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734B1 -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cluding impedance measuring unit and treating method of dredged soi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cluding impedance measuring unit and treating method of dredged soil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0734B1 KR102040734B1 KR1020190041015A KR20190041015A KR102040734B1 KR 102040734 B1 KR102040734 B1 KR 102040734B1 KR 1020190041015 A KR1020190041015 A KR 1020190041015A KR 20190041015 A KR20190041015 A KR 20190041015A KR 102040734 B1 KR102040734 B1 KR 1020407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edged soil
- impedance signal
- pipe
- impedance
-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8—Combined use of inorganic and organic substances, being added in the same treatment ste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01F23/241—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for discrete lev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준설토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피던스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 시스템 및 준설토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and a dredged soil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cluding an impedance measuring unit and a dredged soil treatment method.
해양오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특히, 항만의 경우 물류의 이동 과정에서 중금속, 유류, 유기물 등 다양한 오염물이 퇴적되어 오염도가 심각하다. 또한, 하천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나 해양 오염물 투기 등으로 인해 다량의 오염물이 연안에 퇴적된다. Marine pollution occurs through various rout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rts, various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oils, and organic matters are deposited during the movement of logistics, which causes serious pollution.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are deposited on the coast due to wastewater and marine pollutant dumping from the rivers.
항만과 연안에서는 오염 퇴적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한다. 또한, 오염 퇴적물로 인해 어폐류 내에 중금속이 축적되어 이를 소비하는 사람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다. 더욱이 오염 퇴적물의 부패로 인하여 해양 생태계가 교란되어 개쳬수가 줄어드는 등 어업에도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Odors arise from ports and coasts due to contaminated sediments.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contaminated sediments accumulate heavy metals in fish and fish and have a serious effect on those who consume them. Moreover, the decay of polluted sediments causes many problems in fisheries, such as disturbing marine ecosystems and reducing the number of birds.
항만에서는 오염토를 제거하고, 동시에 대형 선박의 접안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준설 작업을 수행한다. 준설과정에서 수집한 준설토와 준설수의 혼합물에는 다양한 퇴적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정화처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The port removes contaminated soil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dredging work periodically to berth large ships. The mixture of dredged soil and dredged water collected during the dredging process contains various sediments, so purification is essential for reuse.
준설토의 보다 완벽한 정화를 위해서는 처리 대상인 준설토의 양이나 포함되어 있는 성분의 분석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특정 시간에 준설토 샘플을 채취하여 준설토의 양이나 포함되어 있는 양과 성분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정확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처리대상인 준설토의 양과 성분은 실시간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More complete purification of the dredged soil requires analysis of the amount of dredged soil to be treated or the components it contains. Conventionally, a dredged soil sample was taken at a specific time to analyze the amount of dredged soil and the amount and components contained therein. However, this method is not accurate. This is because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dredged soil to be treated changes in real time.
특히, 인공지능을 이용한 준설토 정화공정의 자동화에는 그 전제로 실시간으로 준설토를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이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automate the dredged soil purification proce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 method for analyzing dredged soil in real time is essential.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화처리 대상인 준설토의 양과 성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준설토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that can measure the amount and components of the dredged soil to be purified.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u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 시스템은 용출제가 주입되는 용출조; 상기 용출조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용출제가 주입된 준설토를 이송받아 중금속이 용출된 준설토를 침전시키는 침사조; 상기 침사조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침전된 준설토를 이송받아 중화시키는 중화·응집조; 상기 중화·응집조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중화된 준설토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 및 상기 이송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측정유닛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는 배관; 상기 배관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신호발생기 및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를 포함한다.