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892B1 -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 Google Patents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3892B1 KR102043892B1 KR1020180035809A KR20180035809A KR102043892B1 KR 102043892 B1 KR102043892 B1 KR 102043892B1 KR 1020180035809 A KR1020180035809 A KR 1020180035809A KR 20180035809 A KR20180035809 A KR 20180035809A KR 102043892 B1 KR102043892 B1 KR 1020438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eating
- heat
- pipe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29910021642 ultra pure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2498 ultrapur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56 waste inci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83—Filling valves or arrangements for fil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3—Domestic delivery stations having a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24D19/1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a by pass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3—Heat from a district heating networ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로써 난방 및 급탕용 온수를 가열하는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내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수 보충이 해당 열병합발전소의 초순수를 공급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역난방용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용 배관의 스케일 방지와 부식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열병합발전소 열수송관과의 간접 열교환을 통해 온수를 가열하여 해당 사용처에 공급하는 열사용 시설을 포함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보충수 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열수송관의 상기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회수라인상에 연결되어 상기 열수송관을 통해 이송 중인 초순수, 순수 및 증류수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분기시키며, 분기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가 상기 사용처에 난방용 온수로 공급되기 위한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 보충수로 사용되도록 이송하는 분기관과, 상기 열수송관으로부터 상기 분기관을 통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분기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로써 난방 및 급탕용 온수를 가열하는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내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수 보충이 해당 열병합발전소의 초순수를 공급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역난방용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용 배관의 스케일 방지와 부식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공동주택, 단독주택 등의 건축물에는 외부의 기온이 생활온도보다 낮을 경우 해당 건축물의 실내온도가 생활온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난방설비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난방설비의 방식을 분류하면, 개별난방 및 중앙난방 그리고 지역난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개별난방은 각 세대에 독립적으로 보일러가 구비되어 각 세대에서 단독으로 난방 및 급탕을 하는 방식이고, 중앙난방은 산업용의 대형 열원설비를 특정 단지 내의 기계실에 설치하여 해당 단지 내의 수용가에 공용의 배관 등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며, 지역난방은 열병합발전소 또는 쓰레기 소각장 등의 열생산시설에서 만들어진 중온수나 스팀을 건축물에 마련된 보일러실로 공급하여 일괄적으로 온수를 생산 후 각 세대로 공급하여 난방 및 급탕을 하는 방식이다.
지역난방을 위한 열병합발전소는 통상 열전용보일러, 축열조, 열교환기 및 펌프를 포함하며, 지역난방을 위해서는 열병합발전소의 펌프로부터 열의 수요처까지 열을 수송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열수송관이 필요하고, 열의 수요처에서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열 수요처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기관실이라 칭하며, 이러한 기관실에 설치되어 열병합발전소를 통한 지역난방을 공급받아 난방 및 급탕용 온수를 가열 후 가열된 온수를 각 세대에 공급하는 시설을 열사용 시설이라 칭한다.
부연 설명하면, 열사용 시설은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을 에너지원으로 난방 및 급탕용 온수를 가열 후 이렇게 가열된 온수를 난방 또는 급탕용 배관을 통해 각 세대로 공급한다.
한편, 유체가 흐르는 모든 곳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체 내에 존재하는 양이온, 음이온, 용존산소 등의 물질 간 상호 작용으로 인해 침전물이 점착되고 부식이 진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침전물(스케일, 이하 “스케일”이라 함) 및 부식 현상은 통수 또는 열전달 등의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여 해당 설비의 운전효율 약화 등을 초래하므로, 이의 방지나 완화를 위해서는 그 원인이 되는 양이온과 음이온 간의 상호 결합 억제 내지 생성물의 산화 방지를 유도해야 한다.
부연 설명하면, 양이온과 음이온 간의 결합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으로써, 전자를 잃은 양이온 물질 또는 전자를 더 많이 가지고 있는 음이온 물질은 상호 간 필요한 개수만큼의 전자를 제공 및 수용하면서 결합하여 완전물질이 되고 용해 상태에서 석출된다. 따라서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렇게 형성되는 스케일로 인한 폐해는 경미한 경우에서부터 매우 심각한 경우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배관 내의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기술들의 기본 원리는 배관에 양이온 및 음이온 간 결합을 방해하는 에너지 또는 물질을 공급하는 것이다.
