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299B1 -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299B1
KR102044299B1 KR1020180090956A KR20180090956A KR102044299B1 KR 102044299 B1 KR102044299 B1 KR 102044299B1 KR 1020180090956 A KR1020180090956 A KR 1020180090956A KR 20180090956 A KR20180090956 A KR 20180090956A KR 102044299 B1 KR102044299 B1 KR 10204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aking
control signal
control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혁근
백승구
김상수
김석원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2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5/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substantially 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SP controller, capable of performing stable slide prevention of a high-speed railroad and optimizing a system by minimizing volume, by controlling a brake signal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system (WSP). The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includes a brake electric control unit, a WSP control unit, a brake signal control unit, an inverter, and a driving unit. The brake electric control unit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The WSP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high-speed railroad slides by receiving a speed signal of a vehicle wheel in a railroad vehicle. So, the WSP control unit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The brake signal control unit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by converting a signal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inverter receives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converts power received from a power unit. The driving unit generates a driving force by the converted power as much as output included in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applies a braking force to a brake disc or releases the braking force.

Description

WSP 제어기를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방법{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철도 활주방지시스템(wheel slide protection, WSP)을 이용하여 제동신호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속철도 활주 방지를 수행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구성할 수 있는 WSP 제어기를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nd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by controlling a braking signal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system (WSP), a more stable high-speed rail sliding prevention is perform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using a WSP controller capable of optimizing and configuring a system by minimizing volume, and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제동시스템(10)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철도차량에서는, 철도차량을 제동시키기 위해서, 제동전자제어장치(ECU)(14)에 의해 제동제어장치(BOU 또는 BCU)(16)가 제어되며, 차량의 압축공기통(15)으로부터 전달된 공기에 의해 덤프밸브(dump valve)(18)가 공압 제동유닛(19), 즉 제동 캘리퍼를 동작시키되, 이 경우 WSP 제어부(11)에서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 신호를 센서부(13)에 의해 센싱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덤프밸브(18)를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raking system 10 applied to a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As shown in FIG. 1, in a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a braking control unit (BOU or BCU) 16 is controlled by a brak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4 to brake the railway vehicle. The dump valve 18 operates the pneumatic braking unit 19, that is, the braking caliper, by means of the air delivered from the reservoir 15. In this case, the WSP control unit 11 receives the speed signal of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Feedback control of the dump valve 18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ensed by the sensor unit (13).

이러한, 종래 철도차량의 제동시스템(10)은 공압기반 제동시스템으로서,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압축 공기통(15)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각 대차별로 설치되는 경우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고 응답속도가 느리며 이에 따른 정밀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Such a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braking system 10 is a pneumatic-based braking system, which should be provided with a compressed air cylinder 15 for providing pneumatic pressu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precision control is difficult.

또한, 공압라인(17)도 복잡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계상의 문제나 설치상의 문제를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neumatic line 17 must be installed in a complicated mann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sign problem or the installation problem is increased.

이에, 종래 공압기반 제동시스템을 모터 등의 전자제동시스템으로 대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자동차 등의 소형 차량에 적용되는 전자제동시스템은 다수의 기술들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철도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전자제동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Therefore, a technology for replacing a conventional pneumatic-based braking system with an electronic braking system such as a motor has been developed. Until now, a number of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an electronic braking system applied to a small vehicle such as a ca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possible electronic braking systems.