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lution tank is injected; A sedimentation tank connected to the elution tank and a transfer pipe to receive the dredged soil into which the eluent is injected to settle the dredged soil from which the heavy metal is eluted; A neutralization and agglomeration tank connected to the sedimentation tank and a transfer pipe to neutralize the dredged soil which is precipitated; A dehydration apparatus connected to the neutralization / aggregation tank and a transfer pipe to dehydrate the neutralized dredged soil; And an impedance measuring unit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transfer pipes, wherein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includes: a pipe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It includes an impedance signal generator and an impedance signal receiv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i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는 상기 배관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는 상기 배관의 상부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pipe,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pi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는 상기 배관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는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는 상기 배관의 하부로부터 상부 중앙부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is dispos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pipe,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includes a plurality, the plurality of impedance signal receivers ar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from the upper center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Can be arrang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는, 상기 배관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임피던스 신호발생기와 상기 배관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2임피던스 신호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는, 상기 배관의 상부 중앙부에 상기 제1임피던스 신호발생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임피던스 신호수신기와 상기 배관의 하부 타측에 상기 제2임피던스 신호발생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임피던스 신호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may include a first impedance signal generator disposed at a lower center portion of the pipe and a second impedance signal generator disposed at one lower side of the pipe, and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may include the A first impedance signal receiver disposed to face the first impedance signal generator at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pipe, and a second impedance signal receiver disposed to face the second impedance signal generator at the other bottom of the pi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 또는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의 센서면은 상기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 또는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의 돌출된 부분과 상기 벽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된 부분에 고형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or the sensor surface of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may b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wall surface. In this case, 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or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to prevent the solids deposited on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 시스템은 상술한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이용한다. 이?, 준설토 처리방법은,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를 시계열 오차보정 하는 단계; 및 시계열 오차보정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uses a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described above. Lee ?, Dredged soil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signal from 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Receiving a signal at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Time-series error correction of the received signal; And filtering the time-series error corrected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 시스템은 이송관이나 준설토 배출관에 임피던스 측정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이송관이나 준설토 배출관의 만관여부, 이송관이나 준설토 배출관을 지나는 준설토의 함수율 또는 이온화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In the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n impedance measuring unit in a transfer pipe or a dredged soil discharge pipe, whether the full pipe of the transfer pipe or the dredged soil discharge pipe, the moisture content or ionization component of the dredged soil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pipe or dredged soil discharge pipe Can be.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준설토 정화처리에 필요한 사전 분석을 실시간으로 정확히하여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준설토 정화공정의 자동화의 초석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by using the dredged so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y accurately performing the preliminary analysis required for the dredged soil purification process in real time, and further provide a cornerstone of automation of the dredged soil purification process.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 it is added that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the provisional effect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이송관이나 준설토 배출관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측정유닛의 개략적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이송관이나 준설토 배출관을 흐르는 준설토 및 준설수의 혼합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edge soil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n impedance measuring unit installed in a transfer pipe or a dredged soil discharge pipe of a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easurement of the level of the mixture of the dredged soil and dredged water flowing through the transfer pipe or dredged soil discharge pipe using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they are illustrated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hich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the related well-known func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준설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정화처리의 대상이 되는 토양은 주로 항만, 연안에서 준설된 퇴적물(이하 '준설토'라 함)이지만, 본 발명의 대상이 해양 준설토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호수나 강의 준설토는 물론 육상의 오염토양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subject to the purification process is mainly sediments or dredged sedi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edged soil) in ports and coasts, bu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marine dredged soil, It may also be applicable to contaminated soil.
