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31B1 -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31B1
KR102041931B1 KR1020180041103A KR20180041103A KR102041931B1 KR 102041931 B1 KR102041931 B1 KR 102041931B1 KR 1020180041103 A KR1020180041103 A KR 1020180041103A KR 20180041103 A KR20180041103 A KR 20180041103A KR 102041931 B1 KR102041931 B1 KR 10204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ckroach
vertical wall
opening
cockroa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015A (ko
Inventor
성경애
Original Assignee
성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애 filed Critical 성경애
Priority to KR102018004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31B1/ko
Priority to PCT/KR2019/002518 priority patent/WO2019198931A1/ko
Publication of KR2019011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는, 바퀴벌레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복잡한 경로를 갖는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수직벽들이 설치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케이스에는 바퀴벌레를 유인하도록 유인제가 도포되고, 수직벽은 케이스의 중심부를 향해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진 경로의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바퀴벌레의 이동 경로를 증대시키도록 하여 바퀴벌레가 케이스의 내부에 오래 머무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COCKROACH TRAP APPARATUS}
본 발명은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벌레를 장치 안으로 유인하고, 유입된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퀴벌레는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 등의 주거공간이나 사람이 활동하는 음식점, 사무실, 창고 등에 살면서 음식물과 피복류를 해치는 대표적인 해충이다. 또한, 바퀴벌레는 엄청난 속도로 번식할 수 있는 생식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지속적인 산란으로 인해 박멸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가정, 음식점 등은 이들의 번식에 양호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박멸 또는 퇴치의 효과를 크게 얻기가 힘들다.
따라서, 이러한 바퀴벌레를 퇴치 및 박멸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실용 제1998-028058호는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면의 중간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절곡부위가 접착면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손잡이가 형성된 바퀴벌레 포획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기술은 저면 전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가구나 건물의 모서리에 부착 시 떼어내기가 쉽지 않으므로 바퀴벌레가 포획된 포획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하기가 어렵다.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1998-0280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는, 바퀴벌레가 포획장치 내에서 복잡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 통행로를 형성하여 바퀴벌레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는 한편, 포획면을 통행로 내 임의적인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고 바퀴벌레가 포획된 부분만 처리가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한 구조가 마련된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획장치는, 바퀴벌레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복잡한 경로를 갖는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수직벽들이 설치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케이스에는 바퀴벌레를 유인하도록 유인제가 도포되고, 수직벽은 케이스의 중심부를 향해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진 경로의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바퀴벌레의 이동 경로를 증대시키도록 하여 바퀴벌레가 케이스의 내부에 오래 머무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획장치는 수직벽의 임의의 위치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바퀴벌레의 통행 도중에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수직벽은 인접한 수직벽과 포개질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면하는 수직벽의 면과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소정 위치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벽에는 접이선이 형성되어서 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일부분이 폴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폴딩됨에 따라 수직벽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수직벽은 소정 그룹별로 분할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그룹별로 설치된 수직벽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필름지가 구획 배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필름지 채로 탈리되어서 하나의 수직벽 그룹을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포획장치는 케이스의 외곽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개방구를 갖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고, 밀봉부재에는 개방구를 수축시켜 폐쇄하기 위하여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수축끈과, 수축끈을 잡아당겨 개방구를 죄도록 설치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폐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바퀴벌레들이 이동하는 시간을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을 두고서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으며, 살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퀴벌레의 이동량과 이동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살충제 성분이 바퀴벌레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동안 바퀴벌레를 포획해둘 수 있어서 사용자가 쉽게 바퀴벌레를 잡을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에 설치된 수직벽이 분할 구획되어 그룹별로 구비됨으로써 부분적인 회수가 가능하고 바퀴벌레가 포획된 부위의 수직벽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교체가 용이하므로 새로운 케이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도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는 필름지의 박리 또는 분리 작업만으로 소정 그룹의 수직벽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수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케이스 내부에 이동중이거나, 접착제에 의해 들러 붙어있는 바퀴벌레들을 수직벽을 