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683B1 - 애완동물 화장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683B1
KR102043683B1 KR1020170158949A KR20170158949A KR102043683B1 KR 102043683 B1 KR102043683 B1 KR 102043683B1 KR 1020170158949 A KR1020170158949 A KR 1020170158949A KR 20170158949 A KR20170158949 A KR 20170158949A KR 102043683 B1 KR102043683 B1 KR 10204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et
sand
point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599A (ko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주)잇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잇펫 filed Critical (주)잇펫
Priority to KR102017015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6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46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manure-loaders, manure-ramps or manure-elevators associated with in-house remov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애완동물 화장실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의 배설개구 및 배설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배설공간에서 배설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는 모래수용부; 배설공간에서 모래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로 오목한 가이드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용변처리부로서, 가이드경로의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몸체 및 일단이 이동몸체에 고정되며 타단이 모래수용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용변거름부재를 포함하는 용변처리부; 모래수용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애완동물 및 애완동물의 용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가 애완동물의 용변만을 감지할 경우, 이동몸체를 제1지점으로부터 제2지점으로 편도 이동시키거나 제2지점으로부터 제1지점으로 편도 이동시켜 감지된 용변을 모래수용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화장실{Toilet for Pets}
본 개시는 애완동물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과 관련된 문제들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애완동물이 지정된 장소가 아닌 아무 곳에서 배변을 하는 문제이다.
애완동물의 배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완동물의 배변을 특정 장소에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애완동물 배변기 제품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애완동물 배변기는 애완동물이 배변할 때마다 매번 용변을 처리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다른 애완동물 배변기는 애완동물의 용변 처리를 자동화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KR 10-1327717 B1) 및 특허문헌 2(JP 2001-309731 A)는 빗 형상을 가지는 용변처리부재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용변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는, 용변처리부재가 일 지점에서 출발하여 애완동물의 용변을 수거한 다음, 타 지점에 수거한 용변을 처리하고, 그 후 다시 일 지점으로 되돌아오는 왕복이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왕복이동 방식으로는 애완동물 배변기의 1회 사용시간이 너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 가정에서 여러 마리의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거나, 애완동물의 변비, 설사 등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처럼, 애완동물 배변기의 잦은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애완동물 배변기의 1회 사용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는 애완동물의 용변을 1회 처리할 때마다 용변처리부를 1회 편도 이동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용변을 자동으로 처리하면서, 동시에, 애완동물 화장실의 1회 사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 화장실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의 배설개구 및 배설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배설공간에서 배설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는 모래수용부; 배설공간에서 모래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로 오목한 가이드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용변처리부로서, 가이드경로의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몸체 및 일단이 이동몸체에 고정되며 타단이 모래수용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용변거름부재를 포함하는 용변처리부; 모래수용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애완동물 및 애완동물의 용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가 애완동물의 용변만을 감지할 경우, 이동몸체를 제1지점으로부터 제2지점으로 편도 이동시키거나 제2지점으로부터 제1지점으로 편도 이동시켜 감지된 용변을 모래수용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애완동물 화장실은 애완동물의 용변을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애완동물 주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애완동물 화장실의 1회 사용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애완동물을 여러 마리 키우거나, 애완동물이 변비, 설사 등의 질병에 걸리는 등 잦은 애완동물 화장실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도, 애완동물 화장실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화장실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부가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구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기 및 제2살균기가 자외선을조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구현도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화장실의 애완동물 화장실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화장실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애완동물 화장실은 본체(100), 모래수용부(120), 모래진동부(122), 용변처리부(130), 용변수용부(160) 및 냄새제거부(19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상부의 배설개구(102) 및 배설공간(104)을 포함한다. 배설개구(102)는 본체(100)의 외부와 본체(100)의 배설공간(104)을 연통하는 구멍을 의미하며, 애완동물(P)은 배설개구(102)를 통해 배설공간(104)에 용변을 배설하게 된다.
