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038B1 - 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038B1
KR102045038B1 KR1020170097503A KR20170097503A KR102045038B1 KR 102045038 B1 KR102045038 B1 KR 102045038B1 KR 1020170097503 A KR1020170097503 A KR 1020170097503A KR 20170097503 A KR20170097503 A KR 20170097503A KR 102045038 B1 KR102045038 B1 KR 10204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ing unit
wall
sal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3209A (en
Inventor
한재웅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038B1/en
Publication of KR2019001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3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천일염이 수용되는 건조부; 건조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을 지지하는 투입구 지지대 및 배출구 지지대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일단부 측에 연결되어 건조부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건조부는 받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건조부의 내벽 외측을 감싸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를 제공하며, 이에 의하면, 몸체부가 회전할 때 천일염이 내벽에 얇은 두께로 부착되어 건조되어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확한 건조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전도열을 이용하여 열손실이 총 제공되는 열의 10% 정도에 불과하므로 열효율도 매우 높아 에너지 집약적인 천일염 건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ing unit in which the sun salt is accommodated therein; A supporting part including an inlet supporter and an outlet supporter supporting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ying unit; And a moisture discharging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isture discharging part for discharging moisture inside the drying part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y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ing part and includes a heating element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drying part. It provides a natural salt drying apparatus using conductive heat, and according to this, when the body portion rotates, the natural salt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with a thin thickness to be dried and efficiently dried, and accurate drying temperature control is possible, and heat loss using the conductive heat. Only about 10% of the total heat is provided, so the thermal efficiency is very high, can be used in energy-intensive sun salt drying process,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energy sav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escription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

본 발명은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일염의 가공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향상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천일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salt drying apparatus using conductive h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tural salt drying apparatus capable of ensuring the safety of the processing of the natural salt and improving quality and saving energy.

세계적으로 소비되는 소금의 대부분은 땅속에서 채취한 암염(70%)으로서 천일염의 생산량은 30%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天日鹽)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결정들을 모아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으로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이고, 천일염은 가공소금에 비하여 인체에 유익한 칼슘, 철, 인, 칼륨과 같은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여 김장김치를 만들거나 각종 장류를 담그는데 널리 사용된다. Most of the salt consumed in the world is rock salt (70%) taken from the ground, and the production of sun salt is 30%. In general, natural salt (天日 鹽) is an unprocessed salt made of crystals made by collecting seawater by bringing seawater to saltfield and evaporating harmful components with moisture by wind and sunlight. Rich in minerals such as calcium, iron, phosphorus and potassium, which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it is widely used to make kimchi or to soak various kinds of soy sauce.

우리나라의 경우 식용 56만 톤(전체수요의 17%)은 국내에서 공급하고 있으며, 화학공장에서 필요한 공업용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식용으로 사용가능한 소금은 제조방식에 따라 천일염, 정제염, 재제염, 암염 등으로 분류하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갯벌을 이용하여 천일염을 생산(0.6%)하는 나라는 프랑스, 포르투갈 등 소수로서 세계적으로 희소가치가 있는 자원이다. In Korea, 560,000 tons of edible food (17% of total demand) is supplied domestically, and the industrial use required for chemical plants is mostly dependent on imports. Salts that can be used for food are classified into natural salts, refined salts, recontaminated salts, and rock salt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In particular, countries that produce natural salts (0.6%) using tidal-flats, such as Korea, are a small number, including France and Portugal. There is a resource.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미네랄이 풍부한 갯벌 천일염의 산업적, 영양학적 가치가 재조명되는 등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경쟁력이 충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일본 등 소비자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금은 정제염(기계염)으로서 해수를 이온 교환식 제염법으로 생산한 소금이며, 그 외 천일염을 가공하여 소비하고 있다. In particular, as health concerns increase, the industrial and nutritional value of the mineral-rich tidal flat sea salt has been re-examined, and it has been reported to be competitive globally. Salt used by many consumers in Korea and Japan is refined salt (mechanical salt), salt produced by ion exchange decontamination method, and other natural salt is processed and consumed.

