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105B1 -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 - Google Patents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105B1
KR102044105B1 KR1020180157200A KR20180157200A KR102044105B1 KR 102044105 B1 KR102044105 B1 KR 102044105B1 KR 1020180157200 A KR1020180157200 A KR 1020180157200A KR 20180157200 A KR20180157200 A KR 20180157200A KR 102044105 B1 KR102044105 B1 KR 102044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organic nanoparticles
composition
insulating
bas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이슬
남진호
유정석
정현정
허성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105B1/ko
Priority to US16/282,957 priority patent/US20200185122A1/en
Priority to EP19159594.1A priority patent/EP3664102A1/en
Priority to CN201910151156.2A priority patent/CN11129287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2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8Other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7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composed of semi-conduct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간전하(space charge) 축적에 의한 체적저항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절연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고, 절연층 등의 압출성이 저하되지 않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Insulation composition and direct current power cable hav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간전하(space charge) 축적에 의한 체적저항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절연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고, 절연층 등의 압출성이 저하되지 않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과 장거리 송전이 요망되는 대형 전력계통에서는 전력손실의 감소, 건설용지 문제, 송전용량 증대 등의 관점에서 송전전압을 높이는 고압송전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송전방식은 크게 교류송전방식과 직류송전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 직류송전방식은 직류로 전기 에너지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류송전방식은 먼저 송전 쪽의 교류전력을 적당한 전압으로 바꾸고 순변환장치에 의해 직류로 변환한 뒤 송전선로를 통해 수전 쪽으로 보내면, 수전 쪽에서는 역변환장치에 의해 직류전력을 다시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특히, 상기 직류전송방식은 대용량의 전력을 장거리 수송하는데 유리하고 비동기 전력계통의 상호 연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거리 송전에 있어서 직류가 교류보다 전력 손실이 적고 안정도가 높으므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고압 직류 송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송전이 진행되는 경우 케이블 절연체의 온도가 상승할 때나 부극성 임펄스 또는 극성 반전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절연체의 절연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절연체 내에 일단의 전하가 포획되거나 방전되지 않으면서 수명이 긴 공간전하(space charge)가 축적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공간전하는 고압 직류 송전 케이블 절연체 내의 전기장을 왜곡시켜 최초 설계된 절연 파괴전압보다 낮은 전압에서 절연 파괴를 일으킬 수 있고, 종래 전력 케이블의 절연체에 무기 입자를 첨가하여 상기 절연체 내의 공간전하를 트랩핑(trapping)함으로써 이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무기 입자는 상기 절연체 내에서 서로 응집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상기 절연체 내에서 응집된 상기 무기 입자는 공간전하 저감 효과를 구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상기 절연체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과 압출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상기 절연체 내에서의 상기 무기 입자의 분산이 중요하다.
다만, 상기 절연체 내에서의 상기 무기 입자의 분산도와 이에 따른 공간전하 저감 및 전기장 왜곡 방지, 그리고 절연파괴강도의 저감 방지 사이의 상관관계가 정립되지 않아 상기 무기 입자의 분산도의 조절에 따른 공간전하 저감 및 절연파괴강도 향상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케이블 절연체 내의 무기 입자의 분산도의 정밀한 제어를 통해 공간전하(space charge) 축적에 의한 체적저항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절연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고, 절연층 등의 압출성이 저하되지 않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공간전하(space charge) 축적에 의한 체적저항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절연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층 등의 압출성이 저하되지 않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연 조성물로서,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포함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의 임의의 파단면에서 가로 1mm 및 세로 1 mm의 정사각형 단위면적 내에 포함되고 환산직경이 1 ㎛ 이상인 무기 나노입자의 밀도가 1 내지 300 개/㎟이고, 상기 임의의 파단면에서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분산도(D0.1)가 0.01 내지 0.2인,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55491996-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μ는 무기 나노입자의 평균 면적이고,
σ는 무기 나노입자의 평균 면적의 표준편차이다.
