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274B1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274B1
KR102044274B1 KR1020170167611A KR20170167611A KR102044274B1 KR 102044274 B1 KR102044274 B1 KR 102044274B1 KR 1020170167611 A KR1020170167611 A KR 1020170167611A KR 20170167611 A KR20170167611 A KR 20170167611A KR 102044274 B1 KR102044274 B1 KR 102044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server
management
information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554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7016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2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대상자의 신상 정보와 관리 대상자의 관련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서버와 관리 대상자가 소지하여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대상자 단말기와 사회 복지 부서와 같은 관리 부서 담당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사회 복지 시설, 병원, 소방서, 경찰서, 종교 단체 또는 관리 대상자 지인이 소지하도록 구비되는 관련자 단말기; 및 관리 대상자의 사진 및 관리 대상자의 기본 정보가 포함된 태그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대상자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관리 대상자를 사회 복지 부서에서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SOCIETY SAFETY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SMART-DEVICE }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대상자의 신상 정보와 관리 대상자의 관련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서버와 관리 대상자가 소지하여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대상자 단말기와 사회 복지 부서와 같은 관리 부서 담당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사회 복지 시설, 병원, 소방서, 경찰서, 종교 단체 또는 관리 대상자 지인이 소지하도록 구비되는 관련자 단말기; 및 관리 대상자의 사진 및 관리 대상자의 기본 정보가 포함된 태그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대상자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관리 대상자를 사회 복지 부서에서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노인 인구가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독거노인과 같이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예산 및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이러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며 알람 장치들과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알람음이나 메시지로 개인의 스케줄을 알려주는 단순한 기능에서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나, 관리 대상자 소재 파악이 힘든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관리 대상자가 응급 상황에 빠진 경우에 필요한 연락처나 연락 대상 지인을 급하게 찾도록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도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4178호 (2006.06.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서버에 관리 대상자 정보와 연락할 필요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여 필요시 빠르게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상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관리 대상자 소재 파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 대상자 실종시 관리자 단말기, 관련자 단말기 및 메인 서버가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효과적으로 관리 대상자를 찾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종 또는 응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표시 장치에 그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상황 대응이 빠르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종 또는 응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를 이용하여 관련자 또는 관련 기관에 즉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 대상자의 신상 정보와 관리 대상자의 관련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서버(100); 를 포함할 수 있다.
떠한, 관리 대상자가 소지하여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201)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대상자 단말기(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회 복지 부서와 같은 관리 부서 담당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기(3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회 복지 시설, 병원, 소방서, 경찰서, 종교 단체 또는 관리 대상자 지인이 소지하도록 구비되는 관련자 단말기(400); 및 관리 대상자의 사진 및 관리 대상자의 기본 정보가 포함된 태그(501)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표시 장치(500);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서버(100)는 상기 대상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201)의 수신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간격 이상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에 미수신 안내 메시지(101)를 전송하고 상기 표시 장치(500)에 최종 수신 시간과 최종 수신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기 표시 장치(500)의 상기 태그(501)에 접촉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에게 전화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가 상기 태그(501)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접속하여 관리 대상자의 관련인 정보에 따라 연락할 대상을 화면에서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대상자의 신상 정보는 대상자ID,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성별, 연령, 지병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민등록번호, 상기 주소, 상기 전화번호, 상기 연령 및 상기 지병정보는 암호화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 장치(500)는 사회 복지 부서에 비치되고 보드 형태로 벽면에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500)는 관리 대상자에게 전화하는 제 1 상황과 소방서, 경찰서 또는 병원에 연락이 필요한 제 2 상황에 대응하여 각각 별도의 제 1,2 표시 장치(502,50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500)는 터치스크린 화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진을 터치하면 상기 메인 서버(4100)에 저장된 최종 위치와 최종 위치 수신 시각을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은 지도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저장된 위치와 위치 수신 시각을 조회하여 관리 대상자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서버(100)는 상기 표시 장치(500)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가 연락한 정보를 저장하여 연도별, 월별, 일자별 또는 일자별 레포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는 상기 메인 서버(100)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저장된 위치와 위치 수신 시각을 조회하여 지도상에 관리 대상자의 이동 경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는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1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관리 대상자 추적 상황이 상기 메인 서버(100)를 통해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 사이에 공유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첫째, 메인 서버에 관리 대상자 정보와 연락할 필요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여 빠르게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대상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관리 대상자 소재 파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셋째, 관리 대상자 실종시 관리자 단말기, 관련자 단말기 및 메인 서버가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효과적으로 관리 대상자를 찾도록 한다.
넷째, 실종 또는 응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표시 장치에 그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상황 대응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한다.