일본은 1971년 염전이 폐쇄되고 정제염으로 전환하면서 천일염의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1997년 소금전매법의 폐지, 2002년 소금전매제의 철폐에 따라 해수에서 생산하는 소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천일염(Solar salt)은 1963년 염관리법 제정 이후 최근까지 45년간 지식경제부의 염관리법에 의하여 광물로 분류되어져 왔으며, 주로 불순물 등이 식품에 이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김치 절임용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Japan's production of sun salt stopped when the salt field was closed in 1971 and converted to refined salt, but interest in salt produced in seawater has increased due to the abolition of the salt resale method in 1997 and the elimination of the salt reagent in 2002. Solar salt has been classified as a mineral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for 45 years since the salt management law was enacted in 1963, and has been mainly used for pickling kimchi within the range that impurities are not implemented in food.

2008년에 천일염이 광물에서 식품으로 가치가 전환되고, 농림수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의 발족으로 천일염 관리가 농식품부로 이관되면서 천일염을 식품으로의 육성이 가능하게 되었다(지식경제부-농식품부 장관간 소금관련 업무 이관 합의(2008년)). 소금산업발전종합대책은 크게 기초 인프라 확충, 소금산업 경쟁력 강화 및 소금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세부추진과제로 생산시설을 현대화, 표준모델 개발, 품질관리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In 2008, natural salts were converted from minerals to foods,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Fo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ods) transferred the management of natural salts to the Ministry of Food and Agriculture. Agreement to transfer salt business (2008)).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salt industry suggests various policies for expanding the basic infrastructure,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salt industry, and creating new value of salt.In particular, detailed tasks include modernizing production facilities, developing standard models, and strengthening quality control. It is.

광물로 취급된 지난 45년간 천일염은 열처리를 통해 제재소금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판매하였으나, 현재는 천일염이 건강과 맛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식품이라는 소비자 의식이 확대되면서 천일염 또는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For the past 45 years treated with minerals, sun-dried salt has been processed and sold in the form of lumber, salt, etc. through heat treatment, but nowadays it is growing as consumer awareness that sun-dried salt is a food that can satisfy both health and taste at the same time. Demand is expanding.

2008년 이후 MSG와 핵산을 첨가한 맛소금, 꽃소금의 판매가 17.5% 감소하였으나 천일염 수요는 크게 늘어나고 있다(성장율 88%). 국내 천일염은 정제염이나 수입천일염에 비해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고, 미네랄 함량이 높은 등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사분, 불용분 등의 이물질에 있어서 안전하지 않는 생산구조를 통해 생산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Since 2008, sales of flavored salts and flower salts added with MSG and nucleic acids have declined by 17.5%, but demand for sun sal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88% growth). Domestic natural salts have lower sodium chloride content and higher mineral content than refined salts or imported natural salts, but have excellent functionality, but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produced through unsafe production structures such as quadrants and insolubles.

국내 천일염은 외국산에 비해 염화나트륨은 20% 낮고, 미네랄은 3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으나, 천일염의 생산현장(염전)의 비위생적인 바닥재, 창고벽 등으로 인하여 소비자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 Domestic sun salt is 20% lower in sodium chloride and contains more than three times more minerals than foreign products, but consumer reliability is deteriorating due to unsanitary flooring and warehouse walls in the production site of salt.

염전에서 생산한 천일염을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유통하기 위해서는 세척-탈수-건조-선별 등의 안전한 공정이 필요하다. 선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소금의 함수율이 3%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함수율이 약 8%이 될 때까지 탈수를 한 후에 탈수된 소금을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질적으로 건조 공정에서 천일염은 보통 15~20% 이상의 함수율을 갖는 경우가 많다.Safe and hygienic distribution of salt produced in salt farms requires safe processes such as washing, dehydration, drying and screening. In order to facilitate the sorting operation, the water content of salt is preferably 3% or less. In general, after dehydration until the water content is about 8%, it is preferable to transfer the dehydrated salt to a dryer to dry it. However, in general, the natural salt in the drying process often has a water content of 15 to 20% or more.

이때 사용되는 종래의 건조기의 한 예시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656138호는 소금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금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풍건조 방식이 적용된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At this time,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ryer used, Korean Patent No. 10-1656138 relates to a salt drying apparatus and a salt dry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provides a drying apparatus to which a hot air drying method is applied.

그러나 이와 같은 열풍건조 방식의 열원은 대부분의 화석 연료를 사용함에 있어 불완전 연소로 인한 식품의 오염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바로 섭취하는 식품에 직접적인 열을 가함으로써 식품 가치 떨어질 수 있다.However, the heat source of such a hot air drying method has a high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foods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when using most fossil fuels. In other words, the food value can be reduced by directly applying heat directly to the food to be eaten.