여기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의 아래 수학식 2로 정의되는 전계왜곡도(Field Enhancement Factor; FEF)가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학식 2]
FEF=(절연 시편에서 최대로 증가된 전계/절연 시편에 인가된 전계)*100
상기 수학식 2에서,
절연 시편에 인가된 전계는 DC 전계로서, 예를 들어, 50kV/mm이고,
절연 시편에서 최대로 증가된 전계는 DC 전계를 1시간 동안 인가하는 과정에서 인가된 전계 대비 증가된 전계값 중 최대값이다.
한편,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아연(ZnO), 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및 탄화규소(Si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크기가 1 내지 100 nm이고, 형상이 큐빅(cubic)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표면이 소수성으로 표면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올레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가교제 0.5 내지 2 중량%,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 및 스코치(scorch) 억제제 0.1 내지 1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감싸고 제1항 또는 제2항의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 및 상기 외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반도전층 또는 상기 외부 반도전층은 카본블랙을 포함하고,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나 데카그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기핵제 0.3 내지 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 반도전층 또는 상기 외부 반도전층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스코치 억제제로서 알파메틸스티렌다이머(AMSD) 0.1 내지 1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은 무기 입자의 분산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절연층 내의 공간전하를 저감시킴으로써 이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층의 체적저항과 직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고 절연파괴강도를 향상시켜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은 무기 입자의 분산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절연층 등의 압출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케이블의 횡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케이블의 종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케이블의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케이블(100)은 중심 도체(10), 상기 도체(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12), 상기 내부 반도전층(12)을 감싸는 절연층(14), 상기 절연층(14)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16), 상기 외부 반도전층(16)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18), 상기 차폐층(18)을 감싸는 외피(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도체(10)는 구리, 알루미늄,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지며 수밀 컴파운드 또는 수밀 테이프로 도체 수밀 기능이 있는 단선 또는 복수의 도선이 연합된 연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중심 도체(10)의 직경,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직경 등을 포함하는 규격은 이를 포함하는 직류 전력 케이블의 송전압,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케이블이 해저 케이블 같이 포설성, 가요성 등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중심 도체(10)는 단선보다는 유연성이 우수한 연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반도전층(12)은 상기 중심 도체(10)와 상기 절연층(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 도체(10)와 상기 절연층(14)의 층간 들뜸을 유발하는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외부 반도전층(16)은 상기 절연층(14)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기능, 국부적인 전계집중 완화 및 외부로부터 케이블 절연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 상기 내부 반도전층(12) 및 외부 반도전층(16)은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이 추가로 첨가된 반도전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반도전층(12,16)과 상기 절연층(14)의 층간 접착력을 위해 후술하는 절연층(14)의 절연 조성물에 적용된 베이스 수지와 유사한 계열의 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입자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올레핀과 극성 단량체,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EMM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EMA), 에틸렌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EPA), 에틸렌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EPM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에틸렌 부틸 메타크릴레이트(EBMA)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12,14)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이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전도성 입자로서 카본블랙 45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의 함량이 4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반도전 특성이 구현될 수 없는 반면, 70 중량부 초과시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12,14)의 압출성이 저하되어 표면특성이 저하되거나 케이블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상기 반도전층(12,16)에 포함된 베이스 수지의 가교방식에 따라 실란계 가교제, 또는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t-부틸 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 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디-t-부틸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과산화물계 가교제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부로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반도전 조성물에 포함된 베이스 수지의 가교시 필수적으로 생성되는 가교부산물의 함량이 과다하고, 이러한 가교부산물이 상기 반도전층(12,16)과 상기 절연층(14) 사이의 계면을 통해 상기 절연층(14) 내부로 이동하여 이종전하(heterocharge)를 축적시킴으로써 전계의 왜곡을 가중시켜 상기 절연층(14)의 절연파괴 전압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반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가교도가 불충분하여 상기 반도전층(12,16)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12,16)의 두께는 케이블의 송전압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345kV 전력 케이블의 경우, 상기 내부 반도전층(12)의 두께는 1.0 내지 2.5 mm일 수 있고, 상기 외부 반도전층(16)의 두께는 1.0 내지 2.5 mm일 수 있다.