관련 선행기술들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186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6950호 등이 있으나, 모두 공압기반 제동시스템에 대한 기술에 불과하다. As related prior arts, there ar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118644,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46950, etc., but all are just a technology for a pneumatic-based braking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1864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11864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695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46950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철도 활주방지시스템(wheel slide protection, WSP)을 이용하여 제동신호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속철도 활주 방지를 수행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구성할 수 있는 WSP 제어기를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braking signal by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system (WSP), thereby performing a more stable high-speed rail slide prevention and minimizing the volu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using a WSP controller that can be configured to optimize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using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은 제동전자제어부, WSP 제어부, 제동신호 제어부, 인버터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전자제어부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WSP 제어부는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 신호를 제공받아 활주여부를 판단하여,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신호를 변환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전원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변환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 제어신호에 포함된 출력만큼 상기 변환된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여 제동디스크에 제동력을 투입 또는 해제한다.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a WSP controller, a brake signal controller, an inverter and a driver.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The WSP control unit receives the speed signal of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to determine whether to slide,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The brake signal controller converts a signal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The inverter receives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conver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e driving unit generates a driving force by the converted power as much as the output included in the third control signal to input or release the braking force to the braking dis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철도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생성된 전압신호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voltage signal generated to correspond to the amount of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the railway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동디스크에 인가되는 제동력의 유지 또는 공급을 위한 전압신호(HV 신호) 또는 상기 제동력의 해제를 위한 전압신호(RV 신호)일 수 있다.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a voltage signal (HV signal) for maintaining or supplying a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braking disk, or a voltage signal (RV signal) for releasing the braking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HV 신호 및 상기 RV 신호는 상기 차륜의 속도 신호를 바탕으로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3 제어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V signal and the RV signal may be selectively provided based on the speed signal of the wheel to change the third control sig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인버터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명령하는 제어신호이고, 상기 제3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출력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In example embodiments, the third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for command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to the inverter, an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may be determined by the third control sig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버터 및 상기 구동부는 EMB 제동유닛을 형성하여 상기 제동디스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verter and the drive unit may be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braking disk to form an EMB brak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철도차량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verter is spaced apart from the drive unit, it may be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railway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는 일체로 모듈화되어 상호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braking signal control unit may be integrally modularized so that the first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에서는, 제동전자제어부가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WSP 제어부가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 신호를 제공받아 활주여부를 판단하여,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동신호 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인버터가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전원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변환한다. 구동부가 상기 제3 제어신호에 포함된 출력만큼 상기 변환된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여 제동디스크에 제동력을 투입 또는 해제한다. In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The WSP control unit receives the speed signal of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to determine whether to slide,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inverter receives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conver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he driving unit generates a driving force by the converted power as much as the output included in the third control signal to input or release the braking force to the braking disk.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공압을 이용하여 구동하던 철도 차량의 제동시스템에서,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제동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제동 제어가 가능하며, 공압 제공 구성을 제거할 수 있어 부피와 용량을 최소화하여 컴팩트한 제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raking system of a railway vehicle driven by using the conventional pneumatic, by performing the braking using the electric signal, more accurate and precise braking control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neumatic providing configuration The compact braking system can be achieved by minimizing volume and capacity.

즉, 종래의 철도 차량의 공압 이용 제동시스템에서, 필수적이었던 덤프 밸브를 제동신호 제어부로 대체하여, 인버터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고속철도의 활주 방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간략한 시스템을 구성하면서도 안정적인 제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pneumatic braking system of a railroad car, the anti-skid anti-skid system can be implemented by replacing the dump valve, which is necessary, with a braking signal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inverter. In addition, a stable braking system can be realized.

특히, 종래 철도 차량의 공압 이용 제동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압기반 제동 전자 제어부와 WSP 제어부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어, 최소한의 구성 변경을 통해서 제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대체되는 시스템을 모듈화하여 종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공압 이용 제동시스템의 기본 설비를 그대로 활용하여 사용성 및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neumatic-based braking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WSP control unit used in the conventional pneumatic braking system of the railway vehicle can be employed as it is, so that the brak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minimum configuration change. That is, the system to be replaced may be modularized and applied to a conventional system. Accordingly, the basic equipment of the conventional pneumatic braking system may be utilized as it is to improve usability and applicability.

또한, 공압 제공 라인을 생략하고, 전압 등과 같은 전기 신호 라인으로 각각의 제어 시스템 사이의 신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신을 통해 신호 제공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단순화된 제동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pneumatic supply line, to perform signal connection between each control system with an electric signal line such as a voltage, and to provide a signal through communication as necessary, thereby providing a more accurate and simplified braking system. It is possible to imple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도차량용 공압기반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이용한 활주방지 제어로직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neumatic based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nti-skid control logic using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of FIG.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using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of FIGS. 2 to 5.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은 제동전자제어부(110), 전원부(120), 제동신호 제어부(130), EMB 제동유닛(140), WSP 제어부(150) 및 센서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EMB 제동유닛(140)은 인버터(141) 및 구동부(14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rake electronic control unit 110, a power supply unit 120, a braking signal control unit 130, an EMB braking unit 140, and a WSP control unit 150. And a sensor unit 160, wherein the EMB braking unit 140 includes an inverter 141 and a driver 142.

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기술에 의한 공압에 의한 제동시스템(10)에서, 압축공기통(15) 및 덤프 밸브(18)를 생략하고, 이를 대신하여 제동신호 제어부(130)를 대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mits the compressed air cylinder 15 and the dump valve 18 in the brak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o replace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또한,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는 전기 신호를 통해 제어를 수행하므로, 종래 공압라인(17)도 생략되며 이를 대신하여 전원라인(121)이 전원부(1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performs control through an electrical signal, the conventional pneumatic line 17 is also omitted, and instead, the power line 121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20.

보다 구체적인 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의 구성상의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즉,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110)는 즉,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해당되며, 철도차량의 차량제어기(vehicle control unit, VCU)로부터 제동지령 및 속도 정보를 제공받으면,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제동력을 연산하여 연산된 제동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at is,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110 corresponds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nd when the braking command and the speed information are provided from a vehicle control unit (VCU) of a railway vehicle, the braking force required based on the braking command and the speed information are provided. The operation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magnitude of the braking force.