또한, 이러한 직접적인 열전달의 건조 방식은 고온의 공기 대류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열손실이 많고 버너와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른 공기의 온도차가 커서 정확한 건조 온도의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가스 버너를 이용하여 버너 온도를 약 220℃로 설정한다고 하더라도, 가스 버너와 근접하게 위치된 소금은 건조 종료 시점 전에 품온이 120℃를 넘어가면서 천일염이 노란색으로 변화되는 황변 현상이 나타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 heat transfer drying method is a method of drying by using high temperature air convection,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trol the drying temperature due to a large heat loss and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and the relative distance to the burner. For example, even if the burner temperature is set to about 220 ° C by using a gas burner, the salt placed close to the gas burner has a yellowing phenomenon where the sun salt turns yellow as the temperature exceeds 120 ° C before the end of drying. Poor quality may occur.

황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버너 온도를 더 낮게 조절한다면 건조 시간이 늘어남으로써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수록 더 많은 양의 화석 연료가 필요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If the burner temperature is lowered to prevent yellowing, the drying time increases, and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dryer is inevitably reduced, and as the energy efficiency decreases, more fossil fuels are required, which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종래기술에 의하면,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건조기를 사용하게 되어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스 버너와 같은 열원이 사용됨으로써 장치 내부가 부분적으로 설정 온도 이상의 고온이 발생하여 환경호르몬 발생, 황변 등의 요소들에 의한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use of a dryer that reduces energy efficiency inevitably increases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which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 heat source such as a gas burner is used to partially generate high temperature above a set temperature. It may cause degradation of quality due to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hormone generation and yellowing.

따라서, 에너지 집약적인 천일염 건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안전과 위생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성 및 안정성도 높이기 위한 건조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ryer for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and stability as well as safety and hygiene, which can be used in an energy-intensive sun salt drying process.

KR 10-1656138 B1KR 10-1656138 B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안전한 건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천일염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tural salt drying apparatus configured to enable high-quality safe dry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내부에 천일염이 수용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을 지지하는 투입구 지지대 및 배출구 지지대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일단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부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건조부의 내벽 외측을 감싸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rying unit accommodates the sun salt therein; A supporting part including an inlet supporter and an outlet supporter supporting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ying part; And a moisture discharging part connected to the one end part and discharging moisture inside the drying part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y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and includes a heating element surrounding an inner wall of the drying part. It provides a natural salt drying apparatus using the conductive heat,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발열체는 전기열선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is preferably an electric heating wire.

또한, 상기 발열체는 상기 건조부의 길이를 따라 상기 건조부의 상기 내벽 및 외벽 사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is preferably embedde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drying unit along the length of the drying unit.

또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내벽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코일 형태로 상기 받침부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is preferably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in the form of a coil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al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습기 배출부는 흡인 덕트 및 이에 연결된 흡인식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식 송풍팬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건조부 내부의 습기가 상기 흡인 덕트를 통과하여 상기 건조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isture discharge unit includes a suction duct and a suction blower fan connected thereto, and the suction blower fan is driven so that the moisture inside the drying unit passes through the suction duc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er unit. .

또한, 상기 건조부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타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ne end of the drying portion is preferably located higher than the other end.

또한, 상기 건조부 내측에는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inside the drying unit.

또한, 상기 발열체의 온도, 상기 건조부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습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건조부 내부의 습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ying unit, and the moisture inside the drying unit through the moisture discharge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천일염은 몸체부가 회전할 때 내벽에 얇은 두께로 부착되어 건조되어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확한 건조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n salt is attached to a thin thickness on the inner wall when the body portion rotates to be dried and can be efficiently dried and accurate drying temperature control is possible.

