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880B1 -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880B1
KR102044880B1 KR1020180014772A KR20180014772A KR102044880B1 KR 102044880 B1 KR102044880 B1 KR 102044880B1 KR 1020180014772 A KR1020180014772 A KR 1020180014772A KR 20180014772 A KR20180014772 A KR 20180014772A KR 102044880 B1 KR102044880 B1 KR 102044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needle
punching
handpiece
needl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010A (ko
Inventor
박재현
박춘배
Original Assignee
박재현
박춘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박춘배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18001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8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피부로부터 모발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핸드피스용 펀칭니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은 중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측 외주연에는 리세스 형상의 웨지부가 구비되어 웨지부에 의해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가 펀칭니들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의 전방부분은 동일한 직경의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PUNCHING NEEDLE AND HANDPIECE FOR HAIR EXTRACTION}
본 발명은 환자의 피부로부터 모발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 및 환자의 피부에 가급적 적은 손상을 가하면서 안정적으로 모발을 추출할 수 있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모발이식은 질병, 사고 등으로 인하여 인체의 피부에 모발이 손실된 경우에 모발이 손실된 부위에 새로운 모발을 이식하는 시술로, 이식할 모발을 획득하는 방법에 따라 절개식 모발이식(FUSS; Follicular Unit Strip Surgery)과 비절개식 모발이식(FUE; Follicular Unit Extrac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절개식 모발이식은 공여부로부터 일정 영역의 두피를 절개한 다음 절개된 두피에서 모낭을 추출해 필요한 부위에 이식하고, 공여부의 절개된 부위는 실로 봉합하는 시술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절개식 모발이식은 현재 모낭 단위 이식술의 시술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공여부의 두피를 절개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큰 통증을 주고, 절개 부위에 필연적으로 큰 흉터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비절개식 모발이식은 전술한 절개식 모발이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시술 방법으로, 환자의 두피를 절개하지 않고 모낭 분리기(핸드피스)를 이용해 환자의 피부로부터 모발을 추출해 이식하는 시술 방법을 말한다. 비절개식 모발이식은 환자의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시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피부 절개에 대한 환자의 거부감을 없앨 수 있고, 시술 후 넓은 범위에 걸쳐 큰 흉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에는 비절개식 모발이식에서 이식할 모발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핸드피스(1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핸드피스(10)는 전방에 장착된 펀칭니들(20)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시켜 환자의 피부를 천공함으로써 추출할 모발의 모낭을 주위의 조직들(피지선, 입모근 등)로부터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2 참조). 일반적으로 핸드피스(10)는 내부에 전동모터 및 스핀들 조립체를 구비해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펀칭니들(20)을 회전시키면서 펀칭니들(20)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핸드피스(10)에 의해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이 주위 조직들로부터 분리되면 포셉 등의 의료기구를 통해 모발을 잡아 당겨 외부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핸드피스를 이용해 모발을 추출하는 펀칭작업은 피부층 아래에 위치하는 모낭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로 진행해야 하는 블라인드 시술(blind procedure)로 진행되기 때문에, 펀칭니들을 이용해 모낭을 주위의 조직들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펀칭니들에 의해 모낭이 절단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절개식 모발이식 분야에서는 모낭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펀칭니들의 끝단부 형상을 개선해 펀칭니들에 의한 모낭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펀칭니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20) 끝단의 외경 및 내경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켜 펀칭니들(20)의 커팅에지(cutting edge)가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과 접촉하는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펀칭니들(20)은 펀칭니들의 내경 및 외경이 펀칭니들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펀칭니들의 커팅에지의 직경(D0)과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이 삽입되는 내경(d0) 사이에 직경 차이가 발생하면서 펀칭니들의 내경측 단부에 넓은 면적의 확장면(30)이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확장면(30)은 펀칭니들(20)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할 때 환자의 피부를 눌러서 가압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의 펀칭니들(20)을 이용해 펀칭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펀칭니들(20)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의 확장면(30)에 의해 환자의 피부가 큰 가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내측에 위치하는 모낭의 위치가 이동되어 모낭이 펀칭니들에 의해 절단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오히려 높아지게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펀칭니들(20)은 커팅에지의 직경(D0)과 내경(d0) 사이의 직경 차이로 인해 모낭과 주위 조직들이 제대로 분리(dissection)되지 못하고 모낭이 피부 내로 묻혀 버리는 현상(buried graft)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펀칭작업에 요구되는 직경보다 확장된 커팅에지의 직경(D0)으로 인해 모낭 추출 부위에 필요 이상의 큰 흉터를 남기고 인접한 주변의 모낭을 손상시킬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미국특허 US 8,876,847호
