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673B1 -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 Google Patents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673B1
KR102042673B1 KR1020180158273A KR20180158273A KR102042673B1 KR 102042673 B1 KR102042673 B1 KR 102042673B1 KR 1020180158273 A KR1020180158273 A KR 1020180158273A KR 20180158273 A KR20180158273 A KR 20180158273A KR 102042673 B1 KR102042673 B1 KR 10204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ojectile
pin
le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673B9 (ko
Inventor
류형민
김성일
배영관
박철용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73B1/ko
Publication of KR10204267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7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77Doors or covers for launch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7Underwater launching-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관 내부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는 상기 발사체와 함께 발사된 후 좌우로 분리되도록 합체되며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각각 지지 본체와,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분리면을 관통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이 마련된 상기 지지 본체의 반대편에서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면을 향해 개구된 연결홀과, 일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인출입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상기 고정공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레버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COVER SUPPORTER FOR PROJECTILE}
본 발명은 발사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사체는 발사관 내부에 장전되며, 발사관의 사출구는 덮개로 커버된다. 그런데, 수중에서 발사체가 발사되는 경우 발사관의 사출구를 커버하는 덮개가 수압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면 발사체를 발사할 때 덮개가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수중에서 덮개가 받는 수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발사체의 전방에, 즉 발사체와 덮개 사이에 덮개 지지대를 적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이, 덮개가 받는 수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발사체의 전방에 배치된 덮개 지지대는 발사체와 함께 발사되는데, 발사체의 발사 후 덮개 지지대가 분리되어 발사체의 수중 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즉, 발사체가 발사된 후 덮개 지지대가 너무 늦게 분리되면, 발사체가 받는 물의 저항이 커져 발사체의 수중 거동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대로, 발사체가 발사된 후 덮개 지지대가 너무 빨리 분리되면, 덮개 지지대가 분리된 후 함정과 충돌하여 함정에 충격과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발사체의 수중 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덮개 지지대가 분리된 후 함정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사체가 발사되고 함정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사체가 발사관에서 사출된 이후 분리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기구학적으로 지연시켜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사관 내부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는 상기 발사체와 함께 발사된 후 좌우로 분리되도록 합체되며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각각 지지 본체와,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분리면을 관통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이 마련된 상기 지지 본체의 반대편에서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면을 향해 개구된 연결홀과, 일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인출입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상기 고정공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레버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대의 연결핀은 상기 제2 지지대의 연결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연결홀에 삽입된 상기 제1 지지대의 연결핀의 삽입공에는 상기 제2 지지대의 고정핀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연결핀은 상기 제1 지지대의 연결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연결홀에 삽입된 상기 제2 지지대의 연결핀의 삽입공에는 상기 제1 지지대의 고정핀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는 각각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 본체의 외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일영역이 상기 레버핀의 타단부에 연결된 레버와, 상기 레버와 상기 지지 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레버를 상기 지지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레버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사체가 상기 발사관 내부에 장전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타측 단부는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여 상기 레버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각각 상기 연결핀이 상기 연결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핀을 탄성 가압하는 연결 탄성부와, 상기 고정핀이 상기 연결핀의 삽입공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핀을 탄성 가압하는 고정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는 발사체가 발사관에서 사출된 이후 분리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기구학적으로 지연시켜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가 합체된 상태에서 제2 지지대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에서 연결핀과 연결홀을 중심으로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가 분리되기 직전 상태에서 제2 지지대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에서 연결핀과 연결홀을 중심으로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는 수중에서 발사체를 발사하는 발사관(100)의 내부에서 발사관(100)의 사출구를 커버하는 덮개와 발사체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는 덮개가 받는 수압을 지지하여 덮개가 수압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손상되어 발사체를 발사할 때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는 발사관(100) 내부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발사체와 함께 발사된 후 좌우로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는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서로 합체되어 반구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또한,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는 발사체가 발사된 후 좌우로 분리된다.
도 2는 제2 지지대(220)와 분리된 제1 지지대(210)를 도시한 사시도이도, 도 3은 제1 지지대(210)와 합체된 제2 지지대(220)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는 각각 지지 본체(350), 연결핀(310), 연결홀(320), 고정핀(330), 및 레버핀(34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는 각각 레버(370), 레버 탄성부(378), 연결 탄성부(318), 및 고정 탄성부(3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본체(350)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1 지지대(210)의 지지 본체(350)와 제2 지지대(220)의 지지 본체(350)가 서로 합체되어 반구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또한, 지지 본체(350)의 발사 방향 기준 전면에는 수중에서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발사체의 추진력과 유동홀로 유입된 수류(水流)에 의해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 간의 결속력이 해제되면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는 좌우로 분리된다.
연결핀(3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본체(350)의 내부에 매립되어 일단부가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의 분리면(PP)을 관통하도록 돌출된다. 또한, 앞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310)의 일단부에는 발사체의 발사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측에 삽입공(319)이 형성된다.