이 경우, 철도차량이 회생제동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110)에서는 상기 차량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와, 상기 회생제동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제동력을 연산하게 되며, 이렇게 연산된 제동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In this case, if a regenerative braking system is applied to the railway vehicle,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110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controller and information on the regenerative braking simultaneously, and calculates a necessary braking force based on the same. The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magnitude of the braking force is generated.

이와 같이 생성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로 직접 제공되는 제동 명령에 관한 신호이며, 전압신호일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a signal related to a braking command provided directly to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and may be a voltage signal.

즉, 종래 공압을 이용한 제동시스템에서는, 소위 ECU로부터 생성되는 신호는 제동제어장치(BOU 또는 BCU)로 제공되는 신호로서 전공전환밸브(EP valve)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신호이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braking system using pneumatic pressure, a signal generated from the ECU is a signal provided to the braking control device BOU or BCU and is a voltage signal for controlling the EP valv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공전환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필요 없으며 궁극적으로는 후술되는 인버터(141)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lectro-pneumatic switching valve is not necessary and ultimately a voltage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141 described later is required.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동전자제어부(110)가 종래의 ECU와 동일한 구성인 경우, 상기 제동전자제어부(110)에서 발생되는 전압 신호는 상기 인버터(14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되어야 하며, 이러한 신호 변환을 위해,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가 상기 제동전자제어부(110)와 상기 인버터(14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brake electronic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ECU, the voltage signal generated by the brake electronic controller 110 is converted into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141. In order to convert the signal, the brake signal controller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brake electronic controller 110 and the inverter 141.

즉,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110)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신호인 제1 제어신호는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로 제공된다. That is, the first control signal, which is a voltage signal generated from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110, is provided to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인버터(141)로 전원을 제공하며, 전원 제공을 위해 상기 인버터(141)와의 사이에 전원라인(121)이 연결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20 supplies power to the inverter 141, and a power line 121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120 and the inverter 141 to provide power.

이 경우, 상기 공급되는 전원은 DC 전원으로서, 상기 인버터(141)를 통해 AC 전원으로 변환되어 궁극적으로는 상기 구동부(142)의 구동을 위한 전원에 해당된다. In this case, the supplied power is DC power, which is converted into AC power through the inverter 141 and ultimately corresponds to power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142.

상기 전원부(120)는, DC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이면 충분하며, 이에 따라,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철도차량 제어 전원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전원부(120)는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기존 철도차량에 구비된 철도차량 제어 전원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원라인(121)을 상기 철도차량 제어 전원과 상기 인버터(141)에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인버터(141)에 대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be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a DC power supply.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be a railroad vehicle control power supply provided in the railroad vehicle.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20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provided, and may be replaced with the railway vehicle control power provided in the existing railway vehicle. Accordingly, the power line 121 may be replaced with the railway vehicle control power and the inverter 141. ) To supply power to the inverter 141.

이와 달리, 상기 인버터(141)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인버터 전용 전원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인버터(141)에만 전용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Alternatively, a separate inverter dedicated pow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to supply power only to the inverter 141. Thus, by supplying power exclusively to the inverter 141, more stable power supply is possible.

한편, 상기 센서부(160)는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 신호를 센싱한다. 이렇게 센싱된 속도신호는 상기 WSP 제어부(150)로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or unit 160 senses the speed signal of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The sensed speed signal is provided to the WSP controller 150.

이 경우, 상기 센서부(160)는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센서로서 철도차량의 차륜의 윤축의 회전을 통해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60)는 상기 윤축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면 장착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60 may sense the spe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wheel shaft of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as a speed sensor for sensing the speed. Therefore, the sensor unit 160 may be mounted on the wheel shaft. However, if the sensor unit 160 can sense the speed of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the mounting position is not limited.

상기 WSP 제어부(150)는 상기 차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160)에서 센싱된 속도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철도차량의 차륜이 활주하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WSP controller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preventing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from sliding on the basis of the speed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160 to prevent sliding of the wheel.

즉, 상기 WSP(wheel slide protection) 제어부(150)는, 상기 차륜의 활주를 방지하기 위해,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That is, the wheel slide protection (WSP) controller 150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and provides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brake signal controller 130 to prevent the wheel from sliding.

이와 같이 생성된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로 직접 제공되는 제동력의 제공 또는 제동력의 제거를 위한 신호이며, 전압신호일 수 있다. The second control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a signal for providing a braking force or removing a braking force directly provided to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and may be a voltage signal.