본 발명은 비절개식 모발이식의 모발 추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 및 환자의 피부에 가급적 적은 손상을 가하면서 안정적으로 모발을 추출할 수 있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피부로부터 모발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핸드피스용 펀칭니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은 중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측 외주연에는 리세스 형상의 웨지부가 구비되어 웨지부에 의해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가 펀칭니들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의 전방부분은 동일한 직경의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의 직경은 펀칭니들의 외경의 90% 내지 110%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의 웨지부는 전방 경사면 및 후방 경사면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리세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의 전방단부 일측에는 펀칭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절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피부로부터 모발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핸드피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는 외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동력발생부와,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핀들 조립체와, 스핀들 조립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은 중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되고,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측 외주연에는 리세스 형상의 웨지부가 구비되어 웨지부에 의해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가 펀칭니들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의 전방부분은 동일한 직경의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의 직경은 펀칭니들의 외경의 90% 내지 110%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의 웨지부는 전방 경사면 및 후방 경사면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리세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의 전방단부 일측에는 펀칭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절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피스는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펀칭니들을 작업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발생부는 펀칭니들을 양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은 전방단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웨지부에 의해 펀칭니들의 커팅에지가 펀칭니들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즉, 펀칭니들이 삽입되는 방향)이 아니라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펀칭니들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펀칭니들에 의해 모낭이 절단되거나 손상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은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의 전방부분이 일정한 직경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펀칭니들의 커팅에지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펀칭니들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펀칭니들과 달리 모낭이 삽입되는 펀칭니들 내경측에 넓은 면적의 확장면이 형성되지 않아 펀칭니들에 의해 환자의 피부가 가압되어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이 의도치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펀칭니들에 의해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이 절단되거나 손상될 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의 직경이 펀칭니들의 외경의 90% 내지 110%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환자의 피부에 가급적 적은 손상을 가하면서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을 주위 조직들로부터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은 펀칭니들의 전방단부 일측에 펀칭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절결부를 통해 펀칭니들의 내부에 위치한 추출 대상 모발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펀칭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추출 대상 모발을 보다 쉽게 펀칭니들의 중심에 위치시켜 펀칭니들에 의해 모낭이 절단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비절개식 모발이식에 이용될 수 있는 통상의 핸드피스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펀칭니들을 통해 모낭을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펀칭니들의 끝단부측 내경 및 외경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된 종래의 펀칭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 시스템(10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시스템(100)은 