특히, 본 발명의 준설토 처리시스템은 정화용 선박에 탑재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육상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being mounted on a purification vessel,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onsh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개략적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edge soil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준설토 처리시스템(100)은 다단 입도분리유닛(10, 20), 용출조(30, 40), 침사조(50), 중화·응집조(60) 및 탈수유닛(7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입도분리유닛(10, 20), 용출조(30, 40), 침사조(50), 중화·응집조(60) 및 탈수유닛(70)의 사이에서 준설토는 이송관(P)을 통해 이송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dredged
해양 준설토는 모래, 실트, 점토는 물론 쓰레기와 같은 토사 이외의 이물질 등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처리를 통해 폐기물을 포함하여, 0.075mm를 초과하는 입도가 큰 물질들을 사전에 걸러낸다. 전 처리 공정에서는 드럼스크린, 자력분리기 등의 분리유닛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처리 과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arine dredged soil contains a combination of sand, silt, clay, and other foreign matter such as waste. In this embodiment, pretreatment filters out large particles of greater than 0.075 mm, including waste. In the pretreatment process, a separation unit such as a drum screen or a magnetic separator may be used, and the pretreatment process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단 입도분리유닛(10, 20)은 전처리를 마친 0.075mm 이하의 준설토로부터 기준 입도 이하의 준설토를 분 리해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기준 입도는 정화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준설토의 성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준설토의 입도분포 및 오염성상을 샘플링하여 예컨대 0.03mm 이하 또는 0.01mm 이하로 기준 입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0.03mm를 기준 입도로 하는 경우, 0.075mm 이하의 준설토를 곧장 0.03mm 이하의 분설토 만을 분리해내는 입도분리기를 통해 입도분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 번에 기준 입도 수준으로 준설토를 분리하게 되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단계적으로, 즉 다단으로 기준 입도 이하의 준설토를 분리한다. 입도분리기로는 싸이클론을 사용할 수도 있고, 진동스크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진동스크린은 미세하게 경사지게 배치되고, 모터와 캠 등을 이용하여 메쉬 형태의 스크린에 연속적으로 진동을 인가한다. 진동 스크린을 통해 원하는 입도 이하의 입자만 분리해낼 수 있다. 진동스크린은 공지의 부재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ulti-stage particle size separation unit (10, 20) is to separate the dredged soil of less than the reference particle size from the dredged soil of 0.075mm or less after pretreatment. The reference particle siz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dredged soil for performing the purification process. That i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the contaminant phase of the dredged soil may be sampled to set the reference particle size to, for example, 0.03 mm or less or 0.01 mm or less. For example, when 0.03 mm is used as a reference particle size, particle size sepa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particle size separator that separates only 0.03 mm or less of dredged soil immediately.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degraded when the dredged soil is separated into the standard granularity level at one time. This is stepwise, i.e. separating the dredged soil below the reference particle size in multiple stages. As the particle size separator, a cyclone may be used or a vibrating screen may be used. The vibrating screen is finely inclined and continuously applies vibration to the mesh-type screen by using a motor and a cam. The vibrating screen allows only particles below the desired particle size to be separated. The vibrating screen is a well-known member,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입도분리기(10)는 0.075mm 이하의 준설토로부터 0.05mm 이하의 준설토를 1차 분리한다. 제2입도분리기(20)는 제1입도분리기에서 배출된 준설토를 대상으로 다시 0.03mm 이하의 준설토를 분리한다. 여기에 다시 0.01mm 이하의 준설토만 분리할 수 있는 진동스크린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최종 입도 기준만 정해지면, 중간단계를 몇 번 거칠지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입도분리 후에 기준 입도 이하의 준설토는 후술할 용출조로 이송한다. 그리고 기준 입도보다 큰 준설토의 경우 성토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기준 입도보다 큰 준설토의 경우 오염도를 다시 조사하여야 하며, 오염도가 허용치 이하인 경우에만 재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전에 준설토의 입도별 오염도를 조사하여 기준 입도를 정하므로 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의 경우 오염도가 허용치 이하일 것을 전제하고 있지만, 다시 한 번 오염도 조사를 수행하여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입도 이하의 준설토는 비표면적이 크므로 중금속이 흡착 또는 결합되어 있는바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이에 기준 입도 이하의 준설토에 대하서는 중금속 처리공정이 요청된다. 특히, 문제되는 중금속으로는 크롬(Cr), 비소(As), 아연(Zn), 구리(Cu), 납(Pb), 카드뮴(Cd) 등의 6종의 유해 금속이 있다. Dredged soil below the standard particle size after the particle size separation is transferred to the elution tank to be described later. Dredged soils larger than the standard particle size can be used as fill material. Of course, dredged soils larger than the standard particle size will have to be re-examined and recycled only if the pollution is below acceptable level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ntamination level is determined beforehand by exa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dredged soil by particle size, the particle size larger than the standard particle size is assumed to be less than the allowable level. However, once again, the contamination may be investigated to take further action. Dredged soil below the standard particle size has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so heavy metals are adsorbed or bound, and thus the contamination is relatively high. For dredged soils below the standard particle size, heavy metal treatment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heavy metals in question include six hazardous metals such as chromium (Cr), arsenic (As), zinc (Zn), copper (Cu), lead (Pb), and cadmium (Cd).