즉, 종래 공압을 이용한 제동시스템에서는, 소위 WSP 제어기로부터 생성되는 신호는 제동제어장치(BOU 또는 BCU)로 제공되는 신호로서, 덤프 밸브(dump valve)가 유지밸브(HV)와 배기밸브(RV)로 구성된 것을 고려하여, 상기 유지밸브 또는 상기 배기밸브에 대한 ON/OFF를 제어하는 전압신호이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braking system using pneumatic pressure,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o-called WSP controller is a signal provided to the braking control device (BOU or BCU), and a dump valve includes a holding valve HV and an exhaust valve RV.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the voltage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for the holding valve or the exhaust valv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유지밸브 또는 배기밸브에 대한 ON/OFF 제어 신호는 필요 없으며, 궁극적으로는 후술되는 상기 인버터(141)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신호이면 충분하다.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ON / OFF control signal for such a holding valve or an exhaust valve is not necessary, and ultimately, a voltage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141 described later is sufficient.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WSP 제어부(150)가 종래의 WSP 제어기와 동일한 구성인 경우, 상기 WSP 제어부(150)에서 발생되는 전압 신호는 상기 인버터(14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되어야 하며, 이러한 신호 변환을 위해,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가 상기 WSP 제어부(150)와 상기 인버터(14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WSP controller 15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WSP controller, the voltage signal generated by the WSP controller 150 should be converted into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141. In addition,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is located between the WSP controller 150 and the inverter 141 for the signal conversion.

즉, 상기 WSP 제어부(150)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신호인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로 제공된다. That is, the second control signal, which is a voltage signal generated from the WSP controller 150, is provided to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이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의 경우, 종래의 유지밸브 또는 배기밸브에 대한 ON/OFF 제어 신호와 동일한 취지로, 상기 제동디스크(12)에 인가되는 제동력의 유지 또는 공급을 위한 전압신호(HV 신호) 또는 상기 제동력의 해제를 위한 전압신호(RV 신호)를 포함하게 된다.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a voltage signal HV for maintaining or supplying a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brake disc 12 in the same meaning as a conventional ON / OFF control signal for a sustain valve or an exhaust valve. Signal) or a voltage signal (RV signal) for releasing the braking force.

즉, 상기 철도차량의 차륜의 활주의 여부에 따라, 상기 HV 신호 및 상기 RV 신호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공하거나 또는 제공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제공에 따른 실제 활주 방지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at is, the HV signal and the RV signal are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provided or not provided, depending on whether the wheels of the railway vehicle slide. In this case, the control method of the actual anti-skid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신호를 변환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제3 제어신호는 상기 EMB 제동유닛(140)으로 제공된다.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by converting a signal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generated third control signal is the EMB braking unit 140. Is provid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WSP 제어부(150)에서 생성된 제2 제어신호는 공압을 이용한 제동시스템에서 종래 덤프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신호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인버터(141)를 직접 제어할 수 없는 신호에 불과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WSP controller 150 is a voltage signal for controlling a conventional dump valve in a braking system using pneumatic pressure, and directly controls the inverter 141 in the present embodiment. It's just a signal you can't.

따라서,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가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110) 및 상기 인버터(141)의 사이, 및 상기 WSP 제어부(150)와 상기 인버터(141)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들을 상기 인버터(141)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인 제3 제어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110 and the inverter 141 and between the WSP controller 150 and the inverter 141. 2 control signals are converted into a third control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directly controlling the inverter 141.

즉,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그대로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인버터(141)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That is,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includes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s they are,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capable of direct control of the inverter 141. do.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DC-DC 변환회로를 내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들을 매핑 또는 튜닝함으로써,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and a DC-DC conversion circuit, and by mapping or tun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Generate a control signal.

상기 EMB 제동유닛(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버터(141) 및 구동부(142)를 포함한다. The EMB braking unit 140 includes an inverter 141 and a driver 142 as described above.

상기 인버터(141)는 상기 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으며, 이렇게 제공받은 전원은 DC 전원이므로, 이를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부(142)에 제공한다. The inverter 141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and the power supplied in this manner is a DC power source, so that the inverter 141 is converted into AC power and provided to the driving unit 142.

또한, 상기 인버터(141)는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3 제어신호는 결국 상기 구동부(142)의 출력을 명령하는 신호에 해당된다. 즉, 상기 인버터(141)는 상기 제3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142)의 출력 또는 토크를 결정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verter 141 receives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the third control signal eventually corresponds to a signal for commanding the output of the driver 142. That is, the inverter 141 determines the output or torque of the driver 142 based on the third control signal.

그리하여, 상기 구동부(142)는 상기 제3 제어신호에 포함된 출력만큼, 상기 인버터(141)에 의해 변환된 AC 전원을 바탕으로 출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동디스크(12)에 제동력을 투입 또는 해제하게 된다. Thus, the driving unit 142 generates an output based on the AC power converted by the inverter 141 as much as the output included in the third control signal to input or release the braking force to the brake disc 12. do.

