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82B1 -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482B1
KR102045482B1 KR1020180012682A KR20180012682A KR102045482B1 KR 102045482 B1 KR102045482 B1 KR 102045482B1 KR 1020180012682 A KR1020180012682 A KR 1020180012682A KR 20180012682 A KR20180012682 A KR 20180012682A KR 102045482 B1 KR102045482 B1 KR 10204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olt
magnetic
wrench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853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18001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4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관절을 구성하는 두 개의 연결로드 사이에 마그네트볼을 구성한 것과;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 각각의 단부에 마그네트볼이 안착하는 볼안착홈을 형성한 자성체인 렌치볼트를 나사결합하고 상기 자성체인 렌치볼트 외주면에 마그네트볼과 이격되고 자성체인 렌치볼트 단부 보다는 돌출되는 비자성체인 이탈방지링을 구성한 것과; 상기 각각의 연결로드 단부에 결합하는 자성체인 렌치볼트에 마그네트볼과는 극성이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마그네트를 심어서 마그네트볼과 연결로드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와의 결합력이 배가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연결로드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는, 자성체인 렌치볼트의 볼안착홈에 볼안착홈의 내경보다 플러스 공차로 형성한 마그네트를 강제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에 구멍을 천공하여 막대로 된 마그네트를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의 볼트단부에 결합핀을 형성하여 결합공을 형성한 마그네트를 결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이다.

Description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Multi-link rod assemblies that make joints using magnets}
본 발명은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모듈과 로드의 결합부가 다축성의 관절운동을 가능케 하면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결합부의 신속하고 간편한 분리, 결합이 가능케 하면서도 작업중 서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 델타 봇 타입 3D 프린터의 헤드 연결 로드 등에 실시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3D printer)란 도면을 바탕으로 3차원의 입체 물품을 프린트로 제조하는 것으로, 이는 출력용 재료를 분사하는 헤드가 앞뒤(x축)와 좌우(y축)뿐만 아니라, 상하(z축) 운동을 더하여 입력한 3D 도면을 바탕으로 입체 물품을 만들어낸다.
이와 같은 3D 프린터는 입체 형태를 만드는 방식에 따라 크게 한 층씩 쌓아 올리는 적층형(첨가형 또는 쾌속조형 방식)과, 큰 덩어리를 깎아가는 절삭형(컴퓨터 수치제어 조각 방식)으로 구분하며, 적층형은 파우더(석고나 나일론 등의 가루)나 플라스틱 액체 또는 플라스틱 실을 종이보다 얇은 0.01~0.08㎜의 층(레이어)으로 겹겹이 쌓아 입체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서, 레이어가 얇을수록 정밀한 형상을 얻을 수 있고, 채색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절삭형은 커다란 덩어리를 조각하듯이 깎아내 입체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서 적층형에 비하여 완성품이 더정밀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재료가 많이 소모되고 컵처럼 안쪽이 파인 모양은 제작하기 어려우며 채색 작업을 따로 해야 하는 것이 단점이다.
현재 3D 프린터의 기술 개발은 주로 적층형에 집중되고 있는데, 적층형 3D 프린터는 여러 가지 작동 방식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SLA, SLS, FDM 방식 정도가 보편화 된 실정인데, 각 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LA(Stereolithography) 방식은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담긴 수조에 레이저를 투사하여 레이저가 닿는 부분을 굳게 하여 아래에서부터 쌓아가면서 3차원적으로 제품을 출력하는 방식으로서, 정밀도가 높아 표면을 매끄럽고 정교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디테일이 중요한 제품 제작에 주로 사용되나, 제작 특성상 성형 된 제품의 내구성과 내열성이 약하다는 점과 제작 단가가 다른 방식의 프린터에 비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SLS(SelectiveLaser Sintering) 방식은 대량의 작은 분말 형태의 플라스틱, 금속, 유리 덩어리를 레이저로 녹인 뒤 응고시키며 층을 쌓아 3차원적으로 제품을 출력하는 방식으로서, 레이저로 응고시킨 후 분말 덩어리를 잘 털어내면 응고된 부분이 남아 디자인한 형태의 조형물이 남게 되는 것으로, SLA처럼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속도가 빠르고 사용하는 재료가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재료의 한계성을 갖는 3D 프린터의 단점을 보완하는 큰 장점이 있는 반면에, 분말 덩어리의 크기에 따라 제품의 생산 가능 크기가 제한된다는 점과, 가격이 다른 방식에 비해 매우 비싸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단점이 있다.