시술자가 파지하여 펀칭 작업을 수행하는 핸드피스(200), 핸드피스(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체부(300), 핸드피스(200)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조작부(4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작부(400)가 페달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나, 조작부(400)는 페달 이외의 다른 임의의 형태[예컨대, 핸드피스(200) 또는 본체부(300)에 형성된 조작버튼 등]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핸드피스(200)는 전방에 펀칭니들(500)이 장착되어 펀칭니들(500)을 통해 환자의 피부를 천공하여 추출할 모발의 모낭을 주위의 피부조직들로부터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피스(200)의 내부에는 통상의 핸드피스와 같이 동력발생부(예컨대, 전동모터), 스핀들 조립체(동력전달부) 등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0)는 핸드피스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210), 외부 하우징(210) 내에 구비되어 펀칭니들(5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220), 동력발생부(220)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스핀들 조립체(230; 동력전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핀들 조립체(230)의 전방에는 펀칭니들(500)을 체결하는 장착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핀들 조립체(230)에 구비되는 장착부(240)는 통상의 핸드피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피스(200)는 동력발생부(220)에 연결된 스핀들 조립체(230)의 전방에 콜렛척[collet chuck; 장착부(240)]을 구비해, 콜렛척의 척킹(chucking) 동작에 의해 펀칭니들(500)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핸드피스(200)의 외부 하우징(210)에 형성된 콜렛척 조작부(24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콜렛척의 직경이 좁아지면서 펀칭니들(500)을 파지하고, 콜렛척 조작부(24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콜렛척의 내경이 넓어지면서 펀칭니들(500)과 콜렛척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240)는 통상의 의료용 핸드피스나 전동드릴의 장착부와 유사한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펀칭니들(500)을 장착하는 장착부(240)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동력발생부(220)는 펀칭니들(500)이 환자의 피부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펀칭니들(50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동력발생부(220)는 통상의 의료용 핸드피스와 같이 전동모터 등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동력발생부(220)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펀칭니들(500)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펀칭니들(500)을 한방향으로만 계속 회전시키면서 펀칭니들(500)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하게 되면, 환자의 피부에 동일한 방향의 응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되어 환자의 피부에 보다 큰 손상을 입힐 수 있고, 추출되는 모발이 회전방향으로 꼬여 모낭이 손상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동력발생부(220)는 펀칭니들(500)을 양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피스(200)의 동력발생부(220)를 구성하는 전동모터에는 모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25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엔코더(250)는 전동모터의 후방에 장착되어 전동모터의 회전량(회전각도)을 감지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코더(250)에 의해 측정된 전동모터의 회전상태 정보는 펀칭니들(5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펀칭 작업 이후에 펀칭니들(500)을 작동 전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핸드피스(200)의 전방에는 전방 커버(260)가 결합될 수 있다. 전방 커버(260)는 핸드피스(200)의 전방에 결합되어 펀칭니들(500)의 전방 노출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핸드피스(200)의 전방에 체결되어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500)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500)은 통상의 펀칭니들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펀칭니들(500)은 중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펀칭니들(500)의 외주연에는 펀칭니들(500)을 핸드피스(200)에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장착허브(5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펀칭니들(500)은 매우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펀칭니들(500)을 그대로 핸드피스(200)에 장착할 경우에는, 장착 작업이 번거롭거나 펀칭니들(500)을 핸드피스(20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펀칭니들(500)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도면에 도시된 펀칭니들(500)과 같이 펀칭니들(500)의 외주연에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장착허브(510)를 형성해 장착허브(510)를 통해 펀칭니들(500)을 핸드피스(200)에 장착하게 되면, 펀칭니들(500)을 보다 용이하게 핸드피스(200)에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착허브(510)는 펀칭니들(500)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펀칭니들(500)과 별도로 형성한 다음 펀칭니들(5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다만, 장착허브(510)는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장착허브(510) 없이 펀칭니들(500)을 형성해 직접 핸드피스(200)에 장착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500)의 장착허브(510)는 펀칭니들(50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펀칭니들(500)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결합부(512)와, 