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969B1 - 반려견 발 세척기 - Google Patents

반려견 발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969B1
KR102042969B1 KR1020190051335A KR20190051335A KR102042969B1 KR 102042969 B1 KR102042969 B1 KR 102042969B1 KR 1020190051335 A KR1020190051335 A KR 1020190051335A KR 20190051335 A KR20190051335 A KR 20190051335A KR 102042969 B1 KR102042969 B1 KR 10204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upply pipe
water
dog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호
Original Assignee
유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호 filed Critical 유철호
Priority to KR102019005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4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rotary operative members
    • B08B1/12
    • B08B1/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Abstract

본 발명은 산책을 마치고 온 반려견의 발을 무동력으로 마당에 설치된 수전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한 반려견을 위한 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반려견의 발을 집어넣을 수 있는 상부 개방형 통체; 상기 통체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체의 내벽면을 전체 구간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물공급관; 상기 통체의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제1분사노즐; 상수도 배관의 말단에 설치된 수도꼭지에 원터치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끔 상기 물공급관의 유입단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견 발 세척기{Apparatus Washing Feet Of Dog}
본 발명은 반려견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책을 마치고 온 반려견의 발을 무동력으로 마당 또는 정원에 설치된 수전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한 반려견 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개에 대하여 애완동물을 넘어 반려견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정도로 개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졌다. 반려견을 집안에서 키우는 경우도 많아졌다. 소형견 뿐만 아니라 중형견이나 대형견도 집안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도 일반화되어 있다.
그리고 반려견에 대하여 하루에 1 ~2회씩 산책을 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책중에 배변활동도 하고 다양한 냄새도 맡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정서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집 밖에서 키우는 경우와는 달리 집안에서 키울 때에는 산책 후 집안으로 들여놓기 전에 발을 닦아야 한다. 물걸레나 물티슈 정도로 개의 발을 깨끗하게 닦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집안의 청결을 위해서는 물을 뿌려가면서 닦아주는 것이 좋은데, 소형견이라면 견주가 반려견을 안고 목욕탕까지 가서 닦이면 되지만, 대형견을 안고 목욕탕까지 들이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마당이나 정원에 설치된 수전을 이용하여 건물의 현관 밖에서 발을 닦고 집안으로 들이는 것이 좋은데, 이 일이 쉽지는 않다. 한손으로는 움직이려는 반려견을 붙잡고 다른 손으로 물과 샴푸를 뿌리고 문지르고 털고 하는 등의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상의 작업은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에너지도 많아 소요되는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13963호는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는 산책후 간단히 발만을 닦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를 닦기 위한 것이므로 부피가 크고 사용목적이 본 발명의 발 세척기와는 상이하다.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 특허공개 CN108901906호, 일본국 특허공개 특개 2004-113201호가 있기는 하지만 이들은 반려견을 발을 올려놓는 판을 위주로 한 구성일 뿐 반려견의 발, 더 나아가 다리까지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구성은 아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13963호 중화인민공화국 특허공개 CN108901906호 일본국 특허공개 특개 2004-113201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책 후 집안으로 들여놓기 전에 반려견의 발을 세척하기 위한 반려견 발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좀 더 구체적인 목적은, 마당이나 정원에 마련된 수전을 이용하며 가급적 전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설치와 사용이 편리한 반려견 발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깨끗하고 신속하게 반려견의 발을 세척할 수 있게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반려견의 발을 집어넣을 수 있는 상부 개방형 통체; 상기 통체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체의 내벽면을 전체 구간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물공급관; 상기 통체의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제1분사노즐; 상수도 배관의 말단에 설치된 수도꼭지에 원터치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끔 상기 물공급관의 유입단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통체에 끼워진 반려견의 발의 흙먼지를 털어내기 위하여 상기 물공급관의 상기 통체의 내벽면을 지나는 부분에 설치되는 브러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물공급관을 관류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공급관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회전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물공급관은 상기 통체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물분사부와, 상기 통체의 내벽면을 휘감는 곡선 형태로 설치되는 브러쉬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통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전에 물공급관에서 분기 연장되며, 상기 통체의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자신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분사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수세관; 및
상기 수전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브러쉬부 또는 수세관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세관의 분기 부위에 설치되는 제1삼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통체 내부로 세제를 분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체에 설치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통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세제가 담긴 세제통; 일단은 상기 세제통의 분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공급관의 브러쉬부 또는 물분사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분사노즐로부터 세제가 섞여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세제공급관; 상기 세제통에서 상기 세제공급관을 통해 세제가 분출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세제통 또는 세제공급관에 설치되는 세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세척을 마친 반려견의 다리에 묻은 물을 짜내기 위한 탈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탈수부는;
상기 통체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통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튜브; 상기 탈수튜브를 상하로 가이드하기 위한 탈수튜브 가이드수단; 일단은 상기 탈수튜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통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탈수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당에 설치되어 있는 수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전기를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반려견 발 세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견의 발을 통체 내부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수도꼭지만 열면 상수도의 수압에 의해 반려견의 다리에 물을 뿌려가면서 브러쉬로 문지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무동력이지만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반려견의 발을 세척할 수 있는 반려견 발 세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에 의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통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통체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통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탈수부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탈수부의 일부 평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탈수손잡이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의 물공급 방식의 구성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겠으며,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 발 세척기(이하, '발세척기'라 함)는 통체(1), 물공급관(3), 제1분사노즐(5)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통체(1)는 상부 개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반려견의 발을 집어넣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통체(1)에는 배수공이 마련된 바닥판이 있을 수도 있고, 아예 바닥판이 없을 수도 있다. 바닥판이 있는 경우에는 배수공은 반려견이 편하게 발을 딛고 있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이 없는 본 실시에의 경우에는 통체(1)의 외측으로 물빠짐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체(1)의 하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리(7)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세척기가 방부목으로 된 데크, 시멘트 또는 타일 바닥에 설치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바닥판은 필요 없을 수 있다.
