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988B1 - Steel girder for bridge - Google Patents

Steel girder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988B1
KR102044988B1 KR1020170178789A KR20170178789A KR102044988B1 KR 102044988 B1 KR102044988 B1 KR 102044988B1 KR 1020170178789 A KR1020170178789 A KR 1020170178789A KR 20170178789 A KR20170178789 A KR 20170178789A KR 102044988 B1 KR102044988 B1 KR 10204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lange
steel box
reinforcement
flange
bri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6737A (en
Inventor
조광일
박찬희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988B1/en
Publication of KR2019007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Abstract

교량용 강박스 거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하부 플랜지는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의 유도각도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Provide steel box girders for bridges.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vertically, the lower flange may be installed at an induction angle of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ground.

Description

교량용 강박스 거더{STEEL GIRDER FOR BRIDGE}Steel Box Girder for Bridges {STEEL GIRDER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강박스 거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일반적으로, 교량용 강박스 거더, 즉 강교량은 주로 판재를 용접 또는 볼트 조립하여 I형, 박스형 등의 단면을 구성하고 바닥판 콘크리트와 합성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In general, steel box girders for bridges, that is, steel bridges mainly use a method of welding or bolting a plate to form a cross section such as an I-type or box-type and compounding the bottom plate with concrete.

국내외에서 설계되는 강박스 거더는 보통 용이한 계산을 위해 각 부재가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단면을 구성한다. Steel box girders designed at home and abroad usually have a cross section so that each member is connected at a right angle for easy calculation.

그리고, 강박스 거더의 각 대부재는 현장에서 주로 볼트 연결을 사용하게 되며, 여기에는 내외측의 연결판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And, each large member of the steel box girder is to use the bolt connection mainly in the field, the connection plate of the inside and outside is essentially us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단면은 구조적 거동 예측이 용이하고, 설계 시 계산이 편리한 장점이 있어 보통 획일적인 형상의 단면과 연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The cross se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easy structural behavior prediction and easy calculation in design, so that the cross section and connection method of uniform shape are often used.

그러나, 하부 플랜지 및 보강재(수평 보강재)와 같은 수평부재 상, 하부에는 우천 시 또는 이슬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물방울이 흘러내리지 못하고 면에 매달리게 되어 강거더 표면에 부식이 과도하게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on a horizontal member such as a lower flange and a reinforcing material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when rain or rain occurs in the lower part of the environment, water droplets do not flow and hang on the surface, so that corrosion may occur excessively on the surface of the gird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교량은 주기적으로 점검 및 유지관리(재도장)를 수행하거나 내후성강을 사용하기도 하나, 다른 부재에 대비하여 수평부재의 하면에 물방울이 장시간 매달리는 현상을 기피할 수 없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teel bridges are periodically inspected and maintained (repainted) or weather-resistant steel is used. However, in contrast to other members, water droplets are suspen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for a long time.

특히, 강교량의 재도장이 불필요한 무도장 내후성강의 경우, 대부분의 부재에서 안정녹이 발생하여 공용기간 중 재도장 없이 교량을 사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npainted weathering steel which does not require repainting of steel bridges, stable rust occurs in most members, so that the bridge can be used without repainting during the period of use.

그러나, 하부 플랜지 및 보강재(수평 보강재) 등 지면과 평행한 부재에 매달린 물방울 등으로 인하여 이들 부재에 녹이 크게 발생되어, 강재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However, due to water droplets suspended on members parallel to the ground such as the lower flange and the reinforcement material (horizontal reinforcement material), rust is greatly generated in these members, which promotes corrosion of the steel material. to be.

본 발명은 강박스 거더교 또는 플레이트 거더교 등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하부 플랜지와 수평 보강재에 매달리는 물방울 등을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게 하여 내부식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교량용 강박스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by flowing down the water droplets hanging on the lower flange and horizontal reinforcement of the steel box girder bridges such as steel box girder bridge or plate girder bridge by gravity.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복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Steel box girders for brid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up and down, and an abdominal plate dispos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하부 플랜지는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의 유도각도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The lower flange may be installed at an induction angle of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ground.

하부 플랜지의 유도각도는 하부 플랜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지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The induction angle of the lower flang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ower flange.

하부 플랜지의 중앙부는 하부 플랜지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것일 수 있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flange may be bent upward of the lower flange.