결합부(512)의 전방에 위치하며 결합부(512)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12)는 펀칭니들(500)을 핸드피스(200)에 장착하는데 이용되며, 플랜지부(514)는 펀칭니들(500)이 핸드피스(200) 내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500)은 전방단부 외주연에 웨지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웨지부(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축소되는 리세스 형상의 홈부(groo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웨지부(520)는 2개의 경사면[전방 경사면(520a) 및 후방 경사면(520b)]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리세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500)은 전방단부에 구비되는 웨지부(520)에 의해 펀칭니들(500)의 끝단에 형성되는 커팅에지(530; cutting edge)가 중심축(X1)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X2)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500)은 전방단부에 구비되는 웨지부(520)로 인해 커팅에지가 중심축(X1)과 예각(θ)을 이루게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면과 웨지부(520)의 전방 경사면(520a) 사이의 중심축(X2)이 펀칭니들의 중심축(X1)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됨].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500)은 통상의 원통형 펀칭니들과 달리 환자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는 전방단부의 커팅에지(cutting edge)가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즉, 펀칭니들의 삽입방향)이 아니라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펀칭니들(500)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할 때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이 펀칭니들의 커팅에지에 접촉되어 절단되거나 손상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530)는 직경(D2)이 펀칭니들(500) 외경(D1)의 90% 내지 110%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여기서, 펀칭니들(500)의 외경(D1)은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500) 몸체부의 외경을 의미함; 도 9 참조]. 만일, 커팅에지(530)의 직경(D2)이 펀칭니들(500) 외경(D1)의 90% 미만으로 형성되게 되면, 커팅에지(530)가 환자의 피부에 충분한 크기의 구멍을 천공하지 못해 웨지부(520)의 후방에 위치하는 펀칭니들(500)의 몸체부가 환자의 피부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없고, 이로 인해 원활한 펀칭작업이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커팅에지(530)의 직경(D2)이 펀칭니들(500) 외경(D1)의 110%를 초과해 형성되게 되면, 커팅에지(530)의 직경(D2)과 펀칭니들(500)의 내경(d1) 사이에 큰 직경 차이가 발생되어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펀칭니들과 같이 펀칭니들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피부에 큰 가압력이 가해져 피부 내측에 위치하는 모낭이 의도치 않게 움직이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500)의 전방부분[적어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부분]은 일정한 직경의 내경(d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펀칭니들(500)의 커팅에지(530)가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하면서도 내경(d1)이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펀칭니들과 달리 펀칭니들의 내경 부분에 넓은 면적의 확장면이 형성되지 않고, 이로 인해 환자의 피부가 펀칭니들에 의해 크게 가압되어 피부 내측에 위치하는 모낭이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펀칭니들에 의해 추출 대상 모발의 모낭이 절단되거나 손상될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펀칭니들(500)의 내경측 끝단은 모낭 손상의 위험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도록 라운딩 또는 테이퍼 처리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니들(500)은 전방단부의 일측에 펀칭니들(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는 절결부(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이와 같이 펀칭니들(500)의 전방 단부측에 절결부(540)를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는 절결부(540)를 통해 펀칭니들(500) 내부에 위치하는 추출 대상 모발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펀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절결부(540)를 통해 펀칭니들(500)의 내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펀칭니들(500)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추출 대상 모발을 펀칭니들(500)의 중심부에 쉽게 위치시킨 상태로 모발의 방향에 맞추어 펀칭니들(500)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할 수 있게 되어, 모발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펀칭니들(500)에 의해 모낭이 절단되거나 손상될 위험을 더욱 크게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500)과 같이 전방단부에 절결부(540)를 형성하게 되면, 시술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을 펀칭니들(500)의 측면에서 펀칭니들(500) 내로 삽입할 수 있게 되어, 모발 추출 부위를 매우 짧게 삭발하지 않아도 펀칭니들(500) 내로 모발을 빠르게 삽입할 수 있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이 굉장히 긴 경우에도 펀칭 작업이 가능해 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원통형의 폐단면 구조를 갖는 통상의 펀칭니들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의 끝단부터 펀칭니들 내로 삽입해야만 하기 때문에, 추출할 모발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 펀칭니들 내로 모발을 삽입하기 어렵고 모발을 삽입하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어 원활한 펀칭 작업을 진행할 수 없음].