즉, 상기 구동부(142)는 예를 들어, 모터일 수 있으며, 결국 상기 구동부(142)의 구동출력에 의해 상기 제동디스크(12)에 적절한 제동 압부력이 생성되어 제동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인버터(141)로부터 상기 구동부(142)로 제공되는 전원 라인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3상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일 수 있다. That is, the driving unit 142 may be, for example, a motor, and finally, a braking pressure buoyancy suitable for the brake disc 12 is generated by the driving output of the driving unit 142 to perform braking. In this case, the power line provided from the inverter 141 to the driving unit 142 may be a line for supplying three-phase power of the motor, as show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142) 및 상기 인버터(141)를 포함하는 상기 EMB 제동유닛(140)은 차량부(101)의 외부에, 상기 제동 디스크(1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142) 및 상기 인버터(141)를 하나의 모듈로 모듈화하여 상기 제동 디스크(12)에 인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성 및 장착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유도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MB braking unit 140 including the driving unit 142 and the inverter 141 is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unit 10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braking disk 12. Accordingly, the drive unit 142 and the inverter 141 can be modularized into one module so as to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braking disk 12, so that an excellent usability and mountability can be induced.

도 3은 도 2의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이용한 활주방지 제어로직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3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nti-skid control logic using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of FI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WSP 제어부(150)는 철도차량의 차륜이 활주하는 경우 활주의 방지를 위해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종래의 유지밸브 또는 배기밸브에 대한 ON/OFF 제어 신호와 동일한 취지로, 상기 제동디스크(12)에 인가되는 제동력의 유지 또는 공급을 위한 전압신호(HV 신호) 또는 상기 제동력의 해제를 위한 전압신호(RV 신호)를 포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SP control unit 150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to prevent the slide when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slides,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turned ON for the conventional holding valve or exhaust valve In the same meaning as the / OFF control signal, a voltage signal (HV signal) for maintaining or supplying a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brake disc 12 or a voltage signal (RV signal) for releasing the braking force is included.

이 경우, 상기 WSP 제어부(150)는 상기 활주의 방지를 위한 별도의 제어 로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 3은 이러한 제어 로직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즉, 상기 WSP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로직의 예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WSP controller 150 includes information on separate control logic for preventing the slide, and FIG. 3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such control logic. That is, the WSP controller 150 generates the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example of the control logic shown in FIG. 3.

즉, 상기 WSP 제어부(150)는 철도차량의 각 차륜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후, 각 차륜의 활주(여기서 활주란, 차량의 속도보다 차륜의 속도가 낮은 경우로 정의됨)가 검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륜의 감속도가 과도하게 크거나, 차륜간에 속도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활주가 발생한 차륜에 대하여 제2 제어신호로서 HV 신호 및 RV 신호를 발생(ON)하여 제동력을 완해시키며 이를 통해 제동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차륜의 속도를 회복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WSP controller 150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speed of each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the slide of each wheel (where the slide is defined as a case where the speed of the wheel is lower tha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cted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deceleration of the wheel is excessively large or a speed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wheels, the braking force is relieved by generating (ON) the HV signal and the RV signal as the second control signal for the wheel on which the sliding occurs. This prevents the braking pressure from being supplied, thereby restoring the speed of the wheel.

또한, 차륜의 속도가 회복되어 재점착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제어신호로서 HV 신호 및 RV 신호를 제거(OFF)하여 제동압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the wheel is recovered and re-attached, the vehicle detects this and removes the HV signal and the RV signal as the second control signal (OFF) to control the braking pressure to be supplied normally.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제어 환경에 따라 제공되는 제2 제어신호의 내용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provided according to various control environmen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1].

[표 1] WSP 제어부의 동작의 예[Table 1] Example of operation of WSP control unit

Figure 112018077096361-pat00001
Figure 112018077096361-pat00001

즉,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제어신호에서 상기 RV 신호 및 상기 HV 신호의 ON/OFF의 선택적 제공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제동 디스크(12)에 공급되는 제동압부력의 제거상태, 유지상태, 느린 공급 상태, 빠른 공급 상태 및 정상 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Table 1], according to the selective provision of ON / OFF of the RV signal and the HV signal in the second control signal, as a result, the removal of the braking pressure buoyancy supplied to the brake disc 12 is achiev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atus, maintenance status, slow supply status, fast supply status and normal supply status.

예를 들어, 상기 RV 신호 및 상기 HV 신호가 모두 ON 상태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제공하면,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어신호 상의 전압 레벨을 낮추거나, 상기 구동부(142)를 반대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142)에서 발생되는 출력을 낮춰 궁극적으로 상기 제동 디스크(12)에 제공되는 제동력을 낮추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RV signal and the HV signal are both provided with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brake signal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voltage level on the first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brake electronic controller 110. Or lowering the output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42 and ultimately lowering the braking force provided to the brake disk 12 by generating a third control signal for rotating the driving unit 142 in reverse.

