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184B1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184B1
KR102043184B1 KR1020170079478A KR20170079478A KR102043184B1 KR 102043184 B1 KR102043184 B1 KR 102043184B1 KR 1020170079478 A KR1020170079478 A KR 1020170079478A KR 20170079478 A KR20170079478 A KR 20170079478A KR 102043184 B1 KR102043184 B1 KR 102043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ighting
space
color temperature
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216A (ko
Inventor
문소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ublication of KR2018005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거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들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조명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조명부 및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조명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조명들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되, 디스플레이부는, 조명들을 거실, 주방, 욕실, 서재, 방들 각각의 주거공간별로 그룹화 된 공간제어셀 복수개를 구획하여 화면에 나타내고, 사용자가 상기 각 공간제어셀들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휴대단말기가 조명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조명들을 제어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주거공간을 공간별로 분리하고 이러한 공간별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하나의 조명에 대하여 빛의 밝기와 색온도를 동시에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 직관성을 높이 UI디자인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공간별 조명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LIGHTING CONTROLLING SYSTEMS USING MOBILE DEVICE, AND LIGHTING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별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하나의 조명에 대하여 빛의 밝기와 색온도를 동시에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제어는 중·대형 빌딩이나 백화점, 종합운동장 등 제어 회로수 4,000포인트 규모의 시설에서부터 가정용 복합 조명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과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그 중요성이 더욱 더 커지고 있는 분야이다.
조명제어 네트워크 시스템은 조명상태 감시 및 스케쥴 제어를 CCMS(Central Control Monitoring System)에 의해 다수의 조명 기구를 개별 또는 전체 그룹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조명제어 패널, 프로그램 스위치로 구성 운영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단말 조정기 부분에 내장된 MCU는 기존의 분산제어와 전원 공급을 통합한 JC-2300A와 포토센서(AI), 재실센서(DI), 정ㆍ복전 제어(DI)등 각종 외부 입력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JC-2300B 타입 등이 있으며, 조도 감지기, 재실 감지기, CCTV등과 연동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조명제어시스템은 조명별 개별 등록 제어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조명을 제어해야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조명제어 시 밝기와 색온도를 동시에 제어할 수가 없으며, 독서, 영화, 수리, 탐구, 언어, 창의 기능에 디폴트값 세팅만 되어 있어 추가적인 밝기/색온도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학습 조명은 학습활동에 필요한 시환경을 제공해 주고 학생들에게 정서?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며 눈의 피로를 적게 하여 근시 예방과 집중력을 높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교실의 조명은 단순히 밝기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효과와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끼치며, LED 조명의 다양한 색온도는 학습 수행능력, 직중도 및 시각적 변별력, 학습효과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실 조명으로써 효과가 우수함이 입증된 바가 있다.
이와 동일하게, 실내에서 사용되는 조명은 거주자의 행위 및 활동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밝기 및 색온도를 제공할 경우, 그 효과가 더해지는 것은 오랜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최근 밝기 및 색온도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LED 조명이 큰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다.
이의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0486528 에서는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조명기기 운용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블루투스가 내장된 휴대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일정반경 이내에 진입하여 조명기기 운용권리를 요구하면, 사용자의 인증번호를 입력 요구하고, 그 입력받은 인증번호를 기저장된 다수의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사용자가 인증되면 조명기기 운용 권리를 부여하기 위한 승인신호를 해당 사용자의 휴대폰에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승인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실내외 조명기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조정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져, 블루투스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반주택의 현관이나 실내조명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10-0486528 에 소개된 기술은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 제어를 포함하고 있지만, 단순히 조명의 온오프 제어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 및 색온도로 조명을 변경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1657281 에서는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후면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며 전면이 개방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듈과 상기 구동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구동 어셈블리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 단말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 어셈블리의 전면 측에 적층 배치되는 컨트롤러 패널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버튼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을 벽면에 고정시키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등록특허 10-1657281 에서도 조명의 개별적인 원격 제어 방법을 포함하고는 있으나, 기존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와 색온도로 조명을 원격으로 제어하면서도, 더 나아가 이를 하나의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쉬운 UI 디자인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실내 LED 조명을 온오프 및 밝기와 색온도 까지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증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1031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65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728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거공간을 공간별로 분리하고 이러한 공간별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하나의 조명에 대하여 빛의 밝기와 색온도를 동시에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주거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들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부, 및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상기 조명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상기 조명들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조명들을 거실, 주방, 욕실, 서재, 방들 각각의 주거공간별로 그룹화 된 공간제어셀 복수개를 구획하여 화면에 나타내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각 공간제어셀들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조명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조명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조명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휴대단말기용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주거공간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사용자가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는 조명들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등록되어 제어 가능한 상기 조명들을 주거공간별로 그룹화하여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제어셀들과 상기 공간제어셀에 대한 조명제어화면을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조명제어화면을 통하여 조명을 제어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해당하는 상기 조명들을 제어하는 조명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주거공간을 공간별로 분리하고 이러한 공간별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하나의 조명에 대하여 빛의 밝기와 색온도를 동시에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 직관성을 높이 UI디자인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공간별 조명 제어가 가능하다.