한편, 이러한 절결부(540)가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펀칭 작업 전후로 펀칭니들(500)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핸드피스(200)가 제어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의료용 핸드피스나 전동드릴 등에 이용되는 전동모터는 작동신호가 공급되면 회전을 시작하고 작동신호가 차단되면 회전이 정지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이러한 통상의 전동모터를 이용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펀칭니들과 같이 절결부가 구비된 펀칭니들을 작동시키게 되면, 페달(조작부)을 작동시켜 전동모터를 구동하다가 페달에서 발을 떼면 전동모터로 공급되는 작동신호가 차단되어 전동모터 및 이에 연결된 펀칭니들이 정지하게 되고, 페달에서 발을 떼는 시점에 따라 펀칭니들(500)이 임의의 방향에서 멈춰버리게 되어 펀칭니들(500)에 형성된 절결부(540)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펀칭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절결부(540)가 다른 방향으로 돌아가 있으면(예컨대, 사용자의 시야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 사용자는 후속 펀칭 작업을 위해 절결부(540)가 시야 내로 들어오도록 핸드피스(200)의 방향을 다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0)는 펀칭니들(500)이 작동 전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펀칭 작업이 종료되도록[즉, 펀칭니들(500)이 작동 전의 본래의 위치로 위치된 상태에서 전동모터 및 펀칭니들(500)의 회전이 종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펀칭니들(500)의 위치 복귀 기능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0)는 펀칭니들(500)이 양방향으로 번갈아 회전하는 회전 패턴을 완료한 다음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는 동작을 한세트의 펀칭 동작으로 보고, 핸드피스(200)가 구동되는 과정에서 동력발생부(220; 전동모터)로의 작동 신호가 차단될 경우 현재 진행중인 한세트의 펀칭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펀칭니들(500)이 회전되도록 동력발생부를 추가 구동한 이후에 회전을 정지하도록 동력발생부(22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작동시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0)는 동력발생부(22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이용해 펀칭니들(500)을 양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펀칭니들(500)을 환자의 피부 내로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펀칭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 조작부(400)의 작동을 정지하게 되면, 동력발생부(220)로 공급되는 작동신호가 차단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0)는 통상의 전동모터와 달리 조작부(400)의 작동을 멈춘 순간 바로 동력발생부(220; 전동모터)를 정지시키지 않고 펀칭니들(500)이 현재 진행중인 한세트의 펀칭 동작을 완료한 이후에 펀칭니들(500)이 정지하도록 제어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칭니들(500)의 위치 복귀 기능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전동모터로 동력전달부(220)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전동모터를 이용해 동력전달부(22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동모터의 회전축이 360°회전하는 동작을 한세트의 펀칭 동작으로 보고, 조작부(400)의 작동이 멈춰지면 전동모터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360°회전 동작을 완료한 이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펀칭니들(500)의 위치 복귀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펀칭니들(50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 시키는 구성에 의하면, 펀칭니들(500)이 펀칭 작업 전후로 항상 동일한 위치로 위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펀칭니들(500)에 형성된 절결부(540)가 펀칭 작업 전후로 일정한 방향[예컨대, 시술자가 절결부(540)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위치되게 되어, 시술자는 절결부(540)를 통해 추출할 모발을 펀칭니들(500) 내외로 쉽게 삽입/제거하면서 빠르게 펀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펀칭 시스템
200: 핸드피스
210: 외부 하우징
220: 동력발생부(전동모터)
230: 스핀들 조립체
240: 장착부(콜렛척)
250: 엔코더
260: 전방커버
300: 본체부
400: 조작부
500: 펀칭니들
510: 장착허브
520: 웨지부
530: 커팅에지
540: 절결부

Claims (10)

  1. 환자의 피부로부터 모발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핸드피스용 펀칭니들(500)이며,
    상기 펀칭니들(500)은 중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측 외주연에는 직경이 축소되어 함몰된 리세스 형상의 웨지부(520)가 구비되어, 상기 웨지부(520)에 의해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530; cutting edge)가 펀칭니들의 중심축(X1)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500)의 전방부분은 동일한 직경의 내경(d1)을 갖도록 구성되는,
    펀칭니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530)의 직경(D2)은 상기 펀칭니들(500)의 외경(D1)의 90% 내지 110%가 되도록 구성되는,
    펀칭니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니들(500)의 웨지부(520)는 전방 경사면(520a) 및 후방 경사면(520b)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리세스로 형성되는,
    펀칭니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 일측에는 펀칭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절결부(540)가 더 구비되는,
    펀칭니들.