하부 플랜지의 하단면이 지면에 대하여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하부 플랜지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는 지면보다 낮거나 높은 위치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lower flange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to a lower or higher position than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는, 외부에 보강재가 설치되는 교량용 강박스 거더이다. In addition, 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that are provided with reinforcing materials on the outside.

보강재는, 상, 하부를 이루는 상, 하부 보강부, 상부 보강부와 하부 보강부를 연결하는 수직 보강부, 및 수직 보강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may include upper and lower upper and lower reinforcing parts, a vertical reinforcing part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parts, and a horizontal reinforcing part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vertical reinforcing part.

하부 보강부는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지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The lower reinforcemen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thereof.

하부 보강부의 중앙부는 하부 보강부의 상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upward of the lower reinforcement portion.

수평 보강부는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ground.

수평 보강부는 수직 보강부와 연결된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n end away from a portion connected with the vertical reinforcement.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우천 시 또는 이슬이 맺히는 환경에서 해당 부재의 하면에 표면장력에 의해 장시간 부착된 물방울 및 수분 등이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흘러내리게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droplets and water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ember for a long time due to the surface tension in a rainy or dewy environment may naturally flow down by gravity.

이에 따라, 해당 부재의 습윤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일반 도장이 적용된 표면도 도장 수명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무도장 내후성 강교량의 경우에도 안정녹 생성 및 부식 진행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by reducing the wet time of the member, the surface to which the general coating is applied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coating life, and even in the case of uncoated weather resistant steel bridge, stable rust formation and prevention of corrosion progress can be expected.

또한, 부가적인 효과로 경사진 부재에 수직 보강재를 용접할 경우 자연스럽게 공간이 발생하여 개선 작업 없이 용접재료가 침투하여 강건한 용접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reinforcing member is welded to the inclined member as an additional effect, a space naturally occurs, and thus the welding material penetrates without improvement, thereby achieving a robust welding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제1 하부 플랜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제2 하부 플랜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보강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ox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low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low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inforcement of 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represen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below is merely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embod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 / 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below have the same meaning as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erms defined in advance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to have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s,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sense unless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제1 하부 플랜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eel box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low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제2 하부 플랜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lower flange of a steel box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플랜지(10)와 하부 플랜지(20), 상부 플랜지(10)와 하부 플랜지(20) 사이에 배치되는 복부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lange 10 and the lower flange 20, the upper flange 10 and the lower which are arranged spaced apart up and down It may include an abdominal plate 30 disposed between the flange (20).

또한, 상부 플렌지(10)와 하부 플랜지(20)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40, 5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flange 10 and the lower flange 20 may be provided with reinforcing materials 40 and 50 to reinforce rigidity, respectively.

하부 플랜지(20)는 우천 시 또는 이슬이 맺히는 환경에서 하부에 맺히는 물발울 등이 자연스럽게 낙하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의 유도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The lower flange 20 may be installed at an induction angle of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order to induce a natural drop of water drops or the like formed in the lower part in a rainy or dewy environment.

즉, 하부 플랜지(20)의 유도각도(θ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방울 등의 용이한 낙하를 유도할 수 있도록 그 중앙부(도 2의 O-O선)를 기준으로 지면(도 2의 X-X선)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induction angle θ1 of the lower flange 20 is based on the ground of FIG. XX line)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set.

하부 플랜지(20)는 유도각도(θ1)의 형성을 위하여 하부 플랜지(20)의 중앙부(O-O선)를 상방으로 절곡할 수 있다. The lower flange 20 may be bent upward the center portion (O-O line) of the lower flange 20 to form the guide angle (θ1).

또한, 하부 플랜지(20)의 유도각도(θ2)는 물방울 등의 용이한 낙하를 유도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20)의 하단면이 지면(도 3의 X-X선)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uction angle θ2 of the lower flange 20, as shown in Figure 3 so as to induce easy falling of water drople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0 is the ground (XX line in Figure 3)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t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하부 플랜지(2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는 유도각도(θ2)의 형성을 위하여 지면보다 낮거나 높은 위치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lower flange 20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to a position lower or higher than the ground to form the induction angle θ2.