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은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노즐 안에서 녹인 후, 원하는 형태를 만드는데 필요한 부분에 녹인 재료를 밀어내어 굳히면서 밑에서부터 쌓아올려 3차원적으로 제품을 출력하는 방식으로서, 노즐에서 재료를 녹여서 밀어내는 속도와 힘에 따라서 층의 크기와 디테일이 결정되고, 노즐로 재료를 녹여 밀어내기 위해선 노즐의 온도를 뜨겁게 가열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노즐에서 배출된 용융재료는 상온에서 즉시 굳으면서 형태를 갖추게 되어서, 성형된 제품은 강도가 우수하고, 습도에 강해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노즐로 녹인 재료를 적층하여 성형하는 출력 방식의 특성상, 성형된 제품의 표면이 거칠고, 제작 속도가 다른 방식에 비해 느린 단점이 있으나, 구조가 단순하고, 출력 재료인 열가소성 필라멘트의 가격이 저렴하여 현재 보급형으로 사용되는 대부분 3D 프린터는 FDM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3D 프린터는 198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개발 초기, 플라스틱 소재에 국한되었던 출력용 재료가 나일론과 금속 소재까지 사용 가능케 되면서 산업용 시제품뿐만 아니라 여러 방면에서 다양한 상품을 제작하는 상용화 단계로 진입하여 현재 3D 프린터는 각종 산업용 시제품뿐만 아니라, 시계, 신발, 휴대전화 케이스, 자동차 부속품, 항공기부품, 인공관절, 인공장기 등 매우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3D 프린터는 전 산업분야에 걸쳐서 제품의 생산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어 전 세계 제조업 지도를 완전히 바꿔 놓을 새로운 산업혁명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상기한 3D 프린터에서 프린터헤드가 입체적으로 움직이면서 작업을 하는 델타 봇 타입 3D 프린터는 헤드가 3개의 연결 로드에 지지되어 동작하는 방식으로 이때 사용되는 연결로드의 관절이 다양한 각도로 연속하여 움직이게 됨으로써 동작의 원활함과 마모로 인한 백래쉬 오차를 보상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는 3D 프린터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기술 개발과 특허 출원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에서도 3D 프린터에 관한 기술 개발과 특허 출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지금까지 선 발명되어 실시되고 있는 3D 프린터에 대한 특허문헌과 여기에 실시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2013-0129160호(2013.10.29)는 델타형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입체조형물을 형성시키기 위한 인쇄작업대가 상면으로부터 받침다리에 의해 부상 설치되고, 일측에 콘트롤부가 구비된 하부블럭과; 상기 하부블럭의 상부로부터 3방향으로 수직배열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와; 상기 가이드로드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과; 상기 이송블럭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라멘트를 용융, 공급시켜 조형물을 입체적으로 조형하는 인쇄부와; 상기 하부블럭과 대응되어 가이드로드의 상단부를 고정하고, 저면에는 작업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통공부가 형성되되, 통공부의 상부에는 필라멘트가 권취된 공급롤이 브라켓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라켓트 내부에는 상기 공급롤로부터 필라멘트를 자동 공급하는 필라멘트 공급기가 구비된 상부블럭과; 상기 상부블럭에 둘레부에 연결 설치되어 하부블럭을 둘레부를 수용하며, 일측에 도어가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이송블럭과 연결 설치되어 조형물을 조형하기 위한 설정좌표에 따라 인쇄부가 이동되도록 이송블럭을 가이드로드로부터 상하이동 및 상하이동 차이로 인한 각 아암의 각도조정 및 좌우방향으로 틸트 조정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수직으로 3방향 설치되는 가이드로드 및 가이드로드에 각각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블럭을 구비하고, 이송블럭과 인쇄부를 한 쌍의 아암을 3방향 연결시켜 인쇄헤드를 3축 기점에서 다방향으로 동작시켜 입체조형물을 인쇄하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정밀한 조형작업은 물론, 최적의 조형환경을 조성하여 기존의 멘들(mendel)방식에 비해 조형시간을 최대한 단축시켜 작업할 수 있으며, 가이드로드 및 아암의 확장 교체로서 베드가 스윙되어 입체 조형물을 인쇄하는 기존의 3D 프링터에서 인쇄할 수 없었던 조형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14-0086228호(2014.07.09)는, 각각의 부품이 단위 조립체로 구성되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3D 프린터 창조키트에 관한 것으로, 프린트재료를 배출하여서 3차원의 입체물품을 제조하는 3D프린트부와, 3D프린트부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부판에 대응되도록 3D프린트부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하부판과, 상부판과 하부판에 양단이 조립되어 기립된 상태를 이루는 적어도 3개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가능한 상태로 3D프린트부에 조립되는 가이드와, 가이드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들을 동시에 작동시켜서 가이드들과 함께 3D프린트부를 승강시키거나, 구동부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서 해당 가이드가 승강되어서 3D프린트부가 기울어지게 함과 동시에 3D프린트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구동부 및 제어부를 하부판에 분해 가능하게 체결시키고, 가이드를 3D프린트부에 분해가능하게 체결시키고, 가이드레일을 상부판과 하부판에 분해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특허출원 제10-2015-0008600호(2015.01.19)는, 노즐 헤드를 X, Y, Z의 3개의 축을 중심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3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원하는 입체 형상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6자유도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입체 조형물이 프린팅되는 스테이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별도의 구동기에 의해 일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2개의 X축 캐리어와; 상기 본체에 별도의 구동기에 의해 다른 일축방향(Y축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2개의 