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619B1 - 꼭지 연결용 젠더 - Google Patents

꼭지 연결용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619B1
KR102041619B1 KR1020180093361A KR20180093361A KR102041619B1 KR 102041619 B1 KR102041619 B1 KR 102041619B1 KR 1020180093361 A KR1020180093361 A KR 1020180093361A KR 20180093361 A KR20180093361 A KR 20180093361A KR 102041619 B1 KR102041619 B1 KR 10204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ing
spout
gen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Priority to KR102018009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61J11/045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with interlocking means, e.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on the t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23Holders for bottles facilitating grip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꼭지 연결용 젠더에 관한 것으로, 덮개링(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꼭지맞춤부(3); 및 상기 꼭지맞춤부(3)의 상기 덮개링(51) 반대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젖병의 주둥이보다 외경이 작은 용기(55)의 주둥이(5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맞춤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꼭지맞춤부(3)는 상기 덮개링(51)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맞춤부(5)는 상기 용기 주둥이(57)에 결합된 때, 상기 덮개링(51)에 결합된 꼭지(53)를 상기 용기(5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일반적인 젖병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는 꼭지와 이 꼭지를 끼우는 데 사용하는 덮개링을 규격보다 주둥이 직경이 훨씬 작은 액상 분유 용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연장링에 의해 가림벽 하단에서부터 용기까지의 간격을 덮을 수 있고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도 손잡이링을 끼워 손잡이가 붙은 빨대컵과 같은 형태로 수유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꼭지 연결용 젠더{Gender For Connecting A Nursing Nipple}
본 발명은 꼭지 연결용 젠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유용 꼭지의 덮개링을 단독으로 또는 손잡이링과 함께 젖병보다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유기 유아의 수유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꼭지 연결용 젠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액상분유가 도입되면서, 분말 형태의 분유를 젖병에 타 먹는 형태에서 용기에 담긴 액상의 분유를 용기를 개방하여 바로 수유할 수 있는 형태로 수유 방식이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상 분유 제조업체는 용기의 주둥이가 젖병보다 크게 작은 약병이나 음료수병 형태의 액상 분유 용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자사 용기 전용의 젖꼭지를 유무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 젖꼭지는 전체적으로 일반 젖꼭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나, 다만 용기 주둥이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에 뚜껑 모양의 원통형 체결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액상 분유를 수유하고자 할 때, 용기의 뚜껑의 제거하고, 뚜껑 자리에 원통형의 체결부를 끼워 넣으면, 꼭지를 유아에 물려 쉽게 액상 분유를 수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젖꼭지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특정 업체의 특정 용기에만 사용할 수 있어 활용 범위가 제한적이므로, 사용 편리성을 떨어뜨리고 다른 용기에 사용할 수 없을 때 폐기되므로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컵(101)의 경우 꼭지(107)를 관통하여 빨대(109)가 꽂히고, 손잡이가 달린 손잡이링(111)이 덮개링(105) 아래에 함께 사용되는 바, 용기의 주둥이 직경이 작은 액상 분유 용기에 위와 같이 젖꼭지를 끼울 수는 있다 하더라도, 그 아래에 손잡이링(111)을 고정할 수 없으므로, 액상 분유 용기를 손잡이가 달린 빨대컵(101)의 형태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48232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수유 용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반 젖병에 사용되는 젖꼭지, 빨대꼭지, 스파우트꼭지 등의 꼭지와 이 꼭지를 젖병에 체결하는 데 사용되는 덮개링을 젖병보다 주둥이 직경이 작은 액상 분유 용기와 같은 작은 용기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맞춰주는 젠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젠더의 전체 길이를 가능한 한 줄임으로써,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에 젠더를 적용하여 사용함에 있어, 사용 편리성이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젠더를 통해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의 외곽에 손잡이링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도 빨대컵처럼 수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덮개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꼭지맞춤부; 및 상기 꼭지맞춤부의 상기 덮개링 반대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젖병의 주둥이보다 외경이 작은 용기의 주둥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맞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꼭지맞춤부는 상기 덮개링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맞춤부는 상기 용기 주둥이에 결합된 때, 상기 덮개링에 결합된 꼭지를 상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꼭지 연결용 젠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꼭지맞춤부에서 상기 용기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용기맞춤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가림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림벽은 동일 직경을 갖도록 상기 꼭지맞춤부로부터 연속되어, 상기 덮개링 내주면의 암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림벽은 상기 덮개링과 상기 용기 사이에 손잡이링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용기를 향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신축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꼭지 연결용 젠더에 따르면, 일반적인 젖병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는 젖꼭지, 빨대꼭지, 스파우트꼭지 등의 꼭지와 이 꼭지를 끼우는 데 사용하는 덮개링을 규격보다 주둥이 직경이 훨씬 작은 액상 분유 용기와 같은 용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젖병보다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도 젖꼭지 등의 꼭지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유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링이 