넷째, 기상, 취침, 독서, 영화 및 공부영역(수리, 탐구, 언어, 창의) 등의 테마별로 적합한 조명의 밝기와 색온도를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세팅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각각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조명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 시 집중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별도의 제어장치가 아닌 항상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명제어를 하기 때문에 범용적 사용이 가능하고, 가시성 및 접근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
도 3은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최초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의 휴대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공간제어셀과 보안등록화면을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조명 등록과정 및 등록된 조명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주거공간 중 거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개별조명제어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주거공간 중 주방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개별조명제어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주거공간 중 욕실과 안방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개별조명제어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9는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주거공간 중 자녀방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개별조명제어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10은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주거공간 중 공용욕실과 서재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개별조명제어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11은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화면을 나타내는 사진,
도 12는 도 2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에서 초기 메인화면과 메인화면에서 A/S고객센터의 화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이하 ‘조명제어시스템’이라 한다)은 조명부(100)와, 상기 조명부(100)를 제어하는 휴대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10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주거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들을 제어한다.
상기 조명부(100)는 상기한 블루투스 통신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20)와, 상기 통신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조명들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조명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조명들을 제어하며, 후술하는 주거공간별로 구획된 공간제어셀에 해당하는 주거공간의 조명들을 모두 제어하는 통합제어 및 하나의 주거공간 내 각각의 조명들을 제어하는 개별제어가 모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상기 조명제어부(11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이에 사용자가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상기 조명들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조명들을 거실, 주방, 욕실, 서재, 방들 각각의 주거공간별로 그룹화 된 공간제어셀 복수개를 구획하여 화면에 나타내어, 공간별 분리 및 공간별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시성이 높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조명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화면에서 각 공간제어셀들의 해당공간을 터치(Touch) 또는 클릭(click)하면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제어부(11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조명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공간제어셀의 해당공간을 터치하여 온(On) 상태일 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공간 아이콘의 사각형 영역 전체가 노랗게 표시되면서 온 상태임을 알려 직관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공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상기 공간제어셀에 해당하는 상기 주거공간의 각 조명들이 전체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공간제어셀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하위 그룹으로 상기 공간제어셀에 해당하는 상기 주거공간의 각 조명들을 개별제어셀들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개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하는 조명을 제어한다.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조명의 전원 온오프(ON/OFF) 또는 조도 또는 색온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기상, 취침, 독서, 영화 및 학습 시 집중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부영역(수리, 탐구, 언어, 창의) 등의 테마별로 조명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면, 가령 공부영역에서의 테마별로 조명제어 하는 경우 단순히 밝기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학습효과와 심리적 안정을 주고 눈의 피로를 적게 하여 집중력과 학습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한 테마별 조명제어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각 테마에 적합한 조명의 밝기와 색온도를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세팅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각각의 상황에 따라 테마별로 최적의 조명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테마별 조명제어를 위하여 상세설정 화면에서 락(Lock)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제 시 값을 수정할 수 있고, 잠금 시는 수정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이에 대항하는 주거공간의 조명들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가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의 음성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공간제어셀 각각에 해당하는 이름을 사용자가 음성으로 부르게 되면 이를 인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공간제어셀의 하위구성으로 상기 공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메뉴로 들어가면, 각 공간에서 사용 및 누적되고 있는 전력량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에너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조명들과 연동되는 블루투스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조명의 공간제어셀을 조명제어화면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점등 또는 음성 등으로 알람(Alarm)되어 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블루투스 통신범위를 벗어난 공간제어셀의 조명을 다시 인식하고 오프 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조명에 대하여 점등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조명제어부는 조명의 조도, 온오프 등의 장애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조명제어부를 통하여 장애 조명에 대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사용자가 해당 조명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조명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이하 ‘조명제어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앞서, 상기 조명제어방법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휴대단말기용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주거공간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전술한 조명제어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최초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화면이 나타나며, 이러한 초기화면은 사이드 메뉴로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비밀번호 보기, 앱 설정 초기화, 사용설명서, A/S고객센터 및 앱정보가 포함된다.
