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706B1 -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706B1
KR102043706B1 KR1020170175405A KR20170175405A KR102043706B1 KR 102043706 B1 KR102043706 B1 KR 102043706B1 KR 1020170175405 A KR1020170175405 A KR 1020170175405A KR 20170175405 A KR20170175405 A KR 20170175405A KR 102043706 B1 KR102043706 B1 KR 10204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ffset
time
terminal
measur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047A (ko
Inventor
정의훈
정영균
김영균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네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네스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7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1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1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제1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오프셋과 시간 길이가 다른 제2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제2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NSMITTING DATA BASED ON OFFSET}
아래의 설명은 데이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에 있는 계측기를 사용하여 계측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분석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계측기에서 계측한 결과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분석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계측기는 계측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값을 오실로스코프로 전송한다. 계측되는 신호가 주기성을 가지고, 만약 신호의 주기와 계측기의 샘플링 주기가 비슷한 경우에는, 계측되는 신호의 전체적인 특징이 아닌 일부의 한정된 특징만이 오실로스코프에 전달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계측되는 신호가 잘못 분석되거나 표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1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1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제1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오프셋과 시간 길이가 다른 제2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제2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프셋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1 오프셋의 시간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와 상기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프셋은, 상기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를 2 이상의 자연수로 분할한 세부 시간 구간의 자연수배의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3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3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3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제3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제4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4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제4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4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오프셋, 상기 제2 오프셋, 상기 제3 오프셋 및 상기 제4 오프셋 각각의 시간 길이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전달 주기 시간, 상기 제2 전달 주기 시간, 상기 제3 전달 주기 시간 및 상기 제4 전달 주기 시간 각각의 시간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계측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된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결정하는 전송 데이터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데이터 결정부는, 제1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1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1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오프셋과 시간 길이가 다른 제2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제2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기에서 계측된 신호의 전체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통신 기술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기에서 계측된 신호의 데이터를 단말기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와 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와 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측기(110)는 계측을 통해 측정된 어떠한 물리적인 양을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계측기(110)는 측정된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센서나 트랜스듀서로부터 전달된 출력을 신호 처리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신호 조정 요소(signal conditioning element), 신호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 요소(signal processing element) 및 계측 데이터를 관측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요소(data presenting el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측기(110)는 측정된 물리적인 양을 계측 데이터로 생성하며, 측정된 값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계측기(1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110)와 단말기(120)는 케이블을 통해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120)는 모바일 폰,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랩탑, 노트북, 넷북 또는 태블릿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단말기(120)는 계측기(110)로부터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20)를 통해 계측 데이터의 편집, 분석 및 확대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계측기(110)와 단말기(120)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계측기(110)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 중 일부의 계측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단말기(12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는 계측기(110)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 전부를 단말기(120)에 전송하기에는 네트워크 속도 및 버퍼의 크기가 뒷받침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측기(110)가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120)에 전송할 때, 전송되는 계측 데이터가 원래의 계측된 신호의 전체적인 특징을 잘 반영하게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측기(110)에 의해 측정되어 계측기(110)에 저장된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120)로 전송할 때, 특정한 전달 주기 시간에 기초하여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 때, 전달 주기 시간은 다시 복수 개의 세부 시간 구간들로 나뉠 수 있고, 세부 시간 구간에 기초하여 계측 데이터의 전송 시점과 관련된 오프셋(offset)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오프셋을 적용하여 계측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단말기(120)를 통해 전체적인 신호 특징을 잘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계측기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계측기의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장치는 계측기에 포함된 센서나 트랜스듀서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를 신호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 등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계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계측 데이터는 별도의 저장소(예를 들어,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220)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1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1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전달 주기 시간은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점에 대한 주기 시간을 나타낸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매 전달 주기 시간마다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달 주기 시간을 N(자연수) 개의 세부 시간 구간들로 분할하고, 세부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계측 데이터에 적용할 오프셋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오프셋은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에서 어느 시간 구간의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로 결정한 것인지를 결정하게 하는 파라미터이다.