Y축 캐리어와; 상기 본체에 별도의 구동기에 의해 상하방향(Z축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2개의 Z축 캐리어와; 상기 스테이지를 향해 프린팅 재료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노즐 헤드와; 일단이 상기 각각의 X축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노즐 헤드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2개의 X축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각각의 Y축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노즐 헤드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2개의 Y축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각각의 Z축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노즐 헤드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2개의 Z축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5-0101077호(2015.07.16)는, 3D 프린터의 로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FDM방식의 3D 프린터에 있어서, 3D 프린터의 인쇄모듈과 승강체에 각각 결합하는 볼스터드와, 상기 인쇄모듈과 승강체 간을 연결하는 로드의 양단부에 설치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마그네틱블록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상기 볼스터드와 마그네틱블록의 자력에 의한 결합시에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엔드캡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인쇄모듈과 로드 어셈블리의 결합부가 다축성의 관절운동을 가능케 하면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결합부의 신속하고 간편한 분리, 결합이 가능하여 인쇄모듈의 유지, 관리에 따른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허출원 제10-2015-0156964호(2015.11.09)는, 델타봇 타입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삼각형상을 갖는 상부블럭과 하부블럭 및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의 각 모서리 부분을 수직하게 연결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직기둥, 상기 수직기둥 각각과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판, 판 상의 헤드플레이트,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된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의 하단에 구비된 프린터헤드,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헤드와 연결되며 인쇄용 재료를 인젝트시키는 인젝터, 일단은 상기 이동판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플레이트에 힌지고정되는 다수의 아암, 상기 이동판의 승하강을 제어하여 상기 프린터헤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델타봇 타입 3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럭의 상면에는 자회전 가능한 인쇄베드인 턴테이블이 더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턴테이블과 간격을 두고 상방 향을 향해 경사배치된 다수의 히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델타봇 타입 3D 프린터를 제공한다.
지금까지의 3D 프린터는 조형물을 입체적으로 조형하는 프린트헤드를 3방향에서 각각 한 쌍씩의 아암으로 연결함으로써 3축 기점에서 다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프린트헤드를 가이드로드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블록에 연결하는 부분을 관절로 형성함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마그네블럭의 자력을 이용한 상기 (특허문헌 004) 특허출원 제10-2015-0101077호(2015.07.16)인 3D 프린터의 로드 어셈블리가 있었으나 이 또한 작업중 자력으로 부착된 관절부가 너무나 쉽게 서로 이탈되어 분리되어서 실질적으로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특허문헌 004) 특허출원 제10-2015-0101077호(2015.07.16)인 3D 프린터의 로드 어셈블리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개량 발명하여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를 실현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사용함에있어서 문제가 없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관절을 구성하는 연결 로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나의 관절을 구성하는 두 개의 연결로드 사이에 마그네트볼을 구성한 것과;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 각각의 단부에 마그네트볼이 안착하는 볼안착홈을 형성한 자성체인 렌치볼트를 나사결합하고 상기 자성체인 렌치볼트 외주면에 마그네트볼과 이격되고 자성체인 렌치볼트 단부 보다는 돌출되는 비자성체인 이탈방지링을 구성한 것과; 상기 각각의 연결로드 단부에 결합하는 자성체인 렌치볼트에 마그네트볼과는 극성이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마그네트를 심어서 마그네트볼과 연결로드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와의 결합력이 배가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연결로드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는, 자성체인 렌치볼트의 볼안착홈에 볼안착홈의 내경보다 플러스 공차로 형성한 마그네트를 강제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에 구멍을 천공하여 막대로 된 마그네트를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의 볼트단부에 결합핀을 형성하여 결합공을 형성한 마그네트를 결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이다.