다섯째, 실종 또는 응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를 이용하여 관련자 또는 관련 기관에 즉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자 실종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기와 관련자 단말기가 실종자를 추적하며 추적하는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추적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추적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자 실종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기와 관련자 단말기가 실종자를 추적하며 추적하는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4 는 도 3 의 추적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추적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자의 신상 정보와 관리 대상자의 관련인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인 서버(100)가 구비된다.
또한, 관리 대상자가 소지하여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201)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전송하는 대상자 단말기(200)가 구비된다.
또한, 사회 복지 부서와 같은 관리 부서 담당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기(300)가 구비된다.
한편, 사회 복지 시설, 병원, 소방서, 경찰서, 종교 단체 또는 관리 대상자 지인이 소지하도록 구비되는 관련자 단말기(400) 및 관리 대상자의 사진 및 관리 대상자의 기본 정보가 포함된 태그(501)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표시 장치(5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대상자 단말기(200)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소지하기 편리한 전자 장치, 즉 스마트폰이 바람직하나 PC, 노트북 또는 태블릿 또한 가능하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서버(100)는 상기 대상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201)의 수신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간격 이상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에 미수신 안내 메시지(101)를 전송하고 상기 표시 장치(500)에 최종 수신 시간과 최종 수신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즉, 다수의 관리 대상자로 부터 발생하는 상기 대상자 위치 정보(201)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최종 수신 시각과 현재 시각을 비교하여, 최종 수신 시간이 2 내지 3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가 상기 대상자 단말기(200)에 전화 연결을 시도하도록 상기 메인 서버(100)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에 알람을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필요한 경우에 상기 표시 장치(500)의 상기 태그(501)에 접촉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에게 전화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관리 대상자를 일일이 검색하지 않고도 즉시 태깅 행위라는 간편한 동작을 통하여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가 상기 태그(501)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접속하여 관리 대상자의 관련인 정보에 따라 연락할 대상을 화면에서 선택하도록 구비되어 통화 대상을 관리 대상자 본인 또는 사전에 지정된 관리 대상자 지인에게 빠르고 간편하게 연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리 대상자의 신상 정보는 대상자ID,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성별, 연령, 지병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민등록번호, 상기 주소, 상기 전화번호, 상기 연령 및 상기 지병정보는 암호화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비되어 개인 신상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표시 장치(500)는 사회 복지 부서에 비치되고 보드 형태로 벽면에 부착되도록 구비되어 필요한 응급 상황 정보가 모든 부서원이 공유하도록 하여 적절한 조치가 즉시 이루어 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500)는 관리 대상자에게 전화하는 제 1 상황과 소방서, 경찰서 또는 병원에 연락이 필요한 제 2 상황에 대응하여 각각 별도의 제 1,2 표시 장치(502,503)로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황에 따라 연락처를 지정하거나 선택할 필요도 없이 제 1 표시 장치(502) 나 제 2 표시장치(503) 중 하나를 선택하는 행위만으로 원하는 연락처에 즉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500)는 터치스크린 화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진을 터치하면 상기 메인 서버(4100)에 저장된 최종 위치와 최종 위치 수신 시각을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500)는 화면이 커 가시성이 좋은 태블릿 PC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저장된 위치와 위치 수신 시각을 조회하여 관리 대상자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메인 서버(100)는 상기 표시 장치(500)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가 연락한 정보를 저장하여 연도별, 월별, 일자별 또는 일자별 레포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어 행정 기획업무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게 한다.
또한,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는 상기 메인 서버(100)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저장된 위치와 위치 수신 시각을 조회하여 지도상에 관리 대상자의 이동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1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관리 대상자 추적 상황이 상기 메인 서버(100)를 통해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 사이에 공유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의 추적 구역을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중복 추적을 회피하여 효과적인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관리 대상자 이동 경로를 화면에 표시하여 최종 위치 수신 구역( A )부터 수색하도록하고, 도 4 에 도시 바와 같이 그 구역을 점차 넓혀 나가도록 하며, 다른 관리자 또는 관련자가 수색한 구역( B )을 표시함을써 중복 수색을 최대한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메인 서버에 등록된 관리 대상자 정보는 표시 장치에 출력되어 사회 복지 부서에 출력되는 것이다. 만일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가 2시간째 미수신 되는 경우 메인 서버는 관리자 단말기와 표시 장치에 그 상황을 전송하는 것이다.
관리자 또는 부서원은 표시 장치의 태그 또는 표시 장치를 터치하여 관리 대상자에게 통화를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계속 연락이 되지 않거나, 위치 정보 미수신 시간이 3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된 병원 또는 소방서에 상황을 전파하도록 관리자 단말기에서 표시 장치 태그를 이용하여 전화를 연결하는 것이다.