  5. 환자의 피부로부터 모발을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핸드피스(200)이며,
    외부 하우징(210)과,
    상기 외부 하우징(210) 내에 구비되는 동력발생부(220)와,
    상기 동력발생부(22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핀들 조립체(230)와,
    상기 스핀들 조립체(23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220)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500)을 포함하고,
    상기 펀칭니들(500)은 중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형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측 외주연에는 직경이 축소되어 함몰된 리세스 형상의 웨지부(520)가 구비되어, 상기 웨지부(520)에 의해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530)가 펀칭니들의 중심축(X1)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되는 펀칭니들(500)의 전방부분은 동일한 직경의 내경(d1)을 갖도록 구성되는,
    핸드피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커팅에지(530)의 직경(D2)은 상기 펀칭니들(500)의 외경(D1)의 90% 내지 110%가 되도록 구성되는,
    핸드피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니들(500)의 웨지부(520)는 전방 경사면(520a) 및 후방 경사면(520b)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리세스로 형성되는,
    핸드피스.
  8. 제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니들(500)의 전방단부 일측에는 펀칭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절결부(540)가 더 구비되는,
    핸드피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200)는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펀칭니들(500)을 작업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는,
    핸드피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220)는 상기 펀칭니들(500)을 양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핸드피스.
KR1020180014772A 2018-02-06 2018-02-06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KR102044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772A KR102044880B1 (ko) 2018-02-06 2018-02-06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772A KR102044880B1 (ko) 2018-02-06 2018-02-06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010A KR20190095010A (ko) 2019-08-14
KR102044880B1 true KR102044880B1 (ko) 2019-11-14

Family

ID=6762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772A KR102044880B1 (ko) 2018-02-06 2018-02-06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6747B1 (ko) * 2020-12-04 2024-06-20 박재현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KR102676749B1 (ko) * 2020-12-04 2024-06-20 박재현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6164A1 (en) * 2004-03-09 2007-07-05 Cole John P Follicular dissection device and method
WO2015006658A2 (en) 2013-07-11 2015-01-15 Hsc Development Llc Dissecting punch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ools and methods using same
KR101716854B1 (ko) * 2016-07-22 2017-03-15 박재현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6717B2 (en) * 2007-03-19 2011-11-29 Restoration Robot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harvesting and implanting follicular units
US8876847B2 (en) 2009-12-31 2014-11-04 Sanusi Umar Hair pun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6164A1 (en) * 2004-03-09 2007-07-05 Cole John P Follicular dissection device and method
WO2015006658A2 (en) 2013-07-11 2015-01-15 Hsc Development Llc Dissecting punch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ools and methods using same
KR101716854B1 (ko) * 2016-07-22 2017-03-15 박재현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010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854B1 (ko)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KR101699050B1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 니들 및 핸드피스
EP3427677B1 (en) Punching needle used for hair extraction, and handpiece
US9084465B2 (en) Biological unit removal tools and methods
US7335216B2 (en) Tool for creating an opening in tissue
US20200046399A1 (en) Punching needle and handpiece for hair extraction
KR102044880B1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US10327753B2 (en) Knotless suture anch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301492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channel in soft tissue
KR20170135532A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US20020151891A1 (en) Bone-anchor load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KR102194138B1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및 펀칭니들
KR102003055B1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 니들 및 핸드피스
KR101868395B1 (ko) 모낭 추출용 펀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낭 추출용 펀치 제조방법
KR102676747B1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KR20210068227A (ko) 모발추출용 헤어 펀치 니들
KR20210028184A (ko) 모낭 단위 추출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16725634A (zh) 心脏开孔器
JP2004528056A (ja) 血管に小孔を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70135516A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KR102539312B1 (ko) 모발 이식용 모발 추출기
WO2005013836A1 (en) Forming apertures in hollow org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