또한, 전도열을 이용하여 열손실이 총 제공되는 열의 10% 정도에 불과하므로 열효율도 매우 높아 에너지 집약적인 천일염 건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In addition, since heat loss is only about 10% of the total heat provided by using conductive heat, the thermal efficiency is very high, so it can be used in energy-intensive sun salt drying process, and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energy saving is environmentally friendly.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온도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품질의 천일염 생산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stably produce high-quality sun sal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체가 건조부의 내벽 외측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건조부가 회전하고, 습기 배출부가 작동함으로써, 건조부 내에 있는 천일염이 균일하고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unit rotates while the heating element surrounds the inner wall of the drying unit, and the moisture discharge unit operates, whereby the natural salt in the drying unit can be dried uniformly a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n salt drying device using conductive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un salt drying device using conductive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 of FIG. 2.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in order for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Concepts of various terms may be proper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m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In other word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the teachings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is defined in considera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similarly, the plural expressions may include the singular meanings. do.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mprising"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ny other component rather than excluding any 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can mean that you can.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inside, or in connection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 the case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 may b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s to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third component or means exists.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milarly,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have the same purpose.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other side”, “first”, “second”, and the like, if used, refer to this one component for one component. Is used to clearly distinguish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terms do not limit the meaning of the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up”, “down”, “left”, “right”, etc., when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indicate relative positions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f used. Unless an absolute position is specified with respect to these positions, these position related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an absolute position.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Moreov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device" and the like, if used, means a unit capable of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designating the reference numerals for each component of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so as to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hat i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ymbol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 position, coupling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exaggerated or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may be described, so the proportion or scale may not be exa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will be described the sun salt drying apparatus using the conductive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n salt drying device using conductive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un salt drying device using conductive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 of FIG. 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는 건조부(100), 건조부(100)를 지지하는 받침부(200), 및 건조부(100)로부터 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습기 배출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olar salt drying apparatus using conductive hea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unit 100, a support unit 200 supporting the drying unit 100, and a drying unit 100. It includes a moisture discharge portion 300 configured to discharge moisture from.

본 발명의 건조부(100)는 내부에 천일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내벽(111) 및 외벽(112)을 포함하는 몸체부(110), 내벽(111) 및 외벽(112) 사이에 위치된 발열체(120), 및 몸체부(110) 내측에 형성된 리브(130)를 포함한다. Dry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natural salt is accommodated therein, the heating element is located between the body portion 110, the inner wall 111 and the outer wall 112 including the inner wall 111 and the outer wall 112 ( 120, and a rib 130 formed inside the body 110.

본 발명에서 몸체부(110)의 내벽(111)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내벽(111)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벽(112)도 내벽(111)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외벽(112)은 내벽(111)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wall 111 of the body portion 1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inner wall 1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ere, the outer wall 112 may also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ner wall 111,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wall 1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inner wall 111.

발열체(120)는 전기열선과 같이 전기를 사용하는 열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발열체(120)는 내벽(111) 및 외벽(112) 사이에서 몸체부(110)의 길이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ating element 120 is preferably a heat source using electricity, such as electric heating wire. 1 and 2,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elements 120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of the body 110 between the inner wall 111 and the outer wall 112. Is preferr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체(120)는 내벽(111) 및 외벽(112) 사이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으나, 내벽(111), 외벽(112) 및 발열체(120)의 결합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3, the heating elemen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edded between the inner wall 111 and the outer wall 112, but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wall 111, the outer wall 112, and the heating element 120 is provided. Is not limited to thi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체(120)는 내벽(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코일 형태로 받침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발열체(120)는 내벽(111) 및 외벽(112)이 회전하는 동안 받침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element 12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200 in the form of a coil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all 1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ly, the heating element 120 may maintain a position fixed to the supporting part 200 while the inner wall 111 and the outer wall 112 are rotated.

몸체부(110) 내측에는 리브(130)가 형성되어 몸체부(110)가 회전됨에 따라 리브(130)에 의해 형성된 단차에 천일염이 쌓이고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천일염이 내벽(111)에 붙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리브(130)는 다수 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나, 리브(130)의 형태, 연결된 위치 등은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Rib 130 is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and as the body portion 110 is rotated, the sun salt accumulates on the step formed by the rib 130, and the process of falling from the sun salt adheres to the inner wall 111. Is prevented. The rib 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plurality, the shape of the rib 130, the connected posi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본원 발명은 천일염이 내벽(111)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망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충격 망치는 몸체부(110) 외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중력에 의해 떨어질 때 몸체부(110)의 일부를 타격함으로써 그 충격에 의해 내벽에 천일염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pact hamm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natural salt from adhering to the inner wall 111. The impact hammer can be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10, by hitting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when falling by gravity can prevent the sun salt adheres to the inner wall by the impact.