이와 달리, 상기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가 회복되는 경우, 상기 RV 신호 및 상기 HV 신호가 모두 OFF 상태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제공하면,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어신호 상의 전압 레벨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142)에서 발생되는 출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상기 제동 디스크(12)에 정상적인 제동력이 작용되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speed of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is restored, when the RV signal and the HV signal are both provided with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110. By generating the third control signal to maintain the voltage level on the first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as it is, the output generated from the drive unit 142 is maintained as it is so that the normal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brake disc 12.

이상과 같이, 상기 WSP 제어부(150)에서는, 상기 제동 디스크(12)에 제공되는 제동력의 빠른 회복, 느린 회복, 유지 등의 제어를 위해서 상기 제2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RV 신호 및 상기 HV 신호의 상태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WSP control unit 150, the RV signal and the HV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recovery of the braking force provided to the brake disk 12, such as fast recovery, slow recovery, and mainten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state of choice.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에서는, 철도 차량의 차륜의 활주를 방지하며 적절한 제동력을 투입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제동 디스크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us, in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isc so as to prevent the sliding of the wheels of the railway vehicle and to apply or release the appropriate braking forc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200)은 인버터(250)가 차량부(101)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except that the inverter 25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unit 10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200)은 EMB 제동유닛(240)은 차량부(101)의 외측에 상기 제동 디스크(12)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구동부(242) 만을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250)는 상기 EBM 제동유닛(240)과 분리되어 상기 차량부(101)의 내측에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iving unit 242 disposed such that the EMB braking unit 240 is adjacent to the braking disk 12 outside the vehicle unit 101. It includes only, the inverter 250 is separated from the EBM braking unit 24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unit (101).

이 경우, 상기 인버터(250)로부터 상기 구동부(242)로 제공되는 전원 라인은 상기 구동부(242)가 모터인 경우, 상기 모터의 3상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이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다. In this case, the power line provided from the inverter 250 to the driving unit 242 is a line for supplying three-phase power of the motor when the driving unit 242 is a motor, as shown.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242)와 상기 인버터(250)가 서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EMB 제동유닛(240)은 상기 구동부(242)와 기타 구성들(미도시)만 포함하도록 모듈화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부(101)의 내측에 위치한 인버터와의 연결을 통해 용이한 제작 및 모듈화에 따른 사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s such, by separating the driving unit 242 and the inverter 250 from each other, the EMB braking unit 240 may be modularized to include only the driving unit 242 and other components (not shown).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inverter located inside the unit 101 can improve the usability according to the easy manufacturing and modularization.

한편, 이러한 구동부와 인버터의 분리 구조를 제외하고는, 여타의 모든 구성들의 기능 및 배열 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except for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drive unit and the inverter, the functions and arrangement of all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300)은 제동신호 제어부(330)와 제동전자 제어부(320)가 일체로 모듈화되어 EMB 제어유닛(310)으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In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cept that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330 and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320 are integrally modularized and configured as the EMB control unit 310, FIGS. 2 and 3. Since it is the same as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ame compon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300)에서는,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330)와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320)가 일체로 모듈화되어 상기 EMB 제어유닛(310)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king signal control unit 330 and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 unit 320 are integrally modularized to constitute the EMB control unit 310. do.

즉, 이상과 같이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330)와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320)가 일체로 모듈화되어 상기 EMB 제어유닛(310)으로 구성됨에 따라, 종래 공압식 제동시스템에서 사용되는 ECU를 사용하지 않고 제거하고, 모듈화된 EMB 제어유닛(310)으로 대체함으로써 시스템이 보다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braking signal control unit 330 and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 unit 320 are integrally modularized and constituted by the EMB control unit 310, thereby eliminating the use of the ECU used in the conventional pneumatic braking system. And, by replacing the modular EMB control unit 310, the system can be configured more simply.

이 경우, 상기 EMB 제어유닛(310) 내부의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320)와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330)는 제어신호, 즉 제1 제어신호의 전달을 전원라인이 아닌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 unit 320 and the braking signal control unit 330 inside the EMB control unit 310 may perform control signal, that is, transfer of the first control sig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rather than a power line. It becomes possible.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EMB 제어유닛(310)으로의 모듈화 구조를 제외하고는 여타의 모든 구성들의 기능 및 배열 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Meanwhile, also in this embodiment, except for the modular structure to the EMB control unit 310, the functions and arrangement of all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에서는, 각각의 구성들을 필요에 따라 서로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 구성을 최적화 내지 간략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be modularized to each other as necessary, thereby optimizing or simplifying the system configuration, thereby improving usability. do.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을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using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of FIGS. 2 to 5.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은 앞서 설명한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들(100, 200, 300)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을 이용한 제동방법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described below may use all of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s 100, 200, and 300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lectric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Only the braking method using the mechanical brak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을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의 경우, 우선, 상기 제동전자 제어부(110)가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10). Referring to FIG. 6, in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using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100, first,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step S10).