예로써, 아연이나 마그네슘 등을 이용하는 희생양극 스케일 제거, 초음파 발생을 이용하는 스케일 제거, 화학약품을 이용하는 스케일 제거 등의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희생양극 스케일 제거 방식은 해당 스케일 제거 장치의 내부에 스케일이 형성됨에 따라 시간이 경과되면서 장치와 물과의 접촉면이 줄어들어 기능이 크게 저하된다.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스케일 제거 방식은 음파의 미치는 거리가 짧아 긴 배관에 적용 시 적절치 못하다. 또한, 화학약품을 이용한 스케일 제거 방식은 그 효과가 가장 빠르고 확실하지만 소모성 화학약품의 사용에 따른 정기적인 비용 발생 및 사용 후 2차 환경 오염을 발생하는 점 등으로 인해 완전한 위험 제거 수단을 갖춘 처리장이 아니면 사용이 어렵다는 난점들을 가진다.
상술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역난방을 공급받는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 및 급탕용 배관에도 스케일 발생 및 부식 현상이 진행된다. 이에 따라, 해당 배관 내의 스케일 제거 및 부식 방지용 화학 약품 처리에 고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그 관리 미흡에 따른 열전달 효율의 저하로 인해 에너지 낭비, 비용부담 증가, 기기 및 배관의 수명 단축 등 여러 난점들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부연 설명하면,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내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수 보충이 현재 이물질이 많이 포함된 상수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해당 열사용 시설 및 배관 내의 스케일 누적과 부식 현상이 사용 초기부터 빠르게 진행되고, 이는 열효율 하락 및 배관 설비 파손에 따른 고장 복구시의 비용이 전체 지역난방 지역을 기준으로 천문학적으로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로써 난방 및 급탕용 온수를 가열하는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내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수 보충이 해당 열병합발전소의 초순수를 공급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역난방용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용 배관의 스케일 방지와 부식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및 그 열사용 시설에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어 간접 열교환을 통한 온수 가열 기능을 수행 후 해당 열병합발전소로 회수되는 초순수의 일부가 해당 기관실 및 그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 보충수로 전환 사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지역난방용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용 배관 라인이 스케일 및 부식으로부터 최대한 보호될 수 있게 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열병합발전소 열수송관과의 간접 열교환을 통해 온수를 가열하여 해당 사용처에 공급하는 열사용 시설을 포함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보충수 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열수송관의 상기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회수라인상에 연결되어 상기 열수송관을 통해 이송 중인 초순수, 순수 및 증류수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분기시키며, 분기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가 상기 사용처에 난방용 온수로 공급되기 위한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 보충수로 사용되도록 이송하는 분기관과, 상기 열수송관으로부터 상기 분기관을 통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분기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상기 분기관을 통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분기되는 양 조절을 위해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수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감압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상기 분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열수송관의 상기 회수라인에 타단이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이송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바이패스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상기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과 간접 열교환을 통해 지역난방용 온수를 형성하는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배관과 연결되는 상수도 탱크 및 상기 상수도 탱크 및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배관이 연결되는 배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 탱크로부터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배관에 대한 상수 공급을 개폐하는 차단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로써 난방 및 급탕용 온수를 가열하는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내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수 보충이 해당 열병합발전소의 초순수를 공급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역난방용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 및 급탕용 배관의 스케일 방지와 부식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상수도를 사용하던 기존의 난방수 보충 방식에서 발생되고 있는 열효율 하락 현상 및 배관 설비의 잦은 파손에 따른 천문학적인 복구 비용의 부담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및 그 열사용 시설에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어 열교환을 통한 온수 가열 기능을 수행 후 해당 열병합발전소로 회수되는 초순수의 일부가 해당 기관실 및 그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 보충수로 전환 사용됨으로써, 해당 지역난방용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 및 급탕용 배관 라인이 스케일 및 부식으로부터 최대한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열병합발전소(100) 열수송관(110)과의 열교환을 통해 온수를 가열하여 해당 사용처에 공급하는 열사용 시설(200)을 포함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분기관(210) 및 개폐밸브(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수량계(230) 및 감압밸브(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기관(210)은 열병합발전소(100) 및 열사용 시설(200)을 연결하는 열수송관(110)의 열병합발전소(100)에 대한 회수라인(111)상에 연결되며, 이러한 분기관(210)은 열수송관(110)을 통해 이송 중인 초순수, 순수 및 증류수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분기시킨다. 그리고 분기관(210)은 열수송관(110)의 회수라인(111)으로부터 분기된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를 열사용 시설의 난방용 온수 생성을 위한 보충수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열사용 시설(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열병합발전소(100)의 열수송관(110)에 대한 간접 열교환을 통해 온수를 가열 후 이렇게 가열된 온수를 가정이나 사무실 등 그 사용처에 난방용으로 공급하며, 이를 위한 보충수를 분기관(210)을 통해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열병합발전소(100)는 통상 열수송관(110) 및 기타 다른 설비들의 스케일 생성 억제 및 부식 방지를 위해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열수송관(110)을 통해 열사용 시설(200)로 공급 후 회수되는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일부를 분기시켜 열사용 시설(200)의 난방용 보충수로 사용함에 따라, 열사용 시설(200)의 여러 설비 및 그 사용처에 난방 용도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들에 스케일 생성 억제 및 부식 방지의 기능이 제공된다.