모래수용부(120)는 배설공간(104)에서 배설개구(102)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모래수용부(120)는 중간부분이 움푹 패인"V"자 형상 내지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모래수용부(120)의 상면에는 모래가 수용함으로써 애완동물(P)이 배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애완동물(P)은 모래수용부(120)에 수용된 모래 위에 배변하게 되므로, 애완동물의 용변(S)이 모래수용부(120)에 직접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든다. 따라서, 세척 면적이 줄어들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양이는 자신의 용변을 감추는 습성 때문에 본능적으로 모래 위에 배변을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모래수용부(120)의 수용된 모래를 통해, 고양이의 배변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래수용부(120)는 하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므로, 모래는 모래수용부(120)의 중앙의 오목한 부분부터 채워진다. 이에 따라, 모래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모래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래수용부(120)는 하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므로, 용변처리부(130)가 쓸고 지나간 후에도 모래가 다시 모래수용부(120)의 중앙의 오목한 부분에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
모래수용부(120)는 양단에 애완동물의 용변(S)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변낙하개구(124A, 124B)를 포함한다. 모래수용부(120)는 용변낙하개구(124A, 124B)를 통해 애완동물의 용변(S)을 모래수용부(12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용변처리부(130)는 배설공간(104)에서 모래수용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로 오목한 가이드경로(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용변처리부(130)는 이동몸체(132) 및 용변거름부재(134)를 포함한다.
이동몸체(132)는 가이드경로(110)의 제1지점(112) 및 제2지점(114)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용변거름부재(134)는 일단이 이동몸체(132)에 고정되며 타단이 모래수용부(120) 표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경로(110)는 유선형인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분적으로 직선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도경로(11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몸체(132)의 이동 방식은 레일 또는벨트를 이용한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래진동부(122)는 모래수용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모래수용부(120)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모래진동부(122)의 진동방식은 전기모터의 편심회전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화장실에서는, 모래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모래에 용변거름부재(134)가 쓸고 지나간 자국이 남거나, 모래수용부(120)의 경사면에 모래가 일부 묻을 수 있다. 이때, 모래진동부(122)는 모래수용부(120)를 진동시킴으로써, 모래가 다시 모래수용부(120)의 중앙의 오목한 부분에 모일 수 있도록 해준다.
감지센서(140)는 모래수용부(1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애완동물(P) 및 애완동물의 용변(S)을 감지한다. 감지센서(140)는 광센서 및 중량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감지센서(140)가 애완동물의 용변(S)만을 감지할 경우, 이동몸체(132)를 제1지점(112)으로부터 제2지점(114)으로 편도 이동시키거나, 제2지점(114)으로부터 제1지점(112)으로 편도 이동시켜 감지된 용변(S)을 모래수용부(120)로부터 배출시킨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도 2와 관련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용변수용부(160)는 하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며 배설공간(104)에서 모래수용부(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용변수용부(160)는 용변낙하개구(124A, 124B)에서 배출되는 용변(S)을 오목한 단면을 통해 중앙 부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용변(S)이 가지는 점성 또는 용변(S)과 용변수용부(160)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 등에 의해 용변(S)이 용변수용부(160)에 부착되어 중앙으로 이동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변수용부(160)에 형성된 경사는 모래수용부(120)에 형성된 경사보다 가파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변수용부(160)는 용변수용부(160)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는 용변(S)을 저장 가능하도록 구성된 용변저장공간(162)을 포함한다.
냄새제거부(190)는 애완동물의 용변(S)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냄새제거부(190)는 냄새필터(미도시), 환기 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냄새필터(미도시)는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교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제1살균기(170)는 용변처리기(130)를 살균할 수 있으며, 제2살균기(180)는 모래수용부(120)에 수용된 모래 및 모래수용부(120) 중 하나 이상을 살균할 수 있다. 제1살균기(170) 및 제2살균기(180)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4와 관련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부(130)가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구현도이다.
도 2는 이동몸체(132)가 초기에 제1지점(112)에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용변처리부(130)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용변처리부(130)의 이동방향이 제1지점(112)에서 제2지점(114)으로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를 참조하면, 애완동물(P)은 모래수용부(120)의 상면에 수용된 모래 위에 용변(S)을 배설한다. 이때, 감지센서(140)는 애완동물(P)과 애완동물의 용변(S) 모두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애완동물(P)은 용변(S)를 배설하고 애완동물 화장실에서 벗어난다. 이때, 감지센서(140)는 애완동물의 용변(S)만을 감지하게 되고 애완동물(P)이 배변을 끝냈다는 감지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50)는, 이동몸체(132)가 제1지점(112)에 있을 때는 이동몸체(132)를 가이드경로(110)를 따라 제2지점(114)까지 편도 이동시키고, 반대로, 이동몸체(132)가 제2지점(114)에 있을 때는 이동몸체(132)를 가이드경로(110)를 따라 제1지점(112)까지 편도 이동시킨다.
제어부(150)에 의해 이동몸체(132)가 이동할 때, 용변거름부재(134)는 모래수용부(120)의 상면에 위치하는 모래 및 애완동물의 용변(S)을 쓸고 지나간다.