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12,16)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절연층(14)과 반도전층(12,16)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케이블의 뇌전압 파괴 특성을 향상시키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데카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기핵제 0.3 내지 5 중량부, 알파메틸스티렌다이머(alphamehtylstyrenedimer; AMSD) 등의 스코치 억제제 0.1 내지 1 중량부 또는 이들 모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4)은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첨가되어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의 압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올레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 수지,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첨가되어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는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아연(ZnO), 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등의 금속 또는 비금속 산화물 또는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탄화규소(SiC) 등의 탄소소재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첨가되는 경우 케이블의 도체로부터 절연층으로 주입되거나 절연층의 가교 부산물에 의해 형성된 공간전하(space charge)를 트랩핑(trapping)함으로써, 상기 공간전하에 의해 상기 도체 근방의 전계강도가 상승되고 이로써 상기 절연층의 절연파괴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유전율은 일반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의 유전율에 비해 크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나노입자로서 산화마그네슘의 유전율은 약 10인 반면, 상기 베이스 수지로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의 유전율은 약 2.2 내지 2.3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수지에 상기 무기 나노입자를 첨가한 상기 절연 조성물의 유전율은 상기 베이스 수지의 유전율보다 높아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크기가 나노스케일, 예를 들어, 1 nm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nm인 경우에는 마이크로스케일의 무기 입자를 첨가한 경우와 달리 오히려 상기 절연 조성물의 유전율이 상기 베이스 수지의 유전율보다 감축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또한 절연파괴전압도 상승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크기가 나노스케일인 경우 상기 절연 조성물의 유전율이 상기 베이스 수지의 유전율보다 감축되는 현상의 이유는 확인할 수 없으나, 소위 나노 효과(nano effect)에 의한 결과로 예측되고, 또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크기가 나노스케일로 조절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수지 내부의 계면 안정화에 의한 것으로 예측된다.
즉,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크기가 나노스케일로 조절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유전율이 감축되고,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층의 절연파괴전압이 상승하여 상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예를 들어 테라스(terrace), 큐빅(cubic), 로드(rod), 엣지리스(edge-less)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수지 내부의 계면 안정화 관점에서 큐빅(cubic) 형상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소수성이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표면은 친수성이기 때문에 상기 무기 나노입자를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표면을 소수성을 개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소수성 표면처리는 예를 들어 지방산 또는 실란계 표면처리제로 코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상기 기준 미달인 경우 상기 절연층(14)의 공간전하 저감 효과가 미미한 반면, 상기 기준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절연층(14)의 압출성이 저하되고, 특히 상기 절연층(14) 내에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응집에 의해 오히려 공간전하 저감 효과가 저하되고 상기 절연층(14)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무기 나노입자가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이고,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의 임의의 파단면에서 단위면적, 즉 가로 1 mm 및 세로 1 mm의 임의의 정사각형 내에 포함되고 환산직경, 즉 형상이 비원형인 입자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 1 ㎛ 이상인 무기 나노입자의 밀도가 1 내지 300 개/㎟임을 전제로, 상기 임의의 파단면에서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분산도(D0.1)가 0.01 내지 0.2인 경우 상기 절연층(14) 내의 공간전하 축적에 의한 전계왜곡도가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절연층(14)의 절연파괴전압이 극대화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55491996-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μ는 무기 나노입자의 평균 면적이고,
σ는 무기 나노입자의 평균 면적의 표준편차이다.