본 발명의 받침부(200)는 건조부(100)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을 지지하는 투입구 지지대(230) 및 배출구 지지대(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부(100)는 받침부(20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n inlet support 230 and an outlet support 220 for suppor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ying unit 100, respectively. The drying unit 100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base 200.

받침부(200)는 건조부(100)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건조부(100)의 외측을 일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바퀴 및 모터와 같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riving part (not shown) for rotating the drying part 100, and means such as a wheel and a motor configured to push the outside of the drying part 100 in one direction may be provided. Can be used.

투입구 지지대(230) 및 배출구 지지대(220) 각각이 지지하는 건조부(10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대해,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투입구 지지대(230) 및 배출구 지지대(220)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inlet support 230 and the outlet support 220 so that one end is higher than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ying unit 100 supported by each of the inlet support 230 and the outlet support 220, respectively. Can be determined.

즉, 투입구 지지대(230)가 배출구 지지대(220)보다 길게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건조부(100)가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천일염이 건조부(100) 내부에 투입될 때 투입구인 상기 일단부로부터 배출구인 상기 타단부로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려가면서 건조될 수 있다. That is, the inlet support 230 is preferably made longer than the outlet support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unit 100 is install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Since one end portion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other end portion, when the natural salt is introduced into the drying unit 100, it may be dried while easily flowing continuously from the one end portion as the inlet to the other end portion as the discharge port.

건조부(100)가 기울여진 상태에서 회전하고, 발열체(120)로부터의 열이 내벽(111)을 통해 전도됨으로써 중력 및 회전 운동에 따라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는 천일염에 포함된 수분이 연속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The drying unit 100 rotates in an inclined state, and heat from the heating element 120 is conducted through the inner wall 111 so that moisture contained in the sun salt, which is moved to the outlet side according to gravity and rotational movement, may be continuously dried. ha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 측에는 건조부(100)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 배출부(3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습기 배출부(300)는 흡인 덕트(310) 및 이에 연결된 흡인식 송풍팬(320)을 포함하며, 흡인식 송풍팬(320)이 구동됨으로써 건조부(110) 내부의 습기가 흡인 덕트(310)를 통과하여 건조부(1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a moisture discharge unit 300 is disposed at the inlet side to discharge moisture in the drying unit 100 to the outside. The moisture discharge part 300 includes a suction duct 310 and a suction blower fan 320 connected thereto. The suction blower fan 320 is driven to absorb moisture in the drying unit 110. Pass through it is preferabl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unit (110).

본 발명은 발열체(120)의 온도, 건조부(100)의 회전 속도, 및 습기 배출부(300)를 통해 건조부(100) 내부의 습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not shown)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12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ying unit 100, and the moisture in the drying unit 100 through the moisture discharge unit 300. Do.

발열체(120)의 온도에 따라 내벽(111)에 전달되는 전도열이 결정되며,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조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기존의 열풍방식과 다르게, 발열체(120)는 천일염이 수용된 건조부(10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온도의 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천일염의 연속적인 건조와 함께, 더 세밀한 품질 관리가 가능하며, 환경호르몬 발생, 황변의 발생 등의 리스크가 없다. The conductive heat transmitted to the inner wall 11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120, and the drying temperature may be set by minimizing the heat loss. Unlike the conventional hot air method, the heating element 120 can provide heat of a uniform temperature along the length of the drying unit 100 accommodated with the natural salt, and with the continuous drying of the natural salt, more detailed quality control is possible. There is no risk of environmental hormones or yellowing.

도 2를 참조하여 건조 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를 통해 발열체(120)의 온도를 설정하여 몸체부(110) 내부의 건조 온도를 바람직한 온도, 예를 들면 200℃ 내지 210℃로 상승시킨 후, 천일염이 건조부(100)의 투입구를 통과하여 몸체부(110) 내에 수용된다. A dry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fter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120 through the control unit to increase the drying temperature inside the body portion 110 to a preferable temperature, for example, 200 ℃ to 210 ℃, the natural salt passes through the inlet of the drying unit 100 It is received in the body portion 110.

이때 천일염은 중력 및 몸체부(11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역동적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된다. 천일염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천일염으로부터의 수분이 몸체부(110) 내부 공간으로부터 흡인식 송풍팬(320)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에 따라 흡인 덕트(3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atural salt is dynamic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ccording to the gravity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110. At the same time as the sun salt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water from the sun salt may be discharg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10 through the suction duct 310 in the direction of arrow B by the suction blower fan 320 to the outside. .