도 4는 상기한 초기화면에서 시작한 후 메인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휴대단말기의 화면은 주거공간별로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제어셀들이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간제어셀은 거실, 부엌, 부부욕실, 안방, 자녀방1, 자녀방2, 공용욕실 및 서재를 포함하는 각각의 주거공간들을 나타내며, 상기 각 공간제어셀은 해당하는 주거공간에 해당하는 조명들이 연동되어 등록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제어셀은 도시된 주거공간 외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등 각 주거환경에 따라 그 메뉴는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a)는 해당 공간제어셀을 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b)는 터치한 해당공간이 온 상태일 경우 공간제어셀 전체 영역이 노랗게 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공간제어셀들 각각에 해당하는 주거공간의 조명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는 조명들을 등록한다(S10).
이를 위해 최초 사용자에 의해 조명이 등록되어지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무단 원격제어를 방지하기 위하여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밀번호가 설정되는 보안설정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상기 조명들을 등록하는 단계는, 최초 사용자에 의하여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진 후 아직 등록되지 않은 블루투스 통신 연동 조명과, 상기 조명이 위치한 실내공간이 일대일 또는 다수대일로 매칭되어지며, 사용자에 의하여 매칭이 완료된 조명의 명칭이 부여되어 조명등록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에 등록이 완료되어 조명과 매칭되어진 실내 주거공간의 경우 휴대단말기의 화면상에 상기 주거공간에 해당하는 공간제어셀 아이콘이 활성화된다.
상기 조명들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조명들이 무단 원격 제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보안설정단계를 포함한다.
보안설정 후 최초 사용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등록이 완료된 조명들을 원격 제어하는 경우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보안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안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도 5의 (a)는 조명 등록 시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주거공간별로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명들을 매칭하여 화면에 표시한 것이며, 여기에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조명들을 각각 선택하여 조명이름을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조명들을 등록하며, 휴대단말기는 제어 가능한 상기 조명들을 주거공간별로 그룹화하여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제어셀들과 상기 공간제어셀에 대한 조명제어화면을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공간제어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등록되어 제어 가능한 상기 조명들이 있는 주거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제어셀을 화면상으로 활성화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공간제어셀로 구획되는 상기 주거공간은, 거실, 주방, 욕실, 서재, 주거방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조명제어화면을 통하여 조명을 제어(S20)하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조명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제어부가 조명들을 제어한다(S30).
상기 주거공간의 조명을 제어는, 사용자가 상기 공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상기 공간제어셀에 해당하여 그룹화 된 조명들을 전체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거공간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공간제어셀에 해당하는 주거공간의 조명들 각각을 개별제어 할 수 있도록 개별제어셀들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상기 개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해당하는 상기 조명을 제어한다.
즉, 상기 각 주거 실내공간에 포함되어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된 조명이 하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조명들이 개별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공간별 개별조명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주거공간의 조명 제어는, 상기 공간제어셀에 해당하는 주거공간에 속하는 조명 전부의 밝기 및 색온도를 전체적으로 동시에 조절 가능하며, 이때 상기한 조명의 밝기 및 색온도는 하나의 화면안에서 모두 표시된다.