단계(230)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단계(220)에서 결정된 제1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달 주기 시간이 종료되면, 이어서 제2 전달 주기 시간에 진입한다. 이 때, 제1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와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단계(240)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오프셋과 시간 길이가 다른 제2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2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전달 주기 시간도 제1 전달 주기 시간과 동일하게 N 개의 세부 시간 구간들로 분할될 수 있고, 제2 오프셋도 세부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오프셋의 시간 길이는 단계(220)에서 이용된 제1 오프셋의 시간 길이보다 길 수 있고, 제2 오프셋은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를 2 이상의 자연수로 분할한 세부 시간 구간의 자연수배의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단계(250)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단계(230)에서 결정된 제2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달 주기 시간이 종료되면, 이어서 제3 전달 주기 시간에 진입한다. 이 때, 제3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도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와 동일하다.
단계(260)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오프셋 및 제2 오프셋과 시간 길이가 다른 제3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3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3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3 오프셋의 시간 길이는 세부 시간 구간의 자연수배의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단계(270)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단계(260)에서 결정된 제3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전달 주기 시간을 4개의 세부 시간 구간들로 구분한 경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4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4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4 데이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4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달 주기 시간, 제2 전달 주기 시간, 제3 전달 주기 시간 및 제4 전달 주기 시간 각각의 시간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제1 오프셋, 제2 오프셋, 제3 오프셋 및 제4 오프셋 각각의 시간 길이는 서로 다르며, 각각의 오프셋들은 세부 시간 구간의 정수배의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4 데이터가 전송된 이후의 각각의 전달 주기 시간에는, 다시 제1 오프셋부터 제4 오프셋이 각각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에 전송될 데이터 구간이 결정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정보(310)는 계측기의 버퍼에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정보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통해 단말기에 전송되고, 단말기는 수신한 계측 정보(340)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계측기에서 측정된 계측 정보의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전달 주기 시간 T에 의해 계측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달 주기 시간 T를 기초로 한 번씩 계측 데이터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전달 주기 시간 T는 다시 N(자연수) 개의 세부 시간 구간 S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N이 4개인 경우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세부 시간 구간 S는 T/4가 된다. 전달 주기 시간 T 및 세부 시간 구간 S(또는 N)의 값은 버퍼의 크기, 전송할 계측 데이터의 크기, 전속 속도, 계측 데이터의 주기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버퍼의 크기가 작으면 세부 시간 구간 S는 작은 값을 적용하고, 버퍼의 크기가 크면 세부 시간 구간 S는 상대적으로 큰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매 전달 주기 시간 T마다 세부 시간 구간에 오프셋을 적용하여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전달 주기 시간 동안 제1 오프셋을 적용한 시점부터 시작되는 세부 시간 구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322)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프셋은 0 (초; second) 시간이라고 가정한다. 이후에, 데이터 전송 장치는 다음 전달 주기 시간인 제2 전달 주기 시간 동안 제2 오프셋(334)을 적용한 시점부터 시작되는 세부 시간 구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324)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데이터 전송 장치는 다음 전달 주기 시간인 제3 전달 주기 시간 동안 제3 오프셋(336)을 적용한 시점부터 시작되는 세부 시간 구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326)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4 전달 주기 시간 동안 제4 오프셋(338)을 적용한 시점부터 시작되는 세부 시간 구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328)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송할 계측 데이터에 적용되는 오프셋의 길이는 특정한 전달 주기 시간들 동안 점차 증가할 수 있고, 이 때, 증가되는 크기는 세부 시간 구간의 길이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에는 계측 데이터(322, 324, 326, 328)가 저장되고, 단말기는 저장한 계측 데이터(322, 34, 326, 328)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신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매 전달 주기 시간마다 세부 시간 구간을 기초로 오프셋을 적용하여 계측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신호 정보를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을 통해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에 전부 전송할 필요 없이, 일부의 계측 데이터만을 단말기에 전송하여 신호의 전체적인 특성을 확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계측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해 진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400)는 본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데이터 전송 장치(400)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400)는 계측 데이터 획득부(410), 전송 데이터 결정부(420) 및 통신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 데이터 획득부(410)는 계측기(440)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계측 데이터 획득부(410)는 계측기(440)에 포함된 센서나 트랜스듀서로부터 측정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를 신호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 등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계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계측 데이터는 버퍼와 같은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전송 데이터 결정부(420)는 획득된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450)로 전송할 데이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송 데이터 결정부(420)는 제1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1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450)로 전송할 제1 데이터를 결정하고, 제1 오프셋과 시간 길이가 다른 제2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450)로 전송할 제2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 데이터 결정부(4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450)로 전송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400)는 전달 주기 시간을 N(자연수) 개의 세부 시간 구간들로 분할하고, 세부 시간 구간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계측 데이터에 적용할 오프셋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오프셋은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에서 어느 시간 구간의 계측 데이터를 단말기(450)로 전송할 데이터로 결정한 것인지를 결정하게 하는 파라미터이다.