물공급관(3)은 통체(1)의 내벽면(1a)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통체(1)의 내벽면 전체 구간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물공급관(3)은 통체의 내벽면(1a)을 훑고 지나가는 곡선 형태로 설치되는 브러쉬설치부(3a)와, 통체(1)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물분사부(3b)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관(3)의 브러쉬설치부(3a)는 통체(1)의 내벽면(1a) 전체 면적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치 건물의 방바닥에 보일러 배관을 설치하듯 물공급관(3)을 통체(1)에 고정 설치하면 된다.
제1분사노즐(5)이 통체(1)의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물공급관(3)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분사노즐(5)이 일부 구간, 즉 물분사부(3b)에 설치된다.
물공급관(3)의 유입단에는 물공급관(3)을 상수도 배관의 말단에 설치된 수도꼭지에 원터치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지의 커플러(9)가 설치된다.
통체(1)에 끼워진 반려견의 발(F)에 묻은 흙먼지를 털어내기 위하여 통체(1)의 내벽면을 지나는 물공급관(3)에 브러쉬부(11)가 더 설치된다. 브러쉬부(11)는 물공급관(3)을 관류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물공급관(3)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13)와, 임펠러(1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임펠러(1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15)를 포함한다. 임펠러(13)와 회전브러쉬(15)는 형태도 다양할 수 있고 작동 방식도 다양하게 안출될 수 있다.
브러쉬부(11)는 단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조인트와 같이 물공급관(3)의 중간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어느 하나에 고장이 생긴 경우 그것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임펠러(13)와 회전브러쉬(15)는 수밀을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회전브러쉬(15)는 회전하면서 반려견의 발(F)을 고르게 문지르게 된다. 브러쉬부(11)의 개수 내지 설치간격은 상황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브러쉬부(11)는 발(F)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고르게 브러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면 될 것이다. 회전브러쉬(15)의 모(毛)는 부드러운 것에서부터 다소 억센 것까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회전브러쉬(15)의 크기, 개수 등의 반려견의 신체사이즈에 맞추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통체(1)의 상부에 수세관(19)이 더 설치된다. 수세관(19)은 링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물공급관(3)의 초입에서 분기 연장된다. 수세관(19)의 연장방향을 따라서는 통체(1)의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2분사노즐(1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전에서 공급되는 물이 물공급관의 브러쉬설치부(3a) 또는 수세관(19)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세관(19)의 분기 부위에 제1삼방밸브(21)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우선 제1분사노즐(17)을 통해 물을 뿌려가면서 회전브러쉬(15)로 반려견의 다리를 문질러 흙먼지를 떨어낼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액상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이후 회전브러쉬(15)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순전히 제2분사노즐(17)을 통해 물만을 분사하여 헹굼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상태는 세제 없이 물로써 헹구기만 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통체(1) 내부로 세제를 분출 공급할 수 있도록 통체(1)에 세제공급부(2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23)는 세제통(25), 세제공급관(27) 및 세제밸브(29)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세제가 담기게 되는 세제통(25)은 통체(1)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세제의 보충을 위한 캡을 가지고 있다. 세제통(25)은 통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세제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용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공급관(27)은 일단이 세제통(25)의 하단에 마련된 배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이 물공급관의 브러쉬설치부(3a) 또는 물분사부(3b)에 연결되어 제1분사노즐(5)로부터 세제가 섞여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세제밸브(29)는 세제통(25)에서 세제공급관(27)을 통해 세제가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세제통(25) 또는 세제공급관(27)에 설치된다. 세제는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흘러서 물공급관(3)으로 투입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펌핑을 통해 세제가 물공급관(3)으로 정량씩 투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는 세제통(25)을 통체(1)의 상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펌핑에 의해 생기는 압력으로써 세제를 물공급관(3)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세척을 마친 반려견의 다리에 묻은 물을 짜내기 위한 탈수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수부(31)는 탈수튜브(33), 탈수튜브 가이드수단 및 탈수손잡이(35)를 포함한다.