연결홀(320)은 연결핀(310)이 마련된 지지 본체(350)의 반대편에서 지지 본체(350)의 내부에 형성되며 분리면(PP)을 향해 개구된다. 그리고 제1 지지대(210)의 연결핀(310)은 제2 지지대(220)의 연결홀(320)에 삽입되고, 제2 지지대(220)의 연결핀(310)은 제1 지지대(210)의 연결홀(320)에 삽입된다.
연결 탄성부(318)는 지지 본체(350) 내 설치되어 연결핀(310)이 삽입된 연결홀(320)로부터 연결핀(310)이 이탈하는 방향으로, 즉 연결핀(310)이 후퇴하는 방향으로 연결핀(310)을 탄성 가압한다. 일례로, 연결 탄성부(318)는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고정핀(330)의 일단부는 연결홀(320)에 인출입되고, 고정핀(330)의 타단부에는 발사체의 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공(339)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지지대(220)의 연결홀(320)에 삽입된 제1 지지대(210)의 연결핀(310)의 삽입공(319)에는 제2 지지대(220)의 고정핀(330)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고정핀(330)의 일단부가 연결홀(320)에 인입되면서 연결홀(320)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핀(310)의 삽입공(319)에 삽입된다. 반대로 제1 지지대(210)의 연결홀(320)에 삽입된 제2 지지대(220)의 연결핀(310)의 삽입공(319)에는 제1 지지대(210)의 고정핀(330)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고정 탄성부(338)는 지지 본체(350) 내 설치되어 고정핀(330)이 연결핀(310)의 삽입공(319)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즉 고정핀(330)이 후퇴하는 방향으로 고정핀(330)을 탄성 가압한다. 일례로, 고정 탄성부(338)는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레버핀(340)은 고정핀(330)의 고정공(339)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발사체의 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즉, 레버핀(340)은 발사관(100)의 내벽을 향해 길게 형성된다.
레버(370)의 일측 단부가 지지 본체(350)의 외측에 힌지 결합되고, 레버(370)의 타측 일영역이 레버핀(340)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레버(370)와 레버핀(340)의 타단부도 힌지 결합된다. 도 3 및 도 5에서 참조부호 376은 레버(370)의 일측 단부와 지지 본체(350)의 외측을 힌지 결합시키는 제1 힌지부이며, 참조부호 377은 레버(370)와 레버핀(340)이 타단부를 힌지 결합하는 제2 힌지부이다.
레버 탄성부(378)는 레버(370)와 지지 본체(350) 사이에 마련되어 레버(370)를 지지 본체(3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일례로, 레버 탄성부(378)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가 발사관(10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레버(370)의 타측 단부가 발사관(100)의 내벽과 부딪혀 레버 탄성부(378)가 레버(370)를 가압함에도 레버(37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가 발사체와 함께 발사관(100) 내부에 배치되어 발사관(100)의 사출구를 커버하는 덮개를 지지하는 상태에서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의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가 분리되지 않도록 제1 지지대(210)의 연결핀(310)이 제2 지지대(220)의 연결홀(320)에 삽입된 후 제2 지지대(220)의 고정핀(330)에 걸려 고정되고, 제2 지지대(220)의 연결핀(310)이 제1 지지대(210)의 연결홀(320)에 삽입된 후 제1 지지대(210)의 고정핀(330)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에는, 레버 탄성부(378)가 레버(370)를 가압함에도, 레버(370)의 타측 단부가 발사관(100)의 내벽에 부딪혀 레버(37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다음, 발사체와 함께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가 발사관(100)에서 사출되면, 레버(370)에 대한 발사관(100)의 구속력이 사라진다.
이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본체(350)의 외측에 힌지 결합된 레버(370)의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레버(370)가 회전하면서 레버(370)의 타측 단부가 지지 본체(350)로부터 멀어진다. 그리고 레버(370)의 타측 단부가 지지 본체(350)로부터 멀어지면서 레버핀(340)을 잡아 당기게 되고, 고정핀(330)의 고정공(339)에 삽입되었던 레버핀(340)이 고정공(339)에서 이탈하게 된다.