끼워지는 꼭지맞춤부와, 용기 주둥이가 결합되는 용기맞춤부를 반경방향으로 중첩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젠더의 전체 높이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젠더의 취급이나 사용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젠더의 가림벽 안쪽에 연장링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림벽 하단에서부터 용기까지의 간격을 연장링에 의해 덮을 수 있고, 따라서 젠더의 사용 편리성이나 안정성 또는 젠더 사용 시 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연장링을 통해 젠더 가림벽 아래에 손잡이링을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용기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도 손잡이가 붙은 빨대컵과 같은 형태로 수유에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유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빨대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젠더를 통해 덮개링과 꼭지를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 주둥이에 결합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젠더를 통해 덮개링과 꼭지를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 주둥이에 결합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통해 덮개링과 꼭지 그리고 손잡이링을 주둥이 직경이 작은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한 상태로 도시한 반단 정면도로, 도 8은 손잡이링을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 9는 손잡이링을 결합한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꼭지 연결용 젠더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꼭지 연결용 젠더는 도 2 내지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맞춤부(3)와 용기맞춤부(5)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꼭지맞춤부(3)는 일반 젖병에 사용되는 꼭지 덮개링(51)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링(51)을 동축 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덮개링(51)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예컨대, 수나사(11)가 형성된다.
또한, 꼭지맞춤부(3)는 후술하는 용기(55)를 용기맞춤부(5)에 끼워 젠더(1)를 사용할 때, 덮개링(51)와 함께 결합되는 꼭지(53)의 저면에 용기(55) 내의 액상분유 등 음료가 일시 머물 수 있는 공간(S)을 확보하도록, 용기맞춤부(5)와의 경계 부분에 바닥(13)이 형성되고, 이 바닥(13)의 중심에는 음료가 통과하는 통공(15)이 관통된다. 특히,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꼭지로 빨대꼭지(63)을 사용하는 경우 빨대꽂이부(65)가 덮개링(51)의 축선에서 이격되어 편심 위치에 형성되므로, 공간(S)이 없다면, 편심위치의 빨대꽂이부(65)에 꽂히는 빨대(69)를 통공(15)으로 통과시킬 수 없어 덮개링(51)을 젠더(1)에 결합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즉, 공간(S)이 있으므로 빨대(69)를 도 8 및 도 9와 같이 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 바닥(13)의 저면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통공(15)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링(17)이 끼워져 추후 용기맞춤부(5)에 결합되는 용기(55)와 바닥(13)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용기맞춤부(5)는 액상분유 등 음료가 담긴 용기(55)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55)의 주둥이(57) 부분을 동축 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꼭지맞춤부(3) 바닥(13)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용기 주둥이(57)와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예컨대, 암나사(19)가 형성된다. 단, 용기맞춤부(5)는 용기(55)의 주둥이(57) 직경이 덮개링(51) 직경보다 작으므로, 꼭지맞춤부(3)보다 직경이 작다.
이와 같이, 용기맞춤부(5)는 용기 주둥이(57)에 결합되는 바, 덮개링(51)에 결합되는 꼭지맞춤부(3)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젠더(1)로 하여금 덮개링(51)의 직경이 용기 주둥이(57) 보다 큰 꼭지(53)를 용기(55)에 연결하는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젠더(1)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이 젠더(1)는 위 꼭지맞춤부(3)와 용기맞춤부(5)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젠더(1) 전체의 높이를 위 실시예에서보다 줄이고자 한 것으로, 꼭지맞춤부(3)에서 용기(55)를 향해 연장된 외벽이 용기(55)를 향해 연장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맞춤부(5)의 외곽을 둘러싸는 가림벽(2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가림벽(21)은 꼭지맞춤부(3)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꼭지맞춤부(3)로부터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용기맞춤부(5)를 보완하여 젠더(1)와 덮개링(51)이 하나의 통으로 되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합니다. 또한, 가림벽(21)은 젠더(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줄어든 만큼 꼭지맞춤부(3)를 보조하여 덮개링(51)과 결합되므로, 외주면에 덮개링(51) 내주면의 암나사(54)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23)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젠더(1)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다. 이 젠더(1)는 소위 빨대컵이라고 하는 이유용 젖병의 빨대꼭지(63)와 손잡이링(67)을 위 용기(55)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덮개링(51)이 결합되는 아래쪽 오목한 공간에 즉, 덮개링(51)과 용기(55) 사이에 손잡이링(67)을 결합할 수 있는 자리를 확보하도록 가림벽(21)에 연장링(23)이 형성된다. 물론, 덮개링(51) 아래에 손잡이링(67)을 설치하기 위해 가림벽(21)을 아래로 더 길게 연장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용기(55)의 어깨 높이에 따라 젠더(1)를 사용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가림벽(21) 하단에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용기(55)를 향해 신축 가능하게 가림벽(21) 결합되는 연장링(23)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링(67)과 덮개링(51)을 차례로 끼울 수 있도록 가림벽(21)의 길이를 너무 길게 하면, 용기(55)의 어깨 높이가 높을 경우 용기맞춤부(5)를 완전히 용기 주둥이(57)에 결합하기 전에 가림벽(21) 하단이 용기(55) 어깨에 걸려 젠더(1)를 정상적으로 용기(55)에 결합하여 사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가림벽(21)으로부터의 연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장링(23)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위와 같이 길이 가변식의 연장링(23)을 채용하게 되면, 손잡이링(67)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가림벽(21) 하단에서부터 용기(55) 어깨에 접촉할 때까지 또는 근접하도록 연장링(23)을 연장시키면, 덮개링(51)과 용기(55) 어깨 사이의 공간을 없애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용기(55)의 사용 편의성이나 안전성 향상을 가져온다.