탈수튜브(33)는 통체(1)의 상측에 설치되되, 통체(1)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탈수튜브 가이드수단이 마련된다(도 10 참조).
탈수튜브 가이드수단은 탈수튜브(33)를 상하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탈수튜브 가이드수단은 가이드레일(37)과 가이드돌기(39)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37)은 통체(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3곳에 설치된다. 가이드레일(37)은 슬릿(slit) 형태의 가이드공(38)을 제공하며, 가이드돌기(39)는 이 가이드공(38)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공(38)의 연장방향을 따라 기동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돌기(39)는 링형태로 된 탈수튜브(33)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탈수튜브(33)는 "
Figure 112019045079515-pat00001
"의 단면 형태를 갖는 튜브틀(33a)과, 튜브틀(33a)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팽창에 의해 개방부로 부풀려지는 튜브본체(33b)를 포함한다(도 4 참조). 튜브본체(33b)는 탈수손잡이(35)의 조작에 의해 팽창하여 통체(1)의 중심부를 향해 부풀어 올라 반려견의 다리(F)를 압박하게 된다. 탈수손잡이(35)와 튜브본체(33b) 사이에는 공기펌프가 설치된다. 탈수손잡이(35)는 탈수튜브(33)를 잡고 위아래로 당기기 위한 손잡이본체(35a)와 튜브본체(33b)를 팽창시키기 위한 펌프손잡이(35b)로 구성된다. 탈수손잡이(35)는 안정적으로 잡고 움직일 수 있도록 디귿(ㄷ)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탈수튜브(33) 역시 반려견의 신체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에서 브러쉬부(11)를 대신하여 그 자리에 복수 개의 제3분사노즐(41)을 설치한 것을 내용으로 한다.
제3분사노즐(41)은 개수와 간격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물을 강하게 분사함으로써 발(F)에 묻은 흙먼지를 떨어내도록 한다. 제3분사노즐(41)은 세척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압이 높도록 설계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물분사방향이 연속적으로 바뀌도록, 즉 소화용 스프링클러와 같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브러쉬부(11)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통체(1)를 외통(43)과 내통(45)으로 구분하고, 내통(45)에는 고정브러시(47)를 통체의 내벽면(1a)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도록 설치하고, 내통(45)으로 하여금 수압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외통(43)에 대하여 내통(45)이 회전하면서 발(F)에 묻은 흙먼지를 떨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내통(45)은 외통(43)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통(4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링기어(4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수도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51)가 이 링기어(49)와 치합된다. 구동기어(51)는 물공급관(3)의 관로에 설치된 임펠러(13)에 연결되어 임펠러(13)와 함께 회전하면서 내통(45)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의 다른 파생 실시예로서 내통(45)을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통(43)의 외측에 설치되는 페달(미도시됨)을 밟음으로써 내통(45)을 회전시키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페달과 내통의 링기어(49) 사이에는 소정의 동력전달기구가 설치될 것이며, 이 정도는 당업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구성이다. 나아가 페달을 대신하여 손으로 레버를 잡고 돌림으로써 내통(45)이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통(45)와 외통(43)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소정의 베어링이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한번에 반려견의 두 발을 동시에 세척하게 함으로써 세척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체(1")의 평면 형태가 "
Figure 112019045079515-pat00002
"와 같이 땅콩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통체(1")는 2개의 단위통체(1-1,1-2)가 하나로 통합된 형태로 되어 있다. 각 단위통체(1-1,1-2)에는 위에서 설명된 구성과 기능들이 거의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1은 탈수부(31)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탈수손잡이(15)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반려견의 발(F)에 묻은 물을 짜기 위한 수단으로 수축튜브(53)가 이전 실시예의 탈수튜브(33)의 위치에 설치되어 그 대신 사용된다. 수축튜브(53)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튜브틀(33a)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체(1)의 상하방향으로 기동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축튜브(53) 안에는 와이어 형태의 당김선(55)이 고리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당김선의 한쪽(55a)은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55b)은 탈수손잡이(35)에 연결되어 있다. 탈수손잡이(55)의 손잡이레버(57)를 당기면 당김선이 조여짐으로써 수축튜브(53)가 오므라들게끔 되어 있다. 이로써 반려견의 발(F)을 조여 물이 빠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탈수부를 구성하고 있는 탈수손잡이(35)에 세제공급부(23)가 같이 설치된다. 세제공급부(23)는 탈수손잡이(35)에 마련되는 세제통(25)과 펌프(59)를 포함한다. 세제분출관(61)이 통체(1)의 상하방향으로 기동하는 튜브틀(33a)에 설치된다. 세제분출관(61)에는 세제분출공(63)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펌프(59)는 세제분출공(63)으로 세제가 분출되도록 한다. 세제는 액상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거품형태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거품형태의 세제를 이용하는 경우 거품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튜브틀(33a)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세제를 반려견의 발과 다리에 고르게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물을 일차적으로 뿌린 다음 세제를 도포하고 문지르면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물공급관(3)의 다른 구성예이다. 언급한 것처럼 물공급관(3)은 브러쉬부(11)가 설치되는 브러쉬설치부(3a)와 제1분사노즐(5)이 설치되는 물분사부(3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브러쉬설치부(3a)와 물분사부(3b)의 경계에 제2삼방밸브(65)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관(67)이 제2삼방밸브(65)에 연결된다.