본 발명인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는 3D 프린터의 인쇄모듈과 로드 어셈블리는 물론, 다양한 기계기구의 연결로드 관절에 실시 함에있어서, 관절을 구성하는 볼을 마그네트로 형성하고 여기에 연결하는 연결로드의 단부에 마그네트볼과는 극성이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마그네트를 각각 심어서 연결로드와 볼의 결합력을 배가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연결로드의 단부에 비자성체인 이탈방지링을 구성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마그네트 구슬이 연결로드의 단부를 이탈하지 않아 실사용에서 연결로드가 이탈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발생을 억제하는 신규한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별도의 마그네트를 추가한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별도의 마그네트를 추가한 다른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별도의 마그네트를 추가한 다른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3D 프린터에 실시한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관절을 구성하는 연결 로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나의 관절을 구성하는 두 개의 연결로드(10) 사이에 마그네트볼(20)을 구성한 것과;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10) 각각의 단부에 마그네트볼(20)이 안착하는 볼안착홈(31)을 형성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를 나사결합하고 상기 자성체인 렌치볼트(30) 외주면에 마그네트볼(20)과 이격되고 자성체인 렌치볼트(30) 단부 보다는 돌출되는 비자성체인 이탈방지링(40)을 구성한 것으로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연결로드(10)는, 단부에 결합하는 자성체인 렌치볼트(30)에 마그네트볼(20)과는 극성이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별도의 마그네트(50)를 각각 심어서 마그네트볼(20)과 연결로드(20)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와의 결합력이 배가되도록 구성하면 실시효과는 배가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로드(10)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는, 자성체인 렌치볼트(30)의 볼안착홈(31)에 볼안착홈(31)의 내경보다 플러스 공차로 형성한 마그네트(50)를 강제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30)에 구멍을 천공하여 막대로 된 마그네트(50)를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30)의 볼트 단부에 결합핀을 형성하여 결합공을 형성한 마그네트(50)를 결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3D 프린터에서 실시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개의 직립한 가이드레일(60)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하는 승강블럭(70)과 재료공급부(도시하지않음)에서 공급되는 재료로 3차원 모형을 인쇄하는 프린트헤드(8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0)를 구성하되, 이들 연결로드(10)의 구성을 본 발명인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관절을 구성하는 연결 로드 어셈블리로 구성하면 강력한 자석으로 구성한 마그네트볼(20)이 연결로드(10)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한 렌치볼트(30)의 머리에 형성된 볼안착홈(31)에 안착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를 하던 중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연결로드(10)가 순간적으로 옆으로 삐끄러지면 단부에 자력에 연결로드(10)에 결합된 자성체인 렌치볼트(30)보다 외경이 크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비자성체인 이탈방지링(40)이 마그네트볼(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로드(10)와 마그네트볼(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볼(20)의 자력만으로는 불안하기에 각각의 연결로드(10) 단부에 결합하는 자성체인 렌치볼트(30)에 마그네트볼(20)과는 극성이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별도의 마그네트(50)를 각각 심어서 마그네트볼(20)과 연결로드(20)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와의 결합력이 배가되도록 구성하면 실시효과는 배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로드(10)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에 마그네트볼(20)과는 극성이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별도의 마그네트(50)를 각각 심어서 마그네트볼(20)과 연결로드(20)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와의 결합력을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자성체인 렌치볼트(30)의 볼안착홈(31)에 볼안착홈(31)의 내경보다 플러스 공차로 형성한 마그네트(50)를 강제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30)에 구멍을 천공하여 막대로 된 마그네트(50)를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30)의 볼트 단부에 결합핀을 형성하여 결합공을 형성한 마그네트(50)를 결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미래 산업인 3D 프린터에 응용하는 기술로서 산업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치가 대단하다 할 것이다.