기준 입도 이하의 준설토는 제1용출조(30)로 이송되어 준설토로부터 1차적으로 중금속을 용출시키며, 준설토는 다시 제2용출조(40)로 이송되어 재차 중금속을 용출시킨다. 제1용출조(30)와 제2용출조(40)는 각각 용출제 탱크 (31) 및 용출보조제 탱크(32)와 연결되어 용출제와 용출보조제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용출제의 pH를 조절하도록 알카라제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용출조(30)와 제2용출조(40)에는 각각 교반기(36,46)가 설치되어 용출제 및 준설토가 상호 잘 혼합되도록 한다. 또한 제1용출조(30)와 제2용출조(40)에는 pH센서 (35,45)가 설치된다. pH센서(35,45)를 이용하여 용출조 내의 pH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용출제의 pH가 4.0~5.0 수준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용출조 내 pH가 하강하면 용출제의 공급을 단속함으로써 pH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2용출조에서는 pH센서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Dredged soil below the standard particle size is transferred to the
용출제로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이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황산, 염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기산으로는 구연산을 이용할 수 있다. 용출제로 유기산을 이용할 경우, 용출보제제로 과산화수소를 이용할 수 있다. An inorganic acid or an organic acid can be used as an eluent. Sulfuric acid, hydrochloric acid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inorganic acid, and citric acid can be used as the organic acid. When an organic acid is used as the eluent, hydrogen peroxide may be used as the elution aid.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다단 입도분리유닛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는 용출조도 2개로 분리하여 다단으로 용출을 시행한다. 제1용출조와 제2용출조를 합한 용량의 규모가 큰 단독 용출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본 실시 예와 같이 중금속 용출을 두 번에 나누어 시행하는 경우 용출 효율이 더욱 우수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multi-stage particle size separation unit described above, the elution tank is also separated into two and the elution is performed in multiple stages. This is because dissolution efficiency is more excellent when heavy metal elution is performed twic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compared to using a single elution tank having a large capacity of the sum of the first and second elution tanks.
용출조(30, 40)에서 중금속 용출이 완료되면, 용출제와 함께 준설토는 침사조(50)로 이송된다. 침사조(50)에서는 용출제와 준설토를 일정 시간 동안 체류시킴으로써 준설토는 하부로 침강되며, 상등수에는 준설토가 제거된 용출제만 남게 된다. 침사조 위에 상등한 용출제는 제1용출조로 반송되어 재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heavy metal elution is completed in the elution tank (30, 40), the dredged soil together with the eluent is transferred to the settling tank (50). In the
침사조(50)에서 침강된 준설토는 중화·응집조(60)로 이송되어 수용되며, 중화·응집조(60)에는 중화제탱크(68) 및 응집제탱크(69)로부터 각각 중화제와 응집제가 투입된다. 침사조(50)에서 준설토가 이송될 때 일부 용출제가 함께 이송 되며, 준설토에도 산성의 용출제가 묻어 있다. 이에 중화제를 이용하여 준설토의 pH를 배출기준에 적합하게 상승시킨다. 중화제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계열의 물질을 이용하거나, 용출제로 사용한 구연산과 동일한 유기계열의 중화제인 구연산나트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응집제는 준설토들이 입단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응집되게 한다.The dredged soil settled in the
한편, 본 제2용출조(40)의 하부로부터 침사조(50)의 상부로는 이송관(L)이 연결되고, 이송관(L)에는 제1 펌프(52)가 설치된다. 제1펌프(52)는 제2용출조(40) 내의 미세토와 용출제를 침사조(5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침사조(50)와 중화·응집조(60) 사이에는 이송관(L)이 마련되고, 이송관(L)에는 제2펌프(62)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pipe (L)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mmersion tank (5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응집된 준설토는 최종적으로 탈수유닛(70)으로 이송되어 탈수처리된 후 배출된다. 처리 완료된 준설토는 성토재 등 토목, 건축 재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The agglomerated dredged soil is finally transported to the
이처럼 처리 완료된 준설토를 토목, 건축 재료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준설토에 포함되어 있던 오염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필요하다. 준설토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양과 종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야 능동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order to recycle the treated dredged soil as civil and building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remove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dredged soil. This is because the amount and type of pollutants contained in dredged soil should be identified in real time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본 발명은 용출조(30, 40)와 입도분리기(10, 20)의 사이의 이송관(L), 제1용출조(30)와 제2용출조(40)의 사이의 이송관(L), 용출조(30, 40)와 침사조(50)의 사이의 이송관(L), 침사조(50)와 중화·응집조(60) 사이의 이송관(L), 또는 중화·응집조(60)와 탈수유닛(70) 사이의 이송관(L)에 임피던스 측정유닛(90)이 설치된다. 임피던스 측정유닛(90)은 이송관(L)의 만관 여부나 수위, 이송관(L)을 지나는 준설토의 함수율이나 포함되어 있는 이온화 성분을 측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ransfer pipe (L) between the dissolution tank (30, 40) and the particle size separator (10, 20), the transfer pipe (L) between the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임피던스 측정유닛(90)은 입도분리기(10, 20)에서 입도가 큰것으로 분리된 준설토를 배출하기 위한 이송관에 설치되거나, 탈수유닛(70)에서 준설토를 배출하기 위한 이송관 등에도 설치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이송관이나 준설토 배출관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측정유닛(90)의 개략적 투시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임피던스 측정유닛(90)은 배관(91)과 배관(91)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 및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2)를 포함한다. The