제2삼방밸브(65)의 조작에 의하면, 급수되는 물이 제1분사노즐(5)로 가지 않고 그대로 배수관(67)으로 빠져서 다른 곳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물의 수압으로 회전브러쉬(15)는 회전하면서 발(F)을 문지르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물을 뿌리지 않고 회전브러쉬(15)만을 가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설명된 각 실시예는 다양하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1',1" : 통체 1a : (통체의)내벽면
3 : 물공급관 5,17,41 : 제1,2,3분사노즐
9 : 커플러 11 : 브러쉬부
13 : 임펠러 15 : 회전브러쉬
19 : 수세관 21,65 : 제1,2삼방밸브
23 : 세제공급부 27 : 세제공급관
29 : 세제밸브 31 : 탈수부
33 : 탈수튜브 35 : 탈수손잡이
37 : 가이드레일 38 : 가이드공
39 : 가이드돌기 43 : 외통
45 : 내통 47 : 고정브러쉬
49 : 링기어 51 : 구동기어
53 : 수축튜브 55 : 당김선
57 : 손잡이레버 59 : 펌프
61 : 세제분출관 63 : 세제분출공
67 : 배수관
F : (반려견의) 발

Claims (8)

  1. 반려견의 발을 집어넣을 수 있는 상부 개방형 통체;
    상기 통체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체의 내벽면을 전체 구간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물공급관;
    상기 통체의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제1분사노즐;
    상수도 배관의 말단에 설치된 수도꼭지에 원터치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끔 상기 물공급관의 유입단에 설치되는 커넥터; 및
    상기 통체에 끼워진 반려견의 발의 흙먼지를 털어내기 위하여 상기 통체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브러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은 상기 통체의 내벽면(1a)을 훑고 지나가는 곡선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브러쉬부가 설치되는 브러쉬설치부(3a)와, 상기 통체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물분사부(3b)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물공급관을 관류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공급관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13);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회전브러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공급관에서 분기 연장되며, 상기 통체의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자신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분사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수세관; 및
    수전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브러쉬부 또는 수세관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세관의 분기 부위에 설치되는 제1삼방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 내부로 세제를 분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체에 세제공급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통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세제가 담긴 세제통;
    일단은 상기 세제통의 분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공급관의 브러쉬설치부 또는 물분사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분사노즐로부터 세제가 섞여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세제공급관;
    상기 세제통에서 상기 세제공급관을 통해 세제가 분출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세제통 또는 세제공급관에 설치되는 세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세척을 마친 반려견의 다리에 묻은 물을 짜내기 위한 탈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탈수부는;
    상기 통체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통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튜브;
    상기 탈수튜브를 상하로 가이드하기 위한 탈수튜브 가이드수단;
    일단은 상기 탈수튜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통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탈수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에는 상기 통체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3분사노즐(41)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외통(43)과 내통(45)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내통(45)에는 내벽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도록 고정브러시(47)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45)은 상기 외통(43)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통(4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링기어(49)가 설치되며;
    상수도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51)가 이 링기어(49)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기어(51)는 물공급관(3)의 관로에 설치된 임펠러(13)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13)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내통(45)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발 세척기.