상기 주거공간의 조명제어는 설정된 테마별로 조명을 제어하거나, 개별적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테마별 조명제어는, 상기 공간제어셀을 길게 터치하여 상기 공간제어셀에 해당하는 주거공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양한 테마로 디폴트 설정된 조명밝기 및 색온도의 최적 설정치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변경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5의 (b),(c),(d),(e)는 상기한 테마별 조명제어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상기 테마의 각 항목은 기상, 취침, 독서, 영화 및 공부영역(수리, 탐구, 언어, 창의) 등의 다양한 테마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의 각 테마별로 상기 조명의 밝기와 색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명의 개별적으로 조명제어는, 각각의 주거공간에 대하여 해당하는 주거공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 연동 조명과 매칭되는 각각의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개별적으로 전원 온오프(ON/OFF) 또는 조도 또는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각각 거실, 부엌, 부부욕실, 안방, 자녀방1, 자녀방2, 공용욕실, 서재의 개별 조명제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는 화면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명이 온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 공간제어셀 아이콘의 바탕색 영역이 밝은색으로 활성화되게 표시하여 해당하는 조명이 켜진 상태를 의미하고, 개별조명제어 시 해당하는 주거공간 내 각각의 조명 아이콘이 밝은 색을 띄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11은 휴대단말기 상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화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2는 A/S 고객센터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조명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는 조명들을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어함은 물론,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조명들과 연동되는 블루투스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공간제어셀을 상기 조명제어화면으로 사용자가 화면 또는 음성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블루투스 통신범위를 벗어난 해당 공간제어셀의 조명의 전원을 온오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주거공간에서 이동이 많은 만큼 주거공간별 이동을 할 시 이동 후 그 이전에 있었던 조명을 미처 오프(Off)제어 못하는 경우 이를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하고 이에 사용자가 거주하지 않은 공간의 조명들을 오프(Off) 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조명에 대하여 전원 온오프(ON/OFF) 또는 조도 또는 색온도를 제어함은 해당 주거공간에서의 활동내용 및 사용자의 주거계획 등에 따라 조명의 점등시간도 사용자가 미리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등시간의 조절은 각 공간제어셀에 대하여 시간단위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은, 주거공간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각 테마(기상, 취침, 독서, 영화, 공부영역)에 따른 조명의 밝기 및 색온도가 아래의 설정에 따라 각 주거공간별 조명이 제어되될 수도 있다.
먼저 i) 기상 테마인 경우, 노을빛의 색온도 범위인 2,000K 내지 2,400K 사이의 값과 최대 밝기의 65% 내지 80%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진 조도값에 대해 20분의 페이드인타임(Fade in time)을 거쳐 OFF 단계에서부터 시나브로 조명의 밝기 및 색온도 값이 올라가지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알람 시간을 설정해둘 경우 해당 시간에 자동으로 기상 테마로 상기 조명이 ON 되어질 수 있어, 기상 후 사용자가 직접 조명 ON 제어를 할 필요 없이 원하는 시간에 기상에 적합한 조명을 비추어줌으로써 보다 개운한 상태로 자연기상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ii) 취침 테마인 경우,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뇌가 멜라토닌을 생성할 수 있는 색온도 범위인 1,200K 내지 1,600K 사이의 값과 최대 밝기의 15% 내지 30%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진 조도값에 대해 20분의 페이드아웃타임(Fade out time)을 거쳐 ON 단계에서부터 시나브로 조명의 밝기 및 색온도 값이 줄어들어 상기 조명이 OFF 되어진다.
즉, 기상 테마와 정반대로 조명이 ON 단계에서 서서히 OFF 단계로 진행됨으로써 사용자의 뇌가 멜라토닌을 생성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자신도 모르게 매우 편안하고 이완된 상태로 수면에 빠져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iii) 독서 테마인 경우, 따뜻하면서도 활력을 주는 자연의 색온도 범위인 4,000K 내지 4,500K 사이의 값과 최대 밝기의 85% 내지 95%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진 조도값에 대해 상기 조명이 ON 되어진다.
이때, 상기 조명이 독서 테마로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진동 또는 음성메세지를 통해 휴식의 권유가 알람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독서에 집중한 사용자가 주기적인 알람을 통해 잠시 휴식을 취하여 눈의 피로를 가시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iv) 영화 테마인 경우, 명료한 가시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영화관의 은은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4,800K 내지 5,200K 사이의 색온도 값과 최대 밝기의 5% 내지 20%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진 조도값에 대해 상기 조명이 ON 되어진다.