단순히 접어 누름으로써 손쉽게 포획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포획하지 않더라도 밀봉부재에 의해 케이스 통째로 밀봉하여 처리할 수 있어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케이스의 외측에 밀봉부재를 구비하고, 밀봉부재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폐쇄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케이스를 통째로 밀봉하여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게 되며, 근거리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도 이를 작동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멀리서도 처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의 수직벽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의 밀봉부재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를 적층한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10)는 바퀴벌레를 내부로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0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직벽(200)이 설치된다. 이때, 케이스(100)는 수직벽(2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와 같이, 별도의 덮개부재(130)가 구비되어서 상측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아크릴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제작 및 폐기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 종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장 박스 등으로 사용되는 골판지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통상의 포장 박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의 둘레에 상측으로 기립된 외벽(120)으로 이루어지며, 외벽(120)의 일측에는 바퀴벌레의 유입을 유도하는 유입구(101)가 형성되어서 이를 통해 바퀴벌레 등의 해충들이 유입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하측으로는 추가적인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서 외벽(1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돌기(미도시)와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벽(120)의 소정 위치에서 일정 폭으로 유입구(101)가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절개된 면이 케이스(100)의 내측 바닥면(11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서 소정의 유입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케이스(100)에는 바퀴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20)가 유입구(101)의 주변이나 내측 특정 위치에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00)의 안쪽, 즉 유입구(101)로부터 먼 쪽까지 바퀴벌레를 유인하기 위해서 내측 부분에도 유인제(20)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인제(20)는, 제품화 되어 있는 약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식물성, 동물성 또는 이들의 혼합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식물성 재료로는 찹쌀과 같은 곡물을 사용할 수 있고, 참깨유, 옥수수유 등의 식물의 종자나 과육으로부터 채취한 유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동물성 재료로는 특유의 냄새를 갖는 유인 음식이 적합한데, 미꾸라지, 명태 또는 멸치 등의 생선을 사용하거나, 소고기와 닭고기로부터 채취한 유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식물성, 동물성 또는 이들의 혼합재료는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복잡한 경로를 가진 통행로를 형성하게되는 복수의 수직벽(200)이 설치된다.
수직벽(200)은 케이스(100)의 내측 방향, 즉 유입구(101)로부터 먼 쪽을 향해 다양한 방향으로 굴곡진 경로로 이루어진 다수의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메인판재(210)와 보조판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판재(210)는 케이스(100)의 바닥면(110)에 설치되어 통행로의 전체적인 틀을 설정하게 되고, 보조판재(230)는 메인판재(210)에서 연장 설치되어서 통행로를 세부적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벽(200)은 후술하겠지만, 단순히 통행로의 경로 설정을 위해서 설치되는 것만이 아닌 실질적으로 해충들을 포획하기 위한 포획면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잔가지와 같이 많은 양의 부재로 설치됨에 따라 해충들이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고, 임의적으로 배치되어 있기에 일부분에 한정되지 않고서 다양한 위치에서 해충들을 포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해충의 유인을 위한 유인제(20)가 유입구(101) 주변만 아니라, 케이스(100)의 안쪽에도 도포되어 있어 해충들이 케이스(100)의 안쪽 깊은 곳까지도 유인되어 올 수 있고, 안쪽 위치에서도 포획이 가능하므로 넓은 범위에 걸쳐 해충을 포획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메인판재(2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케이스(100)에 설치되는데, 통행로의 설정을 위해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판재(21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서 케이스(100)에 설치되는바, 유입구(101)로부터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로를 설정하도록 통행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메인판재(210)에는 다수의 보조판재(230)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판재(230)가 메인판재(210)의 넓은면에 대해 수직으로 부착 형성되어 세부적인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인판재(210)는 하측면에 별도로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케이스(100)의 바닥면(11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절곡된 형상에 의해, 또는 보조판재(230)를 지지대로 사용함으로써 바닥면(110)에 세워질 수 있으므로 접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보조판재(230)는 메인판재(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메인판재(21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보조판재(230)는 별도의 접착 테이프 형태의 고정부재(231)를 사용하여 메인판재(210)에 고정될 수 있고, 메인판재(210)와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판재(230)는 메인판재(210)에 대해서 날개 형태로 연장되어 설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1)로부터 이어지는 통행로를 다양한 방향과 경로로 설정하도록 임의의 방향과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지게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통행로를 좀 더 복잡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직벽(200)은, 메인판재(210)와 보조판재(230)에 의해 이루어진 통행로로 인해서, 케이스(100) 내로 유입된 바퀴벌레들이 이동하면서 케이스(100) 안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키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바퀴벌레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케이스(100) 내에 별도의 살충제를 도포해 놓는 경우에는, 살충제를 먹은 바퀴벌레들이 살충제 성분의 효능이 전달되기까지의 시간동안 바퀴벌레를 붙잡아둘 수 있어 포획 가능성을 더 높이기도 한다.