배관(91)은 준설토가 이송되는 이송관(L)에 연결된다. 예컨대, 배관(91)은 이송관에 플랜지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은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예컨대, 1 내지 3 GHz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가 측정대상을 지나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로 수신되면, 신호분석기(Signal analyzer)가 신호를 분석하여 이루어진다. 서로 다른 물질은 서로 다른 유전특성(dielectric characteristic)을 가지므로 임피던스 측정은 각 물질의 유전특성 차이에 다른 수신 신호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송관의 만관 여부나 수위, 준설토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화 성분을 분석하는 것이다. Impedance measurement generates a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eg, a signal of 1 to 3 GHz) in the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90A)을 이용하여 이송관이나 준설토 배출관을 흐르는 준설토 및 준설수의 혼합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level of the mixture of the dredged soil and dredged water flowing through the transfer pipe or dredged soil discharge pipe using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9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90A)의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는 배관(91)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는 배관(91)의 상부 중앙부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S)를 발생시키면, 신호(S)는 측정대상을 지나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로 전달된다. 공기는 준설토 및 준설수의 혼합물과 유전특성이 현저히 상이하기 때문에, 이송관(L) 또는 배관(91)이 만관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수신되는 신호(S)가 구별된다. When the
한편, 측정대상인 준설토 및 준설수는 고형물이 많기 때문에,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센서면은 배관(91)의 내벽과 일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완전히 일치시기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적어도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센서면은 배관(91)의 벽면보다 안쪽에 위치하지 않아야 한다.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센서면이 배관(91)의 벽면보다 안쪽에 위치하면, 준설토 및 준설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들이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센서면에 쌓이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성능이 현저히 감소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redged soil and dredged water to be measured have many solids,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sensor surfaces of the
따라서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센서면은 배관(91)의 벽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센서면은 배관(91)의 벽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하여, 고형물들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 사이의 신호 전달율을 향상시킨다. Therefore, the sensor surface of the
다만,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센서면이 돌출되면,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측면에 고형물이 퇴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돌출된 부분과 벽면(91)의 사이에는 연결부재(95)를 배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95)는 고무링을 이용하거나, 실리콘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연결부재(95)로는 내화학성이 뛰어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95)는 벽면(91)과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돌출된 부분의 사이를 곡선으로 연결하여, 벽면(91)과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와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의 돌출된 부분의 사이에 고형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재(95)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sensor surfaces of the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90B)의 개략적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90B)은 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가 배관(91)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a ~ 93f)는 배관(91)의 하부로부터 상부 중앙부까지 소정의 간격을 이격되도록 복수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제1실시예의 임피던스 측정유닛(90A)을 이용하면, 이송관이나 배관(91)의 만관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수위는 확인하기 어렵다.When the
하지만 제2실시예의 임피던스 측정유닛(90B)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높이별로 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a ~ 93f)가 배치되기 때문에 수위 측정이 가능하다. 즉, S1 ~ S4의 신호와 S5 및 S6 의 신호에 차이에 의해, 현재 수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90C)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90C)는 배관(91)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a)와 배관(91)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2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b)를 포함하고, 배관(91)의 상부 중앙부에 제1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a)와 배관(91)의 하부 타측에 제2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b)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b)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준설토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화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임피던스 신호발생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공기층을 지나서는 안된다. 따라서 배관(91)의 상하 중앙부에 각각 배치된 제1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a) 및 제1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a)로는 배관(91)이 만관이 아닌 경우에는 함수율 분석과 성분 분석이 쉽지 않다. In order to analyze the ionization components contained in the dredged soil, the signal generated by the impedance generator should not cross the air layer. Therefore, when the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유닛(90C)는 이송관이나 배관의 만관여부는 제1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a) 및 제1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동시에 준설토의 성분분석은 제2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b) 및 제2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b)를 이용한다. 이로써 이송관이나 배관의 만관여부와 준설토의 함수율 분석과 성분분석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신호의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a) 및 제1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a)의 동작과 제2임피던스 신호발생기(92b) 및 제2임피던스 신호수신기(93b)의 동작은 시차를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i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방법은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임피던스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The dredged soil trea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dredged soil treating system including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먼저, 임피던스 신호발생기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신호는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 3 G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한다. First, a step of generating a signal in the impedance generator is performed. The signal generates a signal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for example a frequency band of 1 to 3 GHz.
