 내에서 결정된 각 패킷별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와 공유할 수 있다.
신호 요청부(504)는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신호 송신부(506)로 전달한다. 일 예시로서, 신호 요청부(504)는 0 dBm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의 송신을 서버(104)로 요청하기 위해 상기 0 dBm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신호 송신부(506)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는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신호 송신부(506)는 신호 요청부(504)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104)로 송신한다.
신호 수신부(508)는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서버(104)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신호 수신부(508)는 서버(10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고, 후술할 경로 손실 계산부(408)에서 계산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복원한다.
경로 손실 계산부(510)는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102)과 서버(104)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로 손실 계산부(404)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수신부(508)는 서버(104)에서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2 신호는 서버(104)에서 상기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으로 송신될 수 있다, 신호 수신부(508)는 상술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제2 신호의 각 패킷별로 사용자 단말(102)의 이득 설정 값을 조정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100),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 (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2)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02)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컴퓨팅 환경
12 : 컴퓨팅 장치
14 : 프로세서
16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 통신 버스
20 : 프로그램
22 :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 입출력 장치
26 :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
102 : 사용자 단말
104 : 서버
106 : 공격자 단말
402, 504 : 신호 요청부
404, 506 : 신호 송신부
406, 508 : 신호 수신부
408, 510 : 경로 손실 계산부
502 : 전처리부

Claims (12)

  1. 사용자 단말로서,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요청부;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버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계산부; 및
    각 패킷별로 설정된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와 공유하는 전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는,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으로 각각 송신되는, 사용자 단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 계산부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사용자 단말.

    [수학식 1]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1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경로 손실 +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sensitivity)”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경로 손실 +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의 크기로 송신되어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수신 감도의 크기로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의 각 패킷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을 조정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하는, 사용자 단말.

    [수학식 2]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2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7.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신호 수신 방법으로서,
    신호 요청부에서, 설정된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신호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경로 손실 계산부에서,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버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단계;
    전처리부에서, 각 패킷별로 설정된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전력의 크기는, 설정된 시간 구간별로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2 송신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으로 각각 송신되는, 신호 수신 방법.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신호 수신 방법.

    [수학식 1]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1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 “상기 경로 손실 +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sensitivity)”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경로 손실 +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신 감도”의 크기로 송신되어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수신 감도의 크기로 수신되는, 신호 수신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의 각 패킷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을 조정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복원하는, 신호 수신 방법.

    [수학식 2]
    사용자 단말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 제2 송신전력의 크기 - 경로 손실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 +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이득 설정 값은, 사용자 단말 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값, 주파수 하향 혼합기의 이득 값, 이득 변환 증폭기의 이득 값 및 필터의 이득 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KR1020180031448A 2018-03-19 2018-03-19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KR10204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448A KR102046324B1 (ko) 2018-03-19 2018-03-19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448A KR102046324B1 (ko) 2018-03-19 2018-03-19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57A KR20190109857A (ko) 2019-09-27
KR102046324B1 true KR102046324B1 (ko) 2019-11-19

Family

ID=6809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448A KR102046324B1 (ko) 2018-03-19 2018-03-19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3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48B1 (ko) * 2006-01-19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5391419B2 (ja) * 2009-02-20 2014-01-15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807B1 (ko) * 2011-12-23 201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49457A (ko) 2013-10-30 2015-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증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51497A (ko) * 2014-11-03 2016-05-11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전력 전송 커버리지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48B1 (ko) * 2006-01-19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5391419B2 (ja) * 2009-02-20 2014-01-15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57A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2029B2 (en) Computer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gin status of a computer device and a server
KR102304709B1 (ko) V2x 통신 메시지에 대하여 적응적 보안 레벨을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57289B2 (en) Adjust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context and pre-registration of objects
CN114466361A (zh) 通过安全范围检测修改安全状态
US954932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CN105592005B (zh) 一种安全验证方法、装置及系统
JP2018516509A (ja) 被認証デバイスまでの距離バウンディ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679000A (zh) 用于远程删除关键信息的设备和方法
JP2018505503A5 (ko)
KR102411270B1 (ko) 센서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US20120166801A1 (en) Mutual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s
US11025602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multiple user devices
CN108289290B (zh) 一种用于连接智能穿戴设备与无线接入点的方法与设备
US20170064547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key for secure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46324B1 (ko)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US110124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2013032659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496487B2 (en) Computing network for using a cloud computing server to verify data received from an operating system
JP7107101B2 (ja) 認証システム
US94975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ased on Bluetooth,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US10535057B2 (en) Performing transactions when device has low battery
CN111492614A (zh) 多因素认证
US20190104123A1 (en) Authenticating for a software service
US10009140B2 (en) Sensing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transfer thereof
US11323815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indicator for broadcaster pres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