이 후, 상기 WSP 제어부(150)는 상기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 신호를 상기 센서부(16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차륜이 활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20). Thereafter, the WSP control unit 150 receives the speed signal of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from the sensor unit 160 to determine whether the wheel slides, and generates the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this. (Step S20).

이 후,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30). Thereafter,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130 generates the thir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step S30).

이 후, 상기 인버터(141)는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전원부(120)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한다(단계 S40). Thereafter, the inverter 141 receives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converts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into AC power (step S40).

이 후, 상기 구동부(142)가 상기 제3 제어신호에 포함된 출력만큼 상기 변환된 AC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제동디스크(12)에는 제동력이 제공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차륜에 대한 제동이 수행된다. Thereafter, the driving unit 142 generates a driving force by the converted AC power as much as the output included in the third control signal, through which the braking disk 12 is provided with a braking force to the wheel of the railway vehicle. Braking is performed.

한편,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에서는, 전반적인 제동의 순서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며, 각각의 제동방법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조, 배열, 기능, 동작 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100)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only the overall braking order has been described, and the structure, arrangement, function, operation, and the like of each component in each braking metho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Same as described in the braking system 10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공압을 이용하여 구동하던 철도 차량의 제동시스템에서,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제동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제동 제어가 가능하며, 공압 제공 구성을 제거할 수 있어 부피와 용량을 최소화하여 컴팩트한 제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braking system of a railway vehicle which was driven by using conventional pneumatics, by performing braking using electric signals, more accurate and precise braking control is possible, and a pneumatic providing configuration is eliminated. This enables a compact braking system with minimal volume and capacity.

즉, 종래의 철도 차량의 공압 이용 제동시스템에서, 필수적이었던 덤프 밸브를 제동신호 제어부로 대체하여, 인버터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고속철도의 활주 방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간략한 시스템을 구성하면서도 안정적인 제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pneumatic braking system of a railroad vehicle, the anti-skid anti-skid system of high speed railway can be implemented by replacing the dump valve, which is essential, with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inverter. In addition, a stable braking system can be realized.

특히, 종래 철도 차량의 공압 이용 제동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압기반 제동 전자 제어부와 WSP 제어부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어, 최소한의 구성 변경을 통해서 제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대체되는 시스템을 모듈화하여 종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공압 이용 제동시스템의 기본 설비를 그대로 활용하여 사용성 및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neumatic-based braking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WSP control unit used in the conventional pneumatic braking system of the railway vehicle can be employed as it is, so that the brak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minimum configuration change. That is, the system to be replaced may be modularized and applied to a conventional system. Accordingly, the basic equipment of the conventional pneumatic braking system may be utilized as it is to improve usability and applicability.

또한, 공압 제공 라인을 생략하고, 전압 등과 같은 전기 신호 라인으로 각각의 제어 시스템 사이의 신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신을 통해 신호 제공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단순화된 제동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pneumatic supply line, to perform signal connection between each control system with an electric signal line such as a voltage, and to provide a signal through communication as necessary, thereby providing a more accurate and simplified braking system. It is possible to impleme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본 발명에 따른 WSP 제어기를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기계식 제동방법은 철도차량의 제동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using the WSP controller and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method using the same have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as a brak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100, 200, 300 : 제동시스템 101 : 차량부
110, 320 : 제동전자 제어부 120 : 전원부
121 : 전원 라인 130, 330 : 제동신호 제어부
140, 240 : EMB 제동유닛 141, 250 : 인버터
142, 242 : 구동부 150 : WSP 제어부
160 : 센서부 310 : EMB 제어유닛
100, 200, 300: Braking system 101: Vehicle
110, 320: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120: power supply
121: power line 130, 330: braking signal control unit
140, 240: EMB Braking Units 141, 250: Inverter
142 and 242 driving unit 150 WSP control unit
160: sensor unit 310: EMB control unit

Claims (9)