따라서, 하부 플랜지(20)의 하부에 맺히는 물방울 등이 유도각도(θ2)에 의하여 하부 플랜지(2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또는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를 향하여 자연스럽게 낙하될 수 있다. Therefore, water droplets or the lik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20 may naturally fall from one end of the lower flange 20 or one end from the other end by the guide angle θ2.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1 to 3, the operation of 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부 플랜지(20)는 지면(도 2의 X-X선)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의 유도각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우천 시 또는 이슬이 맺히는 환경에서 하부 플랜지(20)의 하부에 맺히는 물발울 등이 자연스럽게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Since the lower flange 20 is installed at an induction angle at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ground (XX line in FIG. 2), water bubbles, etc.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20 in rainy weather or in an environment where dew is formed naturally fall downward. It can be guided to fal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20)의 유도각도(θ1)는 그 중앙부(도 2의 O-O선)를 기준으로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 플랜지(20)의 하부에 맺히는 물방울 등이 용이하게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induction angle θ1 of the lower flange 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OO line of FIG. 2), so that the lower flange 20 Water droplets, etc., formed on the lower part may easily fall to the lower part.

이에 따라, 하부 플랜지(20)의 중앙부(O-O선)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하부 플랜지(20)의 유도각도(θ1)를 형성하고 있다.Accordingly, the center portion (O-O line) of the lower flange 20 is bent upward to form the guide angle θ1 of the lower flange 20.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20)의 유도각도(θ2)는 하부 플랜지(20)의 하단면이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 플랜지(20)의 하부에 맺히는 물방울 등이 용이하게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induction angle θ2 of the lower flange 20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0 is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t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lower flange 20 Water droplets, etc.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n easily fall to the bottom.

이에 따라, 하부 플랜지(2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지면보다 낮거나 높은 위치로 기울어지게 하여 설치하여, 하부 플랜지(20)의 유도각도(θ2)를 형성하고 있다. Accordingly, one end portion or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lower flange 20 is inclined to a position lower or higher than the ground to form an induction angle θ2 of the lower flange 20.

따라서, 강박스 거더는 단면 강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강재량의 증가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하부 플랜지(20)에 경사를 가하여 우천 또는 이슬이 맺히는 환경에서 하부 플랜지(20)의 하부에 맺히는 물방울 등이 자연스럽게 낙하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Therefore, the steel box girders are inclined to the lower flange 20 while maintaining the cross-sectional strength and hardly increasing the amount of steel, so that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20 in an environment where rain or dew forms. It can be induced to fall natural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보강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inforcement of 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는 하기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사항 이외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박스 거더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details described in th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matters described in detail below. .

도 4를 참고하면, 교량용 강박스 거더의 외부에는 도 4와 같은 보강재(100)가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reinforcement 100 as shown in FIG. 4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teel box girder for the bridge.

보강재(100)는 상, 하부를 이루는 상, 하부 보강부(110, 120), 상부 보강부(110)와 하부 보강부(120)를 연결하는 수직 보강부(130), 및 수직 보강부(13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보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100 includes upper and lower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parts 110 and 120, a vertical reinforcement part 130 connecting the upper reinforcement part 110 and the lower reinforcement part 120, and a vertical reinforcement part 130. It may include a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14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하부 보강부(120)는 하부 보강부(120)의 하부에 맺히는 물방울 등이 용이하게 하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그 중앙부(도 4의 O-O선)를 기준으로 지면(도 4의 X-X선)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reinforcement part 120 is a ground (XX in FIG. 4) based on the center part (OO line of FIG. 4) to guide th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reinforcement part 120 to be easily dropped to the lower part.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line).

하부 보강부(120)는 그 중앙부(O-O선)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하부 보강부(120)의 유도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The lower reinforcement part 120 may be bent upward at its center portion (O-O line) to form an induction angle of the lower reinforcement part 120.

따라서, 하부 보강부(120)의 하부에 맺히는 물방울 등이 하부 보강부(120)의 경사에 의하여 용이하게 하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droplets, etc.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reinforcement part 120 may be induced to be easily lowered by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part 120.

또한, 수평 보강부(140)는 수평 보강부(140)의 하부에 고이는 물방울 또는 오물 등이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지면(도 4의 X-X선)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14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XX line in Figure 4) in order to guide the water droplets or dirt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portion 140 to be easily dropped. Can be.

수평 보강부(140)는 유도각도의 형성을 위하여 수직 보강부(130)와 연결된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140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n end portion away from a port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reinforcement part 130 to form an induction angle.