KR1020190051335A 2019-05-02 2019-05-02 반려견 발 세척기 KR10204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35A KR102042969B1 (ko) 2019-05-02 2019-05-02 반려견 발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35A KR102042969B1 (ko) 2019-05-02 2019-05-02 반려견 발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969B1 true KR102042969B1 (ko) 2019-11-11

Family

ID=6853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35A KR102042969B1 (ko) 2019-05-02 2019-05-02 반려견 발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6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5055A (zh) * 2020-06-23 2020-09-22 湖南华乐食品有限公司 一种乳猪的智能清洗操控系统
KR20210070649A (ko) * 2019-12-05 2021-06-15 정길화 반려견 발 세척기
KR20210090017A (ko) 2020-01-09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풋클리너 스테이션
KR20210090016A (ko) 2020-01-09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풋클리너 스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09869A (ko) 2020-02-28 2021-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발 세척장치
KR20220134880A (ko) * 2021-03-29 2022-10-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반려동물 발 세척기
KR102507778B1 (ko) 2022-04-19 2023-03-08 유철호 반려동물 다목적 세척기
CN116532418A (zh) * 2023-07-05 2023-08-04 南通小锂工具有限公司 节能高效的园林机械清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201A (ja) 2002-09-30 2004-04-15 Minoru Takada 犬の足の水洗器具
KR101913963B1 (ko) 2017-09-13 2018-10-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CN108901906A (zh) 2018-07-17 2018-11-30 汪阳 一种宠物狗用擦脚装置
KR101975164B1 (ko) * 2019-04-10 2019-05-03 이상호 애완견용 발 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201A (ja) 2002-09-30 2004-04-15 Minoru Takada 犬の足の水洗器具
KR101913963B1 (ko) 2017-09-13 2018-10-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CN108901906A (zh) 2018-07-17 2018-11-30 汪阳 一种宠物狗用擦脚装置
KR101975164B1 (ko) * 2019-04-10 2019-05-03 이상호 애완견용 발 세척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649A (ko) * 2019-12-05 2021-06-15 정길화 반려견 발 세척기
KR102294084B1 (ko) * 2019-12-05 2021-08-26 정길화 반려견 발 세척기
KR20210090017A (ko) 2020-01-09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풋클리너 스테이션
KR20210090016A (ko) 2020-01-09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풋클리너 스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09869A (ko) 2020-02-28 2021-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발 세척장치
CN111685055A (zh) * 2020-06-23 2020-09-22 湖南华乐食品有限公司 一种乳猪的智能清洗操控系统
CN111685055B (zh) * 2020-06-23 2021-12-07 湖南华乐食品有限公司 一种乳猪的智能清洗操控系统
KR20220134880A (ko) * 2021-03-29 2022-10-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반려동물 발 세척기
KR102553646B1 (ko) * 2021-03-29 2023-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반려동물 발 세척기
KR102507778B1 (ko) 2022-04-19 2023-03-08 유철호 반려동물 다목적 세척기
CN116532418A (zh) * 2023-07-05 2023-08-04 南通小锂工具有限公司 节能高效的园林机械清洗装置
CN116532418B (zh) * 2023-07-05 2023-09-15 南通小锂工具有限公司 节能高效的园林机械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69B1 (ko) 반려견 발 세척기
US5213064A (en) Animal bath apparatus having multiple spray assemblies
JPH035243Y2 (ko)
US6739286B2 (en) Automated foot bath apparatus and method
US7987819B1 (en) Animal washing system
KR102112953B1 (ko) 반려견의 다리 건조 겸용 세척장치
US5452485A (en) Gliding tub and shower cleaner
CN114097644B (zh) 一种宠物护理用固定喷洒冲洗设备
CN101684668B (zh) 节水防溅妇洗一体坐便器
US6651588B1 (en) Power shampooer for pets
US7347165B2 (en) Tortoise bathing facility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102072936B1 (ko) 좌변기용 시트 세척 장치
JPH11346960A (ja) 収納式便所装置
CN206385617U (zh) 马桶清洗装置
KR100446800B1 (ko) 양어장의 수조바닥 세척장치
KR20040084351A (ko) 애완견 세척 장치
US20170231436A1 (en) LaviFeet
CN110258740A (zh) 一种多功能洁具
KR200267692Y1 (ko) 양어장의 수조바닥 세척장치
CN216535206U (zh) 一种提高清污效果的平板拖把清洁桶
JPH07194497A (ja) 局部水洗具
KR20230069408A (ko) 욕실화 세척장치
JP3017962U (ja) 携帯用シャワー
KR100718472B1 (ko) 걸레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