전압신호인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동전자제어부;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 신호를 제공받아 활주여부를 판단하여,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WSP 제어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DC-DC 변환회로로 신호를 변환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동신호 제어부;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전원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상기 제3 제어신호에 포함된 출력만큼 상기 변환된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여 제동디스크에 제동력을 투입 또는 해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동디스크에 인가되는 제동력의 유지 또는 공급을 위한 전압신호(HV 신호) 또는 상기 제동력의 해제를 위한 전압신호(RV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A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that is a voltage signal;
A WSP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speed signal of a wheel of a railway vehicle and determine whether to slide, and to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A braking signal controller converting a signal into a DC-DC conversion circui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An inverter configured to receive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convert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And
And a driving unit generating driving force by the converted power as much as an output included in the third control signal to input or release the braking force to the brake disc.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 voltage signal (HV signal) for maintaining or supplying a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braking disk or a voltage signal (RV signal) for releasing the braking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철도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생성된 전압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signal generated to correspond to the magnitude of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the railway vehic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V 신호 및 상기 RV 신호는 상기 차륜의 속도 신호를 바탕으로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3 제어신호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V signal and the RV signal are selectively provided based on the speed signal of the wheel to change the third control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인버터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명령하는 제어신호이고,
상기 제3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출력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rd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the output of the drive unit to the inverter,
An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drive unit is determined by the third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및 상기 구동부는 EMB 제동유닛을 형성하여 상기 제동디스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verter and the driving unit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brake disc by forming an EMB brak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철도차량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rter is spaced apart from the drive unit, the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railway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전자제어부 및 상기 제동신호 제어부는 일체로 모듈화되어 상호간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제동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king electronic controller and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are integrally modularized so that the first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제동전자제어부가 전압신호인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WSP 제어부가 철도차량의 차륜의 속도 신호를 제공받아 활주여부를 판단하여,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동신호 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DC-DC 변환회로로 신호를 변환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인버터가 상기 제3 제어신호를 제공받으며, 전원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변환하는 단계; 및
구동부가 상기 제3 제어신호에 포함된 출력만큼 상기 변환된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여 제동디스크에 제동력을 투입 또는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제동디스크에 인가되는 제동력의 유지 또는 공급을 위한 전압신호(HV 신호) 또는 상기 제동력의 해제를 위한 전압신호(RV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제동방법.
Generating, by the brake electronic controller, a first control signal that is a voltage signal;
Generating, by the WSP control unit, whether the vehicle receives the speed signal of the wheel of the railroad vehicle and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liding state to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Generating, by the braking signal controller, a third control signal by converting a signal into a DC-DC conversion circuit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n inverter receiving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converting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by the converted power as much as an output included in the third control signal to input or release a braking force to a brake disc;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 voltage signal (HV signal) for maintaining or supplying a braking force applied to a braking disk, or a voltage signal (RV signal) for releasing the braking force.
KR1020180090956A 2018-08-03 2018-08-03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 KR102044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56A KR102044299B1 (en) 2018-08-03 2018-08-03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56A KR102044299B1 (en) 2018-08-03 2018-08-03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299B1 true KR102044299B1 (en) 2019-11-13

Family

ID=6853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56A KR102044299B1 (en) 2018-08-03 2018-08-03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29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8987A (en) * 2007-03-28 2008-10-09 Hitachi Ltd Electric brake device
KR101546950B1 (en) 2014-03-27 2015-08-26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brake control unit for railway vehicle
KR20150118644A (en) 2014-04-14 2015-10-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Brake hils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KR101614896B1 (en) * 2014-10-29 2016-04-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lectronic motorized modular brak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8987A (en) * 2007-03-28 2008-10-09 Hitachi Ltd Electric brake device
KR101546950B1 (en) 2014-03-27 2015-08-26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brake control unit for railway vehicle
KR20150118644A (en) 2014-04-14 2015-10-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Brake hils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KR101614896B1 (en) * 2014-10-29 2016-04-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lectronic motorized modular brak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1345B2 (en) Electric brake system
CN113557184B (e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brake system with two backup classes
EP2330006B1 (en) Train braking device
CN113544026B (e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brake system with two backup classes
US5961190A (en)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12703143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KR101634413B1 (en) Electrohydraulic br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015396B (en) Multi-circuit electro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029915B (en) Regenerative braking system
CN109476295A (en) The method of energy electronically controlled Pneumatic braking system and the Pneumatic braking system for being controlled electronically in commerial vehicle in commerial vehicle
US20080135357A1 (e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US6203116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20030006726A1 (en) Electrical brake system
CN101541606B (en) Method for breaking a rail vehicle
JPWO2006046318A1 (en) BRAKE DEVICE AND ITS CONTROL DEVICE
WO2005054025A1 (en) Braking device for vehicle
US20190217833A1 (en) Air Treatment Unit for a Brake System of a Utility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ir Treatment Unit
GB2472392A (en) Regenerative braking system having an electric drive means to actuate a mechanical braking device
US8452507B2 (en) Actuato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device
KR102044299B1 (en)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using a wheel slide protec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braking using the same
CN105523025A (en) Control system for at least one electric motor, usable as a generator, of a vehicle; and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JP6736399B2 (en) Electric brake device and electric brake system
CN112703135B (en) Control architecture for electrified braking and electrified steering of a vehicle
JP2018524219A (en) Brake device and method
KR20160100372A (en)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