개폐밸브(220)는 열수송관(110)으로부터 분기관(210)을 통한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분기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개폐밸브(220)는 열수송관(110)의 분기관(210)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거나 분기관(210)상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분기관(210) 및 열사용 시설(200) 간의 연결 지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개폐밸브(220)가 분기관(210) 상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수량계(230)는 분기관(210)을 통한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분기되는 양 조절을 위해 분기관(210)에 설치된다.
감압밸브(240)는 분기관(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감압밸브(240)를 통해 분기관(210) 내 압력이 고압 상태로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수도 탱크(310)의 상수가 열사용 시설(200)과 연결되는 난방배관으로 공급되는 것은 차단된 상태에서 샤워기(330) 등 냉수 내지 급탕 온수를 사용하는 사용처로만 공급되며, 이를 위해 상수도 탱크(310)와 난방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상에 차단밸브(340)가 설치된다. 또한, 필요 시 차단밸브(340)가 개방되어 상수도 탱크(310)의 상수가 난방배관에 난방용 보충수로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13, 112, 320 및 290은 각각 열병합 발전소(100)의 온수가 지역난방의 열사용 시설(200)로 공급되게 하는 펌프, 열량계 및 상수도 탱크(310)의 상수가 샤워기(330) 내지 필요 시 지역난방의 난방배관으로 공급되게 하는 펌프 및 난방배관 내의 난방용 온수를 순환시키는 세대난방 순환펌프를 예시한 것이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와 비교하여, 바이패스 라인(260), 바이패스 개폐밸브(270)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이러한 바이패스 라인(260), 바이패스 개폐밸브(27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나머지 구성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의 해당 구성들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
삭제
바이패스 라인(260)은 분기관(2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열수송관(110)의 회수라인(111)에 타단이 연결된다.
바이패스 개폐밸브(270)는 바이패스 라인(260)을 통한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이송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된다.
삭제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열교환기(205)에 연결되는 이송라인의 내압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바이패스 개폐밸브(270)이 개방되어 열교환기(205)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를 열수송관(110)의 회수라인(111)으로 바이패스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이송라인의 내압이 다시 정상 상태로 낮아질수 이꼬, 이는 이송라인 및 열교환기(205) 등 관련 시설의 안정성 향상의 결과로 이어진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는,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로써 난방 및 급탕용 온수를 가열하는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내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수 보충이 해당 열병합발전소의 초순수를 공급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에 따라, 지역난방용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용 배관의 스케일 방지와 부식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지역난방 지역의 기관실 및 그 열사용 시설에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을 통해 공급되어 간접 열교환을 통한 온수 가열 기능을 수행 후 해당 열병합발전소로 회수되는 초순수의 일부가 해당 기관실 및 그 열사용 시설에 대한 난방 보충수로 전환 사용되게 함으로써, 해당 지역난방용 기관실의 열사용 시설 및 그와 연결되는 난방용 배관 라인이 스케일 및 부식으로부터 최대한 보호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열병합발전소 110 : 열수송관
111 : 회수라인 112 : 열량계
113 : 펌프 200 : 열사용 시설
205 : 열교환기 210 : 분기관
220 : 개폐밸브 230 : 수량계
240 : 감압밸브 260 : 바이패스 라인
270 : 바이패스 개폐밸브 290 : 세대난방 순환펌프
310 : 상수도 탱크 320 : 펌프
330 : 샤워기 340 : 차단밸브
111 : 회수라인 112 : 열량계
113 : 펌프 200 : 열사용 시설
205 : 열교환기 210 : 분기관
220 : 개폐밸브 230 : 수량계
240 : 감압밸브 260 : 바이패스 라인
270 : 바이패스 개폐밸브 290 : 세대난방 순환펌프
310 : 상수도 탱크 320 : 펌프
330 : 샤워기 340 : 차단밸브
Claims (5)
- 열병합발전소 열수송관과의 간접 열교환을 통해 온수를 가열하여 해당 사용처에 공급하는 열사용 시설을 포함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열수송관의 상기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회수라인상에 연결되어 상기 열수송관을 통해 이송 중인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분기시키며, 분기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가 상기 사용처에 난방용 온수로 공급되기 위한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 보충수로 사용되도록 이송하는 분기관; 및