모래 및 애완동물의 용변(S)을 쓸고 지나갈 때, 용변거름부재(134)는 모래는 거르고 애완동물의 용변(S)만 모래수용부(120)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를 위한 용변거름부재(134)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2(c)를 참조하면, 이동몸체(132)가 편도 이동을 완료할 때, 애완동물의 용변(S)은 용변낙하개구(124A, 124B)에 도달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애완동물의 용변(S)은 용변낙하개구(124A, 124B)를 통해 모래수용부(120)로부터 배출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모래수용부(120)로부터 용변수용부(160)에 배출된 애완동물의 용변(S)은 용변수용부(160)의 오목한 단면에 의해 용변수용부(160)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e)를 참조하면, 용변수용부(160)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 애완동물의 용변(S)은 용변저장공간(162)에 저장된다.
이동몸체(132)는 편도 이동을 완료한 후, 다시 출발점(112)으로 되돌아가지 않으며, 도착점(114)에서 대기상태로 있는다. 그 후, 다시 애완동물(P)이 애완동물 화장실에 배변할 경우, 도착점(114)은 새로운 출발점(114)이 되어 도 2(a) 내지 도 2(e)의 과정을 반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애완동물 화장실은, 애완동물의 용변(S)을 1회 처리할 때 용변처리부(130)를 1회 편도 이동시키므로, 용변처리부(1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성능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성능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모래수용부(120) 및 가이드경로(110)는 대칭인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애완동물 화장실은, 애완동물의 용변(S)을 1회 처리할 때 용변처리부(130)를 1회 편도 이동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 화장실을 사용한 후 다음 사용이 가능한 시간까지의 시간간격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부(13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변거름부재(134)는, 모래는 거르고 애완동물의 용변(S)만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몸체(132)로부터 모래수용부(120)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빗살(134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빗살(1342)의 간격은 모래의 입도보다는 넓지만 애완동물의 용변(S)의 입도보다는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용변거름부재(134)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변거름부재(134)는 모래의 입도보다는 크지만 애완동물의 용변(S)의 입도보다는 작은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그물망(미도시) 또는 철망(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몸체(132)는 이동몸체 본체(1322) 및 돌출부(1324)를 포함한다. 이동몸체 본체(1322)의 일면에는 용변거름부재(134)가 연장되어 있으며, 돌출부(1324)는 이동몸체 본체(1322)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돌출부(1324)는 가이드경로(110)를 따라 형성된 요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몸체 본체(1322)는 가이드경로(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기(170) 및 제2살균기(180)가 자외선을 조사(照射, irradiation)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구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화장실은 제1살균기(170) 및 제2살균기(180)를 포함한다.
제1살균기(170)는 제1지점(112) 및 제2지점(114) 중 하나 이상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1살균기(170)는, 용변처리부(130)가 제1살균기(170)가 배치되는 제1지점(112) 및 제2지점(114) 중 하나에 위치할 때, 용변처리부(130)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한다.
제2살균기(180)는 모래수용부(1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2살균기(180)는 모래수용부(120)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한다.
본 개시에 따른 용변처리부(130)는 편도 이동하므로, 제1살균기(170)는 제1지점(112) 및 제2지점(114)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몸체(132)가 편도 이동을 완료할 때마다 자외선을 조사하여 용변처리부(130)를 살균할 수 있다.
애완동물(P)에게 자외선을 조사하면 애완동물(P)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제1살균기(170) 및 제2살균기(180)는, 감지센서(140)를 통해 애완동물(P)이 애완동물 화장실에 없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P)에게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용변처리부(130)가 이동하여 제1지점(112) 및 제2지점(114) 중 하나에 도달하였을 때, 제1살균기(170) 및 제2살균기(180)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140), 제어부(150) 및 통신부(144)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화장실의 애완동물 화장실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센서(140)는 중량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통신부(144)는 중량센서(미도시)로부터 애완동물(P)의 중량값을 전달받아 이에 상응하는 통신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통신부(144)는 생성된 통신신호를 외부단말기(146)에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애완동물(P)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144)는, 애완동물(P)이 배변할 때마다 애완동물의 중량값을 자동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P)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애완동물(P)의 중량을 수시로 측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통신부(144)와 외부단말기(146) 사이에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44)와 외부단말기(146) 사이에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외부단말기(146)는 개인용 컴퓨터(146A) 또는 스마트폰(146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변처리부(130), 제1살균기(170) 및 제2살균기(1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모래진동부(1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용변처리부(130)의 편도 이동이 완료될 때, 모래진동부(122)를 동작시켜 모래수용부(12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가이드경로 120: 모래수용부
122: 모래진동부 130: 용변처리부 140: 감지센서
144: 통신부 150: 제어부 160: 용변수용부
162: 용변저장공간 170: 제1살균기 180: 제2살균기
190: 냄새제거부

Claims (11)

  1. 상부의 배설개구 및 배설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배설공간에서 상기 배설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는 모래수용부로서, 양단에 애완동물의 용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변낙하개구를 포함하는 모래수용부;