발생된 신호는 임피던스 신호수신기에서 수신한다. 수신된 신호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서 먼저 시계열 오차보정을 수행하고, 시계열 오차보정된 신호를 필터링한다. The generated signal is received at an impedance signal receiver. The received signal first performs time series error correction in a separate controller (not shown), and filters the time series error corrected signal.
이를 이용하여, 이송관이나 배관의 만관여부, 준설토 및 준설수의 수위, 준설토에 포함된 함수율이나, 이온화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ㅓ.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pipes or pipes are fully filled, the level of dredged soil and dredged water, the water content in the dredged soil, or the ionization component.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gain noted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laims (7)
상기 용출조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용출제가 주입된 준설토를 이송받아 중금속이 용출된 준설토를 침전시키는 침사조;
상기 침사조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침전된 준설토를 이송받아 중화 및 응집시키는 중화·응집조;
상기 중화·응집조와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중화된 준설토를 탈수시키는 탈수 장치; 및
상기 이송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측정유닛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임피던스 신호발생기 및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는 상기 배관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는 복수개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는 상기 배관의 하부로부터 상부 중앙부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Elution tank into which the eluent is injected;
A sedimentation tank connected to the elution tank and a transfer pipe to receive the dredged soil into which the eluting agent is injected to precipitate the dredged soil from which the heavy metal is eluted;
A neutralization and agglomeration tank connected to the sedimentation tank and a transfer pipe to neutralize and agglomerate the sedimentary dredged soil;
A dehydr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neutralization / aggregation tank and a transfer pipe to dehydrate the neutralized dredged soil; And
And an impedance measuring uni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transfer pipes.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A pipe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And
An impedance signal generator and an impedance signal receiver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pipe;
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is dispos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pipe,
A plurality of impedance signal receivers are included,
The plurality of impedance signal receivers are disposed in the dredged soil processing system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apart.
상기 배관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된 임피던스 신호발생기를 제1임피던스 신호발생기라고 하고, 상기 배관의 하부로부터 상부 중앙부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임피던스 신호수신기를 복수의 제2임피던스 신호수신기라고 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2임피던스 신호발생기와, 상기 배관의 하부 타측에 상기 제2임피던스 신호발생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임피던스 신호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impedance signal generator dispos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pipe is called a first impedance signal generator, and a plurality of impedance signal receiver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to the upper center portion are called a plurality of second impedance signal receivers. In the case of
And a second impedance signal generator disposed at one lower side of the pipe, and a second impedance signal receiver disposed at the other lower side of the pipe to face the second impedance signal generator.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 또는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의 센서면은 상기 내측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Dredge soil processing system is disposed so that the sensor surface of 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or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 또는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의 돌출된 부분과 상기 벽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된 부분에 고형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impedance signal generator or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and the wall surface to prevent solid matter from being deposited on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임피던스 신호발생기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임피던스 신호수신기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를 시계열 오차보정 하는 단계; 및
시계열 오차보정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방법.
