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787B1 -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787B1
KR102044787B1 KR1020190073320A KR20190073320A KR102044787B1 KR 102044787 B1 KR102044787 B1 KR 102044787B1 KR 1020190073320 A KR1020190073320 A KR 1020190073320A KR 20190073320 A KR20190073320 A KR 20190073320A KR 102044787 B1 KR102044787 B1 KR 10204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regulator
inpu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빈
김상택
Original Assignee
해동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동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동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3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필터링하고 안정화시키는 전원 입력부, RC 시정수를 통해 설정된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전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시켜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및 제1 부하의 턴-온(trun-on) 기간에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안정화시켜서 제1 부하의 상용 전원으로 공급하는 DC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는바, 서로 다른 각각의 부하에 직류 전원을 끊김 없이 전환해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APPARATUS FOR POWER SUPPLY CONTROL OF SOLAR ENERGY WATER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각각의 부하에 직류 전원을 끊김 없이 전환해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태양 전지들이 어레이(PV-array)된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Panel)을 이용해서 전기를 대규모로 생산하는 발전 시스템이다.
태양광 발전시에는 다수의 태양광 모듈을 이용해서 태양광으로 직류 전원을 발생시키고, 각 태양광 모듈에서 발생된 직류 전원을 단위 스트링별로 모아서 직류 전원이 필요한 계통의 부하단으로 공급하게 된다. 반면, 교류 전원이 필요한 부하단으로는 별도의 전력 변환 장치(Power Conditioning System) 통해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해서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는 태양광 온수기의 경우는 각각의 태양광 모듈과 변압기 등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축열조의 히터로 공급함으로써, 히터에 의해 축열조의 온수 온도가 상승 또는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태양광 온수기는 축열조의 히터에 직류 전원이 필요한 기간에만 태양광 모듈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용하며, 온수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축열조의 히터에 직류 전원이 필요하지 않는 기간에는 태양광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태양광 온수기는 축열조의 히터 가동 기간에만 태양광 모듈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고, 히터 가동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태양광 모듈의 직류 전원 입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되는 직류 전원의 이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의 태양광 모듈에는 직류 전원을 직류 전원이 필요한 계통이나 가전 기기 등의 부하로 공급하거나, 배터리 등의 보조 전원장치로 전환해서 공급하는 배전 회로가 더 구성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배전 회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해서 외부의 제어 신호나 미리 설정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그 설치 비용이 증가될 수밖에 없었고 광범위하게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하는 등의 부가적인 문제들이 고려되어야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각각의 부하에 직류 전원을 끊김 없이 전환해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축열조의 히터로 공급해서 히터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축열조의 히터 구동이 중단되는 기간에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별도의 인버터나 전력 변환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필터링하고 안정화시키는 전원 입력부, RC 시정수를 통해 설정된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전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시켜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및 제1 부하의 턴-온(trun-on) 기간에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안정화시켜서 제1 부하의 상용 전원으로 공급하는 DC 전원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제1 부하의 턴-오프(trun-off) 기간에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에 의해 턴-온 상태 또는 세트 상태로 가변됨으로써,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제2 부하로 공급하는 릴레이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축열조의 히터로 공급해서 히터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축열조의 히터 구동이 중단되는 기간에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별도의 인버터나 전력 변환 장치로 공급한다.
이에, 축열조의 히터 구동이 중단되는 기간에는 직류 전원이 인버터나 전력 변환 장치를 통해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고 별도의 가전기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는바, 서로 다른 각각의 부하단으로 직류/교류 전원이 끊김 없이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하여 태양광 모듈의 전원 생성 및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회로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DC 전원 출력부와 릴레이 스위칭부의 직류 전원 출력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48V)을 필터링하고 안정화시키는 전원 입력부(101), RC 시정수를 통해 설정된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전원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을 승압 또는 강압시켜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102), 및 제1 부하(104)의 턴-온(trun-on) 기간에는 레귤레이터(10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을 안정화시켜서 제1 부하(104)의 상용 전원으로 공급하는 DC 전원 출력부(103)를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제1 부하(104)의 턴-오프(trun-off) 기간에 레귤레이터(10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에 의해 턴-온(또는, 세트 상태)로 가변됨으로써,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48V)을 제2 부하(106)로 공급하는 릴레이 스위칭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입력부(101)는 어댑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소켓(plug socket)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된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48V)을 직류 전원 계통을 통해 공급받는다. 여기서,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된 직류 전원(PV)은 직류 전류전원 및 직류 전압전원을 포함한다.