이때, 조명제어부(11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의 밝기를 감지함으로써 스크린이 밝을 경우 조도값을 높이고 어두울 경우 조도값을 낮추는 방식으로 상기 5% 내지 20% 범위 내에서 상기 조명의 조도값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v) 공부영역 테마인 경우, 뇌파가 활성화되어 공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뇌의 세로토닌을 생성할 수 있는 색온도 범위인 5,800K 내지 7,000K 사이의 값과 최대 밝기의 90% 내지 100%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진 조도값에 대해 상기 조명이 ON 되어진다.
이때, 상기 공부영역 테마는 아래와 같이 다시 수리영역, 탐구영역, 언어영역, 창의영역에 대한 세부테마 별로 색온도 값이 제어되어진다.
즉, 상기 v) 공부영역 테마인 경우의 각 세부테마는 아래의 조건식을 기준으로 그 영역이 결정되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공부영역 선택 조작에 의해 색온도 값이 변경되도록 하였다.
a) 수리영역 테마의 색온도 = 7,000K if [ {12Hz 내지 15Hz 주파수 범위의 SMR-베타파 우세} AND {안정감지표 ∪ 집중도지표} ∃ 긴장집중도 ]
b) 탐구영역 테마의 색온도 = 6,600K if [ {4Hz 내지 8Hz 주파수 범위의 Low-베타파(저뇌파) 우세} AND {안정감지표 ∪ 활동성지표} ∃ 긴장집중도 ]
c) 언어영역 테마의 색온도 = 5,800K if [ {15Hz 내지 20Hz 주파수 범위의 M-베타파(활동파) 우세} AND {안정감지표 ∪ 집중도지표} ∃ 이완집중도 ]
d) 창의영역 테마의 색온도 = 7,000K if [ {20Hz 내지 30Hz 주파수 범위의 H-베타파 우세} AND {집중도지표 ∪ 활동성지표} ∃ 이완집중도 ]
이때, 상기 세부테마별 조명의 색온도의 영향에 따른 뇌파의 주파수를 사용자가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에는 뇌파 모니터링 센서와 이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뇌파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안정감지표는 좌뇌와 우뇌에서 발생되는 뇌파의 주파수가 SMR-베타파, Low-베타파, M-베타파, H-베타파 중 동일한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집중도지표는 좌뇌와 우뇌에서 발생되는 뇌파의 비중이 좌뇌가 우세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를, 상기 활동성지표 좌뇌와 우뇌에서 발생되는 뇌파의 비중이 우뇌가 우세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긴장집중도는 M-베타파, H-베타파의 주파수 범위가 우세한 경우의 집중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이완집중도는 SMR-베타파, Low-베타파의 주파수 범위가 우세한 경우의 집중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먼저 조명 설정을 통해 원하는 세부영역에 적합한 조명을 ON 시킨 후 상기 조명에 의해 변화되는 자신의 뇌파를 휴대단말기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해당 세부영역에 대한 공부를 안심하고 진행할 수 있고, 반대로 공부가 끝난 시점에서의 자신의 뇌파를 확인함으로써 다음으로 어떤 세부영역에 대한 공부를 진행할지 판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뇌파 모니터링 센서 및 뇌파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본인의 좌뇌와 우뇌 각각에서 발생하고 있는 뇌파가 어느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의 뇌파 상태가 어떤 세부영역을 공부하는데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조명부 110 : 조명제어부
120 : 통신부 200 : 휴대단말기

Claims (14)

  1.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주거공간별로 설치된 조명들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조명들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조명들을 거실, 주방, 욕실, 서재 및 주거방의 주가공간별로 그룹화된 공간제어셀의 격자형태로 구획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각 공간제어셀의 터치 또는 클릭에 의해 주거공간별로 통합제어하거나 각 주거공간내의 조명들을 개별제어하여 상기 조명들의 색온도와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공간제어셀에 해당하는 상기 주거공간의 각 조명들을 개별제어셀들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개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하는 조명을 제어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공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상기 공간제어셀에 해당하는 상기 주거공간의 각 조명들이 전체적으로 동시에 제어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조명의 전원 온오프(ON/OFF) 또는 조도 또는 색온도를 제어하되,
    상기 휴대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조명의 공간제어셀을 점등 또는 음성으로 알람을 제공하며,
    상기 공간제어셀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메뉴로 들어가면, 각 공간에서 사용 및 누적되고 있는 조명의 전력량을 표시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조명의 조도 또는 온오프의 장애를 감지하고, 장애 조명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세팅된 밝기 및 색온도에 의해, 기상테마, 취침테마, 독서테마, 영화테마, 및 공부영역테마별로 조명을 제어하는데,
    기상테마시, 2,000K 내지 2,400K의 색온도값과 최대 밝기의 65% 내지 80% 범위 내에서, 밝기 및 색온도값이 올라가도록 설정되며,