여기서, 상기 분산도(D0.1)가 0.01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층(14) 내에서 무기 나노입자들이 분산되지 않고 서로 응집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이로써 공간전하 축적 저감효과가 미미하여 전계왜곡 및 이에 따른 절연파괴강도 저하가 유발될 수 있고, 상기 분산도(D0.1)가 0.1 초과인 경우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기준 미달로 충분한 공간전하 축적 저감효과가 구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절연 시편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압출 등에 의해 형성된 절연 시편 또는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의 절연층에서 채취한 절연층 시편일 수 있고, 상기 절연 시편의 임의의 파단면이란 상기 절연 시편의 인장시 파단된 단면일 수 있다.
이로써, 아래 수학식 2로 정의되는 상기 절연 시편의 전계왜곡도(Field Enhancement Factor; FEF)는 150% 이하, 예를 들어, 100 내지 150%일 수 있다.
[수학식 1]
FEF=(절연 시편에서 최대로 증가된 전계/절연 시편에 인가된 전계)*100
상기 수학식 1에서,
절연 시편에 인가된 전계는 DC 전계로서, 예를 들어, 50kV/mm이고,
절연 시편에서 최대로 증가된 전계는 DC 전계를 1시간 동안 인가하는 과정에서 인가된 전계 대비 증가된 전계값 중 최대값이다.
상기 절연 조성물은 상기 무기 나노입자 이외에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가교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학 가교시 디큐밀퍼옥사이드 같은 유기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층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2 중량% 초과인 경우 가교도가 과도하여 조기 가교에 의한 스코치(scorch) 등이 유발되고 가교부산물이 과량으로 형성되어 공간전하 축적 및 이에 따른 체적저항 저하와 절연파괴전압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층의 산화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페놀계, 퀴논계, 아민계 등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스코치 억제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가교시 가교 특성의 추가 확보와 장기압출에 따른 스코치(scorch)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AMSD(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일 수 있다. 상기 스코치 억제제의 함량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해저케이블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케이블(200)은 도체(10), 내부 반도전층(12), 절연층(14) 및 외부 반도전층(16)은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의 외부에는 외부의 물과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게 되면 절연층(14)의 절연성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납(lead)으로 된 금속시스(metal sheath), 소위 '연피시스'(30)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연피시스(30)의 외부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과 같은 수지로 구성된 시스(32)와 물과 직접 접촉이 안되도록 베딩층(34)을 구비한다. 상기 베딩층(34)의 위에는 철선외장(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40)은 상기 케이블의 외곽에 구비되어 해저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철선외장(40)의 외곽, 즉 케이블의 외곽에는 케이블의 외장으로서 써빙(42)을 구비하게 된다. 써빙(42)은 케이블의 외곽에 구비되어 케이블(2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해저케이블의 경우에 써빙(42)은 해수 등과 같은 해저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후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질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써빙(42)은 폴리프로필렌 얀(polypropylene yar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1.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되고 아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무기 나노입자의 분산도(D0.1)와 밀도를 갖는 절연 시편을 제조했다.
분산도(D0.1) 밀도(개/㎟)
실시예 1 0.07 10.7
실시예 2 0.03 13.8
실시예 3 0.05 6.9
실시예 4 0.01 31.4
비교예 1 0.008 313.7
비교예 2 0.005 340
비교예 3 0.02 374.6
비교예 4 0.009 290
2. 물성 평가
1) 전계왜곡도(FEF)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절연 시편에 대해 PEA(pulsed electro acoustic) 평가를 수행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편들에 대해 실온에서 50kV/mm의 DC 전계를 1시간 동안 인가한 후 전계 인가를 중단하고 1시간 동안 단락시키는데, DC 전계를 인가한 경우와 단락시킨 경우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하 밀도를 측정했다.
또한, 시간별 전하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전계(Electric field)를 나타내는 적분값을 계산하고 적분값 중 최대값을 선별해 상기 수학식 1의 전계왜곡도(FEF)를 계산했다.
2) 직류절연파괴강도(kV/mm)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절연 시편 20개에 대해 DC 전압을 승압하면서 인가하여 Weibull 분포를 통해 파괴확률이 63.2%인 절연파괴전압을 계산했다.