이때, 케이스(100)에 설치된 수직벽(200)은 바닥면(110)에 일부 그룹으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수직벽(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분할선(100a)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네 부분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포획장치(10)를 확인하였을 때 일 그룹에만 바퀴벌레가 포획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그 부분의 수직벽(200)들만 회수하여 바퀴벌레를 처리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케이스(100)에는 몇개의 그룹으로 분할 설치된 수직벽(2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바닥면(110)에 필름지(300)가 부착될 수 있다.
필름지(300)는 케이스(100)에 완전한 접착이 아닌 점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룹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되어서 바닥면(110)에 부착된다. 이러한 필름지(300)는 바닥면(110)으로부터 박리되어서 일 그룹의 수직벽(200)을 통째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름지(3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필름지(300)와 조립식으로 끼워져서 바닥면(110)에 설치되고, 수직벽(200)을 회수하고자 할 때에는 끼움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분리되어 일 그룹의 수직벽(200)을 통째로 회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수직벽(200)에는, 접착제(30)가 구비될 수 있다. 접착제(30)는 바퀴벌레의 다리나 날개, 더듬이 등이 들러 붙도록 함으로써 바퀴벌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며, 메인판재(210)와 보조판재(230)의 넓은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30)는 액상 형태로 형성되어 도포되는데,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접착제(30)를 메인판재(210)와 보조판재(230)에 걸쳐 전 면적에 도포할 수도 있지만, 유입구(101) 근처의 수직벽(200)에서부터 바퀴벌레가 포획되는 경우에는 포획되지 않은 바퀴벌레들의 케이스(100) 내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어 포획 효율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유입구(101)로부터 어느정도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되어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인판재(2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접이선(2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메인판재(210)를 바닥면(110)을 향해 부분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바퀴벌레가 포획되어 있거나 머물러 있는 부분을 접음으로써 접혀진 메인판재(210)의 면으로 바퀴벌레를 눌러 죽이거나 접혀진 메인판재(210)를 바닥면(110)에 그대로 부착시켜 완전히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메인판재(210)는 일부분에 도포된 접착제(30)로 인해서 바닥면(110)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보조판재(230)는 메인판재(210)에 결합되는데, 케이스(100)의 바닥면에는 고정되지 않고 메인판재(210)와 접촉하는 면에 대해서만 고정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메인판재(210)를 향해서 접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보조판재(230)는 메인판재(210)에 끼움 결합되더라도 메인판재(210)를 향해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판재(230)는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판재(210)와 접하게 되도록 접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보조판재(230)와 메인판재(210) 사이에 바퀴벌레가 포획된 상태에서 보조판재(230)를 메인판재(210) 측으로 접어 밀착 고정함으로써 포획된 바퀴벌레나 해충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외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밀봉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재(400)는 비닐 소재의 봉투나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며, 케이스(100)의 유입구(101) 측이 개방 형성된 개방구(401)가 마련된다.