즉, 천일염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습기는 습기 배출부(300)에 의해 배출됨으로써 천일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리브(130)의 구성과 몸체부(110)의 회전 운동뿐만 아니라, 습기 배출부(300)에 의한 고습된 공기 제거에 의해서도 천일염이 내벽(111)에 붙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으며 원활한 건조가 가능하다.That is, the moisture coming out of the natural salt is discharged by the moisture discharge part 300, so that the natural salt can be quickly dried. As well as the configuration of the rib 130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110, the natural salt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inner wall 111 by removing the humidified air by the moisture discharge unit 300, and smooth drying is possible. Do.

수분이 함유된 천일염은 본래 끈적이는 성질이 있으나, 본원 발명에 의하면 천일염은 건조부(100)에 수용되는 순간부터 배출구로 배출될 때까지 연속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어, 원스톱으로 대량의 천일염을 신속하게 에너지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Natural salts containing water is inherently sticky,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atural salts can be continuously dried from the moment when they are accommodated in the drying unit 100 to the discharge port, so that a large amount of natural salts can be quickly made in one stop. It can dry efficiently.

본 발명에 의하면, 천일염이 몸체부(110)의 내벽(111)에 직접 닿아 발열체(120)로부터 전도로 전달된 열을 이용하는 건조기가 제공된다. 천일염은 몸체부(110)가 회전할 때 내벽(111)에 얇은 두께로 부착되어 건조되어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확한 건조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전도열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건조기는 열손실이 투입열의 10% 정도에 불과하므로 열효율도 매우 높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yer using heat transmitted from the heating element 120 to the sun sal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11 of the body portion 110. Solar salt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111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rotated in a thin thickness can be dried efficiently drying and accurate drying temperature control is possibl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heat of conduction is very high thermal efficiency because the heat loss is only about 10% of the input heat.

100: 건조부
110: 몸체부
111: 내벽
112: 외벽
120: 발열체
130: 리브
200: 받침부
210: 바닥부
220: 배출구 지지대
230: 투입구 지지대
300: 습기 배출부
310: 흡인 덕트
320: 흡인식 송풍팬
100: drying unit
110: body part
111: inner wall
112: outer wall
120: heating element
130: rib
200: support
210: bottom
220: outlet support
230: slot support
300: moisture outlet
310: suction duct
320: suction blower

Claims (8)