다만, 연장링(23)은 위와 같이 신축 가능하도록 즉, 하향 연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가림벽(21)에 결합될 수 있는 바, 그 한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 체결방식을 채용한다. 이에 따르면, 연장링(23)은 외주면 상에 수나사(27)가 가공되고, 이 연장링(23)이 체결되는 가림벽(2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9)가 가공된다. 이때, 연장링(23)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연장된 상태에서 위쪽으로부터 끼워지는 손잡이링(67)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단 가장자리 부분에 걸림턱(31)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연장링(23)은 위와 같이 걸림턱(31)에 손잡이링(67)을 끼운 상태에서 손잡이링(67)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손잡이링(67) 위에 끼워지는 덮개링(51)에 대해 압박하여 고정하는 바, 걸림턱(31)에 손잡이링(67)을 끼운 상태에서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31)의 반경방향 외측단에 세레이션 형태의 다이얼링(33)이 형성된다. 다만, 위와 같은 가림벽(21)과 연장링(23)의 나사 체결방식은 스냅돌기를 이용한 스냅 결합방식이나 세레이션을 이용한 스냅 결합방식 등 가림벽(21)에 대한 연장링(23)의 연장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의 것으로도 변경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꼭지 연결용 젠더(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꼭지 연결용 젠더(1)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젖병의 덮개링(51) 직경보다 작은 예컨대, 액상분유와 같은 음료 용기(55)의 주둥이(57)에 용기맞춤부(5)를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수단으로 나사가 채용되므로, 용기맞춤부(5)의 암나사(19)를 주둥이(57) 외주면에 나사 체결하면 된다. 이때, 주둥이(57) 선단과 용기맞춤부(5) 상면 사이에 밀봉링(17)이 개재되므로, 용기(55)와 젠더(1) 사이의 틈새에 대한 밀봉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 다음, 꼭지맞춤부(3) 외주에 덮개링(51)을 결합하는 바, 마찬가지로 나사 체결수단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꼭지맞춤부(3) 외주면의 수나사(11)에 덮개링(51) 내주면의 암나사(54)를 나사 체결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젠더(1)를 통해 용기(55) 주둥이에 덮개링(51)과 꼭지(53)를 결합하면, 꼭지맞춤부(3)와 덮개링(51) 사이에 공간(S)이 확보되면서 덮개링(51)과 꼭지(53)가 용기(55)에 연결되므로, 유아도 젖병의 우유를 먹는 것처럼 편안하게 용기(55) 내 음료를 먹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위와 반대로 젠더(1)에 먼저 덮개링(51)을 결합한 다음, 젠더(1)와 덮개링(51)을 용기(55)에 결합하는 것으로 결합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이때, 꼭지(53)는 도시된 것처럼, 젖꼭지 외에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빨대꼭지(63)나 스파우트꼭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젠더(1)와 함께 손잡이링(67)을 용기(55)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젠더(1) 가림벽(21)에서 연장링(23) 돌려 빼내 젠더(1)로부터 연장링(23)을 분리시킨다.
그 다음, 분리된 연장링(23)을 용기(55)의 병목에 먼저 끼운 후, 주둥이(57) 위쪽에서부터 손잡이링(67)을 통과시켜 걸림턱(3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연장링(23) 외주에 손잡이링(67)을 끼운다.