밀봉부재(400)의 개방구(401) 측에는 개방구(401)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4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폐쇄수단(410)은 개방구(401)를 축소시켜서 폐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바, 조임끈(4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폐쇄수단(410)의 조임끈(411)은 개방구(401)의 둘레를 감싸도록 둘레측에 삽입되는데, 이를 위해 밀봉부재(400)의 개방구(401) 측에는 조임끈(4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통로(4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삽입통로(402)는 조임끈(411)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조임끈(411)은 한줄로 구비되어서 일단이 삽입통로(402)로 삽입되는데, 개방구(401)를 두바퀴 감는 형태로 이중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삽입된 일단과 타단이 한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임끈(411)이 삽입통로(402)로 삽입되어서 개방구(40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조임끈(411)의 양단을 잡아당기게 되면 개방구(401)를 축소시키면서 개방구(401)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임끈(411)의 양 단부에는 조임구(4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임구(412)는 조임끈(411)을 잡아당겨 고정하도록 마련되는바, 조임구(412)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서 조임끈(41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조임끈(411)을 잡아당기면서 개방구(401)를 수축시키고, 조임구(412)로 조임끈(411)을 고정함으로써 개방구(401)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폐쇄수단(410)을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밀봉부재(400)에 의해 포획장치(10)를 통째로 밀봉함으로써 바퀴벌레의 탈출을 방지하고, 그 상태로 폐기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임끈(411)의 길이를 연장하여 원거리에서도 사용자가 개방구(401)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폐쇄수단(410)은 밀봉지퍼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서, 개방구(401)를 완전히 밀봉시키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1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직벽(200)에 의해 복잡한 통행로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서 바퀴벌레들이 이동하는 시간을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을 두고서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으며, 살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퀴벌레의 이동량과 이동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살충제 성분이 바퀴벌레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동안 바퀴벌레를 포획해둘 수 있어서 사용자가 쉽게 바퀴벌레를 잡을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벽(200)이 분할 구획되어 그룹별로 구비됨으로써 부분적인 회수가 가능하고 바퀴벌레가 포획된 부위의 수직벽(200)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교체가 용이하므로 새로운 포획장치(10)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도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10)는 필름지(300)의 박리 또는 분리 작업만으로 소정 그룹의 수직벽(200)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수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이동중이거나, 접착제(30)에 의해 들러 붙어있는 바퀴벌레들을 메인판재(210)나 보조판재(230)를 접음으로써 포획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포획하지 않더라도 밀봉부재(400)에 의해 케이스(100) 통째로 밀봉하여 처리할 수 있어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밀봉부재(400)에 설치된 폐쇄수단(410)으로 인해서, 사용자가 쉽게 조임끈(411)을 잡아당겨 밀봉할 수 있을뿐 아니라, 조임끈(411)을 길게 연장 설치하여 포획장치(10)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거리가 있는 곳에서도 폐쇄수단(410)의 작동이 가능함에 따라 근거리나 원거리에서 케이스(100)를 밀봉할 수 있으며, 이로서 포획장치(10)의 설치위치나 주야 관계없이 포획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포획장치 20 : 유인제
30 : 접착제 100 : 케이스
200 : 수직벽 210 : 메인판재
230 : 보조판재 300 : 필름지
400 : 밀봉부재 410 : 폐쇄수단

Claims (7)

  1. 바퀴벌레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복잡한 경로를 갖는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수직벽들이 설치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케이스에는 바퀴벌레를 유인하도록 유인제가 도포되고,
    수직벽은 케이스의 중심부를 향해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진 경로의 통행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바퀴벌레의 이동 경로를 증대시키도록 하여 바퀴벌레가 케이스의 내부에 오래 머무르도록 유도하고,
    수직벽은 인접한 수직벽과 포개질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대면하는 수직벽의 면과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소정 위치에 도포되고,