내부에 천일염이 수용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을 지지하는 투입구 지지대 및 배출구 지지대를 포함하는 받침부;
상기 일단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부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 배출부;
상기 건조부의 내벽 내측에 상기 건조부의 회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 개의 리브; 및
상기 건조부 외측에 힌지 결합된 충격 망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벽의 외측을 감싸는 전기열선인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리브에 의해 형성된 단차에 상기 천일염이 쌓이고 떨어지는 과정이 반복되고,
상기 충격 망치는 상기 건조부가 회전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떨어지면서 상기 건조부의 일부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천일염이 상기 내벽에 붙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건조부의 길이를 따라 상기 발열체는 상기 내벽 및 상기 건조부의 외벽 사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건조부의 회전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게 내장되고,
상기 건조부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타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
Drying unit that the sun salt is accommodated therein;
A supporting part including an inlet supporter and an outlet supporter supporting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ying part;
A moisture discharge part connected to the one end part to discharge moisture inside the drying part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ying unit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drying unit; And
And a shock hammer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unit.
The dry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 heating element which is an electric heating wir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nner wall,
As the drying unit is rotated, the sun salt accumulates and falls on a step formed by the plurality of ribs.
The impact hammer prevents the sun salt from adhering to the inner wall by hitting a portion of the drying unit while falling by gravity as the drying unit rotates,
The heating element is embedded along the length of the drying uni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drying unit and dispos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y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of the drying portion is located higher than the other end,
Natural salt drying device using conductive heat.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부에 천일염이 수용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을 지지하는 투입구 지지대 및 배출구 지지대를 포함하는 받침부;
상기 일단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부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 배출부;
상기 건조부의 내벽의 내측에 상기 건조부의 회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리브; 및
상기 건조부 외측에 힌지 결합된 충격 망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벽 외측을 감싸는 전기열선인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리브에 의해 형성된 단차에 상기 천일염이 쌓이고 떨어지는 과정이 반복되고,
상기 충격 망치는 상기 건조부가 회전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떨어지면서 상기 건조부의 일부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천일염이 상기 내벽에 붙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내벽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코일 형태로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고,
상기 건조부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타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
Drying unit that the sun salt is accommodated therein;
A supporting part including an inlet supporter and an outlet supporter supporting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ying part;
A moisture discharge part connected to the one end part to discharge moisture inside the drying part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ying unit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drying unit; And
And a shock hammer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unit.
The dry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 heating element that is an electric heating wire surrounding the inner wall,
As the drying unit is rotated, the sun salt accumulates and falls on a step formed by the plurality of ribs.
The impact hammer prevents the sun salt from adhering to the inner wall by hitting a portion of the drying unit while falling by gravity as the drying unit rotates,
The heating element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in the form of a coil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al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of the drying portion is located higher than the other end,
Natural salt drying device using conductive heat.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배출부는 흡인 덕트 및 이에 연결된 흡인식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식 송풍팬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건조부 내부의 습기가 상기 흡인 덕트를 통과하여 상기 건조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의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moisture discharge part includes a suction duct and a suction blower fan connected thereto,
By driving the suction blower fan, the moisture inside the drying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unit through the suction duct,
Drying device of sun salt using conduction he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온도, 상기 건조부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습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건조부 내부의 습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의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ying unit, and the moisture inside the drying unit through the moisture discharge unit,
Drying device of sun salt using conduction heat.
KR1020170097503A 2017-08-01 2017-08-01 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 KR102045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03A KR102045038B1 (en) 2017-08-01 2017-08-01 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03A KR102045038B1 (en) 2017-08-01 2017-08-01 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09A KR20190013209A (en) 2019-02-11
KR102045038B1 true KR102045038B1 (en) 2019-11-14

Family

ID=6537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503A KR102045038B1 (en) 2017-08-01 2017-08-01 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0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378B1 (en) * 2019-02-15 2020-08-20 주식회사 선앤윈드에너지 System for Manufacturing Sun-dried sal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35B1 (en) * 2007-05-22 2008-02-18 안상경 Vacuum type roaster and method of roast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8489U (en) * 1986-06-06 1987-12-17
KR101079782B1 (en) * 2009-10-23 2011-11-03 강순택 apparatus of drying sun-dried salt
KR101656138B1 (en) 2014-06-12 2016-09-08 한규모 Conveyor type salt dry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35B1 (en) * 2007-05-22 2008-02-18 안상경 Vacuum type roaster and method of roast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09A (en)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69075U (en) Solar energy drum-type high electric field drying machine
KR102045038B1 (en) 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conductive heat
CN203446487U (en) Fruit and vegetable drying device
CN204438719U (en) A kind of Novel moveable vehicle mounted grain drying machine
CN205897785U (en) Far infrared dewatering device of grain
CN202032847U (en) Belt type dryer
CN204426638U (en) A kind of dehydrated vegetables novel energy-conserving dryer
CN108413740A (en) A kind of fruits and vegetables vegetable drying device
KR101964679B1 (en) Apparatus for drying solar salt using dehumidified air
CN205611647U (en) Follow -on flesh of fish is dried and is made up machine
CN204168980U (en) With the tower-type grain drying machine of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106152746A (en) A kind of funnel-shaped solar energy freshwater dried fish drying system
CN206504564U (en) Voluntarily circulate drying system
Catalano et al. Experimental system and tests to optimize a tomato drying process
CN109520249A (en) A kind of foodstuff seed drying storage device and method
CN204579835U (en) A kind of New mushroom dewatered drying device
CN209002817U (en) A kind of microwave steaming plant for cereal tabletting processing
CN204634939U (en) A kind of grain drying device
CN103263215A (en) Vertical rice steaming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feeding amount and discharging amount automatically
CN203388683U (en) Vertical rice steam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feeding amount and discharging amount of materials
CN208736090U (en) A kind of fruits and vegetables vegetable drying device
CN210625269U (en) Grate type drying waste heat boiler
CN104390436A (en) Rotary dryer
CN203980837U (en) The homogeneous drying of mechanical enhancer air-flow
CN204638330U (en) One Plants machining producti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