따라서, 수평 보강부(140)의 하부에 고이는 물방울 또는 오물 등이 수평 보강부(140)의 경사에 의하여 용이하게 하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Therefore, water droplets or dirt accumul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140 may be induced to be easily dropped to the lower part by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140.

즉, 보강재(100)가 설치된 강박스 거더는 단면 강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강재량의 증가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보강재(100)의 하부 보강부(120)와 수평 보강부(140)의 하부에 고이는 물방울 또는 오물 등이 자연스럽게 하부로 낙하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That is, the steel box girders in which the reinforcement 100 is installed are held in the lower reinforcement portion 120 and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ortion 140 of the reinforcement 100 while maintaining the cross-sectional strength and hardly increasing the amount of steel. Water droplets or dirt may naturally be induced to fall to the bottom.

10: 상부 플랜지
20: 하부 플랜지
30: 복부판
100: 보강재
120: 하부 보강부
140: 수평 보강부
10: upper flange
20: lower flange
30: abdominal plate
100: reinforcement
120: lower reinforcement
140: horizontal reinforcement

Claims (9)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복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는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의 유도각도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의 중앙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부위가 상기 복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교량용 강박스 거더.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disposed spaced apart up and down, and
An abdominal plate dispos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he lower flange is installed at an induction angle of an angle set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is bent upward of the lower flange,
Wherein the bent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abdominal plat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의 유도각도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지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인, 교량용 강박스 거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uction angle of the lower flang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lower flange, steel box girder for bridg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78789A 2017-12-22 2017-12-22 Steel girder for bridge KR102044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89A KR102044988B1 (en) 2017-12-22 2017-12-22 Steel girder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89A KR102044988B1 (en) 2017-12-22 2017-12-22 Steel girder for b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37A KR20190076737A (en) 2019-07-02
KR102044988B1 true KR102044988B1 (en) 2019-11-14

Family

ID=6725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789A KR102044988B1 (en) 2017-12-22 2017-12-22 Steel girder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9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797B1 (en) * 2020-10-26 2021-04-28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Non-uniform-type girder bridg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6287B (en) * 2020-05-09 2021-12-14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Split type circular-arc-bottom steel box gir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33Y1 (en) * 2000-08-04 2001-01-15 주식회사신성엔지니어링 Stiffener of web in steel girder bridge
JP2003262006A (en) * 2002-03-12 2003-09-19 Jfe Steel Kk Shape steel
KR100835340B1 (en) * 2007-02-27 2008-06-04 (주)내경엔지니어링 Box girder with fragment slo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33Y1 (en) * 2000-08-04 2001-01-15 주식회사신성엔지니어링 Stiffener of web in steel girder bridge
JP2003262006A (en) * 2002-03-12 2003-09-19 Jfe Steel Kk Shape steel
KR100835340B1 (en) * 2007-02-27 2008-06-04 (주)내경엔지니어링 Box girder with fragment slo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797B1 (en) * 2020-10-26 2021-04-28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Non-uniform-type girder bridg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37A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988B1 (en) Steel girder for bridge
KR101343849B1 (en) Sidewalk for bridge with vibration decrease function
CN107558723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hanging bracket of hanging basket for inclined roof
KR101271450B1 (en) Safety fence for easy control angle
KR101066424B1 (en) Bridge structure using wood de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18637B1 (en) A constructed foodway
KR101413058B1 (en) Box girder
JP4401429B1 (en) Protective fence
CN102084072B (en) Fence
RU157872U1 (en) POWER SUPPORT RACK
CN205791306U (en) Cable testing bridge heavy duty suspension bracket
JP2019148156A (en) Drain ditch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09538021U (en) A kind of bridge drain system
CN208701982U (en) A kind of ceiling structure under new steel structure ceiling
KR102125364B1 (en) Connection plate of steel bridge
CN206591419U (en) A kind of large span stayed-cable bridge
JP5833384B2 (en) Metal tube pillar
JP6257014B1 (en) Drainage unit and its parts
CN205716027U (en) A kind of buried go out family pipeline anti-settling system
CN204940115U (en) A kind of assembling Bridge guardrail
CN111005497A (en) Assembled house ground reinforcing plate structure
JP6113474B2 (en) Suspended protective fence
KR20130083695A (en) Pedestrian bridge structure with cantilever improved rigidity
CN218813219U (en) Triangular bracket for bridge deck of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CN209163056U (en) A kind of civil construction concrete embedded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