레귤레이터(102)는 정전압 출력 회로로 PCB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원 칩(1-chip)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귤레이터(102)는 RC 시정수를 통해 설정된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전원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을 승압 또는 강압시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레귤레이터(102)는 턴-온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기간 동안, 전원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48V)의 전압 레벨의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분배해서 강압(예를 들어, DC 24V 또는 DC 12V) 하고, 강압된 직류 전원(PV)을 DC 전원 출력부(103)나 제1 부하(104)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DC 전원 출력부(103)는 제1 부하(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귤레이터(102)를 통해서 강압된 직류 전원(PV)을 안정화시켜서 제1 부하(104)로 전송한다.
DC 전원 출력부(103)는 레귤레이터(10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회로와 레귤레이터(10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PV)의 전압을 분배해서 레귤레이터(102)에 피드백 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압 분배 회로 등을 포함한다. 이에, DC 전원 출력부(103)는 레귤레이터(102)와 PCB 등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DC 전원 출력부(103)는 제1 부하(104)가 턴-온(trun-on) 상태로 유지되는 기간 동안에 레귤레이터(10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PV)이 직류 전원(PV) 출력단을 통해 제1 부하(104)로 흘러서 제1 부하(104)로 입력되도록 한다.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DC 전원 출력부(103)의 직류 전원(PV) 출력단에 병렬 구조로 연결 및 구성된다. 이러한,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제1 부하(104)의 턴-온시, 제1 부하(104) 보다 더 큰 저항 값을 갖는 저항 소자나 인덕터 등의 저항체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릴레이 스위칭부(105)의 저항체에 의해, 제1 부하(104)가 턴-온된 상태에서는 DC 전원 출력부(103)의 직류 전원(PV)이 제1 부하(104)로 흐르게 된다. 이에,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DC 전원 출력부(103)의 직류 전원(PV)이 제1 부하(104)로 흐르는 기간 동안에는 턴-오프(trun-off) 상태 또는 리세트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제1 부하(104)가 턴-오프(trun-off)된 기간에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레귤레이터(102)의 직류 전원(PV) 출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에 의해 턴-온 또는 세트 상태로 가변된다. 이렇게, 턴-온 또는 세트 상태로 가변된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48V)을 제2 부하(106)로 공급한다.
제1 부하(104)는 레귤레이터(102)를 통해 강압된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 24V)을 상용 전원으로 사용하는 가전기기 또는 태양광 온수기의 축열조에 구성된 히터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하(106)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48V)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해서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 인버터나 전력 변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 제어장치의 회로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입력부(101)는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된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48V)을 직류 전원 계통을 통해 공급받아서 필터링하고, 정전압 신호로 안정화시켜서 레귤레이터(102)의 입력 단자(1)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 입력부(101)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48V)이 입력되는 레귤레이터(102)의 입력 단자(1)와는 병렬 구조로 구성되되, 저전위 전원(GND)에 연결된 제1 평활 캐패시터(EC1), 제1 평활 캐패시터(EC1)와 병렬 구조로 연결된 제1 안정화 캐패시터(C1), 및 레귤레이터(102)의 온/오프 설정 단자(2)와 저전위 전원(GND) 간에 연결되어 레귤레이터(102)를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저항 소자(R1)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102)는 온/오프 설정 단자(2)의 저전위 전원(GND)에 의해 인에이블된 기간 동안, 입력 단자(1)로 입력되는 직류 전원(PV)의 전압을 피드백 전압 입력 단자(4)로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강압(예를 들어, DC 12V) 하고, 강압된 직류 전원(PV)을 출력 단자(2)를 통해 DC 전원 출력부(103)로 출력한다. 이러한 레귤레이터(102)의 접지 단자(3)로는 저전위 전원(GND)이 연결된다.
DC 전원 출력부(103)는 레귤레이터(10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회로와 레귤레이터(10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PV)의 전압을 분배해서 레귤레이터(102)에 피드백 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압 분배 회로 등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DC 전원 출력부(103)의 안정화 회로는 레귤레이터(102)의 출력 단자(2)와 직류 전원(PV) 출력단 간에 직렬로 연결된 LC 필터용 제1 인덕터(L1), 레귤레이터(102)의 출력 단자(2)와는 병렬로 제1 인덕터(L1)의 입력단과 저전위 전원(GND) 간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D1), 및 제1 인덕터(L1)의 출력단과는 병렬로 제1 인덕터(L1)의 출력단과 저전위 전원(GND) 간에 연결된 제2 평활 캐패시터(EC2)를 포함한다.