As a dredged soil treatment method using the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Generating a signal at the impedance generator;
Receiving a signal at the impedance signal receiver;
Time-series error correction of the received signal; And
Filtering the time series error-corrected signal; Dredged soil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015A KR102040734B1 (en) | 2019-04-08 | 2019-04-08 |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cluding impedance measuring unit and treating method of dredged soil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015A KR102040734B1 (en) | 2019-04-08 | 2019-04-08 |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cluding impedance measuring unit and treating method of dredged soil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0734B1 true KR102040734B1 (en) | 2019-11-05 |
Family
ID=6857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1015A KR102040734B1 (en) | 2019-04-08 | 2019-04-08 |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cluding impedance measuring unit and treating method of dredged soil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0734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4207A (en) * | 2001-10-02 | 2003-04-18 | Mitsubishi Corp | Liqui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liquid concentration measuring method |
KR20040027820A (en) * | 2004-03-10 | 2004-04-01 | 정진만 | dreg sludge height and flow rate measurement system using pressure gauge and sewage water level and velocity gauge |
JP2005003635A (en) * | 2003-06-16 | 2005-01-06 | Mitsubishi Chemicals Corp | Management system of water system process |
KR101839010B1 (en) * | 2017-03-15 | 2018-04-27 | (주)신대양 |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heavy metals contaminated spoil |
KR101880244B1 (en) * | 2017-10-23 | 2018-07-19 | (주)신대양 | System for treating marine polluted sediment using ultrasonic wave |
-
2019
- 2019-04-08 KR KR1020190041015A patent/KR10204073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4207A (en) * | 2001-10-02 | 2003-04-18 | Mitsubishi Corp | Liqui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liquid concentration measuring method |
JP2005003635A (en) * | 2003-06-16 | 2005-01-06 | Mitsubishi Chemicals Corp | Management system of water system process |
KR20040027820A (en) * | 2004-03-10 | 2004-04-01 | 정진만 | dreg sludge height and flow rate measurement system using pressure gauge and sewage water level and velocity gauge |
KR101839010B1 (en) * | 2017-03-15 | 2018-04-27 | (주)신대양 |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heavy metals contaminated spoil |
KR101880244B1 (en) * | 2017-10-23 | 2018-07-19 | (주)신대양 | System for treating marine polluted sediment using ultrasonic wav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loom et al. | Heavy metals in the Derwent Estuary | |
Puig et al. | Heavy metals in particulate matter and sediments in the southern Barcelona sedimentation system (North-western Mediterranean) | |
US7820053B2 (en) | Magnetic separation and seeding to improve ballasted clarification of water | |
KR10137548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on of highly concentrated soil by continuous sequential advanced??separation and heavy metals removal process | |
Quémerais et al. | Mercury distribution in relation to iron and manganese in the waters of the St. Lawrence river | |
CN102644302B (en) | Sludge processing system for watercourses and lake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
Nystrand et al. | Distribution and speciation of metals, phosphorus, sulfate and organic material in brackish estuary water affected by acid sulfate soils | |
KR101995207B1 (en) | Multi-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by in situ thermal desorption for high temperature heat injection and extraction and oxidation and washing of organic acid | |
CN106391685A (en) | Ex-situ sorting, cleaning and repairing device for chromium-polluted soil and cleaning and repairing technology using ex-situ sorting, cleaning and repairing device | |
KR101995214B1 (en) | Remediation and monitorin system of contaminated soil by soi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and wastewater treatment | |
Malaj et al. | Near-shor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Albanian part of Lake Ohrid | |
KR102040734B1 (en) |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cluding impedance measuring unit and treating method of dredged soil using the same | |
Chakrapani et al. | Fractionation of heavy metals and phosphorus in suspended sediments of the Yamuna river, India | |
Davis et al. | Bioaccumulation of arsenic, chromium and lead in fish: constraints imposed by sediment geochemistry | |
KR102000173B1 (en) | Real time analysis device for dredged soil purification | |
KR100251344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urifying rivers | |
KR10183901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heavy metals contaminated spoil | |
Sakata et al. | Evaluation of pollution sources of zinc in Tokyo Bay based on zinc isotope ratio in sediment core | |
El-Moselhy et al. | Heavy metals content and grain size of sediments from Suez Bay, Red Sea, Egypt | |
Rauckyte-Żak et al. | Wastewaters treatment from rail freight car wash.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treated sludges | |
JP2008136962A (en) | Decontamination method of soil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and vessel of fluidized bed type for use in the method | |
Wojtkowska | Heavy metal pollution of water and bottom sediments of the Wilanowskie Lake | |
EP2709766B1 (en) |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bottom ash | |
JP6909661B2 (en) | Purification device | |
JP4041757B2 (en) | Purification method for contaminated so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