10: 연결로드 20: 마그네트볼 30: 렌치볼트
31: 볼안착홈 40: 이탈방지링 50: 마그네트
60: 가이드레일 70: 승강블럭 80: 프린트헤드

Claims (3)

  1. 하나의 관절을 구성하는 두 개의 연결로드(10) 사이에 마그네트볼(20)을 구성하고 이탈방지링(40)을 구성한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관절을 구성하는 연결 로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10) 각각의 단부에 마그네트볼(20)이 안착하는 볼안착홈(31)을 형성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를 나사결합한것과;
    자성체인 렌치볼트(30) 외주면에 마그네트볼(20)과 이격되고 자성체인 렌치볼트(30) 단부 보다는 돌출되는 이탈방지링(40)을 비자성체로 구성한 것과;
    상기 각각의 연결로드(10)는, 단부에 결합하는 자성체인 렌치볼트(30)에 마그네트볼(20)과는 극성이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별도의 마그네트(50)를 각각 심어서 마그네트볼(20)과 연결로드(20)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와의 결합력이 배가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연결로드(10) 끝단에 결합한 자성체인 렌치볼트(30)는, 자성체인 렌치볼트(30)의 볼안착홈(31)에 볼안착홈(31)의 내경보다 플러스 공차로 형성한 마그네트(50)를 강제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30)에 구멍을 천공하여 막대로 된 마그네트(50)를 압입하거나, 자성체인 렌치볼트(30)의 볼트 단부에 결합핀을 형성하여 결합공을 형성한 마그네트(50)를 결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2682A 2018-02-01 2018-02-01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 KR10204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82A KR102045482B1 (ko) 2018-02-01 2018-02-01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82A KR102045482B1 (ko) 2018-02-01 2018-02-01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853A KR20190098853A (ko) 2019-08-23
KR102045482B1 true KR102045482B1 (ko) 2019-11-15

Family

ID=6776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682A KR102045482B1 (ko) 2018-02-01 2018-02-01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4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2943A (zh) * 2014-12-15 2015-04-29 太原理工大学 多功能并联臂3d装置
KR101664988B1 (ko) * 2015-07-16 2016-10-11 주식회사 티피씨애니웍스 3d 프린터의 로드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077A (ko) 2014-02-26 2015-09-03 (주)파슨텍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 시스템
KR101728894B1 (ko) * 2015-07-27 2017-04-20 김용래 조립식 프레임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2943A (zh) * 2014-12-15 2015-04-29 太原理工大学 多功能并联臂3d装置
KR101664988B1 (ko) * 2015-07-16 2016-10-11 주식회사 티피씨애니웍스 3d 프린터의 로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853A (ko)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Development of a hybrid rapid prototyping system using low-cost fused deposition modeling and five-axis machining
CN103394693B (zh) 一种可制造大角度悬臂结构件的激光多维打印装置及方法
CN104441656B (zh) 三维打印机及其打印方法
CN105666888B (zh) 一种基于fdm技术的数控成型设备
CN105082537A (zh) 一种3d打印方法及3d打印机
CN106313565B (zh) 多功能复合打印装置
Izdebska-Podsiadły Classification of 3D printing methods
JP2015221511A (ja) 複合成形品の成形方法、複合成形品の成形システム、および複合成形品
KR102045482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관절을 구성하는 멀티 연결 로드 어셈블리
KR101664988B1 (ko) 3d 프린터의 로드 어셈블리
CN107020756A (zh) 多功能复合打印装置
CN204196268U (zh) 三维打印机
CN112805406A (zh) 喷射成型的结构接头
Pontes Design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KR20150121525A (ko)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유골분 결정화 방법
US1101429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boat molds by additive manufacturing
CN113453579B (zh) 用于制造鞋的鞋楦
KR102235239B1 (ko) 3d 프린터 장치 및 그 성형 방법
CN110682531A (zh) 一种3d打印设备及3d打印方法
KR102262509B1 (ko) 구경이 다른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대형 3d 프린터
CN205553249U (zh) 一种基于fdm技术的数控成型设备
CN205380267U (zh) 一种激光金属3d打印机
CN111823584B (zh) 一种混合式3d打印机及其打印方法
TWI574828B (zh) 多功能複合列印裝置
CN1493448A (zh) 能消除注塑有孔制品外观熔接痕的模具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