    취침테마시, 1,200K 내지 1,600K의 색온도값과 최대 밝기의 15% 내지 30% 범위 내에서, 밝기 및 색온도값이 줄어들도록 설정되며,
    독서테마시, 4,000K 내지 4,500K의 색온도값과 최대 밝기의 85% 내지 95% 범위 내에서, 온되도록 설정되며,
    영화테마시, 4,800K 내지 5,200K의 색온도값과 최대 밝기의 5% 내지 20% 범위 내에서, 온되도록 설정되고,
    공부영역테마시, 5,800K 내지 7,000K의 색온도값과 최대 밝기의 90% 내지 100% 범위 내에서, 온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테마시, 상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조명이 독서테마로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진동 또는 음성메세지를 통해 휴식의 권유가 알람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79478A 2016-11-11 2017-06-23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 KR102043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659 2016-11-11
KR20160150659 2016-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216A KR20180053216A (ko) 2018-05-21
KR102043184B1 true KR102043184B1 (ko) 2019-11-11

Family

ID=6245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478A KR102043184B1 (ko) 2016-11-11 2017-06-23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505B1 (ko) * 2022-06-17 2023-06-08 미래씨앤엘 주식회사 터치 드래그를 이용한 사물인터넷(IoT) 조명 디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17B1 (ko) * 2018-08-16 2020-04-20 신선영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방송용 조명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
CN111629495B (zh) * 2020-05-26 2021-01-01 中国电子国际展览广告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数字化多功能展厅智能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528B1 (ko) 2002-08-27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조명기기 운용방법
KR20110103124A (ko) 2010-03-12 2011-09-20 주식회사 에스하이텍 외부 휴대장치를 이용하는 조명제어 리모콘 장치
KR101673040B1 (ko) * 2011-12-30 2016-11-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72656B1 (ko) * 2013-02-04 2014-12-16 (주) 정호티엘씨 휴대단말을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휴대단말을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2023A (ko) * 2013-10-10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제어 시스템
KR102288777B1 (ko) * 2014-09-22 2021-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및 이의 조명 제어 방법
KR20150028279A (ko) * 2015-02-16 2015-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조명 제어 방법
KR101657281B1 (ko)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505B1 (ko) * 2022-06-17 2023-06-08 미래씨앤엘 주식회사 터치 드래그를 이용한 사물인터넷(IoT) 조명 디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216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1506B2 (ja) 適切な瞬間において非警報ステータス信号を与え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ES2625003T3 (es) Aplicaciones para controlar ópticamente dispositivos conmutables
US9672728B2 (en) Smart hazard detector drills
CN105794170B (zh) 用于建立智能家庭装置与在线管理账户配对方法及系统
KR10204318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
RU2635230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487902B1 (ko)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23878B2 (en) Automatic illuminating user interface device
KR20150129845A (ko) 스마트 감지 홈의 보안
US20080300696A1 (en) Environment Adaptation for Schizophrenic User
JP6150913B2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コントローラ、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76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in an office environment
CN109417842B (zh) 存在模拟系统和方法
US20180259214A1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modular housing units
JP2018120546A (ja) 表示システム
EP36075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age of a lighting system
WO2015157305A1 (en) Smart hazard detector dr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