전계왜곡도(FEF) 및 직류절연파괴강도의 평가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전계왜곡도(FEF) 직류절연파괴강도(kV/mm)
실시예 1 143 350
실시예 2 150 370
실시예 3 149 310
실시예 4 150 300
비교예 1 173 165
비교예 2 177 150
비교예 3 148 180
비교예 4 180 250
상기 표에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기 나노입자의 분산도(D0.1)가 0.01 미만으로 무기 나노입자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응집에 의해 환산직경이 1 ㎛로 큰 무기 나노입자의 밀도가 300개/㎟ 초과인 비교예 1 내지 4의 절연 시편은 공간전하 축적에 의한 전계왜곡도(FEF)가 150%를 초과하고, 이로써 직류 절연파괴전압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은 무기 나노입자의 분산도(D0.1) 및 밀도가 정밀하게 제어됨으로써 공간전하 축적의 저감효과로 인해 전계왜곡도(FEF)가 150% 이하로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직류 절연파괴전압이 300 kV/mm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도체 12 : 내부 반도전층
14 : 절연층 16 : 외부 반도전층
18 : 차폐층 20 : 외피
30 : 연피시스 32 : 시스
34 : 베딩층 40 : 철선외장
42 : 써빙

Claims (12)

  1. 절연 조성물로서,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포함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의 임의의 파단면에서 가로 1mm 및 세로 1 mm의 정사각형 단위면적 내에 포함되고 환산직경이 1 ㎛ 이상인 무기 나노입자의 밀도가 1 내지 300 개/㎟이고,
    상기 임의의 파단면에서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분산도(D0.1)가 0.01 내지 0.2이고,
    [수학식 1]
    Figure 112019055491996-pat00003

    상기 수학식 1에서,
    μ는 무기 나노입자의 평균 면적이고,
    σ는 무기 나노입자의 평균 면적의 표준편차이다.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 시편의 아래 수학식 2로 정의되는 전계왜곡도(Field Enhancement Factor; FEF)가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수학식 2]
    FEF=(절연 시편에서 최대로 증가된 전계/절연 시편에 인가된 전계)*100
    상기 수학식 2에서,
    절연 시편에 인가된 전계는 DC 전계로서, 예를 들어, 50kV/mm이고,
    절연 시편에서 최대로 증가된 전계는 DC 전계를 1시간 동안 인가하는 과정에서 인가된 전계 대비 증가된 전계값 중 최대값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아연(ZnO), 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및 탄화규소(SiC)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크기가 1 내지 100 nm이고, 형상이 큐빅(cubic)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표면이 소수성으로 표면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올레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가교제 0.5 내지 2 중량%,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 및 스코치(scorch) 억제제 0.1 내지 1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10.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감싸고 제1항 또는 제2항의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 및
    상기 외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전층 또는 상기 외부 반도전층은 카본블랙을 포함하고,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나 데카그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기핵제 0.3 내지 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전층 또는 상기 외부 반도전층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스코치 억제제로서 알파메틸스티렌다이머(AMSD) 0.1 내지 1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KR1020180157200A 2018-12-07 2018-12-07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 KR102044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00A KR102044105B1 (ko) 2018-12-07 2018-12-07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
US16/282,957 US20200185122A1 (en) 2018-12-07 2019-02-22 Insulation composition and direct-current power cable having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the same
EP19159594.1A EP3664102A1 (en) 2018-12-07 2019-02-27 Insulation composition and direct-current power cable having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the same
CN201910151156.2A CN111292875B (zh) 2018-12-07 2019-02-28 绝缘组合物及具有由该绝缘组合物形成的绝缘层的直流电力电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00A KR102044105B1 (ko) 2018-12-07 2018-12-07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105B1 true KR102044105B1 (ko) 2019-11-12

Family

ID=6562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200A KR102044105B1 (ko) 2018-12-07 2018-12-07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85122A1 (ko)
EP (1) EP3664102A1 (ko)
KR (1) KR102044105B1 (ko)
CN (1) CN1112928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98B1 (ko) * 2021-11-09 2022-04-15 주식회사 한일의료기 그래핀을 포함하는 난연성 피복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피복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6033B (zh) * 2023-04-17 2024-03-01 双登电缆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石墨烯的抗拉伸聚乙烯电缆材料及其制备工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072A (ko) * 2011-01-25 2012-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전성 조성물과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경량 전력 케이블