또한, DC 전원 출력부(103)의 전압 분배 회로는 제2 안정화 캐패시터(C2)와 RC 시정수를 설정하기 위해 제2 안정화 캐패시터(C2)와 병렬로 연결된 제1 저항 소자(R2), 및 제1 저항 소자(R2)와는 직렬 구조로 제1 저항 소자(R2)와 저전위 전원(GND) 간에 연결된 제2 저항 소자(R3)를 포함하며, 제1 저항 소자(R2)와 제2 저항 소자(R3)의 분배 전압이 레귤레이터(102)의 피드백 전압 입력 단자(4)로 공급된다. 이에, 레귤레이터(102)는 DC 전원 출력부(103)의 RC 시정수를 통해 설정된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전원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을 승압 또는 강압시켜서 DC 전원 출력부(103)로 출력하게 된다.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다이오드 회로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 또는 인덕터가 구비된 다이오드 타입의 릴레이 스위칭 회로 등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제1 부하(104)의 턴-온시에 제1 부하(104) 보다 더 큰 저항 값을 갖는 저항 소자나 인덕터 등의 저항체를 포함해서 구성되는바, 제1 부하(104)가 턴-온된 상태에서는 DC 전원 출력부(103)의 직류 전원(PV)이 제1 부하(104)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에,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DC 전원 출력부(103)의 직류 전원(PV)이 제1 부하(104)로 입력되는 기간 동안에는 턴-오프(trun-off) 상태 또는 리세트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제1 부하(104)가 턴-오프(trun-off)된 기간에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레귤레이터(102)의 직류 전원(PV) 출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에 의해 턴-온(trun-on) 또는 세트 상태로 가변된다.
도 3은 도 2의 DC 전원 출력부와 릴레이 스위칭부의 직류 전원 출력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DC 전원 출력부(103)는 제1 부하(104)가 턴-온(trun-on) 상태로 유지되는 기간 동안(Heating(on))에 레귤레이터(10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PV)이 직류 전원(PV) 출력단을 통해 제1 부하(104)로 흐르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제1 부하(104)의 턴-온시에 제1 부하(104) 보다 더 큰 저항 값을 갖는 저항체를 포함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DC 전원 출력부(103)의 직류 전원(PV)이 제1 부하(104)로 흐르는 기간 동안에는 턴-오프 상태 또는 리세트 상태(Realy reset(off))로 유지된다.(ST1)
제1 부하(104)는 직류 전원(PV) 출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을 상용 전원으로 이용해서 동작(또는, Heating)한다.
다음으로, 제1 부하(104)가 턴-오프(trun-off)되면, 제1 부하(104)의 턴-오프 기간에 릴레이 스위칭부(105)로는 레귤레이터(102)의 직류 전원(PV) 출력단을 통해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이 입력되며,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에 의해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턴-온 또는 세트 상태(on)로 가변된다.(ST2)
이와 같이, 턴-온 또는 세트 상태로 가변된 릴레이 스위칭부(105)는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48V)을 제2 부하(106)로 공급한다.(ST2)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부하(104)는 레귤레이터(102)를 통해 강압된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DC 12V, 24V)을 상용 전원으로 사용하는 가전기기 또는 태양광 온수기의 축열조에 구성된 히터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하(106)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PV, 예를 들어 48V)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해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나 전력 변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는 축열조의 히터 구동이 중단되는 기간(ST2)에 직류 전원(PV)이 인버터나 전력 변환 장치를 통해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고 별도의 가전기기 등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따라서, 축열조의 히터나 별도의 전력 변환 장치 등과 같이, 서로 다른 각각의 부하로 태양열 모듈의 직류 전원(PV)이 끊김 없이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모듈의 전원 생성 및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전원 입력부
102: 레귤레이터
103: DC 전원 출력부
104: 제1 부하(히터)
105: 릴레이 스위칭부
106: 제1 부하(마이크로 인버터)

Claims (7)

  1.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필터링하고 안정화시키는 전원 입력부;
    RC 시정수를 통해 설정된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상기 전원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시켜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제1 부하의 턴-온(trun-on) 기간에 상기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안정화시켜서 상기 제1 부하의 상용 전원으로 공급하는 DC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제1 부하의 턴-오프(trun-off) 기간에 상기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에 의해 턴-온 상태 또는 세트 상태로 가변됨으로써, 상기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제2 부하로 공급하는 릴레이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직류 전원이 입력되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입력 단자와는 병렬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레귤레이터의 입력 단자와 저전위 전원 간에 연결된 제1 평활 캐패시터;
    상기 제1 평활 캐패시터와 병렬 구조로 연결된 제1 안정화 캐패시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온/오프 설정 단자와 상기 저전위 전원 간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터를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온/오프 설정 단자의 저전위 전원에 의해 인에이블된 기간 동안,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을 피드백 전압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 크기에 따라 강압하고, 상기 강압된 직류 전원을 출력 단자를 통해 DC 전원 출력부로 출력하는,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원 출력부는