    상기 배설공간에서 상기 모래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로 오목한 가이드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용변처리부로서, 상기 가이드경로의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몸체 및 일단이 상기 이동몸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모래수용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용변거름부재를 포함하는 용변처리부;
    상기 모래수용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애완동물 및 애완동물의 용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가 애완동물의 용변만을 감지할 경우, 상기 이동몸체를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지점으로 편도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지점으로 편도 이동시켜 감지된 용변을 상기 모래수용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제어부; 및
    하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배설공간에서 상기 모래수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용변수용부로서, 상기 용변낙하개구에서 배출되는 용변을 오목한 단면을 통해 중앙 부분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되는 용변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수용부는 상기 용변수용부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는 용변을 저장 가능하도록 구성된 용변저장공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거름부재는 상기 이동몸체로부터 상기 모래수용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빗살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수용부에 형성된 경사는 상기 모래수용부에 형성된 경사보다 가파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수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모래수용부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모래진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중 하나 이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살균기로서, 상기 용변처리부가 상기 제1살균기가 배치되는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중 하나에 위치할 때 상기 용변처리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살균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수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모래수용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변처리부가 이동하여 상기 제1지점 또는 상기 제2지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1살균기 및 상기 제2살균기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10.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용변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냄새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중량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중량센서로부터 애완동물의 중량값을 전달받아 이에 상응하는 통신신호를 생성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KR1020170158949A 2017-11-24 2017-11-24 애완동물 화장실 KR10204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949A KR102043683B1 (ko) 2017-11-24 2017-11-24 애완동물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949A KR102043683B1 (ko) 2017-11-24 2017-11-24 애완동물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599A KR20190060599A (ko) 2019-06-03
KR102043683B1 true KR102043683B1 (ko) 2019-11-12

Family

ID=6684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949A KR102043683B1 (ko) 2017-11-24 2017-11-24 애완동물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252B1 (ko) * 2019-08-09 2021-09-30 한국광기술원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2103122B1 (ko) * 2019-12-05 2020-04-21 이형수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3939A (ja) 2004-05-31 2005-12-08 Richell Corp 愛玩動物用トイレ
WO2011057379A1 (en) * 2009-11-10 2011-05-19 Design Group Canuk Cat litter box with 3-fold rotational symmetrical cleaning mechanism
US20180077896A1 (en) 2015-05-27 2018-03-22 Dúnio COUTO Cylindrical system for animal excrement removal with removable litter tr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51A (ko) * 2015-01-08 2016-07-18 송하경 아이오티 고양이 화장실
KR101724597B1 (ko) * 2015-01-19 2017-04-0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3939A (ja) 2004-05-31 2005-12-08 Richell Corp 愛玩動物用トイレ
WO2011057379A1 (en) * 2009-11-10 2011-05-19 Design Group Canuk Cat litter box with 3-fold rotational symmetrical cleaning mechanism
US20180077896A1 (en) 2015-05-27 2018-03-22 Dúnio COUTO Cylindrical system for animal excrement removal with removable litter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599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7634C2 (ru) Цилиндр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для удаления экскрементов животных
KR102043683B1 (ko) 애완동물 화장실
CN105918141A (zh) 智能猫砂盆
KR10190367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327717B1 (ko) 고양이 화장실
KR101903677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JP2000069875A (ja) 猫のための自動清掃式汚物箱
US20160324115A1 (en) Litter scoop system
US20020185081A1 (en) Aqua clean birdcage companion
KR102307252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US10085413B2 (en) Animal habitat cage with waste disposal flooring
JP5993542B2 (ja) 自動すくい上げ猫用トイレ
EP2873317A1 (en) Litter box for pets
KR20160085451A (ko) 아이오티 고양이 화장실
KR101397564B1 (ko) 양계 사육장치
JP2016158565A (ja) 動物用トイレ
EP2441328A1 (en) Stable for animals, preferably bovine
US20110260478A1 (en) Cat Box Litter Box Scooper
KR20180000416U (ko) 애완동물용 진공빗
CN111479461A (zh) 狗厕所
JP5138084B1 (ja) 愛玩動物用トイレ
KR102319119B1 (ko) 반려동물 배변판
CN210841070U (zh) 猫砂盆
KR20040095064A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US5803016A (en) Cleanable waste depository for small animal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