통신부(430)는 전송 데이터 결정부(420)에 의해 전송하기로 결정된 데이터를 단말기(450)로 전송한다. 통신부(4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기(450)로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10, 440: 계측기
120, 450: 단말기
400: 데이터 전송 장치
410: 계측 데이터 획득부
420: 전송 데이터 결정부
430: 통신부

Claims (5)

  1.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1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1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제1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오프셋과 시간 길이가 다른 제2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제2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프셋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1 오프셋의 시간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와 상기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오프셋은,
    상기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를 2 이상의 자연수로 분할한 세부 시간 구간의 자연수배의 시간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3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3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3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제3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제4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4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제4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4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오프셋, 상기 제2 오프셋, 상기 제3 오프셋 및 상기 제4 오프셋 각각의 시간 길이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전달 주기 시간, 상기 제2 전달 주기 시간, 상기 제3 전달 주기 시간 및 상기 제4 전달 주기 시간 각각의 시간 길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계측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된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결정하는 전송 데이터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데이터 결정부는,
    제1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1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제1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오프셋과 시간 길이가 다른 제2 오프셋에 기초하여 제2 전달 주기 시간 동안의 상기 계측 데이터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제2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오프셋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1 오프셋의 시간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와 상기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오프셋은,
    상기 제2 전달 주기 시간의 길이를 2 이상의 자연수로 분할한 세부 시간 구간의 자연수배의 시간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170175405A 2017-12-19 2017-12-19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4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05A KR102043706B1 (ko) 2017-12-19 2017-12-19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05A KR102043706B1 (ko) 2017-12-19 2017-12-19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47A KR20190074047A (ko) 2019-06-27
KR102043706B1 true KR102043706B1 (ko) 2019-11-12

Family

ID=6705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405A KR102043706B1 (ko) 2017-12-19 2017-12-19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7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887A (ja) * 2003-08-20 2005-03-10 Horiba Ltd 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適用される分析装置
JP2009169888A (ja) * 2008-01-21 2009-07-30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測定データの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1988A (ja) * 1998-03-05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星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20110009615A (ko) * 2009-07-22 2011-01-28 제이에프이 메커니컬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를 구비한 설비기기의 진단장치
KR20140038206A (ko) * 2012-09-20 2014-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정형 데이터의 실시간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887A (ja) * 2003-08-20 2005-03-10 Horiba Ltd 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適用される分析装置
JP2009169888A (ja) * 2008-01-21 2009-07-30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測定データの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47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80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peech synthesis model
EP4131082A1 (en) Data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006964B2 (en) Chip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9977839B2 (en) Improving accuracy of time of event determination at sensor device
WO2015012814A1 (en) Automated generation of scripted and manual test cases
CN109547363A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662427B (zh) 一种逻辑系统设计的调试方法及设备
US202200121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bugging device
EP2784515A3 (en) Sample analysis method, sample analysis system, and recovery method
CN110750928A (zh) 有限元模型优化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3037831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measuring power quality
CN111402220B (zh) 用于获取信息的方法及装置
US201600808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site microphone calibration
KR102043706B1 (ko) 오프셋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6113691B2 (ja) センサ装置、処理装置、センサシステム及び物理量の出力方法
US96646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gas meters
US103039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achine-readable biometric data
EP3220295A1 (en) Circuit verification on a distributed database processing system
CN109425392B (zh) 现场仪器、系统及波形数据输出方法
KR20180045510A (ko) 지자기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0084298B (zh) 用于检测图像相似度的方法及装置
CN112464039A (zh) 树形结构的数据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0033088B (zh) 估计gps数据的方法和装置
CN113701923A (zh) 一种特性曲线的获取方法、装置、终端和介质
CN109542793B (zh) 一种程序性能分析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