레버핀(340)이 고정공(339)에서 이탈하면 레버핀(340)에 의한 구속력이 사라지므로, 고정 탄성부(338)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핀(310)의 삽입공(319)에 삽입되었던 고정핀(330)이 삽입공(319)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핀(330)이 연결핀(310)의 삽입공(319)에서 이탈하면 고정핀(330)에 의한 구속력이 사라지므로, 연결 탄성부(318)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편 지지 본체(350)에 형성된 연결홀(320)에 삽입되었던 연결핀(310)이 연결홀(320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핀(310)이 반대편 지지 본체(350)에 형성된 연결홀(320)에서 이탈하면,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를 결합시키던 결합력이 사라지므로,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는 발사체의 발사 과정에서 분리된다. 이때,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는 여러 구성의 연쇄적인 동작, 즉 기구학적인 다단계의 동작을 거쳐 분리되므로, 발사체가 발사된 후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가 분리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지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101)는 발사체가 발사관(100)에서 사출된 이후 분리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기구학적으로 지연시켜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전자적인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가 분리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극한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발사관
101: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210: 제1 지지대
220: 제2 지지대
310: 연결핀
318: 연결 탄성부
319: 삽입공
320: 연결홀
330: 고정핀
338: 고정 탄성부
339; 고정공
340: 레버핀
350: 지지 본체
370: 레버
376: 제1 힌지부
377: 제2 힌지부
378: 레버 탄성부

Claims (5)

  1. 발사관 내부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와 함께 발사된 후 좌우로 분리되도록 합체되며,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각각,
    지지 본체;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분리면을 관통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핀;
    상기 연결핀이 마련된 상기 지지 본체의 반대편에서 상기 지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면을 향해 개구된 연결홀;
    일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인출입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상기 고정공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레버핀
    을 포함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연결핀은 상기 제2 지지대의 연결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연결홀에 삽입된 상기 제1 지지대의 연결핀의 삽입공에는 상기 제2 지지대의 고정핀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연결핀은 상기 제1 지지대의 연결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연결홀에 삽입된 상기 제2 지지대의 연결핀의 삽입공에는 상기 제1 지지대의 고정핀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는 각각,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 본체의 외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일영역이 상기 레버핀의 타단부에 연결된 레버와;
    상기 레버와 상기 지지 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레버를 상기 지지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레버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가 상기 발사관 내부에 장전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타측 단부는 상기 발사관의 내벽과 접촉하여 상기 레버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각각,
    상기 연결핀이 상기 연결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핀을 탄성 가압하는 연결 탄성부와;
    상기 고정핀이 상기 연결핀의 삽입공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핀을 탄성 가압하는 고정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KR1020180158273A 2018-12-10 2018-12-10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KR102042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73A KR102042673B1 (ko) 2018-12-10 2018-12-10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73A KR102042673B1 (ko) 2018-12-10 2018-12-10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73B1 true KR102042673B1 (ko) 2019-11-08
KR102042673B9 KR102042673B9 (ko) 2023-07-13

Family

ID=6854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273A KR102042673B1 (ko) 2018-12-10 2018-12-10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60B1 (ko) * 2001-05-03 2004-05-28 엘지건설 주식회사 비굴착 관로보수장치 및 그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579A (ko) * 2008-12-15 2010-06-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US20100282055A1 (en) * 2007-11-14 2010-11-11 Saab Ab Launch tube protective cover
KR20130007717A (ko) * 2011-07-11 2013-01-21 국방과학연구소 발사관내 발사체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2055A1 (en) * 2007-11-14 2010-11-11 Saab Ab Launch tube protective cover
KR20100068579A (ko) * 2008-12-15 2010-06-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유도탄 발사관의 파열 덮개
KR20130007717A (ko) * 2011-07-11 2013-01-21 국방과학연구소 발사관내 발사체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60B1 (ko) * 2001-05-03 2004-05-28 엘지건설 주식회사 비굴착 관로보수장치 및 그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73B9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1679B2 (en) Satellite deployer door release mechanism
KR102042673B1 (ko) 발사체용 덮개 지지대
JP5623386B2 (ja) 高インパルスのヒューズブースタ用方法及び装置
WO2006137949A3 (en) Kinetic energy rod warhead with lower deployment angles
US201402031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aining and deploying canards
KR102321343B1 (ko) 분리 가능한 발사체를 변경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1137698A (ja) 多数の衝突区分を持つ侵徹発射体
US8689694B2 (en) Flying bomb
KR102063352B1 (ko) 이중기폭방식의 무인기용 투하탄 충격신관 구조
EP3187813A1 (en) Toy projectile launcher provided with an ammunition detector and a sear safety
US8294072B2 (en) Projectile that includes as needed pressure-relieving wrap-around tail fins
US8052444B1 (en) Latching release system for a connector assembly
US7055436B2 (en) Shell fuse
CN103065868B (zh) 带有烟火致动器的三相电短路器
US6405652B1 (en) Projectile fuze operated by a stabilization band of the projectile
RU2302600C1 (ru) Двухступенчатая ракета в пусковом контейнере
US9207051B2 (en) Apparatus for deploying stowed control surfaces of a projectile
KR101200745B1 (ko) 미사일의 추진기관 분리장치 및 그를 갖는 미사일 발사시스템
CN112611273B (zh) 一种多破片同步高速发射弹托及其使用方法
RU2246093C1 (ru) Двухступенчатая бикалиберная ракета
KR100913241B1 (ko) 최루탄 조립체
US7493860B2 (en) Projectile, such as a shell, which is equipped with a bulkhead shield
KR20060076938A (ko) 슬라이더 차단식 소형 안전장전장치
KR102185738B1 (ko) 주테이프 전개가 용이한 자탄몸체 조립체
JP2012202598A (ja) 展開展張弾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