상기 열수송관으로부터 상기 분기관을 통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분기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열수송관의 회수라인에 타단이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이송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바이패스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을 통한 상기 초순수, 순수 또는 증류수의 분기되는 양 조절을 위해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수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감압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발전소의 열수송관과 간접 열교환을 통해 지역난방용 온수를 형성하는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배관과 연결되는 상수도 탱크;
상기 상수도 탱크 및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배관이 연결되는 배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 탱크로부터 상기 열사용 시설의 난방배관에 대한 상수 공급을 개폐하는 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809A KR102043892B1 (ko) | 2018-03-28 | 2018-03-28 |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809A KR102043892B1 (ko) | 2018-03-28 | 2018-03-28 |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3305A KR20190113305A (ko) | 2019-10-08 |
KR102043892B1 true KR102043892B1 (ko) | 2019-11-12 |
Family
ID=6820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5809A KR102043892B1 (ko) | 2018-03-28 | 2018-03-28 |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389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2050B1 (ko) | 2016-11-16 | 2017-01-03 |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 지역난방 열원의 이중 압력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6991B1 (ko) * | 1999-05-14 | 2004-09-04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지역난방 복합화력발전소용 증기터빈 배압 조절장치 |
KR200229541Y1 (ko) | 2000-11-01 | 2001-07-19 | 이원교 | 지역 난방 순환수 정제장치 |
KR100454356B1 (ko) * | 2002-01-31 | 2004-10-28 | (주)유원건축사사무소 | 지역난방에서 공급자와 수용가의 열매체(난방수)공유장치 |
KR101089731B1 (ko) * | 2009-03-13 | 2011-12-07 | 나승기 | 열병합 온수 공급 시스템 |
KR101458021B1 (ko) | 2014-01-17 | 2014-11-04 | 주식회사 세기 | 스케일 부착 방지기능을 가지는 고효율 히트펌프 시스템 |
-
2018
- 2018-03-28 KR KR1020180035809A patent/KR1020438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2050B1 (ko) | 2016-11-16 | 2017-01-03 |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 지역난방 열원의 이중 압력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3305A (ko) | 2019-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3160B1 (ko) | 기존 급탕라인을 이용한 공동주택 세대별 난방공급장치 및 방법 | |
CA2901700C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energy from wastewater | |
KR100860431B1 (ko) | 열병합발전과 지역난방 통합시스템 | |
FI129736B (fi) | Kaukolämpöjärjestelmä | |
KR102043892B1 (ko) | 지역난방 시스템의 난방 보충수 공급구조 | |
WO2022094900A1 (zh) | 一种基于单管长输的低温余热供热系统 | |
CN205744026U (zh) | 电厂乏汽加热生活水及软化水供热补水系统 | |
RU2434144C1 (ru) | Система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и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ее работы | |
Dalla Rosa et al. | IEA DHC Annex X report: Toward 4th Generation District Heating: Experience and Potential of Low-Temperature District Heating | |
KR100774249B1 (ko) | 열병합 발전의 지역난방 공급 시스템 | |
Khujaev et al. | Modernization of existing infrastructure, heat supply systems | |
JP2015004485A (ja) | 貯湯式給湯システム | |
KR100849909B1 (ko) | 지역난방의 저온저압 열공급 시스템 | |
Palfrey | The future of water heating: Gaining energy from various sources | |
KR102450821B1 (ko) | 급탕을 이용한 통합배관 시스템 | |
KR100566344B1 (ko) | 폐열 회수 급탕 시스템 | |
CN210532505U (zh) | 一种节能采暖装置 | |
EP2513566A2 (en) | Split system for heating and storing water for solar heating plants, and relative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system | |
JP7450178B2 (ja) | 浴槽温水保温循環システム | |
RU2686249C2 (ru) | Система тепловодоснабжения компрессорной станции | |
Chernykov et al. | Hot water supply systems of open and closed types | |
EA008363B1 (ru) | Система утилизации сбросной теплоты, совмещённая с системой хозяйственно-питьев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 |
Kim | Analysis of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District Heating and Gas Engine Co-Generation System Compared with the Central Heating System | |
CN206803315U (zh) | 一种能够对暖房蒸汽进行保压疏水及循环利用的系统 | |
JP2007138562A (ja) | 水道水ライン温度安定化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