    수직벽에는 접이선이 형성되어서 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일부분이 폴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폴딩됨에 따라 수직벽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되며,
    수직벽은 소정 그룹별로 분할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벽의 임의의 위치에는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바퀴벌레의 통행 도중에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그룹별로 설치된 수직벽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필름지가 구획 배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필름지 채로 탈리되어서 하나의 수직벽 그룹을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곽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개방구를 갖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고,
    밀봉부재에는 개방구를 수축시켜 폐쇄하기 위하여 개방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수축끈과, 수축끈을 잡아당겨 개방구를 죄도록 설치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폐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KR1020180041103A 2018-04-09 2018-04-09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KR10204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03A KR102041931B1 (ko) 2018-04-09 2018-04-09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PCT/KR2019/002518 WO2019198931A1 (ko) 2018-04-09 2019-03-05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03A KR102041931B1 (ko) 2018-04-09 2018-04-09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15A KR20190118015A (ko) 2019-10-17
KR102041931B1 true KR102041931B1 (ko) 2019-11-07

Family

ID=6816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03A KR102041931B1 (ko) 2018-04-09 2018-04-09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1931B1 (ko)
WO (1) WO2019198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7593B1 (en) * 2023-06-01 2024-03-26 Nick Suteerawanit German cockroach glue tra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916B2 (ja) * 1995-08-25 2000-08-07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可塑化塩化ビニル系樹脂用被覆組成物及び該組成物で被覆された可塑化塩化ビニル系樹脂成型品
KR200373337Y1 (ko) * 2004-10-13 2005-01-27 유기연 바퀴벌레 퇴치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776U (ko) * 1990-07-24 1992-03-25
JPH0435777U (ko) * 1990-07-24 1992-03-25
KR19980028058U (ko) 1996-11-18 1998-08-05 정관선 바퀴벌레 포획기
JP3073916U (ja) * 2000-06-08 2000-12-15 株式会社ミトンハウス ゴキブリ捕獲装置
KR20090072066A (ko) * 2007-12-28 2009-07-02 윤주삼 겹눈 해충 포충기
KR20100009079U (ko) * 2010-08-25 2010-09-15 윤한승 바퀴벌레 포획 및 살충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916B2 (ja) * 1995-08-25 2000-08-07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可塑化塩化ビニル系樹脂用被覆組成物及び該組成物で被覆された可塑化塩化ビニル系樹脂成型品
KR200373337Y1 (ko) * 2004-10-13 2005-01-27 유기연 바퀴벌레 퇴치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4035776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931A1 (ko) 2019-10-17
KR20190118015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563B1 (ko) 지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트랩
KR101650507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유해생물 방제트랩
KR102041931B1 (ko) 바퀴벌레 잡이용 포획장치
KR101211511B1 (ko) 점착 트랩용 케이스
KR200446750Y1 (ko)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US20200344993A1 (en) Insect catching tool
KR101438976B1 (ko) 유해곤충류 유인 친환경 포획기
MX2013013974A (es) Trampa para insectos en fase voladora, uso de dicha trampa y procedimeinto de fabricacion correspondiente.
US4696127A (en) Container for capturing insects
CN113163743A (zh) 昆虫诱捕器
US5239771A (en) Window fly trap
US8250803B1 (en) Insect trap
US11297817B2 (en) Pest control method using adhesive trap
AU2003204705C1 (en) A sticky ovitrap
KR101423262B1 (ko) 해충 포집 장치
KR20100009079U (ko) 바퀴벌레 포획 및 살충 상자
US20190090471A1 (en) Suspendable insect trap
KR20200052703A (ko) 유해충 포집장치
KR102064705B1 (ko) 해충 포집 장치
KR200469622Y1 (ko) 주름관식 해충포획기
JP2015149981A (ja) コバエ類粘着式捕獲器[コバエHell・ヘル]
JP2019080527A (ja) 防虫換気口
JP2005168488A (ja) 捕虫装置
US20150068104A1 (en) Insect trap system
KR200379457Y1 (ko) 해충 포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