    상기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안정화시켜서 출력하는 안정화 회로; 및
    상기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을 분배해서 상기 레귤레이터에 피드백 전압으로 공급하는 전압 분배 회로를 포함하는,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부하의 턴-온시에 상기 제1 부하보다 더 큰 저항 값을 갖는 저항체와 적어도 하나의 포토 다이오드 회로를 포함해서 구성되거나,
    상기 제1 부하의 턴-온시에 상기 제1 부하보다 더 큰 저항 값을 갖는 저항체와 다이오드 타입의 릴레이 스위칭 회로를 포함해서 구성되며,
    상기 제1 부하가 턴-온된 상태에서는 턴-오프(trun-off) 상태 또는 리세트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DC 전원 출력부의 직류 전원이 상기 제1 부하로 입력되도록 하는,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부하가 턴-오프(trun-off)된 기간에 상기 레귤레이터의 직류 전원 출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에 의해 턴-온(trun-on) 또는 세트 상태로 가변됨으로써, 상기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제2 부하로 공급하는,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1020190073320A 2019-06-20 2019-06-20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10204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20A KR102044787B1 (ko) 2019-06-20 2019-06-20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20A KR102044787B1 (ko) 2019-06-20 2019-06-20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787B1 true KR102044787B1 (ko) 2019-11-15

Family

ID=6857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320A KR102044787B1 (ko) 2019-06-20 2019-06-20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920B1 (ko) 2021-05-04 2021-09-13 이기승 태양광온수기 열원 우선 공급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422891B1 (ko) 2022-01-26 2022-07-20 (주)셀시스템 Ai기반 우선순위 제어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태양광 온수 및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136A (ko) * 2016-12-27 2018-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1159A (ko) * 2017-03-31 2018-10-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인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136A (ko) * 2016-12-27 2018-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1159A (ko) * 2017-03-31 2018-10-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인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920B1 (ko) 2021-05-04 2021-09-13 이기승 태양광온수기 열원 우선 공급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422891B1 (ko) 2022-01-26 2022-07-20 (주)셀시스템 Ai기반 우선순위 제어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태양광 온수 및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8271B2 (ja) 高効率で遠隔制御可能な太陽エネルギーシステム
US8053929B2 (en) Solar power array with maximized panel power extraction
EP2807737B1 (en) Stacked voltage source inverter with separate dc sources
JP5344759B2 (ja) 配電システム
US20050105224A1 (en) Inverter apparatu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and dispersed-power-source system having inverter apparatus linked to commercial power system to operate
JP5880778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6246771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44787B1 (ko) 태양광 온수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CN112868153B (zh) 一种应用于光伏发电系统的变换器、方法及系统
KR20160129265A (ko) 태양광 컨버터 및 에너지 저장 컨버터를 이용한 계통 연계형 통합 장치
KR101587488B1 (ko)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의 고효율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2694471A (zh) 光伏逆变器辅助电源系统
KR102391722B1 (ko) 자가 전원으로 동작하는 스트링 옵티마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EP3104485B1 (en) Power providing apparatus for use with multiple electricity sources
Andreas et al. Performance Test of 2.5 kW DC Boost Converter for Nanogrid System Applications
KR102301920B1 (ko) 태양광온수기 열원 우선 공급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JPH10289025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AU2016100886A4 (en) 1. A Photovoltaic solar heating system comprising an inverter capable of being used with a PV array, a load element and no other major components, specifically not requiring a battery or a connection to an electricity supply network and incorporating several innovations
AU2016286182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n energy generation system
KR100923331B1 (ko) 가변 승압비를 갖는 고주파 트랜스를 이용한 계통 연계형인버터 시스템
US20170222439A1 (en) Configurable inverter apparatus, photovoltaic system comprising such an inverter apparatus
KR101278533B1 (ko) 모듈 통합형 전력조절기 시스템
WO2013098844A2 (en) Grid tie inverter
CN220172915U (zh) 供电电路及电子设备
KR20100127034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