그리고 나서, 덮개링(51)을 꼭지맞춤부(3)에 결합하는 동시에 또는 전후에 연장링(23)을 가림벽(21) 내주에 결합함으로써, 젠더(1)를 통해 용기(55) 주둥이(57)에 손잡이링(67)과 덮개링(51)을 위아래로 나란히 결합하게 된다. 이때, 다이얼링(33)을 정역방향으로 돌려 덮개링(51)에 대한 손잡이링(67)의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덮개링(51) 하단과 손잡이링(67) 상단 사이의 간격이나 연장링(23) 하단과 용기(5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물론, 손잡이링(67)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다이얼링(33)을 정역방향으로 돌려 연장링(23) 하단과 용기(5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1 : 젠더 3 : 꼭지맞춤부
5 : 용기맞춤부 15 : 통공
17 : 밀봉링 21 : 가림벽
23 : 연장링 31 : 걸림턱
33 : 다이얼링 51 : 덮개링
53 : 꼭지 55 : 용기
57 : 주둥이 63 : 빨대꼭지
65 : 빨대 67 : 손잡이링

Claims (4)

  1. 삭제
  2. 덮개링(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꼭지맞춤부(3); 및
    상기 꼭지맞춤부(3)의 상기 덮개링(51) 반대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젖병의 주둥이보다 외경이 작은 용기(55)의 주둥이(5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맞춤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꼭지맞춤부(3)는 상기 덮개링(51)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맞춤부(5)는 상기 용기 주둥이(57)에 결합된 때, 상기 덮개링(51)에 결합된 꼭지(53)를 상기 용기(5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꼭지맞춤부(3)에서 상기 용기(55)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용기맞춤부(5)의 외곽을 둘러싸는 가림벽(21)을 포함하며,
    상기 가림벽(21)은 상기 덮개링(51)과 상기 용기(55) 사이에 손잡이링(67)을 끼울 수 있는 자리를 확보하도록, 상기 용기(55)를 향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링(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꼭지 연결용 젠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림벽(21)은 동일 직경을 갖도록 상기 꼭지맞춤부(3)로부터 연속되어, 상기 덮개링(51) 내주면의 암나사(54)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23)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꼭지 연결용 젠더.
  4. 삭제
KR1020180093361A 2018-08-09 2018-08-09 꼭지 연결용 젠더 KR102041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61A KR102041619B1 (ko) 2018-08-09 2018-08-09 꼭지 연결용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61A KR102041619B1 (ko) 2018-08-09 2018-08-09 꼭지 연결용 젠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619B1 true KR102041619B1 (ko) 2019-11-06

Family

ID=6854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361A KR102041619B1 (ko) 2018-08-09 2018-08-09 꼭지 연결용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6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32Y1 (ko) 2001-06-15 2001-10-26 (주)광성 유아용 다용도 용기의 수유부
KR200312456Y1 (ko) * 2003-02-06 2003-05-12 김연배 포유젖꼭지 연결용 어댑터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32Y1 (ko) 2001-06-15 2001-10-26 (주)광성 유아용 다용도 용기의 수유부
KR200312456Y1 (ko) * 2003-02-06 2003-05-12 김연배 포유젖꼭지 연결용 어댑터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64569B2 (en) Child feeding system
US6415937B1 (en) Bottle adapter
US10843850B2 (en) Containers and container closures
US11759034B2 (en) No-spill drinking container
US6851565B2 (en) Nipple adapter for a standard narrow-mouthed beverage bottle
US5692630A (en) Adjustable handle of feeding bottle for infants and children
AU2010249315B2 (en) Drinking cup with lid and flow control element
US6354449B1 (en) Nipple adapter
US11089893B2 (en) Drinking container with barrier system
JP2013035608A (ja) 飲料ボトルまたは飲料カップ用の閉鎖システム
US9408778B2 (en) Chambered mixing bottle
MXPA00010531A (es) Popote para bebida cerrable.
GB2413087A (en) Bottle assembly with a vent device
EP2785609B1 (en) Non-spill valve
KR102041619B1 (ko) 꼭지 연결용 젠더
US20060006128A1 (en) Cap capable to be screwed in with nipple and cover cap
US6123210A (en) Nursing bottle with multiuse cap
US11685577B2 (en) Drinking vessel with closure assembly
KR101885545B1 (ko) 유아용 스트로우 음료용기 조립체
CN207654442U (zh) 一种容器与盖的连接结构
KR200374998Y1 (ko) 나들이용 우유 젖병
CN216854349U (zh) 一种创意三饮杯
JP2577689Y2 (ja) 茶こし器付ポット
US20180256451A1 (en) Infant solid food transitional nipple adapter
JPH0725335Y2 (ja) 幼児用コ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