관리자 또는 관련자가 관리 대상자를 추적하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 및 관련자 단말기가 수색하는 위치 정보를 서로 메인 서버를 통해 공유하여 최대한 신속하게 관리 대상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정보들은 레포트로 메인 서버에서 생성되어 사회 복지 행정 업무 기획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으로, 메인 서버에 관리 대상자 정보와 연락할 필요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여 빠르게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대상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관리 대상자 소재 파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관리 대상자 실종시 관리자 단말기, 관련자 단말기 및 메인 서버가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효과적으로 관리 대상자를 찾도록 하며, 실종 또는 응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표시 장치에 그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상황 대응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메인 서버
101 ... 미수신 안내 메시지
200 ... 대상자 단말기
201 ... 대상자 위치 정보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관련자 단말기
500 ... 표시 장치
501 ... 태그
502 ... 제 1 표시장치
503 ... 제 2 표시장치

Claims (12)

  1. 관리 대상자의 신상 정보와 관리 대상자의 관련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서버(100);
    관리 대상자가 소지하여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201)를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대상자 단말기(200);
    사회 복지 부서와 같은 관리 부서 담당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기(300);
    사회 복지 시설, 병원, 소방서, 경찰서, 종교 단체 또는 관리 대상자 지인이 소지하도록 구비되는 관련자 단말기(400); 및
    관리 대상자의 사진 및 관리 대상자의 기본 정보가 포함된 태그(501)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표시 장치(500);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서버(100)는 상기 대상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관리 대상자 위치 정보(201)의 수신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간격 이상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에 미수신 안내 메시지(101)를 전송하고 상기 표시 장치(500)에 최종 수신 시간과 최종 수신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기 표시 장치(500)의 상기 태그(501)에 접촉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에게 전화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가 상기 태그(501)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접속하여 관리 대상자의 관련인 정보에 따라 연락할 대상을 화면에서 선택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리 대상자의 신상 정보는 대상자ID,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성별, 연령, 지병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주민등록번호, 상기 주소, 상기 전화번호, 상기 연령 및 상기 지병정보는 암호화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표시 장치(500)는 사회 복지 부서에 비치되고 보드 형태로 벽면에 부착되도록 구비되며, 관리 대상자에게 전화하는 제 1 상황과 소방서, 경찰서 또는 병원에 연락이 필요한 제 2 상황에 대응하여 각각 별도의 제 1,2 표시 장치(502,503)로 구비되며,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는 상기 메인 서버(100)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저장된 위치와 위치 수신 시각을 조회하여 지도상에 관리 대상자의 이동 경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는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1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관리 대상자 추적 상황이 상기 메인 서버(100)를 통해 상기 관련자 단말기(40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 사이에 공유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500)는,
    터치스크린 화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진을 터치하면 상기 메인 서버(4100)에 저장된 최종 위치와 최종 위치 수신 시각을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되, 지도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메인 서버(100)에 저장된 위치와 위치 수신 시각을 조회하여
    관리 대상자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100)는,
    상기 표시 장치(500)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가 연락한 정보를 저장하여 연도별, 월별, 일자별 또는 일자별 레포트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67611A 2017-12-07 2017-12-07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KR102044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611A KR102044274B1 (ko) 2017-12-07 2017-12-07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611A KR102044274B1 (ko) 2017-12-07 2017-12-07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554A KR20190067554A (ko) 2019-06-17
KR102044274B1 true KR102044274B1 (ko) 2019-11-13

Family

ID=6706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611A KR102044274B1 (ko) 2017-12-07 2017-12-07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2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523B1 (ko) * 2014-11-11 2015-06-01 지현구 Nfc 태그가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부가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33713B1 (ko) * 2016-02-19 2016-06-2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즈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78B1 (ko) 2003-09-19 2006-06-2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알람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0328A (ko) * 2015-10-30 2017-05-11 임동배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523B1 (ko) * 2014-11-11 2015-06-01 지현구 Nfc 태그가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부가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33713B1 (ko) * 2016-02-19 2016-06-2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즈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554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49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iding emergency response
US10531266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US9414212B2 (en) Community emergency request communication system
US8928483B2 (en) Automated attendance tracking and event notification
US20180332162A1 (en) Mobile application for personal safety
US91958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subjects
US114754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ecord verification
US9985920B2 (en) Event notification
KR101812115B1 (ko) 2차원 코드에 기초하여 피후견인을 찾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40364081A1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TW20094725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ident recording
US20120322401A1 (en) Method and application for emergency incident reporting and communication
US201903241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and Wireless Measurements, Tracking and Reporting
US10235864B2 (en) Tracking items in a container
JP5342529B2 (ja) 緊急用品搬送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500519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et Accountability Information
KR102044274B1 (ko)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Vaghela et al. WalkSafe: College Campus Safety App.
US20220351256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er support in-store
US20230035593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720843B1 (en) Tasking system
US2022019806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Selective Location-Based Anonymity and Privacy
KR102440447B1 (ko) 소셜 범죄 구성에 따른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63980B2 (en)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and responding to a school emergency
AU2018102252A4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