KR20120097685A (ko) * 2011-02-25 2012-09-05 주식회사 디와이엠 우수한 공간전하 축적 억제 특성을 갖는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KR101318457B1 (ko) * 2012-09-25 2013-10-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 전력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류 전력 케이블
JP2015183039A (ja) *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ジェイ・パワーシステムズ 絶縁材料の製造方法、マスタバッチ、絶縁材料および電力ケーブル
JP2016536768A (ja) * 2013-09-20 2016-11-2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架橋電力ケーブルを脱ガスする方法
KR20170107326A (ko) * 2016-03-15 2017-09-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저유전율을 갖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20180042822A (ko) * 2015-08-10 2018-04-26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직류 케이블, 조성물 및 직류 케이블의 제조 방법
KR20180115175A (ko) * 2017-04-12 2018-10-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 전력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1022A (ja) * 2005-04-11 2006-10-26 J-Power Systems Corp 絶縁組成物および電線・ケーブル並びに絶縁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408922B1 (ko) * 2010-04-02 2014-06-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용 전력 케이블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케이블
US20160104555A1 (en) * 2014-10-10 2016-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WO2017149087A1 (en) * 2016-03-04 2017-09-08 Borealis Ag Polymer composition and electrical devices
CN106700195B (zh) * 2016-11-04 2021-03-09 上海交通大学 高压直流电缆绝缘材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072A (ko) * 2011-01-25 2012-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전성 조성물과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경량 전력 케이블
KR20120097685A (ko) * 2011-02-25 2012-09-05 주식회사 디와이엠 우수한 공간전하 축적 억제 특성을 갖는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KR101318457B1 (ko) * 2012-09-25 2013-10-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 전력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류 전력 케이블
JP2016536768A (ja) * 2013-09-20 2016-11-2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架橋電力ケーブルを脱ガスする方法
JP2015183039A (ja) *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ジェイ・パワーシステムズ 絶縁材料の製造方法、マスタバッチ、絶縁材料および電力ケーブル
KR20180042822A (ko) * 2015-08-10 2018-04-26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직류 케이블, 조성물 및 직류 케이블의 제조 방법
KR20170107326A (ko) * 2016-03-15 2017-09-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저유전율을 갖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20180115175A (ko) * 2017-04-12 2018-10-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 전력 케이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180154933_0001
1020180154933_000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98B1 (ko) * 2021-11-09 2022-04-15 주식회사 한일의료기 그래핀을 포함하는 난연성 피복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피복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4102A1 (en) 2020-06-10
US20200185122A1 (en) 2020-06-11
CN111292875A (zh) 2020-06-16
CN111292875B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603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US10438716B2 (en) Insulation composition having low dielectric constant, and cable including insulation layer formed therefrom
KR102044105B1 (ko)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직류 전력 케이블
JP2022009935A (ja) 直流電力ケーブル
JP2022037067A (ja) 直流電力ケーブル
KR102256323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102256351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JP2017525084A (ja) 送電ケーブル
KR102499648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시스템
EP4181158A1 (en) High-voltage power cable
WO2018236013A1 (ko) 직류 전력 케이블
WO2018221803A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20220005831A (ko) 고전압 전력 케이블
KR102604898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시스템
KR101408924B1 (ko) 직류용 전력 케이블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류용 전력 케이블
WO2018221802A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